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103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103 | |||
| |||
종류 | 돌격소총 | ||
원산지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역사 | 1994년~현재 | ||
개발 | 이즈마쉬(현 칼라시니코프) | ||
생산 | |||
사용국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체첸 분쟁 제2차 체첸 분쟁 남오세티아 전쟁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 ||
기종 | |||
원형 | AK-74M | ||
파생형 | AK-103-3 AK-104 AK-400 AK-12(2016년형) AK-15 RPK-16 | ||
제원 | |||
탄약 | 7.62×39mm M43 | ||
급탄 | 30발들이 바나나탄창 75발들이 드럼탄창 | ||
작동방식 | 롱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 415mm | ||
전장 | 943mm(개머리판 폈을 때) 705mm(개머리판 접었을 때) | ||
중량 | 3.6kg(탄창 미포함) | ||
발사속도 | 600RPM | ||
탄속 | 715m/s | ||
유효사거리 | 500m | }}} |
1. 개요
수출형 AK 시리즈 중 7.62×39mm 탄을 사용하는 기본형. 역시 7.62×39 mm 탄을 사용하는 것을 빼면 AK-74M과 거의 같다. 사용 탄종은 M43탄으로 AKM과 같지만, AK-74M에 적용된 기술이 들어가면서 반동이 감소하고 명중률도 향상되었다. AK-47과 AKM의 상위호환이라고 할 수 있다.2. 상세
러시아군은 일반 정규군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앞서 언급했듯 경찰과 내무군 등 대테러전을 수행하는 부대나 법집행기관에서 사용을 시작으로 SSO 등 특수부대에서 AKM을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타국으로는 인도군, 파키스탄군, 에티오피아군, 사우디아라비아군, 알제리군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리비아 내전에서는 카다피군과 반군이 사용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었고 이집트 민주화 운동과 팔레스타인 분쟁 등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중동을 중심으로 사용 국가가 꽤 많다. 최대 사용자는 베네수엘라군으로 2006년 10만 정의 AK-103 소총과 7,400만발의 탄약, 그 외 탄창, 대검의 수입 및 라이선스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기술 협력과 공장 설립도 포함되어 있다. 계약 규모는 약 4천만 달러이며 최근 25년간 이즈마쉬의 최대 규모 계약이라고 한다. 향후 90여만 정의 AK를 구매할 계획이 세워져 있다고 한다. 사실상 러시아에 제값을 지불하고 AK를 쓰는 얼마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인 셈이다.
베네수엘라군은 아예 M203 유탄발사기를 장착해 쓰기도 한다.
3. 개량형
러시아가 현재 진행 중인 차기 보병 장비 사업인 라트니크(Ратник) 프로젝트에서 칼라시니코프 사가 7.62 mm 후보로 AK-103의 개량형(AK-103-3)을 내세우고 있었다. 5.45 mm 후보는 잘 알려진 대로 AK-200 기반의 AK-12와 AK-107, A-545
그런데 이 AK-200 기반의 AK-12가 러시아군에 채용되지 못하자, 결국 칼라시니코프 사는 기존의 AK-200 기반 AK-12를 버리고 기존 AK를 개량하는 방식으로 개발 방향을 전환한다. 이때 기반이 된것이 바로 기존에 7.62mm 후보로 밀던 AK-103-3이다. 이것을 기반으로 개량형을 만든 게 바로 AK-400인데, 후에 2016년형 AK-15의 기반이 된다. 그리고 이 둘이 제식 채용되는데, AK-103이 좀 다른(?) 방향으로 채용된 셈.
4. 운용국
- 베네수엘라군
- 알제리군
위 사진에서는 총기가 함부로 격발되지 않도록 노리쇠 이동 경로에 테이프를 붙여놓았다.
- 팔레스타인 하마스 예하의 해군특수전단인 Sea Lovers의 제식 소총으로 쓰인다. 다만 러시아에 제값 주고 사오는 게 아니라 아랍 등지에 팔린 총을 암시장에서 사오는 듯.
- 러시아군
시리아 내전에 참전한 러시아 특수작전군(SSO) 대원, 2017년. SSO는 미국의 JSOC에 해당하는 스페츠나츠 중의 스페츠나츠로 불리는 부대이다.
라트니크 프로젝트에 후보로 제출된 AK-103의 최신 개량형 AK-103-3을 테스트하는 러시아군. 조절식 개머리판이 장착되고, 리시버 커버와 핸드가드에 피카티니 레일이 설치되어 가늠자가 리시버 끝으로 옮겨졌으며 가늠쇠와 컴펜세이터의 모양도 확연히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AK-103-3을 토대로 개발된 AK-400의 리뷰 영상. 이후 개발된 AK-12와 AK-15의 원형이다.
5.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5.1. 게임
그 유명한 AK-47과 같은 회사의 총기라 그런지, 매체에서 등장할 땐 전형적인 고대미지 고반동 계열 총기로 등장하곤 한다. 다만 요즘 최신 게임들엔 더 최신작인 AK-12가 나오는 터라 103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오는 편.
- America's Army Special Forces 버전에서 적성군의 돌격소총으로 AK-103 이 등장한다. 게임상에서 GP-30 유탄발사기가 있는데 아마 이 유탄발사기가 AK-103 전용 유탄발사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 라인 오브 사이트에 등장한다.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캠페인의 일부 적군이 사용하는 것을 주워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 플레이에서 포인트맨 전용 무장으로 등장한다. 고출력 탄창을 사용하면 높은 대미지와 연사력, 정확성을 가진 밸런스 파괴총이 된다.
- 워페이스에서 라이플맨 병과의 무기로 나오며, 전형적인 하드펀처 계열 총기이면서 가장 무난한 총기라 돌격소총의 기준점으로 꼽힌다.
- 컴뱃암즈에 등장한다.
- Phantom Forces에서 103랭크 해금 무기로 나온다.
이름이 AK-103이라고 해금 랭크도 103이다특유의 타닥 하는 총성이 좋다
- Escape from Tarkov에서 프라퍼 우호도 3레벨에 해금되며 약 4만8천 루블에 구매할 수 있다. 주코프 개머리판 장착이 불가능한 것이 흠
6.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 |||
저격소총 | SVD,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 |||||
권총 |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74, RPK-74M, RPK-16, PKM, PKP, NSV, Kord, KPV | ||||
유탄발사기 | GP-30, GP-34, RG-6, AGS-30, AGS-40 | |||||
로켓발사기 | RPG | RPG-7V2,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O | ||||
대전차 미사일 | 9K111(111-1), 9K115(115-1), 9K135 | |||||
박격포 | 2B9, 2B14, 2B25 | |||||
맨패즈 | 9K38 Igla, 9K338 Igla-S, 9K333 | |||||
수류탄 | RGD-5, RGO, RGN | |||||
특수전 화기 및 경찰특공대용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HK416, ASh-12.7, SR-3, A-91, 9A-91, OTs-11 | |||
저격소총 | VSS, SSG 08, G28, DVL-10, SVDK, SVLK-14S, VSSK, KSVK | |||||
특수소총 | ADS, APS | |||||
기관단총 | AEK-919K, SR-2, PP-2000, PP-19, PP-19-01, OTs-02, PP-91, MP5, MP7A1 | |||||
산탄총 | KS-23M, KS-23K, 18,5 KS-K, Vepr-12 | |||||
권총 | PB, PSS, Glock, APS, OTs-33, SPP-1 | |||||
기관총 | AEK-999 | |||||
유탄발사기 | GM-94, RGS-50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인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INSAS/1B1 INSAS, T91 전투소총, AKM, Vz.58*, AK-103, CAR-15, TAR-21, M4A1, SCAR | |
저격소총 | 갈라츠, 드라구노프 SVD59, PSG1, 마우저 SP66, NTW-20/비드완사크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SAF 카빈 2A1, UZI, MP5, MP9 | |||
권총 | 자동권총 9mm 1A, 글록 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INSAS LMG, 네게브, PKM, MG 2A1/5A/6A, M2 브라우닝,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MGL 40mm, AGS-17, AGS-30 | |||
대전차화기 | RCL Mk II, RCL Mk III, 106mm M-40A1*, 밀란 1/2T, 스파이크, 9K111-1 콘쿠르스, 9K135 코넷, B-300/시폰, RPO-A 시멜 | |||
박격포 | OFB E1 51mm*, OFB E1 81mm, L16 81mm 박격포, OFB E1 120mm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9K38 이글라 | |||
개발중인 제식화기 | 현대 기관 카빈, 다구경 개인화기 체계, 칼란티크 마이크로, 아모그 카빈, 엑스칼리버 소총 | |||
*: 도태 여부 미확인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알제리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47, AKS-47, AKM, AKMS, MPi-KM, 56식 자동소총, 81식 자동소총, M16A4, AUG, AK-103 | |
저격소총 | SVD, M24 SWS | |||
기관단총 | MAT-49, MP5, UZI, 베레타 M12 | |||
권총 | TT-33, PM, 카라칼 권총, 글록 17, 베레타 92, 베레타 93R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46, RPD, RPK, PKM, DShK, NSV | ||
대전차화기 | RPG-7, RPG-16, LRAC F1, B-10, B-11, 9M14, 9K111, 9M113, 9K115-2, 9M133, 밀란 | |||
박격포 | W86, PM-43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현대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BM59, G3, AK-47, AKM, Vz.58, AK-103 | |||
저격소총 | PSL | |||||
기관단총 | MAB 38, UZI | |||||
권총 | 마카로프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46, RPD, RPK, DShK | ||||
유탄발사기 | M79, QLZ-87 | |||||
대전차화기 | RPG-7, RPG-18, B-10, B-11, M72, M40A1C, BGM-71, 9K135, 9K114, 9K111, 9K11, SS-11 | |||||
박격포 | M19, M-43, M1, M29, M43 | |||||
맨패즈 | SA-7, SA-7B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AK | AK-47 | 본가 | AKS-47, AKM, RPK, Saiga, AKMSU |
소련 | TKB 시리즈 | |||
중국 |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1/87식 자동소총, 84S식 자동소총, 86S식 자동소총, QBZ-03 | |||
유고 | 자스타바 M70, 자스타바 M76, 자스타바 M77, 자스타바 M91 | |||
루마니아 | PM md.65, PSL(FPK) | |||
북한 | 58/68식 자동보총, 78식 저격보총 | |||
이스라엘 | 갈릴, 갈릴 ACE | |||
핀란드 | Rk 62, Rk 95, 발멧 M82 | |||
그 외 | AMD-63/65, INSAS, MPi-K, CR-21, 타부크 저격소총, Kbkg wz.1960 | |||
AK-74 | 본가 | AKS-74U, AK-74M, RPK-74, AK-100 시리즈, AK-103, AK-107, AK-9 | ||
소련 / 러시아 | 80.002, ADS, AEK-971, AN-94, APS, AS Val, OTs-14, OTs-11, VSS | |||
해외 | PA md. 86, ČZ 2000, 88/98식 자동보총, Kbk wz.1988 탄탈, 자스타바 M80, Kbs wz.1996 베릴, StG-940, AK 알파 | |||
AK-12 | AK-15 | |||
RPK | RPK, RPK-74, RPK-74M, RPK-16 | |||
Saiga | Saiga-12, Vepr-12 | |||
기관단총 | PP-19, PP-19-01 | |||
PK | 본가 | PKM, PKP 페체네그 | ||
북한 |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 |||
그 외 | UKM-20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