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6:41:55

파라과이 대통령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4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d52b12 70%, #d52b12 80%, #FFFFFF 80%, #FFFFFF 90%, #0038a9 90%, #0038a9);"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38a9> 상징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파라과이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파라과이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파라과이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TIAR
경제 경제 전반 · 파라과이 과라니
국방 파라과이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과라니어 · 스페인어
인물 호세 가스파르 로드리게스 데 프란시아 ·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 · 마리오 아브도 베니테스
지리 아순시온 · 시우다드델에스테
민족 과라니족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기타 파라과이 시간대
}}}}}}}}} ||}}}
파일:파라과이 국장.svg
파라과이 공화국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 #0038a9;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파쿤도 마차인 시릴로 안토니오 리바롤라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살바도르 호베야노스 후안 바티스타 힐 이히니오 우리아르테 칸디도 바레이로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베르나르디노 카바예로 파트리시오 에스코바르 후안 후알베르토 곤살레스 마르코스 모리니고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후안 바티스타 에후스키사 에밀리오 아세발 안드레스 엑토르 카르바요 후안 안토니오 에스쿠라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후안 바티스타 가오나 세실리오 바에스 베니그노 페레이라 에밀리아노 곤살레스 나베로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마누엘 곤드라 알비노 하라 리베라토 마르시알 로하스 페드로 파블로 페냐
제20대2 제25대 제26대 제27대
에밀리아노 곤살레스 나베로 에두아르도 샤에레르 마누엘 프랑코 호세 페드로 몬테로
제21대2 제28대 제29대 제30대
마누엘 곤드라 에우세비오 아얄라 엘리히오 아얄라 루이스 알베르토 리아르트
제29대2 제31대 제28대2 제32대
엘리히오 아얄라 호세 파트리시오 구기아리 에우세비오 아얄라 라파엘 프랑코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펠릭스 파이바 호세 펠릭스 에스티가리비아 이히니오 모리니고 후안 마누엘 프루토스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후안 나탈리시오 곤살레스 라이문도 롤론 펠리페 몰라스 로페스 페데리코 차베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토마스 로메로 페레이라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후안 카를로스 와스모시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라울 쿠바스 그라우 루이스 앙헬 곤살레스 마치 니카노르 두아르테 페르난도 루고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페데리코 프랑코 오라시오 카르테스 마리오 아브도 베니테스 산티아고 페냐
<rowcolor=#ffffff> ※ 파라과이의 경우 임기가 중간에 단절되었다가 다시 집권해도 처음 집권했을 당시의 대수를 유지한다.
← 파라과이 집정관 }}}}}}}}}
<colbgcolor=#0038a9><colcolor=#fff> 파일:파라과이 국장.svg
파라과이 공화국 대통령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l Paraguay
파일:Perfil_Oficial_Santiago_Peña_.jpg
현직 산티아고 페냐, / 제52대,
취임일 2023년 8월 15일
정당 파일:콜로라도당.png 콜로라도당
관저 음부루비샤 로가

1. 개요2. 관련 헌법 조항3. 역대 대통령 목록4. 특징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라과이의 대통령으로,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이다. 1992년 헌법에 따라 임기는 5년이며 단임제이다. 대통령 집무실은 아순시온에 있는 로페스 궁전이며 관저는 음부루비샤 로가이다. 호칭은 정식 외교 의전상으로는 '각하'(Su Excelencia)라고 경칭된다.

현행 헌법에 따르면, 대통령과 부통령은 공동으로 선출되며, 현행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되기 90일에서 120일 전에 총선을 치러야 한다. 총선은 1차, 2차 구분없이 단독으로 시행되며 가장 득표율이 높은 후보가 당선된다.

대통령이 퇴임하면 파라과이 헌법에 따라 종신 상원의원직과 발언권이 부여된다. 단, 표결권은 없기 때문에 사실상 명예직, 옵서버 기능에 지나지 않는다.

현직 대통령은 2023년 8월 15일에 취임한 산티아고 페냐이다.

2. 관련 헌법 조항

파라과이 헌법
제226조 행정권은 공화국 대통령이 행사한다.

제228조 공화국의 대통령이나 부통령이 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①태어날때부터 파라과이 국적을 소지해야 한다.
②만 35세 이상이어야 한다.
③시민권과 참정권을 충분히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제229조 공화국 대통령과 부통령은 직무 수행에 있어서 5년 동안 함께 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재선에 응할 수 없다.
①부통령은 대통령직 승계시 남은 임기만을 소화한다. 또한 최대 6개월까지 대행을 맡을 수 있다.
②12개월 이상 대통령직을 수행한 사람은 공화국의 부통령으로 선출될 수 없다.

제230조 공화국 대통령과 부통령은 직선제로 공동 선출하며 다수결에 의한 단일 투표로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현행 정부 임기 만료일의 90일에서 120일 이전 사이에 실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231조 만약 정상적으로 대통령과 부통령이 헌법이 규정한 대로 취임을 하지 못하거나 선거를 치르지 못할 경우, 대법원장이 권한을 대행하며 기간은 차기 대통령과 부통령이 취임할 때까지이다.

제232조 공화국의 대통령과 부통령은 헌법상의 의무를 충실히 이행하겠다는 맹세나 약속을 함으로써 의회에 취임해야 한다. 만약 의회에서 취임식을 진행할 수 없을 경우, 대법원에서 진행된다.

제233조 대통령이나 권한 대행은 의회와 대법원에 사전 통보 없이 출국할 수 없다. 만약 부재일이 5일 이상일 시, 상원의 허가가 필요하다. 의회가 휴회일 경우, 상임위원회가 대신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공화국의 대통령과 부통령은 동시에 파라과이에 부재할 수 없다.

제234조 만약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로 인해 직무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부통령, 법률이 정한 국무위원의 순서로 그 권한을 대행한다.[1] 대통령 당선인이 정상적으로 취임을 할 수 없을 경우, 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수행한다. 대통령 임기 첫 3년간 부통령이 부재일 경우, 새로운 부통령 선거를 시행한다. 만약 같은 기간에 하루라도 부통령이 있었다면, 의회에서 부통령을 선출한다.

제235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대통령이나 부통령직에 자격이 주어지지 않는다.
① 행정각부 장관, 차관 또는 차관보 및 이에 상응하는 직급의 공무원, 공공부문 국장 및 평의회 의장, 지방자치단체장, 이중국적 보유자 또는 다국적기업의 이사장
② 법관과 검찰
옴부즈맨, 감사원장과 부감사원장, 검찰총장, 사법위원회 위원 및 고등선거법원의 위원
④ 정부와 거래 관계에 있는 국내 또는 외국 기업의 대표나 대리인
⑤ 종교의 수장
⑥ 주지사와 시장
⑦ 현역이거나 전역한지 1년 미만의 군인과 경찰
⑧ 방송국 소유주
⑨ 선거 1년 전이나 선거 기간 중 대통령직을 수행한 적이 있는 자의 배우자나 4촌 이내 친척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의 경우, 직무 대리인이 영구결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선거일 6개월 전까지 해당 직책을 그만 두어야 한다.

제236조 헌법에 규정된 질서를 위반하는 쿠데타, 무장혁명 또는 이와 유사한 운동을 일으킨 군 수장이나 민간 군벌은 민형사상 책임에 상관없이 2년 동안 어떠한 공직에도 오를 수 없다.

제237조 대통령과 부통령은 임기 중에는 보수의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일을 겸직할 수 없다. 어떠한 거래, 산업 또는 직업 활동에도 관여할 수 없으며 오직 대통령이나 부통령으로써의 직무에만 충실해야 한다.

제238조 다음 각 호들은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이의 의무와 권한이다.
① 대통령은 국가를 대표하고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
② 헌법과 법률을 준수하고 시행한다.
③ 헌법에 따라 법률을 제정하고 공표, 규제 및 집행하는 데 관여한다.
④ 의회가 채택한 법률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거부권이 있으며,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의견이나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⑤ 법률의 효력을 위해, 각 부 장관들의 승인을 요하는 법령을 제정한다.
⑥ 공무원 임면권[2]을 지닌다.
⑦ 의회의 승인에 따라, 외국과의 전쟁이나 평화 협상을 담당한다. 외국과의 협상이나 국제 조약을 체결한다. 외국 사절단이나 외교관을 맞이하고 대접한다. 상원의 동의에 따라 대사를 임명한다.
⑧ 공화국의 전반적인 상황과 미래에 대한 계획에 대해 각 연례 회의의 시작에 의회에 보고한다.
⑨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⑩ 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사면ㆍ감형 또는 복권을 명할 수 있다.
⑪ 임시 의회를 소집한다.
⑫ 헌법에 규정된 조건에 따라 긴급히 검토 요청을 받아 제출될 수 있는 법안을 의회에 제안할 수 있다.
⑬ 국가 예산과 법률에 따라 공화국의 도로의 건설과 투자를 관리하고 매년 의회에 활동 보고서를 보고한다.
⑭ 연간 국가 예산 초안을 작성하여 의회에 제출한다.
⑮ 헌법에 의해 제정된 당국의 규정을 시행해야 한다.
⑯ 기타 의무와 권한은 헌법 상에 표기되어 있다.

3. 역대 대통령 목록

<rowcolor=#fff> 대수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비고
1대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 1844.3.13 1862.9.10 무소속 [A]
2대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 1862.9.10 1870.3.1 [A]
3대 파쿤도 마차인 1870.8.31 1870.9.1 [B]
4대 시릴로 안토니오 리바롤라 1870.9.1 1871.12.18 [C]
5대 살바도르 호베야노스 1871.12.18 1874.11.25 [B]
6대 후안 바티스타 힐 1874.11.25 1877.4.12 [8]
7대 이히니오 우리아르테 1877.4.12 1878.11.25
8대 칸디도 바레이로 1878.11.25 1880.9.4 [A]
9대 베르나르디노 카바예로 1880.9.4 1886.11.25 [10]
10대 파트리시오 에스코바르 1886.11.25 1890.11.25 콜로라도당
11대 후안 후알베르토 곤살레스 1890.11.25 1894.6.9 [B]
12대 마르코스 모리니고 1894.6.9 1894.11.25
13대 후안 바티스타 에후스키사 1894.11.25 1898.11.25
14대 에밀리오 아세발 1898.11.25 1902.1.9 [B]
15대 안드레스 엑토르 카르바요 1902.1.9 1902.11.25
16대 후안 안토니오 에스쿠라 1902.11.25 1904.12.19
17대 후안 바티스타 가오나 1904.12.19 1905.12.9 정통급진자유당 [B]
18대 세실리오 바에스 1905.12.9 1906.11.25
19대 베니그노 페레이라 1906.11.25 1908.7.4 [B]
20대 에밀리아노 곤살레스 나베로 1908.7.4 1910.11.25
21대 마누엘 곤드라 1910.11.25 1911.1.17 [B]
22대 알비노 하라 1911.1.17 1911.7.5 [B]
23대 리베라토 마르시알 로하스 1911.7.5 1912.2.28 [B]
24대 페드로 파블로 페냐 1912.2.28 1912.3.22 콜로라도당 [B]
(20대) 에밀리아노 곤살레스 나베로 1912.3.22 1912.8.15 정통급진자유당
25대 에두아르도 샤에레르 1912.8.15 1916.8.15
26대 마누엘 프랑코 1916.8.15 1919.6.5 [A]
27대 호세 페드로 몬테로 1919.6.5 1920.8.15
(21대) 마누엘 곤드라 1920.8.15 1921.11.7 [C]
28대 에우세비오 아얄라 1921.11.7 1923.4.12 [C]
29대 엘리히오 아얄라 1923.4.12 1924.3.17 [C]
30대 루이스 알베르토 리아르트 1924.3.17 1924.8.15
(29대) 엘리히오 아얄라 1924.8.15 1928.8.15
31대 호세 파트리시오 구기아리 1928.8.15 1931.10.25 [D]
(20대) 에밀리아노 곤살레스 나베로 1931.10.25 1932.1.27
(31대) 호세 파트리시오 구기아리 1932.1.27 1932.8.15 [24]
(28대) 에우세비오 아얄라 1932.8.15 1936.2.17 [B]
32대 라파엘 프랑코 1936.2.17 1937.8.15 무소속 [B]
33대 펠릭스 파이바 1937.8.15 1939.8.15 정통급진자유당
34대 호세 펠릭스 에스티가리비아 1939.8.15 1940.9.7 무소속 [A]
35대 이히니오 모리니고 1940.9.7 1948.6.3 [B]
36대 후안 마누엘 프루토스 1948.6.3 1948.8.15 콜로라도당
37대 후안 나탈리시오 곤살레스 1948.8.15 1949.1.30 [B]
38대 라이문도 롤론 1949.1.30 1949.2.26 [B]
39대 펠리페 몰라스 로페스 1949.2.26 1949.9.11 [B]
40대 페데리코 차베스 1949.9.11 1954.5.4 [B]
41대 토마스 로메로 페레이라 1954.5.4 1954.8.15
42대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1954.8.15 1989.2.3 [B]
43대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1989.2.3 1993.8.15
44대 후안 카를로스 와스모시 1993.8.15 1998.8.15
45대 라울 쿠바스 그라우 1998.8.15 1999.3.28 [C]
46대 루이스 앙헬 곤살레스 마치 1999.3.28 2003.8.15
47대 니카노르 두아르테 2003.8.15 2008.8.15
48대 페르난도 루고 2008.8.15 2012.6.22 기독교민주당 [D]
49대 페데리코 프랑코 2012.6.22 2013.8.15 정통급진자유당
50대 오라시오 카르테스 2013.8.15 2018.8.15 콜로라도당
51대 마리오 아브도 베니테스 2018.8.15 2023.8.15
52대 산티아고 페냐 2023.8.15 현재

4. 특징

파라과이 대통령의 특징으로는 불안한 정국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취임하여 무사히 임기를 마친 대통령이 손에 꼽는다는 점이다. 당장 초대 대통령인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도 공동 지도자인 마리아노 로케 알론소를 실각시키고 집권했으며 26년간 독재를 펼쳤고 죽고나서도 아들인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에게 승계하는 등 마치 전제군주정을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다. 뒤를 이은 파쿤도 마차인 대통령은 취임 12시간만에 쿠데타로 실각하는 등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멋대로 정부를 전복시키는 사례가 매우 많다. 제9대 대통령인 베르나르디노 카바예로가 되어서야 선거로 취임하여 무사히 임기를 마친 첫번째 사례가 나왔을 정도이다.[36]

파라과이 전쟁차코 전쟁으로 인해 파라과이 군부의 권력은 매우 비대해졌으며 마음대로 정국을 쥐고 흔들었다. 1912년 1월 14일부터 사흘간은 쿠데타로 인해 대통령 임기가 정지되고 군부에 의한 삼두정치가 시행되기도 했다. 전직 대통령 중에서 군인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다.

또한, 일당 독재 형태가 나타난다. 1887년 자유당과 콜로라도당이 창당된 이후, 1887년부터 1904년까지 콜로라도당이, 1904년부터 1940년까지 자유당이, 1948년부터 2008년까지 다시 콜로라도당이 집권했으며 현직 대통령도 콜로라도당 소속이다.

또한 현직 대통령이 52대[37]인 반면 부통령은 30대에 불과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이는 잦은 대통령직 승계 사례[38]와 1940년 헌법으로 인해 부통령제가 1992년까지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최장 임기를 재임한 대통령은 42대 대통령인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이며 무려 35년을 대통령직에 있었다.[39] 이 자의 장기 독재로 인해 축출 후인 1992년 헌법으로 대통령 임기가 5년 단임제로 제한되었다.

혈연 관계로는 로페스 대통령 부자와 사촌 관계인 후안 바티스타 힐이히니오 우리아르테가 있다. 혈연은 아니지만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안드레스 로드리게스는 사돈관계이기도 하다. 에우세비오 아얄라엘리히오 아얄라는 성만 같을 뿐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무소속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국민의힘|
국민의힘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차이잉원 (재선) 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무소속|
무소속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통합단결발전당|
통합단결발전당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오흐나깅 후렐수흐 민 슈웨 (권한대행) 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스리랑카)|
통일국민당
]]
[[바트당|
바트당
]]
[[무소속|
무소속
]]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 바샤르 알아사드 (4선)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전투적 성직자회|
전투적 성직자회
]]
[[이스라엘 노동당|
이스라엘 노동당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에브라힘 라이시 (초선) 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민주항쟁당|
민주항쟁당
]]
[[무소속|
무소속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조코 위도도 (재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메켄칠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에모말리 라흐몬 (5선)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파타|
파타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무소속
]]
[[느하스|
느하스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블라디미르 푸틴 (5선)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 에르신 타타르 (초선) 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통합좌파당|
통합좌파당
]]
[[사회민주당(산마리노)|
사회민주당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중도당|
중도당
]]
알레산드로 로시 (재선)
밀레나 가스페로니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비올라 암헤르트 (초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일함 알리예프 (5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바이람 베가이 (초선) 아슬란 브자니야 (초선) 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 페트르 파벨 (초선)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슈요크 터마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이르판 알리 (초선)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 실바니 버튼 (초선)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미국)|
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조 바이든 (초선) 샌드라 메이슨 (초선)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노동자당|
노동자당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루이스 아르세 (초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무소속|
무소속
]]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아리엘 앙리 (권한대행) 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무소속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무소속
]]
[[민주혁명당(파나마)|
민주혁명당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 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신애국당
]]
[[가봉군|
가봉군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기니군
]]
[[마뎀 G15|
마뎀 G15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우마루 시소쿠 엠바루 (초선) 난골로 음붐바 (초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볼라 티누부 (초선)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니제르군
]]
[[통일당|
통일당
]]
[[르완다 애국 전선|
르완다 애국 전선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조셉 보아카이 (초선) 폴 카가메 (4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무소속
]]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말리군
]]
[[투쟁 사회주의운동|
투쟁 사회주의운동
]]
[[공정당|
공정당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보츠와나 민주당|
보츠와나 민주당
]]
필리프 뉴시 (재선) 파트리스 탈롱 (재선) 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파스테프당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바시루 디오마예 파예 (초선) 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
[[수단군|
수단군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무세 비히 압디 (초선)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압델마지드 테분 (초선) 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 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무소속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차드군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 폴 비야 (7선)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윌리엄 루토 (초선)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포르 냐싱베 (4선) 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힐다 하이네 (재선) 웨슬리 시미나 (초선)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부건빌 주기.svg 부건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무소속|
무소속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무소속|
무소속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무소속|
무소속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타네티 마마우 (재선)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1] 상원의장, 하원의장, 대법원장 순[2] 임명권 + 면직권[A] 임기 중 사망[A] [B] 쿠데타로 인해 축출[C] 임기 중 사임[B] [8] 임기 중 암살[A] [10] 쿠데타로 집권[B] [B] [B] [B] [B] [B] [B] [B] [A] [C] [C] [C] [D] 임기 중 탄핵[24] 대통령직 복귀[B] [B] [A] [B] [B] [B] [B] [B] [B] [C] [D] [36] 카바예로 역시 전임자인 칸디도 바레이로가 임기중 사망하자 쿠데타를 일으켜 승계하여 남은 임기를 대행한 후 1882년 대선에서 승리하여 정식으로 대통령 임기를 다시 역임한 사례이다.[37] 영문 위키를 참조한 것이다. 임시 대통령이나 임기가 잠시 중단되어 대수가 나눠진 사례를 포함시킬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38] 부통령의 대통령직 승계시 부통령은 공석이 된다.[39] 2위는 초대 대통령인 카를로스 안토니오 로페스의 26년, 3위는 35대 대통령인 이히니오 모리니고의 7년 9개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