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04:38:59

AAI SPIW

AAI SPIW
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
특수 목적 개인화기
파일:aai-spiw(gen2)_profile 0.jpg
1966년의 2세대형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돌격소총
원산지
[[미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64년~1968년
개발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개발년도 1964년
생산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
사용국
[[미국|]][[틀:국기|]][[틀:국기|]]
기종
파생형 XM19
제원
탄약 5.6×53mm
5.56×57mm
급탄 50~60발 드럼형 탄창
탄띠[1]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총열길이 457mm
전장 1,016mm
중량 비장탄 - 5.0kg
장탄 - 5.9kg
발사속도 연사 - 분당 700발
점사 - 분당 2,400발
}}}}}}}}}
1. 개요2. 역사3. 특징4. 종류
4.1. 플레셰트 산탄총4.2. APHHW4.3. SPIW
4.3.1. 1세대4.3.2. 2세대4.3.3. 3세대
4.4. XM19
5. 출처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2세대 SPIW 리뷰 영상
SPIW(특수 목적 개인화기, Special Purpose Individual Weapon)는 에어크래프트 아머먼트(Aircraft Armaments, Inc) 사에서 개발된 미군돌격소총이다.

2. 역사

파일:springfield-spiw_garand 0.jpg
1962년 존 C. 개런드가 조준 중인 스프링필드 조병창의 SPIW[2]

1962년에 개시된 미합중국 육군특수 목적 개인화기 사업에 참여한 AAI 사에서는 과거의 샐보(Salvo) 계획 시기부터 설립자 중 한명인 어윈 R. 바(Irwin R. Barr)가 줄기차게 제시해온 플레셰트 탄약을 사용하는 뇌관 작동식(Primer-Actuated) 돌격소총이 1964년에 제출되어 다른 3개[3] 기종들과 경합을 벌였다.
파일:aai-spiw_1964.jpg
1964년 시연에 쓰인 AAI 사의 SPIW
베트남 전쟁에서의 수요로 XM16E1의 정식 운용이 가까워지자 높은 요구 조건에 한참 미달되는 성능 평가까지 더해져 점점 나중을 위한 연구개발품 수준으로 격하되었으며, 창설된지 얼마 안 된 미합중국 육군무기사령부와 미합중국 육군전투개발사령부(현 미합중국 육군전투능력개발사령부)의 입장 차이로 인한 마찰로 개발 지연을 겪다가 후속의 미래형 소총 사업의 XM19를 포함한 그 어느 기종도 실전에 쓰이지 못한채 록 아일랜드 조병창 박물관 한켠의 장식품들로 남게 되었다.

3. 특징

파일:aai-spiw_reload 0.jpg
재장전 중의 SPIW
곧은 탄도로 400m의 거리에서 0.25인치(6.35mm) 두께의 철판을 뚫는 관통력을 보이는 플레셰트 탄약을 2,400발이라는 빠른 발사 속도의 점사로 점 표적을 맞힐 수 있도록 설계되어 M14M16에 비해 압도적인 성능 차이를 보여줄 것이라 여겨졌지만 실제로 보여준 것은 기대 이하의 낮은 명중률과 살상력 뿐이었다.
파일:aai35.jpg
DBCATA 유탄발사기
범위 표적을 상대하는데 필요한 3연발 반자동식 유탄발사기는 운용이 불편하고 신뢰성마저 낮은데다 4.5kg 이하의 전체 중량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큰 걸림돌로 작용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탄피가 약실과 포신을 겸하는 형태로 바뀌었음에도 단가 상승 및 기존 규격과의 호환 불가로 효율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했다.

4. 종류

파일:aai-spiw 0.jpg
파일:aai-spiw 1.jpg
SPIW의 변천사

4.1. 플레셰트 산탄총

파일:aai-shotgun_illust 0.jpg
파일:aai-12ga_shotshell.jpg
플레셰트 원안 32개의 화살촉이 내장된 AA-32
이중탄두 및 이중총열[4] 개념에만 몰두한 미합중국 육군작전연구소 대신 1952년에 미합중국 해군연구소와의 계약을 통해 개발된 플레셰트 관련 구상. 기종 불명의 12게이지 산탄총을 가지고 약 460m의 거리에서 M1 철모의 측면을 관통시키는 놀라운 결과로 화살촉이 차세대 탄자 중 하나로 쓰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

4.2. APHHW

파일:aai-aphhw_sheet 0.jpg
APHHW
1959년의 APHHW(다목적 휴대화기, All Purpose Hand-Held Weapon) 사업에 제출된 원형. 5.6x53mm XM110 탄약의 성능을 시험하는데 주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극도로 단순한 원통형 외관으로 연필이라는 별칭이 붙여지기도 했다.

미국 알래스카 포트 그릴리(Fort Greely)에서의 극지 환경 실험 이후에 당시의 제식 소총M14 보다 만족스럽지 못한 명중률과 관통력을 보였음에도 미합중국 육군탄도학 연구소에서의 평가는 다소 긍정적이었기에 미합중국 육군병기부장의 승인 아래 추가 개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4.3. SPIW

4.3.1. 1세대

파일:aai-spiw-gen1_sheet 0.jpg
레버액션식 유탄발사기와 결합된 1세대형
SPIW 사업의 시작을 함께한 1964년의 제1차 심사용(Phase I Trial) 초기형. 상술된 APHHW 사업과 병합된 니블릭[5] 계획의 부산물인 총열 하단 부착식 유탄발사기의 개발도 함께 진행되었으나 요구 조건에 미달되는 제원으로 다른 경쟁자의 제출품과 똑같이 선정되지 않았다.

4.3.2. 2세대

파일:aai-spiw-gen2_sheet 0.jpg
DBCATA 유탄발사기와 결합된 2세대형
SPIW 사업이 절정에 달한 1966년의 제2차 심사용(Phase II Trial) 중기형. 무게를 어떻게든 줄이려는 시도에서 탄생한 무총열 DBCATA(일회용 범위 표적 탄약, Disposable Barrel and Case Area Target Ammunition) 유탄발사기가 적용되었지만 당대의 X-1 등과 마찬가지로 휴대 및 사용이 불편한데다 보병용 유탄의 표준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40×46mm 규격에도 맞지 않아 효용성 문제에 부딫혀 채택되지 못했다.

4.3.3. 3세대

파일:aai-spiw(1967)_series.jpg
다양한 라인업의 3세대형[6]
SPIW 사업이 중단된 1967년의 후기형. 소음기가 기본적으로 달리거나 하모니카식 탄창의 3연발 유탄발사기 구성 등으로 바뀌었으며 동시기의 소화기 무기 체계 사업을 의식한 여러 파생형들도 제시되었다.

4.4. XM19

파일:xm19(early)_samples.png
XM19 초기형
연장 목적의 미래형 소총 사업을 노린 3세대형 SPIW 기반의 개량형. 재설계된 5.56×57mm XM645 탄약에 맞춘 바나나형 탄창과 30mm 유탄발사기에서 차이점을 찾을 수 있으며 1971년의 좋지 못한 성능 평가를 끝으로 단종되고 말았다.

5. 출처

6. 둘러보기

냉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903A1/A4, M1917, M70, M4, MA-1, M40/M40A1, M24 SWS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자동소총 M1918A2, M2, M3, M1946, AR-10B, M14, M15, 스프링필드 SPIW, AAI SPIW, 올린-윈체스터 SPIW, H&R SPIW, M16, Mk.I A, GAU-5, M16A1, AR-18, GUU-4/P, XM19, XM70, SBR, LMR, M231, M16A2, M16A2E2, 슈타이어 ACR, 아레스 ACR, AAI ACR, MDHC ACR, G11K2
기관단총 M1928A1, M1A1, M3, M3A1, M6, TRICAP
산탄총 M12, M11-48, M37, M870, M1100, M1200, M500, M520, M590, H&K CAWS, AAI CAWS, S&W CAWS, 판코르 잭해머, SPAS-16, MIWS
컴비네이션 건 M6
권총 리볼버 M10, M13, M1909, M1917, M1927, M15
자동권총 M1903, M1911A1, M9, XM10, M1971, TZ-75, 루거 P85, FN BDA
기관권총 SCAM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49
다목적기관총 M1919A4/A6, M37, M73, M60, M134, M240, XM214
중기관총 M1917A1, M2, M2HB, EX-17, M85, GAU-19
유탄발사기 M79, X-1, XM148, M203, M75, M129, Mk.18, Mk.19, Mk.20, T148E1, XM174
로켓발사기 M20, M72 LAW, M202 FLASH, Mk.153, RAW
미사일발사기 MGM-21, MGM-32, FIM-43, M47, BGM-71, FIM-92
무반동총 M18, M20, M28, M29, M67, M40, M136
화염방사기 M2, M9A1-7
박격포 M2, M19, M29, Mk.2, Mk.4, M224, M252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500, RC-50, M86, M88
반자동소총 G3/SG1, M82
자동소총 CAR-15, XM177E1, XM177E2, M653, M723, M733
기관단총 M76, MAC-10, MPL, MPK, UZI, M635, MP5A3, MP5SD3, MP5-N, MP5SD-N, HK54A1, SMG I/II
권총 리볼버 M66, QSPR, M686, GS32-N
자동권총 HDM, 루거 Mk.1/Mk.2, Mk.22, PPK, P9S-N, P11, M45, P226
산탄총 마스터키, M7180, M7188
기관총 Mk.23, EX-27, HK21, HK23A1
폭발물 수류탄 Mk.2, Mk.3, M26, M67, V40
총류탄 M7
화학탄 M7A3, M14, M18, M25, M34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폭약 M1, M1A2, M1A3, M2A4, M3A1, M37, M039, M112, M118, M183
냉병기 총검 M6, M7, M9
단검 Gerber Mk II, Ka-Bar USMC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경기관총 파생형에만 해당된다.[2] 뒤에는 왼쪽을 기준으로 찰스 P. 바토(Charles P. Bartow) 스프링필드 부조병창장, 페이퍼클립 작전을 거쳐 1946년에 미국으로 귀화한 독일 마우저 사 출신의 오토 H. 폰 로스니처(Otto H. von Lossnitzer) 계획관리부장, 허먼 F. 호손(Herman F. Hawthorne) 소화기연구개발부장이 있다.[3] 올린-윈체스터, 해링턴 & 리처드슨 사의 것은 결함이 많아 애초에 탈락했으므로 실질적인 경쟁 상대는 미합중국 육군보병위원회의 편파적인 지지를 받고 있던 스프링필드 조병창 뿐이었다.[4] M1 개런드의 아버지 존 C. 개런드(John C. Garnad)가 직접 설계한 T31 외에도 T44와의 경쟁에서 탈락한 FAL 기반의 T48로도 실험이 진행되었다.[5] 이는 9번 아이언 골프클럽의 별칭으로, 미합중국 육군 소화기 연구개발부장 르네 R. 스터들러(Rene R. Studler) 대령의 부관인 잭 버드(Jack Bird)가 미합중국 국방부 청사 뜰에서 스프링을 넣은 파이프를 가지고 날려보낸 골프공포물선 궤적에서 비롯되었다.[6] 왼쪽을 기준으로 탄띠식 경기관총형, 불펍형, 유탄발사기 부착형, 일반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