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22:30:34

네덜란드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 파일:네덜란드군 엠블럼.svg
파일:네덜란드 육군기.svg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파일:네덜란드 공군기.svg 파일:네덜란드 헌병군기.svg
네덜란드 육군 네덜란드 해군 네덜란드 공군 네덜란드 왕립보안대

네덜란드군
Nederlandse Krijgsmacht
Netherlands Armed Forces
파일:네덜란드군 엠블럼.svg
<colbgcolor=#FF6600> 명목상 통수권자 네덜란드 정부[1]
실질적 통수권자 딕 스호프
창군일 1572년
국가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소속 네덜란드 국방부
상비군 41,199명
예비군 6,532명
병역제도 모병제[2]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6600><colcolor=#fff> 장갑차 728대
자주포 35문
다연장로켓 (+20문)
수송 차량 13,103대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6600><colcolor=#fff> 해군 전투함 총합 61척
주력 수상함
방공호위함 4척
호위함 2척(+2척)
초계함 4척
잠수함
재래식 잠수함 3척(+4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6600><colcolor=#fff> 5세대 전투기 34기(+18기)
4세대 전투기 24기
공군기 총합 194기 }}}}}}}}}
예산
국방비 210억 유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모병·홍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수뇌부
2.1. 주요 수뇌부2.2. 주임준위
3. 역사
3.1. 과거 징병제와 징집병 노동조합
4. 편성
4.1. 육군4.2. 해군4.3. 공군4.4. 보안대
5. 관련 문서6. 외부 링크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군 유튜브 홍보 영상
네덜란드군(, Nederlandse Krijgsmacht)네덜란드국군이다. 해군에 역량이 집중되어 있다.

2. 수뇌부

2.1. 주요 수뇌부

통수권자 국방장관 참모총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47px-Emblem_igk.svg.png
파일:딕 스호프.jpg 파일:Genm_Onno_Eichelsheim_2018.jpg
딕 스호프 총리 루벤 브레켈만스 온노 아이헬스하임 공군대장
육군총사령관 해군총사령관 공군총사령관 왕립보안대사령관
파일:Martin Wijnen.jpg 파일:René_Tas_marinehaven.jpg 파일:André Steur..jpg 파일:Annelore_Roelofs.jpg
마르틴 와인 중장 르네 타스 중장 앙드레 스튜어 중장 안넬로레 로엘로프스 중장

군의 통수권네덜란드의 왕실이 아니라, 네덜란드 정부가 가지고 있다.[4] 보통 군주국에서 '명목상으로만'이라도 군주에게 통수권이 있는것과는 다르게, 네덜란드의 헌법에서는 정부에 있다고 명시가 되어있다.[5] 네덜란드 정부는 왕실과 총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군의 실질적인 통수권자는 총리이다.

2.2. 주임준위

네덜란드군 주임준위[6] 육군 주임준위 해군 주임준위 공군 주임준위 보안대 주임준위
네덜란드군 주임준위 육군 주임준위 해군 주임준위 공군 주임준위 보안대 주임준위
해군준위[7] 롭 반 하스트레흐트 준위 세스 비에란더르 준위 한스 헤이만 준위 테리 벤호번스 준위 케스 데 비테

3. 역사

군대의 수준은 냉전기 시기부터 축적해둔 군사 기술 덕에 나쁘진 않은 편이나, 2000년대 이후 독일 연방군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군축으로 인해 내부에서도 심각한 우려가 나올 정도로 많이 약해졌다. 2008년 당시 네덜란드는 경제 위기로 인해 유럽 전역에서 대대적으로 불고있는 군축바람에 따라 자국의 모든 주력전차를 퇴역시키기로 결정했으며 2011년 5월 18일에 시행된 마지막 사격훈련을 끝으로 운용하던 모든 레오파르트 2 주력전차를 퇴역시켰다.
파일:attachment/네덜란드군_11.jpg
파일:attachment/네덜란드군_22.jpg
2011년 5월 당시의 마지막 전차 훈련, 한 전차병이 마지막 훈련 장면을 보곤 울먹이고 있다.
이후 2012년에는 마지막 남은 2개의 기갑연대 마저 해체되면서 네덜란드군의 기갑부대는 사라졌다. 현재는 독일-네덜란드 혼성 편제인 제414전차대대에서 독일군의 레오파르트 2 전차들에 네덜란드군 인원들이 탑승하는 형식으로 활동하고 있다. 군축 때문에 육군의 규모가 상당히 축소되긴 하였으나 냉전기에는 독일 연방군과 마찬가지로 수백대의 장갑차와 전차, 포병 전력을 운용했던 국가였다.

물론 17세기 유럽 최강의 해군을 운용하고, 인도네시아 등을 식민지배했던 해양 국가답게 해군력도 꽤 괜찮은 편이다. 베네룩스 국가들과 국방을 분담해서 벨기에가 육군의 주력을 맡고 네덜란드는 해군의 주력을 맡았다. 그리고 나토에서 차지하는 해군력 비중이 독일 해군과 맞먹는 수준. 함정용 전자시스템 메이커 탈레스는 원래 네덜란드 회사 시그널 사가 프랑스의 톰슨-CSF와 합병하여 만들어진 메이커이다. APAR 시스템, 골키퍼 CIWS도 시그널 사 제품이다.

현재의 네덜란드군의 NATO군 내에서의 역할은 유사시 대규모 지상군지원이 아니라 공군력의 급파와 경보병여단, 공중강습여단을 통한 신속대응군의 성격이 강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보위기가 심해지자 전차 전력 복구를 결정, 2024년에 레오파르트 2A8을 도입하고 전차대대를 재창설하면서 다시 네덜란드군만의 자체적인 전차 전력을 보유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3.1. 과거 징병제와 징집병 노동조합

파일:soldaten_hippies_1974.jpg
1974년 네덜란드 육군 징집병들. 군인임에도 머리를 이발하지 않고 장발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네덜란드군은 1995년까지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1966년에 결성된 징집병 노동조합(VVDM, #) 덕분에 이미 1970년대부터 징집병의 경례점호 폐지, 두발자유화를 이루어 냈고, 상관의 주말 귀가 제한 권한(서유럽 전반적으로 징집병은 주말이 되면 귀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을 대폭 축소시키고 주말에 일정이 잡힌 훈련에는 추가 수당이 붙도록 하였다. VVDM의 활동은 이후 70년대 서유럽 타 자유진영의 군대 내부에서도 징집병 노동조합이 대거 생겨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래 VVDM은 1966년 군 외부의 학생조직에 가까운 조직으로 출발했지만 1969년에는 공식 노동조합으로 인정받았고, 70년대에는 현역 징집병의 80%가 VVDM에 가입해 있었을 정도로 크게 성장했다. 70년대에 이들의 징집병 처우에 대한 요구 사항이 모두 실현되자 80년대부터는 징집병 처우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평화주의 활동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파병 반대 등의 활동을 진행하였고, 이후 징병제가 폐지되고[8] 1996년 마지막 징집병들이 전역하면서 해산되었다.

당시 징집병 노동조합에 대한 재미있는 일화로, 징집병 노조는 상관에 대한 경례 거부 시위를 벌였으나 이내 일부 인원이 징계를 받는 일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전국 경례의 날'을 만들어 영외에서 길에서 마주치는 모든 사람에게 시끄럽게 경례를 하는 방식으로 경례 폐지를 이끌어 냈다.

1974중앙일보에서 네덜란드의 징집병 노동조합을 다룬 짤막한 기사가 있다. # 당시는 한국이 군사정권 시기였기에 비교적 삐딱한 시선에서 쓰여 있다. 1974년 당시에는 이미 다른 서유럽 자유진영 국가들에서도 징집병 노동조합이 점차 생겨나고 네덜란드군과 비슷한 징집병 처우 개선을 요구하거나 이뤄냈던 시기다.

과거 징집병 대다수가 가입되어 있었다는 점 때문에 VVDM의 매거진인 Twintig[9]는 네덜란드 언론계 저명 인사들을 대거 배출한 바 있다. 당시 VVDM 수뇌부로 활동했던 인물들도 정재계 중요 인사로 대거 포진해 있었는데, 만약 이들이 사회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한 90년대에 징병제가 폐지되지 않았더라면 무시무시한 조직이 되었을 거라는 얘기가 많다.

4. 편성

4.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보안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아시아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
]]
[[조선인민군 경무부|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경무부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
[[경무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육상자위대
경무과
]]
[[일본 제국 육군/헌병|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육군
헌병
]]
[[특별경찰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파일:투명.png
일본 제국 해군
해군특별경찰대
]]
유럽
[[프랑스 헌병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헌병대
]]
[[이탈리아 총기병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총기병대
]]
[[스페인 헌병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헌병대
]]
[[바티칸 헌병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헌병대
]]
[[보옌나야 폴리치야|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보엔나야 폴리치야
]]
[[네덜란드군#s-4.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왕립 보안대
]]
[[영국 군사경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군사경찰
]]
[[튀르키예군#s-7|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
헌병대
]]
[[스위스군 군사경찰|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군
군사경찰
]]
[[국방군 야전헌병|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국방군 야전헌병
]]
북아메리카
[[미군 군사경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군사경찰
]]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군 군사경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군
군사경찰
]]
※ 취소선: 해체된 군사경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yal_Marechaussee_at_NSS.jpg
Koninklijke Marechaussee (KMar)
Royal Military Constabulary
헌병대의 일종인, 네덜란드 왕립보안대는 프랑스 헌병대와 비슷한 역할의 독립 군종으로 약 6,000여 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유럽헌병대답게 제4군의 위치이지만, 평시에는 주로 국방부보단 내무부법무부의 지휘를 받으며 보통은 지역별로 배치된다. 보안대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산하에는 특수경호임무여단(Brigade Speciale Beveiligingsopdrachten, BSB)이라는 주요 요인들의 경호를 담당하는 특수부대 조직이 있는데 근접 경호팀, 감시조, 체포조, 특수 임무조로 나뉜다.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7. 둘러보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동아시아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서유럽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21468b> 상징 <colcolor=#000,#fff>국기 · 국가 · 국호 · 주황색
역사 역사 전반 · 네덜란드 공화국 · 바타비아 공화국 · 연합 네덜란드 주권공국 · 네덜란드 연합왕국
사회 사회 전반 · 인구 · 행정구역
정치 정치 전반 · 국왕 · 행정구역 · 국가의회(상원 · 하원) · 총리
선거 유럽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베네룩스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경제 경제 전반 · 네덜란드 길더(폐지) · 유로
교통 교통 전반 · 철도 환경(유로스타 · Thalys · ICE) · 암스테르담 메트로 · 스키폴 공항 · KLM 네덜란드 항공
교육 교육 전반 · 대학 틀
국방 네덜란드군 · 육군 · 해군 · 공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보렌반트
언어 네덜란드어 · 네덜란드어 연합
인물 빌럼 1세 · 에라스뮈스 ·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 · 빈센트 반 고흐 · 안네 프랑크· 요한 크루이프 · 핌 포르튀인
스포츠 축구 국가대표팀 · 풋살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 · 에레디비시 · 에레디비시 프라우언 · 네덜란드 그랑프리
민족 네덜란드인(인도네시아계 · 수리남계 · 러시아계 · 중국계 · 튀르키예계 · 한국계 · 폴란드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네덜란드계 미국인 · 네덜란드계 러시아인 · 네덜란드계 캐나다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아르헨티나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

[1] 네덜란드 헌법 제97조 2항 네덜란드 정부는 네덜란드군 최고 통수권을 갖는다.(De regering heeft het oppergezag over de krijgsmacht.)에 의거.[2] 퀴라소, 아루바 한정 양성징병제[모병·홍보] 모병 및 홍보 홈페이지이다.[4] 네덜란드 헌법 제97조에 나와있다.[5] 1983년에 법 개헌 이전까지는, 국왕에게 통수권이 있다고 명시하기는 했었다.[6] 네덜란드어로 adjudant라고 부른다.[7] 명칭은 준위지만 나토 계급 코드 기준으로는 상급원사급이다.[8] 정확히는 강제 소집 폐지로, 지금도 네덜란드 국민은 18세에 신체검사를 받지만 소집되지 않기에 사실상 징병제가 폐지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9] 숫자 20을 의미한다.[10] 1812년~1924년 육군 부대 목록, 1815년~1940년 육군 부대 목록[11] 부대 목록[12] 정부 해군[13] 편제(해당 문서 13 페이지)[14] 요새포병, 편제(해당 문서 91, 463 페이지)[15] 편제[16] 부대 목록(수뇌부 포함), 상세 편제(해당 문서 중 Inventaris 항목)[17] 해군항공대[18] 특수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