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73 73식 대대기관총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다목적 기관총 | ||
원산지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73년~현재 | ||
개발년도 | 1973년 | ||
생산년도 | 1973년~불명 | ||
사용국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시리아 아랍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
기종 | |||
원형 | 68식 대대기관총 Vz.26 기관총 | ||
세부사항 | |||
탄약 | 7.62×54mmR | ||
급탄 | 탄띠 급탄 3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 608mm | ||
전장 | 1,160mm | ||
중량 | 10.6kg (빈 총 기준) | ||
발사속도 | 600~700RPM | ||
탄속 | 825m/s로 추정[1] | ||
유효사거리 | 1,000m | ||
최대사거리 | 3,600m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조선인민군에서 사용하는 기관총. 북한이 체코제 Vz.26을 참고하여 자체적으로 68식 대대기관총을 개량했다. 조선인민군 육군뿐 아니라, 해군과 항공 및 반항공군, 특작부대 및 보위부 등 대부분의 군종에서 운용한다.
73식 대대기관총의 모습. RPD나 RPK와 비슷한 형태의 개머리판을 채용하는 등, 확실히 원작인 PK와는 상이한 모습이다.
2. 이름의 유래
1973년에 개발되었으므로 73식이며, 이름의 '대대'의 의미는 군대의 편제의 대대(大隊) 가 아니라 大大적으로 적을 죽이라는 뜻이라고 한다.3. 특징
북한이 대외선전용으로 공개한 훈련사진의 73식 대대기관총. |
김정일화로 추정되는 꽃까지 권총손잡이와 개머리판에 새겨져 있고 총뿐만 아니라 탄창까지 크롬도금이 되어있을 정도로 화려하다. 크롬 도금한 무기는 절대 실전용이 아닌 부대나 개인의 표창을 위한 특별 하사품으로 부대 홍보용으로 특별히 가지고 나온 듯 하다.[2]
국군이 노획한 73식 기관총의 전시사진. |
각각 민물과 바닷물에 오랫동안 침식되어 나무로 된 파트가 심각하게 손상되어 있다.
소염기가 장착된 모습. |
저 상태에서 바로 총류탄을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니고 총류탄을 발사할때는 사진의 소염기를 제거해야 한다. 제거한 소염기는 따로 들고다닐 필요없이 가스튜브 아래의 돌기에 꽂아서 보관한다.
개량된 부분을 표시한 사진. |
급탄부와 탄창, 총류탄 발사기능을 더해서 약 2.5kg 이상 무거워진 것으로 보인다. 다목적기관총이긴 하지만 분대지원화기로는 다소 무거운 편이다.
전용 탄입대를 메고 사격중인 장병. |
73식 기관총은 분대지원화기 용도로 사용되며, 30발 탄창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지속사격이 필요한 경우에만 250발 탄통을 옆에 두고 탄띠를 연결해서 사격한다.
탄띠를 장전한 사진. |
68식 기관총과는 다르게 100발들이 탄통 부착 어댑터는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PKM의 100발 들이 탄통은 부착할 수 없으며 PKM의 삼각대를 사용할수없는건 그대로다.
북한의 선전 포스터. |
이 포스터는 디 인터뷰에서도 패러디되었다.
2017년 8월 25일 백령도, 연평도 점령훈련을 하는 북한 특수부대원. |
조디악 보트 선두에 73식 기관총 사수가 전방 경계를 하는 모습이 보인다.
3.1. 급탄방식
탄창 삽입구의 모습. |
탄띠와 탄창급탄이 모두 가능한 메카니즘이 보인다. 캐링핸들 밑에 소염기를 꽃을 수 있는 수납 돌기가 보인다.
기존 68식 대대기관총과 다르게 73식 기관총에 탄창을 장착하기 시작한 이유는 기존 100발 탄통을 장착하면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거치를 하지 않고 쏘면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는 이미 탄창식 기관총으로 제압사격을 하면서 돌격을 감행한 중공군의 전술의 영향이 무척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공군의 원조로 6.25때 ZB-26을 비롯한 체코제 무기를 사용해본 북한이기 때문에 익숙하다는 점, 구소련의 보병 돌격 기본 전술이 일렬로 걸어오면서 제압사격을 가하면서 전진하는 전술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 수 있다. 하지만 탄창을 채택해 장전된 탄약들의 무게를 기껏 줄였건만, 탄창 급탄 기구의 추가로 원판인 PK의 9kg보다는 약 1.5kg(PKM과 비교시 약 3kg), 참고작인 체코의 Vz.59 기관총과 비교해도 2.5kg 가까이 빈 총 무게가 도로 늘어났음을 생각하면 개량이라기 보단 개악에 가까울 것이다.[3]
특수전 화기로 체코제 Vz.61 기관단총과 소음기, CZ82 권총이 사용되며, 장교용 권총 역시 체코의 CZ75 권총을 카피한 물건인 것으로 미루어보아 체코제 무기에 대한 신뢰도가 대단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해외에서
이란, 시리아와 같은 북한의 우방국에 수출되었으며, 이것들이 해당지역 민병대로 흘러가서 중동분쟁에서 단골이 되었다.ISIS와 맞서 싸우는 이라크 시아파 민병대원. |
이란을 통해 흘러든 것으로 보이며, 탄띠 급탄방식으로 운용 중인 모습.
예멘의 후티 반군도 이란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중이라고 한다.
우간다 경찰이 훈련용으로도 사용한다.
러시아군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도중 북한의 파병 이후 이 총을 사용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정식으로 도입한 것인지 북한군이 가져온 무기를 시험삼아 써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직접 사용해본 러시아군들이 무겁고, 탄창 교환이 불편하고, 광학장비 없이 아이언사이트로 조준하는 것이 불편하다며 혹평한 것으로 보아 현용 러시아 다목적기관총 PKP에 비해 성능이 상당히 떨어지는 듯하다.#[4]
5. 둘러보기
현대 후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후티 (1994~현재) حوثيون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colbgcolor=#fff> 권총 | TT-33, PM, 카라칼 권총C, PPK, 웨블리 리볼버 | ||||
기관단총 | PPSh-41, Vz.23 | |||||
소총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KS | |||||
자동소총 | AR-10C, M4A1, MPi-KM, F2000C, SG556C, SCARC, G3, G36C, AK-47, AKM, AK-74, 56식 자동소총, AKS-74U, AK-74M, AK-103C | |||||
저격소총 | M107C, LRT-3C, SVD, SVU, HS.50, M76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MG3C, 73식 대대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DP-28, FN 미니미C, DShK, M1919 브라우닝, FN MAGC | ||||
유탄 발사기 | GL-1C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로켓 | RPG-7, M20 | ||||
대전차 미사일 | Metis-M, 현궁C, 9M133 | |||||
무반동포 | SPG-9 | |||||
대공포 | ZU-23, ZPU-4, KS-19 | |||||
※ 윗첨자C: 노획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후티 반군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9002c> AK | <colbgcolor=#c9002c> AK-47 | AKS-47, AKM, RPK, Saiga, AKMSU, VPO-209 |
TKB 시리즈 | |||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4S식 자동소총, 86S식 자동소총 | |||
M70, M76, M77, M90, M91, Master FLG, M21, M19, SRX20 | |||
AK-63, AMD-65 | |||
md.65, PSL/FPK | |||
58 자동보총, 68식 자동보총, 78식 저격보총 | |||
갈릴, 갈릴 ACE | |||
Rk 62, Rk 95, 발멧 M82 | |||
INSAS, MPi-K, CR-21, 타부크 저격소총, wz.1960 | |||
AK-74 | AKS-74U, AK-74M, RPK-74, AK-100 시리즈, AK-103, AK-107, AK-9, SR-1, AKV-521 | ||
80.002, ADS, AEK-971, AN-94, APS, AS Val, OTs-14, OTs-12, VSS | |||
해외 MPi-AK-74, md. 86, Vepr, Malyuk, ČZ 2000, 88식 보총 북한 불펍형 보총, 98식 보총, wz.1988, 북한 복합보총, M80, wz.1996, StG-940, AK 알파, 북한 2024년형 신형보총 | |||
AK-12 | AK-15 | ||
RPK | RPK, RPK-74, RPK-74M, RPK-16, Vepr-12 | ||
Saiga | Saiga-12, Origin-12 | ||
기관단총 | PPK-42 | ||
PP-19 | PP-19, PP-19-01, 북한 신형 기관단총 | ||
PK | PKM, PKP 페체네그 | ||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 |||
그 외 벡터 SS-77, UKM-2000 | }}}}}}}}} |
[1] 총열길이가 605mm인 칼라시니코프 기관총의 탄속이 825m/s이다.[2] 여기에 나온 대대기관총 외에도 68식 보총이나 98식 보총 혹은 백두산 권총도 크롬 도금해서 포상으로 준다.[3] FN 미니미나 K3 경기관총도 어차피 쓰지도 않는 탄창 급탄 기능 달려 있어서 무게만 늘고 정작 정비성과 신뢰성은 떨어진다고 욕 먹는 걸 생각하면 된다. 그나마 이 쪽은 비상시 백업 수단 정도로 탄창 급탄을 활용하고, 탄통 결합이 문제 없이 가능해 탄띠를 활용한 지속 연사가 용이하다.[4] PKP는 1969년 도입된 PKM이 노후화되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무기인데, 73식 대대기관총은 그 PKM과 비슷한 세대의 무기이니 당연한 반응이다. 사실 북한의 공업기술이 소련에 비해 뒤쳐지는 것을 감안하면 73식 대대기관총은 PKM만도 못할 가능성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