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인도 · 파키스탄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부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벨리즈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nopad> 볼리바르 국민군 Fuerza Armada Nacional Bolivariana Bolivarian National Armed Forces | |||||
| |||||
문장 | |||||
창군일 | 1810년 4월 19일 1999년 (현 형태) | ||||
국가 |
| ||||
소속 | 국방인민무력부 | ||||
편성 | 볼리바르 육군 볼리바르 해군 볼리바르 공군 볼리바르 국민위병 볼리바르 국민민병대 | ||||
본부 | 카라카스 국방인민무력부 청사 | ||||
수뇌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e2029><colcolor=#fff> 대통령 (통수권자) | 니콜라스 마두로 | |||
국방인민무력장관 (지휘·감독권자) | 대장[1] 블라디미르 파드리소 로페스[2] | ||||
전략작전사령관 (군인 최선임자) | 대장[3] 도밍고 에르난데스 라레스[4] | }}}}}}}}} | |||
인적사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ce2029><colcolor=#fff> 병역제도 | 징병제[5] (징모혼합제)[6] | |||
복무기간 | 18개월 | ||||
입영연령 | 18세부터 30세까지 | ||||
병력 | 총원 약 730,000명[7] (2023년) • 현역 약 300,000명 • 예비역 약 430,000명 | }}}}}}}}} | |||
육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전차 | 282대 (2022년) | |||
장갑차(APCs/IFVs) | 439대 (2022년) | ||||
견인포 | 92문 (2022년) | ||||
자주포 | 60대 (2022년) | ||||
MLRS | 56대 (2019년) |
해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항공모함 | 0척 | |
GFP 기준 구축함 | 0척 (2022년) | ||
GFP 기준 호위함(프리깃) | 2척 (2022년) | ||
초계함(고속정) | 3척 (2020년[8]) | ||
잠수함 | 1척 (2022년)[9] | ||
전투함 총합 | 13척 |
공군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헬리콥터 | 30기 (2022년) | |
전투기 | 40기 (2022년) | ||
공군기 총합 | 111기 (2022년) |
예산 | ||
국방비 | 7억 4,100만 USD (2017년) | |
GDP 대비 | 0.35% (2017년) |
1. 개요
볼리바르 국민군, 통칭 베네수엘라군은 베네수엘라의 국군이다. 베네수엘라군은 1821년 6월 24일 카라보보 전투에 스페인에 결정적 승리를 거두었다. 이 독립전쟁의 결과로 라틴아메리카에서 두 번째로 독립 국가로 독립했다. 나중에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나마, 페루 및 볼리비아의 독립에 기여했다.베네수엘라 군부는 1940년대와 50년대에 집권했지만 1958년에 푼토피호 체제하에서 문민통제가 이루어졌다. 1980년대와 90년대 베네수엘라 경제위기로 군에 대한 지원이 격감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군인들이 1992년과 1993년에 쿠데타 미수사건을 일으켰다. 1998년 대선에서 차베스가 집권하자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의 집권기에 러시아와 밀월 관계를 시작, 마두로 정권인 현재까지 계속 유지중이며, 무기도 거의 러시아제 일색인편이다.
2005년 JYL-1 레이더을 주문한 것을 시작으로 K-8W8 전투/훈련기, VN-4 보병전투차 등 중국제 무기를 다수 수입하고 있다. 남아메리카 역내에서는 중국제 무기를 가장 먼저 도입했다.
2. 통수권
| ||||
통수권자 | 국방인민무력장관 | 전략작전사령관 | 의장대사령관 | |
| | | | |
니콜라스 마두로 모로스 대통령 | 블라디미르 파드리노 로페스 장관[10] | 도밍고 에르난데스 라레스 육군대장 | 이반 라파엘 에르난데스 달라 중장 | |
육군사령관 | 육군사령관 | 육군사령관 | 국민위병사령관 | 국민민병대사령관 |
| | | | |
펠릭스 오소리오 중장 | 알렉산데르 벨라스케스 바스티다스 중장 | 호세 실바 아폰테 중장 | 주베날 호세 페르난데스 로페스 중장 | 마누엘 베르날 마르티네스 중장 |
국방부는 국방부이며 행정기관[11]이다. 전략작전사령부는 군사업무[12]를 담당하는 최고기구이며, 국방부의 명령은 받지만 보고시 국방부를 통하지 않고 대통령에게 보고가 가능하다. 역대 전략작전사령부의 사령관은 공군출신은 없으며, 주로 육군과 해군출신이다.
2.1. 사병화
1998년에 대통령이 된 우고 차베스가 기존 노조가 기성정당을 지지하고 기존 시민들과 괴리감이 커졌다는 이유로 베네수엘라군과 시민단체, 빈민들을 적극적으로 밀어주었고, 베네수엘라군은 정책 추진의 중추를 맡게되었다. 이는 이후의 니콜라스 마두로에게 이어졌다. 군부는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의 장기집권으로 기존의 기득권을 대신하여 베네수엘라 신기득권층인 볼리부르게시아의 일원이 되었다. 이들은 마두로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고, 석유산업 전반을 직접 관리하며 경제, 정치, 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지속된 베네수엘라의 경제난으로 경제규모가 1/5 규모로 축소되어 마두로가 민심을 잃었고, 일반 서민과 군부간의 괴리감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했음에도 2019년 베네수엘라 쿠데타가 실패한 이유가 군대가 마두로를 여전히 신임했기 때문이었다. 다만 하급장교들 사이에서는 마두로 1기 집권기때 급여가 떨어진것은 매한가지였고 경제가 회복되었다는 2024년 기준으로도 전성기 수준에 비해 급여수준이 많이 후달리기 때문에 지지율은 떨어지는 편이라 한다.3. 구성
3.1. 육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군(1999~) Ejército Nacional de la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 ||||
권총 | 하이파워, 글록 17 | ||||
소총 | 자동소총 | AK-103, FNC, FAL, QBZ-95, FAMAS F1, CR-21 | |||
저격소총 | SVD, M14, M700 | ||||
기관단총 | 오리노코 IV, P90, MP5, UZI, CF-05, CS/LS7 | ||||
<colbgcolor=#cf142b> 기관총 | <colbgcolor=#cf142b> 경기관총 | 미니미, MAG, M60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
박격포 | MO-120 RT | ||||
대전차화기 | RPG-7, AT4 | ||||
맨패즈 | 이글라-S, RBS 7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 국군 (1999~현재) Ejército Nacional de la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 ||
MBT | 2세대 | AMX-30, T-72B1V | |
경전차 | AMX-13C.90/라파가, 스콜피온 90, VN-16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V-100/150, BTR-80A, VN-1 | |
궤도장갑차 | AMX-VTT, AMX-VCI, BMP-K/3M, VN-18 | ||
차량 | 소형 | 둥펑 EQ-2050 | |
트럭 | M35 페닉스, M35A2 레오, 코디악 7A15, 베이벤 2629, 우랄-4320ㆍ375D, MAN 20.280D | ||
<colbgcolor=#cf142b> 자주포 | <colbgcolor=#cf142b> 자주곡사포 | AMX-13 Mle F.3, 무스타-S | |
대전차 자주포 | M18A1, M18A2 | ||
대공 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부크-M2, 페초라-2M | |
다연장로켓 | BM-21, BM-3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둘러보기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육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육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해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d600> 잠수함 | 사발로급 | ||
고속정 | 페트렐급, 가비온급, 파갈로급, 페르난도 고메즈 데 사급 | |||
초계함 | 카라보보급R | |||
원양초계함 | 과이퀘리급, 과이카마쿠토급 | |||
호위함 | 마리스칼 수크레급 | |||
구축함 | 카라보보급R, 알미란테 클레멘테급R, 누에바 에스파르타급R | |||
상륙함 | <colbgcolor=#ffd600> LST | 카파나급, 아마조나스급R | ||
군수지원함 | 로스 프라일레스급, 푼타 브라바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해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해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72년 노후화된 구형 호휘함을 대체할 목적으로 이탈리아 CNR사로부터 2,500톤급 6척의 루포급 호휘함을 도입하였다. Mariscal Sucre급으로 명명하여 운용하다가, 3척을 퇴역 시켰다. 나머지 3척 중 첫 인도분 2척은 1982년 미국에서 레이다, ESM/ECM, 소나, 엔진을 모두 교체하는 대대적인 개수를 받았고, 1척이 추가로 개수 될 예정이며, 개수 내역은 다음과 같다.
전투 시스템으로 엘빗社의 NTCS 2000을 탑재
SPS-702 대공/대수상 레이다를 엘타社의 EL/M-2238 3차원 대공/대수상 레이다로 교체
SQS-56 소나를 노스롭 그루만社의 21 HS-7로 교체
ESM/ECM 시스템을 엘리스라社의 NS-9003/9005로 교체
잠수함은 1,300톤급 209급 잠수함 2척을 보유중이다. 1976년에 인도받았으며, 2004년부터 2011년까지 국영 조선소 DIANCA에서 현대화 개량을 했다. 새로운 전자장비, 엔지니어링, 마스트 및 스노클링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했다.
2020년4월1일 베네수엘라 해군 소속의 ANBV NAIGUATA (GCG-23)[13]가 La Tortuga 섬의 인근 공해상에서 기관고장으로 표류하고 있던 RCGS RESOLUTE[14]를 나포하기 위해 선체충돌을 감행하였으나 오히려 ANBV NAIGUATA가 침몰하는
베네수엘라 연방 속지의 아베스 섬에 극소수의 인원이 상주하고 있다.
3.3. 공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공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네수엘라 공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국민위병
3.5. 헌병대
3.6. 민병대
3.7. 여담
베네수엘라군 역시 이집트군과 사우디아라비아군 못지 않게 군악대의 실력이 형편없다.(...)
4. 대중매체
- 콜 오브 듀티: 고스트에서 베네수엘라가 남미의 국가들을 합병해서 남아메리카 연방이 된 후로 메인 빌런으로 등장한다.
5. 관련 문서
[1] General en jefe
직역시 총장.[2] Vladimir Padrino López[3] General en jefe
직역시 총장.[4] Domingo Hernández Lárez[5] 여성은 징집 대상이 아니다. 다만, 2009년 징병 및 입대법(Ley de Conscripción y Alistamiento Militar)에 따라 의무적으로 군에 본인의 신원을 등록하고, 필요에 따라 군사 훈련을 받을 의무가 생겼다. 출처[6] 일부 선발된 인원만 징병되지 베네수엘라의 모든 남성이 병역의 의무를 가지지는 않는다. 또한 베네수엘라군이 징집병 위주로 돌아가는게 아니고, 자원병 위주로 군이 운영되며, 자원병의 비율이 징집병보다 높다.[7] 기타 준군사조직 인원들 포함.[8] 2020년 4월 1일 포르투갈 유람선과 충돌로 1척 침몰[9] 이외에도 1척을 치장물자로 보관 중이다.[10] 육군대장[11] 조정, 관리, 지시[12] 연합훈련, 작전계획, 전쟁계획등[13] Guaicamacuto급 초계함, 2009년 스페인에서 진수되어 2010년 인도[14] 빙하가 떠 있는 바다에서도 운항가능한 포르투갈 선적의 여객선[15] 출처: https://www.fleetmon.com/maritime-news/2020/29297/cruise-ship-sunk-venezuelan-navy-ship-and-fled-pro[16] 볼리비아군에서 갈라져 나온 조직이다.
직역시 총장.[2] Vladimir Padrino López[3] General en jefe
직역시 총장.[4] Domingo Hernández Lárez[5] 여성은 징집 대상이 아니다. 다만, 2009년 징병 및 입대법(Ley de Conscripción y Alistamiento Militar)에 따라 의무적으로 군에 본인의 신원을 등록하고, 필요에 따라 군사 훈련을 받을 의무가 생겼다. 출처[6] 일부 선발된 인원만 징병되지 베네수엘라의 모든 남성이 병역의 의무를 가지지는 않는다. 또한 베네수엘라군이 징집병 위주로 돌아가는게 아니고, 자원병 위주로 군이 운영되며, 자원병의 비율이 징집병보다 높다.[7] 기타 준군사조직 인원들 포함.[8] 2020년 4월 1일 포르투갈 유람선과 충돌로 1척 침몰[9] 이외에도 1척을 치장물자로 보관 중이다.[10] 육군대장[11] 조정, 관리, 지시[12] 연합훈련, 작전계획, 전쟁계획등[13] Guaicamacuto급 초계함, 2009년 스페인에서 진수되어 2010년 인도[14] 빙하가 떠 있는 바다에서도 운항가능한 포르투갈 선적의 여객선[15] 출처: https://www.fleetmon.com/maritime-news/2020/29297/cruise-ship-sunk-venezuelan-navy-ship-and-fled-pro[16] 볼리비아군에서 갈라져 나온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