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9 07:02:17

해케인드 히칠리마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케네스 카운다 프레데릭 칠루바 레비 음와나와사 루피아 반다
제5대 권한대행 제6대 제7대
마이클 사타 가이 스콧 에드가 룽구 해케인드 히칠리마 }}}}}}}}}


영어: Hakainde Hichilema

잠비아의 사업가 출신 정치인으로, 제7대 대통령.

1. 초기 생애2. 정치 활동
2.1. 2015년 대선2.2. 2016년 대선2.3. 위기, 그리고 반전2.4. 2021년 대선
3. 둘러보기

[clearfix]

1. 초기 생애

영국령 시절이던 1962년 몬즈 구역에서 태어났으며, 잠비아 대학교에서 경제학 및 경영학을 전공했다. 이후 잠비아를 식민 통치했던 영국으로 건너가 버밍엄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밟았으며, 금융학 및 경영전략을 추가로 공부했다. 이후에는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2. 정치 활동

자유주의 성향의 국가개발통일당(UPND)에 입당해 정치 활동을 시작한 그는 2006년 앤더슨 머조카 대표가 사망하자 당권을 물려받게 되었다. 하지만 그의 정치 인생은 그야말로 가시밭길 그 자체였다. 대선을 무려 5번이나 도전했지만 떨어졌고, 여섯 번째에서 겨우 당선되었으니... 한마디로 전형적인 제3지대 정치인의 한계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첫 시작은 2006년 대선이었다. 본디 머조카 대표가 UPND의 후보로 출마할 예정이었지만,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정치 경험이 부족한 히칠리마가 대신 물려받게 되었고, 대선도 그가 대타로 나서게 되었다. 케네스 카운다 전 대통령의 지지를 받으면서까지 나름의 기대를 모았으며 투표 결과 25.32%의 득표율로 꽤 선방했지만, 다당제민주운동(MMD)과 애국전선 간의 양당제의 벽을 넘지 못하고 3위로 마무리하였다.

그렇게 5년을 기다려야만 하던 와중이던 2008년, 레비 뭐나와사 대통령이 급서하면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었고, 히칠리마는 UPND의 후보로 다시 출마한다. 하지만 뭐나와사에 대한 애도 분위기 속에서 정국은 뭐나와사가 속한 MMD에게 유리하게 돌아갔고, 결과는 MMD 후보이자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루피아 반다의 승리로 끝난다. 히칠리마의 상황은 좋지 못했는데, 그냥 3위에 머무른 정도가 아니라, 득표율이 19.96%로 20%에조차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

아무리 제3지대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대선을 2번이나 말아먹었다는 점에서 히칠리마 본인의 경쟁력에 의심이 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그와 UPND의 입지도 불안불안한 상황이었다. 당장 2번이나 낙선한 것도 모자라 당은 여전한 제3당 신세인데, 이런 상황에서 독주를 감행한다? 결과야 뻔한 일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09년 6월 애국전선과의 연대를 선언했고, 2011년 대선 및 총선은 양당이 연합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 연합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일은 없었다. 양당 간의 이념차는 둘째쳐도, 대선 후보로 누가 나가냐를 두고도 갈등이 지속되었다. 애국전선 후보로 줄곧 출마하던 마이클 사타도, 꾸준히 대통령직을 노리던 히칠리마도, 둘 다 대통령직에 혈안이 되어있던 상황에서, 이 자리를 쉽게 포기할 리가 없었다. 어찌어찌 합의해서 한 쪽이 부통령 후보로 빠지는 방법도 있었지만, 애초에 부통령직 자체가 콩라인 그 자체라서...[1] 결국 이 "야권연대"는 선거도 치르기 전에 와해되고 만다.

그나마 야권연대의 성과가 아주 없지는 않았는지, 사타는 대통령직에 당선될 수 있었고, 애국전선도 원내 1당이 되기는 했다. 하지만 결국 득을 본 것은 사타였고, 히칠리마가 전혀 아니었다. 야권 분열에 질린 유권자들, 특히 히칠리마 지지자들 중 일부가 정권교체 불발을 우려해 대거 사타로 향했고, 히칠리마는 18.54%라는, 전보다 더 떨어진 득표율을 기록했다.

2.1. 2015년 대선

이대로 가면 영원한 제3지대, 아니, 군소후보로 추락할 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지만, 예기치 못한 반전이 일어난다.

사타 대통령이 임기 중 급사하면서 2015년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었고, 히칠리마는 어김 없이 4수에 도전한다. MMD와 애국전선 간의 고질적인 양당제 속에서 히칠리마의 입지는 뻔했고, 유권자들도 "또 그 인간이냐?"며 거의 관심을 끄는 수준에 불과했다. 애국전선 후보로 출마한 에드가 렁구 전 국방장관과, MMD 후보로 유력했던 루피아 반다 전 대통령 간의 맞대결이 예상되었고, 다들 둘 중 하나가 당선되리라 믿었다.

하지만 반전은 얘기치 못한 곳에서 일어났다.

반다 전 대통령이 MMD 대선 후보로 유력시되던 상황에서, 네버스 멈바 MMD 대표 간의 골이 깊어졌고, 대선 경선은 진흙탕으로 번지고 만다. 결국 대법원까지 가는 상황이 벌어졌는데, 당 내에서 반다를 밀어주던 상황에서 법원 판결도 반다의 손을 들어줄 것이라는 게 세간의 예측이었지만, 이러한 예상을 뒤엎고 대법원은 멈바를 MMD의 정식 대선 후보로 선언하였다. 결국 당은 내분을 겪게 되었고, 반다도 1주일이 지나서야 겨우 승복했을 정도였다.

이러는 사이 지지층은 MMD로부터 등을 돌렸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데 제3지대에서 계속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던 히칠리마에게 관심을 가져다 주기 시작했다. 애국전선과 렁구를 지지할 리가 없던 이들 입장에서는 히칠리마가 그나마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보였고, 이들의 지지에 힘업어 히칠리마는 급부상하기 시작한다. 얘기치 못한 급부상에 전국이 깜짝 놀랐고, 이대로 가면 당선까지도 노려볼 수 있는 상황이었다.

득표 결과, 1.68%라는 초접전 끝에 낙선한다. 갑작스런 돌풍 탓에 일방적인 당선을 노리기에는 어려운 것도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사타 대통령 서거로 인해 정국이 애국전선에게 유리한 분위기였던 것도 한 몫을 했다.

그러나 애국전선과 골이 깊었던 히칠리마는 부정선거라고 규탄하며 대선 불복 의사를 밝힌다. 물론 부정선거라는 확실한 근거도 없어서 그저 음모론 정도로 끝났지만, 이미 정국은 양극화가 심화된 상황이었다. 이미 대선 정국에서부터 동서로 분열된 상황이었고, 렁구에게도 주어진 임기가 고작 1년 뿐이라서, 분열된 여론을 통합해야 하는 상황에 놓았다.

2.2. 2016년 대선

사타의 잔여 임기가 고작 1년 뿐이라 대선은 1년 만에 다시 치러지게 되었고, 이번에도 렁구 vs 히칠리마의 리턴매치가 벌어졌다.

투표 결과, 1년 전보다 조금 더 떨어진 47.63%의 득표율로 마무리했다. 렁구의 임기가 고작 1년 뿐이었던 탓에 렁구와 애국전선의 입장에서는 허니문 대선이나 마찬가지였고, 여론도 렁구에게 한번 더 기회를 주자는 데 있었다.

2.3. 위기, 그리고 반전

이렇게 대선을 5번이나 떨어지면서 본인도 궁지에 몰린 상황이었던 2017년 4월 11일, 반역죄로 구속되고 만다. 가뜩이나 선거를 말아먹는 것도 모자라 중대범죄로 체포되기까지 했으니, 그의 인생은 아예 끝장났다고 봐도 무관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여기에는 숨겨진 내막이 있었는데, 그의 체포를 주도한 이가 다름아닌 렁구 대통령이었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빼도 박도 못할 정치 탄압임이 분명했는데, 그도 그럴만 한게 히칠리마가 애국전선과 사이가 나빴던 것은 물론, 렁구 본인에게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부상했으니, 어쩌면 렁구 입장에서는 자신에게 가장 독이 될 정적 1순위를 제거하는 게 시급했던 모양.

당연히 서방 국가들은 그를 일제히 규탄했다. 물론 이것 쯤이야 "제국주의 세력들의 음모" 정도로 규정하고 무시하는 것도 가능했겠으나, 서방뿐 아니라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마저 규탄에 동참하는 바람에, 도저히 빠져나갈 구멍이 없던 상황.

결국 8월 16일, 구속된 지 4개월 5일 만에 전격 석방되었다.

2.4. 2021년 대선

우여곡절 끝에 2021년 대선에 도전하게 되었다. 이번이 무려 여섯 번째였고, 히칠리마 본인 입장에서도 사실상 마지막이라는 심산으로 도전했다.

위에서 언급한 구속 사건으로 렁구는 이미지에 큰 치명타를 입게 되었고, 여론은 히칠리마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무려 5번이나 낙선했는데다가, 억울하게 체포되었다는 이미지까지 겹쳐 동정여론이 일었기 때문.

그리고 59.02%의 득표율로 압승하여 그간의 "만년 후보" 꼬리표를 떼고 대통령직을 거며쥐게 되었다. 같이 치러진 총선에서도 167석 중 82석을 차지해 비록 과반에는 아슬아슬하게 미달했지만,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큰 문제가 없게 되었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무소속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라이칭더 (초선) 최상목 (권한대행)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무소속|
무소속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오흐나깅 후렐수흐 민 아웅 흘라잉 (권한대행) 모하메드 샤하부딘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인민해방전선|
인민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초선) 공석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개혁파|
개혁파
]]
[[민주당(이스라엘)|
민주당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마수드 페제시키안 (초선) 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프라보워 수비안토 (초선)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메켄칠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에모말리 라흐몬 (5선)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파타|
파타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무소속
]]
[[느하스|
느하스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블라디미르 푸틴 (5선)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기타나스 나우세다 (재선)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마이아 산두 (재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초선) 에르신 타타르 (초선) 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
[[자유 산마리노|
자유 산마리노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자유민주당(스위스)|
자유민주당
]]
프란체스카 치베르키아 (초선)
달리보르 리카르디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카린 켈러주터 (초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페테르 펠레그리니 (초선)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할라 토마스도티르 (초선)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일함 알리예프 (5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바이람 베가이 (초선) 바드라 군바 (권한대행) 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미헤일 카벨라슈빌리 (초선) 페트르 파벨 (초선)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슈요크 터마시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이르판 알리 (초선)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루이스 아비나데르 (재선) 실바니 버튼 (초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미국)|
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조 바이든 (초선) 샌드라 메이슨 (초선)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노동자당|
노동자당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루이스 아르세 (초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라발라스 가족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레슬리 볼테르 (과도위원회 의장) 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나이브 부켈레 (재선)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무소속
]]
[[목표 실현|
목표 실현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호세 라울 물리노 (초선) 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신애국당
]]
[[가봉군|
가봉군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기니군
]]
[[마뎀 G15|
마뎀 G15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초선) 난골로 음붐바 (초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볼라 티누부 (초선)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시릴 라마포사 (3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니제르군
]]
[[통일당(라이베리아)|
통일당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조셉 보아카이 (초선) 폴 카가메 (4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무소속
]]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안드리 라조엘리나 (재선)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말리군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공정당|
공정당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다람 고쿨 (초선)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보츠와나 국민전선|
보츠와나 국민전선
]]
필리프 뉴시 (재선) 파트리스 탈롱 (재선) 두마 보코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파스테프당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바시루 디오마이 파이 (초선) 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소말릴란드 애국당|
소말릴란드 애국당
]]
[[수단군|
수단군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압디라흐만 모하메드 압둘라히 (초선)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압델마지드 테분 (재선) 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테이 아스케슬라시 (초선) 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무소속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애국구원운동|
애국구원운동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초선) 폴 비야 (7선)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윌리엄 루토 (초선)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포르 냐싱베 (4선) 카이스 사이에드 (재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나우루 제일당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힐다 하이네 (재선) 웨슬리 시미나 (초선)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부건빌 주기.svg 부건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무소속|
무소속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무소속|
무소속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무소속|
무소속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타네티 마마우 (재선)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1] 더더욱이나 잠비아 부통령은 미국과는 달리 대통령의 궐위 시 승계하는 자리가 아니다. 대통령의 궐위 시 대한민국 국무총리처럼 잠깐 대통령직 권한대행을 맡는 정도에 불과하며,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당선자가 잔여 임기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언급한 루피아 반다 부통령도 뭐나와사 대통령 사후에 대통령직을 바로 물려받지 못하고, 권한대행만 하다가 조기 대선에서 당선되어 잔여 임기를 겨우 마무리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