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10 00:22:46

M47 드래곤

FGM-77
FGM-77 Dragon
FGM-77 드래곤
파일:fgm-77a_profile 0.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휴대형 대전차 미사일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75년~2001년 (미군)
1975년~현재 (기타)
개발 레이시온
개발년도 1966년 3월 3일
생산 맥도넬 더글라스
레이시온
생산년도 1975년~현재
생산수 7,000정
사용국
[[미국|]][[틀:국기|]][[틀:국기|]]

[[이란|]][[틀:국기|]][[틀:국기|]]

[[이라크|]][[틀:국기|]][[틀:국기|]]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요르단|]][[틀:국기|]][[틀:국기|]]

[[모로코|]][[틀:국기|]][[틀:국기|]]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스위스|]][[틀:국기|]][[틀:국기|]]

[[태국|]][[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레바논 내전 (1982년)
그레나다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
서사하라 전쟁
걸프 전쟁
예멘 내전
후티-사우디아라비아 분쟁
기종
파생형 FGM-77A 드래곤, 드래곤 II, 드래곤 III
사에게 1, 2, 3, 4
세부사항
탄약 140mm
급탄 단발
작동방식 1회용
발사기 내장식
유도방식 반자동 시선지령유도식
유선유도식
전장 1,154mm
중량 14.6 kg (M222 HEAT 미사일)
15.4 kg (Mk.1 Mod.0 HEAT 미사일)
탄속 100.584m/s (330ft/s)
201.168m/s (660ft/s)
유효사거리 75m
최대사거리 1,000m (FGM-77A)
1,500m (FGM-77B)
2,000m (FGM-77C)
조준기 SU-36/P 재활용가능형 }}}}}}}}}
1. 개요2. 상세3. 종류
3.1. FGM-77A 드래곤3.2. FGM-77B 드래곤 II3.3. FGM-77C 드래곤 III3.4. 사에게
4. 등장매체5. 소설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M47 드래곤(Dragon)은 미군의 제식 대전차 미사일이다.

2. 상세

파일:m47_usa 1.jpg

유럽 본토를 향한 소련군의 대규모 전차의 위협을 우려한 미 육군미 해병대는 1964년 맥도넬 더글라스(현 보잉) 사에서 제시된 중거리 휴대용 대전차화기(MAW) 설계안을 채택하여 1974년부터 조달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벌어진 그레나다 침공, 걸프 전쟁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M47 드래곤 덕분에 미 육군은 70년대에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1km 밖에 있는 주력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 휴대용 유도식 대전차 미사일을 보유하게 되었고, 2000년대에 FGM-148 재블린이 도입되기 전까지 약 30년 이상을 꾸준히 운용을 계속하였다.

격발 방식 자체는 현대 대전차 미사일의 표준 점화 방식인 화학배터리를 사용한 점화 서킷을 사용한 방식이며, 격발 뒤 점화까지 약간의 딜레이가 있지만, 그만큼 배터리가 둔하기 때문에 보존환경이 나쁘더라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파일:fgm-77_usmc 0.jpg

유도 방식은 반자동 가시선지령(SACLOS : semiautomatic command to line of sight)식으로, 발사 후 사수가 조준경으로 계속 목표를 조준하여 유도하는 방식이다. M47 드래곤은 발사 직후 발사체의 동체 꼬리 부분에서 적외선 플레어가 점화되며, 사수는 조준경을 통해 미사일 위치를 확인하며 목표로 조준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발사 후 명중까지 사수가 계속 유도를 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냉전기에 개발된 대부분의 대전차 미사일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고, 유도 유닛을 최대한 저렴하고 가볍고 작게 만들 수 있는 탓에 오늘날까지 TOW 대전차 미사일과 9M133 코넷을 포함한 많은 기종들이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유도 유닛이 복잡할수록 무게가 늘어나고 비싸지는 것은 물론이고, 발사체에 탑재하는 폭약의 양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당연하다.


M47 드래곤의 가장 큰 특징은 발사체 측면의 서비스 모터이다. 튜브를 벗어난 발사체는 서비스 모터가 순차적으로 점화함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비행 궤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사수의 조준점을 따라 계속 궤도를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순차적으로 점화하는 모터 때문에 마치 팝콘을 튀기는 듯한 독특한 소리와 특이한 비행궤적을 그리며 비행하기 때문에, 대전차 사수들로부터 방구끼는 미사일, 내지는 팝콘 미사일이라는 독특한 별명을 얻게 되었다.

파일:fgm-77_usmc 1.jpg

발사체가 상당히 대구경인 만큼 강한 발사장약을 써야되고, 거의 106mm 무반동총 급의 후폭풍을 자랑하는 탓에 미 육군 교범에도 반드시 1회 발사 후 발사진지를 전환하라고 명시되어 있었다.

기존에 잘못 알려진 정보와 다르게, M47 드래곤 탄두의 비행 속도는 초속 100m/s로, 동시대 소련의 대전차 미사일인 9M14 Malyutka(AT-3 Sagger)의 초속 115m/s와 견줄만한 성능이었고, 무엇보다 개발당시에 유일한 유도 가능한 휴대용 대전차 미사일이라는 점에서 대단히 의미가 크다.

애초에 보병용 대전차 화기에 비중이 거의 없다시피한 미 육군에게 있어서 M47 드래곤은 M67 무반동총을 버릴 수 있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을 뿐더러, 보병이 대전차전을 치를 일이 없다는 이유로(...) 미 육군에서는 30년 이상 운용을 지속하였으며, FGM-148 재블린이 배치된 이후에도 M113 장갑차에 장착하여 운용하거나, M2 브래들리 장갑차에 비상용으로 탑재하는 등 꾸준히 운용하였다.

조준측 사격 모습은 동영상을 찾기 어렵다. 그러나 ARMA 2에서 이 미사일의 괴상한 움직임이 잘 구현되었다. 다만 이건 좀 많이 과장된 편.

FGM-148 재블린 도입 이후 미 육군이 보유 중인 M47 드래곤을 대한민국과 대만에 공여를 제안한 적이 있었지만, 이미 2000년대 기준으로 M47 드래곤은 본격적인 대전차 용도로는 성능이 한참 부족했기 때문에 두 국가 모두에게서 거절당하게 된다. 대한민국의 경우 동시기에 러시아에서 Metis-M을 들여온 것도 M47 드래곤이 선택받지 못한 이유 중 하나라 추측되고 있다. 행여 국군이 M47 드래곤을 도입하게 되었더라면, 발사관 특성상 실제 사격훈련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정확도 확보가 무척 어렵기 때문에, 보유 수량 중 대부분을 훈련용으로 소모하고 졸지에 실전에 사용할 탄약이 없고 추가 생산도 못하게 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태가 벌어졌을 것이다.

남은 드래곤 발사기들은 전량 모로코와 태국,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에 수출되었고, 아직까지 현역으로 사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네덜란드와 스위스, 스페인도 M47 드래곤을 본격적으로 사용했었지만, 2000년대 후반에 모두 이스라엘제 스파이크로 교체를 한 상태이다.

3. 종류

3.1. FGM-77A 드래곤

1975년 미 육군의 휴대형 대전차화기(Medium Anti-Tank/Assault Weapon) 사업에 따른 기본형으로, 원래의 제식명은 M47이었으나 1962년 이후에 적용된 3군 합동 제식명 명명법(Tri-service designation system)으로 인해 FGM-77로 변경되었다.

3.2. FGM-77B 드래곤 II

1985년 미 해병대의 1차 성능향상사업(PIP)에 따른 최초개량형으로, 미 해군 달그렌 해상전연구부문(NSWC Dahlgren)에서 미사일 탄두의 관통력이 높아졌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전장이 846mm, 중량이 12.2 kg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3.3. FGM-77C 드래곤 III

1989년 미 해병대의 2차 성능향상사업(PIP)에 따른 최종개량형으로, 최대 사거리가 1.5km로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계획 자체가 FGM-148 재블린 도입으로 바뀌면서 양산으로는 이행되지 못했으며 또한 이는 슈퍼 드래곤이라는 이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하다.

3.4. 사에게

이란은 팔라비 정권 시절 드래곤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사용했고 평가도 좋았다. 이라크도 이란에게서 노획품을 운용한 걸로 보아 관통력이 약하다고 해도 T-55T-62 같은 구식 전차들에게는 효과적인 무기인 것 같다. 이란이나 이라크처럼 숙련병에게만 대전차전을 맡기기 어려운 나라들에서는 이런 유도무기가 선호되었을 것이다. 더불어 그들이 상대할 전차병들이 이런 유도 미사일을 조기에 발견하고 기민하게 대응할 정도로 숙련된 자들이 아니었다는 점도 있다. 2000년대 들어 이란에서는 역설계 카피인 사에게(Saeghe)라는 물건을 시장에 내기도 했다. 2006년 레바논 침공 당시 사에게가 대량노획되기도 했다.

4. 등장매체

4.1. 게임


메탈기어 시리즈에 자주 등장한 '리모콘 미사일'은 실존하지 않는 무기지만, 메탈기어메탈기어 2 솔리드 스네이크에 등장한 리모콘 미사일은 설정상 이 기종이다. 메탈기어 솔리드부터 '니키타 미사일'이라는 가상의 미사일로 설정변경.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에서 오랜만에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리모콘 미사일은 아니고 록온이 가능한 대전차 로켓. 리로드가 로켓류 중에서는 빠른 편이고 약간의 유도성능까지 붙어 있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장점은 정신줄 놓은 파괴력. 처음 얻은 상태로 레벨업 없이도 메인옵스의 LAV-G(바나나 농장에서 맨 처음 조우하는 장갑차)와의 전투에서 한방에 70%의 대미지를 날리는 무시무시한 파괴력을 자랑한다. 두번째로 강력한 칼 구스타프 M2가 랭크 5/레벨 3까지 올려도 60% 밖에 안나온다는 걸 생각하면 그야말로 ㅎㄷㄷ. 무기 레벨을 3까지 올리면 LAV-G가 한방에 날아가며(!) 커스텀 버전의 병기들을 상대로도 만족스러운 데미지를 뽑을 수 있게 된다. 사실상 피스워커改를 비롯한 커스텀 버전 AI 병기들을 상대로 S랭크를 내려면 이 무기가 필수. 단, 획득하려면 AH56A-raider Custom(ex-ops 111)을 S랭크로 클리어해야한다. 어지간히 저격기술이 뛰어나지 않은 이상 헬기 파일럿을 스태미너킬로 잡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칼 구스타프(풀톤)가 필수라서 이걸 먼저 얻어야하는데 이건 또 MBTk-70改(ex-ops 098)를 잡아야 나온다. 문제는 이놈의 난이도가 무지막지 흉악하다는 것. 이 모든 난관을 뚫고 M47의 설계도를 얻으면 이번엔 기술레벨 98의 벽이 기다리고 있다. 과연 끝판왕다운 입수 난이도 되시겠다.

워게임: 에어랜드 배틀에서도 미군의 대전차 보병용으로 등장했으나 카테고리 C인 드래곤 1은 LAW보다 못한 성능을 자랑하고 드래곤 2는 그나마 관통력이 밀란 1급으로 상향됐으나 사정거리가 개판이고 결정적으로 카테고리 A 유닛이라서 우주 쓰레기 취급이다(드래곤 2보다 사거리가 긴 밀란 1은 카테고리 C다!). 덕분에 미군의 주력 대전차 화력은 TOW와 헬파이어가 담당중. 결국 드래곤 2 대전차보병은 해산되고 드래곤 2는 산악병의 대전차 화기로 넘어갔다. 산악병은 어디까지나 전투보병이기에 전투보병의 대전차 화기로는 쓸만하다고. 후속작인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는 아예 산악병이 제거되고 드래곤을 사용하는 정찰유닛으로 대체되었다. 최후기형인 슈퍼 드래곤을 경보병이 들고 나오지만 이쪽 성능도 밀란 F1보다 좋다곤 말 못할 쓰레기 수준. 게다가 라이벌인 소련 경보병은 희대의 개사기 대전차 미사일인 메티스-M을 들고 나와 나토 전차들을 뻥뻥 뚫어버린다...

워게임 시리즈 후속작인 WARNO에서 드래곤 1과 2가 등장한다. 1은 미군 장갑차에 달려있거나 공병이 쓰고 성능이 떨어진다. 드래곤 2는 본격적인 미군 보병분대들이 사용하며 1.5km 사거리내에 T-72까지 잡을 수 있어 좋지만 초근접전에서 발사를 못 하는 패널티가 있으므로 시야각을 잘 봐서 이동하고 배치하자.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에선 마야의 정보화시대 특수유닛으로 등장한다. 모든 차량유닛 공격에 효과적이라고. 그런데 정작 중미에선 드래곤을 운용한 나라가 없다(...).

이터널시티2에서는 92등급 로우 계열 로켓 런처 'M47 Dragon'으로 등장한다. 게임 내 성능은 92등급답게 괜찮은 편.

BROKEN ARROW에서 드래곤 2가 등장한다. 미해병대 덱의 드래곤 운용분대가 사용한다.

5. 소설

  • 한국에 1989년 번역 출판된 미국의 밀리터리 소설 붉은 불사조에서 주한미군의 대전차 화기로 등장한다. 소설에서 구체적인 모델명은 나오지 않지만 시기상 1985년 생산된 FGM-77B으로 추정. 작 중에서 묘사가 초라한데 불발되거나 발사 후에도 제대로 맞추는 묘사가 거의 없다.

6. 둘러보기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T48, 스프링필드 SPIW, AAI SPIW, 올린-윈체스터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슈타이어 ACR, 아레스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판코르 잭해머,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루거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루거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마스터키,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긴급 분노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긴급 분노 작전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40, M40A1, M500
M21 SWS, G3SG/1
M16A1, M16A2
기관단총 M3A1, MAC-10, HK54A1
권총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M73, M60, Mk.23, M2HB, M134, M85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M72, M47, BGM-71, M67
박격포 M224, M29
수류탄 M61, M67
냉병기 총검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4, M4A1, XM7, M16A2, M16A3, M16A4, M27, M231, GUU-5/P, XM8, XM29, LSAT
지정사수소총 M14, M21, M21A5, M38, M39, M110, M110A1, M110A2, Mk.11, Mk.12, Mk.14, SAM-R, SDM-R, MSG90, SIG716
저격소총 M24, M40, M82A1, M82A1M, M82A3, M107, M2010, Mk.13, Mk.22, RC-50, XM109
산탄총 M26, M500, M590, M870, M870 MCS, M1014, M1200, AA-12
기관단총 M3A1, MP5A3, MP5A5, MP5K, MP5SD3, M635, APC9K, MPX, P90 TR
권총 리볼버 M15, GS32N
자동권총 M9, M9A1, M11, M17, M18, M007, P229R DAK, KP95D, SP2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XM250, LSAT
다목적기관총 M60, M134, M240
중기관총 M2HB, M2A1, M85, GAU-19, XM312, XM806
유탄발사기 M32, M203, M320, Mk.19, EX-41, XM25, XM307
로켓발사기 M72, M141, M202, Mk.153, Mk.777, RAW
미사일발사기 BGM-71, FGM-77, FGM-148, FGM-172, FIM-43, FIM-92, SB LMAMS
무반동총 M3, M3A1, M67, M136
박격포 M120, M224, M252, M327, Mk.2, Mk.4, XM905
곡사포 M102, M119, M198, M777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M4A1 URG-I, N4, M723, M727, M733, Mk.16, Mk.17, Mk.18, HK416, MCX, SG552, SR-47
지정사수소총 M14 DMR, Mk.1, Mk.20, HK417, OBR, RECCE, SR-25
저격소총 M25, M91, Mk.15, Mk.21, TAC-338, LRP-07, RPR
기관단총 MP5-N, MP7A1, UMP45
권총 M1911, M45, M45A1, M66, M686, Mk.2, Mk.23, Mk.24, Mk.25, Mk.27, G22, HDM, P9S-N, P11, P239, PPK/S, OHWS, USP45CT
기관총 Mk.43, Mk.44, Mk.46, Mk.48, HK21, HK23E, LAMG, Ultimax 100, MG338
유탄발사기 M79, Mk.13, Mk.14, Mk.47, XM148
폭발물 수류탄 살상탄 M67, M111, Mk.3, Mk.21, ET-MP
섬광탄 M84, M7290, Mk.13, Mk.20, Mk.141
화학탄 M7A3, M8, M14, M18, M25A2, M34, M83
총류탄 M100
지뢰 M4A1, M7, M15, M18A1, M19, M86, MM-1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M303, Mk.7, TNT
냉병기 총검 M1, M6, M7, M9, M1905, OKC-3S
단검 M11, Mk.3 Mod.0, AFSK, ASEK, KA-BAR, Mark II, MPK-Ti, SEAL-2000, SMF
예도 M1840, M1852, M1859, M1860, M1902
도끼 R&D Hawk, Shrike, VTAC
비치사성무기 M5, M37, M39, M104, M234, FN 303, X26, 532P-M, LA-9/P
의장용 화기 M1903, M1917, M1, M14, M16A1, M16A2, M16A3, M16A4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파일:스위스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스위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K31
자동소총 AK53, Stgw 57, SG540
기관단총 MKMO, MKPS, MP41, MP 41/44, MP 43/44
권총 P06/29, P49, P75
지원화기 기관총 Mg 11, Lmg 25, S2-200, Mg 51, Mg 51/71, Mg 710, Mg 63
대전차화기 Tb 40, Tb 41, Rr 58, Rr 80, PAL Bb 77
박격포 6cm Werfer 87, 12cm Minenwerfer 74
유탄 HG 43, HG 85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란군 보병장비
파일:이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란-이라크 전쟁
이란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Vz.98/29, M1310, M1317, Kar98k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SVD
자동소총 G3, AK-47, AKM, 56식 자동소총, CQ 5.56
기관단총 MP40, 스털링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MP5, M12, Z-84
권총 M1911A1, M1314, M10
지원화기 기관총 M1919A4, M1919A6, Vz.26, MG3, MAG, DP-28, SGM, RPK, PK, M2HB, DShK
대전차화기 M18, M40, BGM-71, M47, RPG-7, 69식 화전통, RKG-3, 9M14
맨패즈 FIM-92, 9K32, 9K34, 9K38
대공포 KS-19, ZU-23, ZPU-4
박격포 M1
유탄 F1 수류탄, RGD-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이스라엘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갈릴, M16A1, M16A2, M16A3, Menusar, M4, TAR-21/X95, MCX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89SR, SR-25, REC10
저격소총 HTR 2000, M24 SWS, M82A1, MRAD, TAC-50
기관단총 미니 UZI, R0635
산탄총 암셀 스트라이커, 레밍턴 M870, 베넬리 M4, SPAS-1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제리코 941, 글록 17S/19, SP-21, P11
지원화기 기관총 갈릴 ARM, 네게브, FN MAG, M2HB-QCB, M134
총류탄 시몬
유탄발사기 M79, M203, Mk.19, Mk.47
대전차화기 M47 드래곤, M72 LAW, MATADOR, B-300/시폰, 스파이크, BGM-71 TOW/MAPATS, RPG-7
박격포 솔탐 K6
맨패즈 블로우파이프, FIM-92A 스팅어, 미스트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C7NLD, C8NLD
지정사수소총 HK417
저격소총 AWM, TRG-41, SR93, SSG 69, M82A1
기관단총 MP9
권총 글록 17M
산탄총 모스버그 590A1
지원화기 기관총 LOAWNLD, FN 미니미, FN MAG, M2HB-QCB
유탄발사기 H&K UGL, H&K AGW
대전차화기 M72A2, Pzf-3, TLV 84mm, 유로스파이크
박격포 MO-60-CA, L16A2, MO-120 RT
맨패즈 FIM-92 스팅어
유탄 NR20 C-1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HK416, MCX*
저격소총 MSG90, AWSM-F*
기관단총 P90, MP5, MP7, MPX
권총 글록 18, P226, P11
기관총 콜트 캐나다 LOAWNLD
박격포 브란트 MO-60 V*
치장/의장/예비용 화기 FN FAL, FN FALO, M47 드래곤, AT4
*: 왕립 네덜란드 해병대가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이란 국기.svg 현대 이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현대의 이란군 보병장비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colbgcolor=white,#191919> 돌격소총 KL-7.62, AKM, 56식 자동소총, 사야드 5'56, KH-2002, 줄피카르, G3A6, HK53, AK-103, 파지르 224
저격소총 나흐지르, 타헤르, 사야드, 아라시, 샤헤르, 바헤르-23
기관단총 UZI, MPT-9, Z84, K7
권총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PC-9
지원화기 기관총 RPK, MGA3, PKM-T80, 아흐가르, MGD, 무하람
유탄발사기 나시르
로켓발사기 RPG-7, 69식 화전통, 사에게, RPG-29
미사일발사기 라아드, 9K111, 9M113, 9K115-2, 데흘라비, 사에게 1/2, 투판
무반동총 SPG-9, M4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현대의 시리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07a3d> 현대의 시리아 아랍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7a3d> 소총 <colbgcolor=#007a3d> 돌격소총 AK-47, AKM, AKMS, 56식 자동소총, Vz.58, MPi-KM, AMD-65, 자스타바 M70, AK-74, AKS-74, AKS-74U, AK-9, AK-74M, AK-103, AK-104
지정사수소총 SVD, PSL, VSS 빈토레즈, VSK-94, 자스타바 M91
저격소총 SSG 69, 사야드-2, T-5000, MTs-116M, ASVK, OSV-96, 샤라치 99
기관단총 MAT-49, MP5,PM-63
권총 TT-33, PM, PB, 브라우닝 하이파워, GSh-18, OTs-38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다목적기관총 67식 기관총, PKM, 80식 기관총, PKP 페체네그, 73식 대대기관총
중기관총 SGMT, DShKM, NSV, KPV, Kord
유탄발사기 GP-25, GP-30M, AGS-17, RG-6
로켓발사기 RPG-2, RPG-7, RPG-18, RPG-29, RPO-A, M-79 오사
미사일발사기 사에게-2, 투판, 3M6, 3M11, 9K11, 9K111, 9M113, 9K115, 9K135, MILAN
무반동총 SPG-9, B-10, B-11, RPG-75, M40
박격포 PM-36, PM-43, 2B9, 2B14, M1938
맨패즈 이글라-1/2, 스트렐라-2/3, FN-6
유탄 F1, RPG-43, RGD-5, RKG-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스위스 국기.svg 현대 스위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colbgcolor=#DA291C><colbgcolor=#DA291C>{스파이크 LR2} | NLAW | PAL BB 77 드래곤R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LR2} | PAL BB 85 TOW | PAL BB 65 BANTAMR
공대지
고정익기
Flz Lwf LB 66 "NORAS"R | Flz Lwf LB 82 매버릭R
유도포탄
지대지
12cm Mw int G 96 STRIX (120mm, Mö 16) | 15,5cm Kan int G 01 SMArt (155mm, Pz Hb M109)
L Flab Lwf BL 94 스팅어
단거리
Mob Flab Lwf 레이피어R
장거리
{BODLUV GR 패트리어트} | Flab Lwf BL 64 블러드하운드R | RSA | RSC/D | RSE 크린스
단거리
Flz Lwf LL AIM-9X "SIWA" | Flz Lwf LL (63/80 · 63/90 · 63/91) | Flz Lwf LL (63 · 63/75)R
중장거리 Flz Lwf LL (64 · 64/79) "팔코"R | Flz Lwf LL 97 · AMRAAM 120C-7
※ 윗첨자R: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모로코 국기.svg 현대의 모로코 왕립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모로코 왕립군(1956~)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لكية المغربية
<colbgcolor=#c1272d> 권총 TT-33T, 베레타 92, PA-15, 하이파워
기관단총 M3T, MAT-49T, H&K MP5
산탄총 모스버그 500
소총 <colbgcolor=#c1272d> 볼트액션 소총 MAS-36T
반자동소총 MAS-49/56T
자동소총 FAL, CAL, SAR-21, AR70/90, M4 카빈, M16A2, M76, M1963/1965, 56식
저격소총 울티마 레이쇼, M14NM
기관총 경기관총 울티맥스 100
다목적 기관총 AA-52, MAG, M240, PK
중기관총 NSV, M2HB, M134
유탄 발사기 Mk.47 스트라이커
대전차 화기 무반동포 B-10, M40A1
대전차 로켓 69식 화전통, RPG-7V, APILAS, LRAC-89, M72 LAW
대전차 미사일 HJ-8, 밀란, M47, 말륫카, 메티스-M, BGM-71 TOW
※ 윗첨자T: 훈련용 화기}}}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저격소총 SVD, PSL, SR-25, M24
기관단총 PM-63, MP5
권총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중기관총 DShK, SG-43, KPV, M2HB, M134
대전차화기 RPG-7, 9K115-2, M47, NLAW
의장용 화기 모신나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현대 아프가니스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슬람 토후국군 보병장비(1994 ~ 현재)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저격소총 SVD, PSL, SR-25, M24
기관단총 PM-63, MP5
권총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중기관총 DShK, SG-43, KPV, M2HB, M134
대전차화기 RPG-7, 9K115-2, M47, NLAW
의장용 화기 모신나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현대 헤즈볼라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7E600> 현대의 헤즈볼라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7E600> 소총 <colbgcolor=#F7E600> 반자동소총 SKS
자동소총 AK-47, AKM, AKMS, AK-74, AKS-74, AKS-74U, CQ 5.56, FN FAL, H&K G3, M16A1, M16A2, CAR-15, M4A1
저격소총 SVD, T-5000, SSG 69, 사야드-2
기관단총 MP5
산탄총 M37, M1100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글록
지원화기 경기관총 M1919, PKM, FN MAG, M240
중기관총 DShKM, KPV, M2HB
유탄발사기 GP-25, GP-30, M203
대전차화기 RPG-7, PG-7-AT 나데르, RPG-29, RPG-30, SPG-9, 9K111, 데흘라비, 토브샨-1, 라아드, 메티스-M, 판처파우스트 3, MILAN, M40, M72, 사에게-2, 투판
박격포 HM12, M29, HM16
맨패즈 9K32, 9K34, 9K38, 9K338, QW-1, FIM-9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