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22:30:29

49식 기관단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
·
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가계도 · 우상화 교과서) · 주체사상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
·
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조선인민군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원인) · 대남공작기관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
·
규범
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 공민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태양상 · 초상휘장 · 1호 사진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축구 대표팀) · 관광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탈북 과정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 관련 뉴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북한의 국가장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Type 49
49식 기관단총
파일:K-2023.jpg
종류 기관단총
장탄수 71발 드럼 탄창
35발 바나나 탄창
급탄 7.62×25mm 토카레프
원산지
[[북한|]][[틀:국기|]][[틀:국기|]]
작동방식 블로우백
오픈 볼트
개발사 전천 2.8 기계공장
1. 개요2. 설명3. 현황4. 기타5. 매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북한이 개발한 최초로 개발해 배치한 북한의 국산 기관단총이다.

2. 설명

1947~49년동안 소련이 북한에 준 PPSh-41 기관단총을 소련 정부로부터 허가권을 받고 1949년 자강도 전천의 65호 총기공장에서 49식 기관단총(Type 49)이라는 이름으로 면허생산했다. 처음 라이센스로 제작해보는 총기였기 때문에, 품질은 조악했다는 설이 있다.[1][2] 이후 소련군이 2차대전 시기 양산했던 무기들을 공산권 국가들에게 공여하는 과정에서 북한군에게도 PPSh-41가 넘어왔다. 한국전쟁 초기 자동화기가 거의 없었던 한국군 입장에서는 '인민군의 따발총'은 매우 무서운 무기였다. 49식 기관단총은 1949년부터 1955년까지 생산했다.
파일:K-2023.jpg
49식 기관단총 제식채택 이전 김일성이 시험사격을 하는 사진.
탄창 모양새가 독일이 쓰던 9mm PPSh와 동일한데, 이 때 시절 북한은 소수의 MP40을 갖고 있었기에 참고한것으로 보이지만 북한이 자체 제작한 실험용 탄창이거나 생산할 때 북한의 기술력이 낮아서 저렇게 만든 것일 수도 있다.

파일:49식기관단총.jpg
파일:external/2.bp.blogspot.com/DPRK+WInter.jpg
김일성이 북한군 인사들에게 49식 기관단총을 하사하며 찍은 사진.[3][4] 49식 기관단총 생산을 기념하여 김일성이 각료, 군지휘관들과 찍었다. 왼쪽부터 최용건 민족보위상, 김책 부수상, 김일 문화부상, 김일성, 박일우 내무상, 강건 총참모장, 무정 포병부상. 사진 맨 왼 쪽과 맨 오른쪽 인물이 들고 있는 총이 바로 따발총 PPSh-41이다. 오른쪽의 인물은 북한군에서 많이 사용한 드럼탄창이 아니고 바나나식 탄창을 꽂고 있다.[5] 가운데 여성으로 보이는 인물이 들고 있는 총은 PPSh-41이 아니고, PPS-43이다.
북한은 PPSh-41을 소련군에서 원조받았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도 생산하기 시작했다. 49식 기관단총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자체 제작된 연발총기였으며, 이후 모신나강과 함께 6.25 남침의 상징이 되었다.
Forgotten Weapons의 49식 리뷰 영상
이런 이유로 남한 한정으로는 6.25 전쟁 당시의 북한군의 상징이다. 당시 국군의 자동화기기 보유수량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북한군의 PPSh-41의 막강한 근거리 화력이 상당히 공포의 대상이었던 모양. 외국어가 익숙하지 않았던 당시 한국군들은 이 총을 따발총이라고 불렀다. 한국어로 '타타타타'라는 의성어를 일본어로는 '타바타바타바타바'라고 하는데 광복 직후의 한국인들이 이 총의 소리를 듣고 그대로 일본식 의성어를 붙인 것이다.[6]

참고로 당시 한국은 러시아어는 물론이고 영어도 거의 교육되지 않던 시대여서, 대부분의 군용 장비들을 일본식 영어발음을 섞어 한국말로 적당히 불러댔다. PPSh-41은 따발총, 모신나강은 따꿍총(총성이 '따꿍'거린다고 남북이 공히 부른 속칭. 북한군에서 부른 정식 명칭은 '아라사(러시아의 한자발음) '을 뜻하는 아식 보총이다), M1 개런드애무왕, M1 카빈빈, 혹은 씨-에이아르(M1 Carbine)이라고 불렀다. 적성장비들은 대충 소리나 생김새로 부르지만, 아군 측 장비들은 그래도 이름을 대충 들리는 대로 편하게 부른 것을 보면, 적성장비에 대한 정보나 교육이 거의 없었던 듯.

3. 현황

북한에선 대부분 퇴역해서 시골 같은 곳의 2단급 부대들이나 6.25 재현부대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4. 기타

북한군은 드럼 탄창 보단 바나나 탄창을 더 애용 했다고 한다.[7]

5. 매체

당시 사람들의 북한군에 대한 인식은 그 따발총 자체 였어서 북한군이 나올 법 한 매체에는 거의 다 나온다고 보면 된다.

6. 둘러보기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조선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식 보총, 53식 보총
반자동소총 63식 보총의장대
자동소총 58식 자동보총R, 68식 자동보총R, 88식 자동보총, 98식 자동보총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식 저격보총 3종류N?, SVD
권총 64식 권총, 66/68식 권총N?, 70식 권총N?, 백두산 권총, CF-98 권총?
기관단총 49식 기관단총R, PPS-43R, M56R
지원화기 기관총 62식 대대기관총R, 64식 대대기관총R, 68식 대대기관총, 73식 대대기관총, 88식 대대기관총, 98식 대대기관총, DShK, KPV, 무하람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GP-25, AGS-17, 신형 유탄발사기N?
대전차화기 7호 발사관, 69식 화전통, RPG-2, 수성포, 9K111 파곳, 불새-2/3, 9M113, 북한판 NLAWN?, 북한판 스파이크?, B-10, B-11, 56식 비반충포, 63식 비반충포, RPO-A, PF-97, RPG-29
박격포 60mm 박격포, 82mm 박격포, 120-PM-43
맨패즈 화승총(9K32/34 스트렐라), 화승총(9K310 이글라-1)
화염방사기 ROKS-2/3, LPO-50
수류탄 F-1, RGD-33, RG-42, RPG-43, RGD-5, RKG-3, 75식 수류탄, 총류탄
지뢰 목함지뢰, POMZ, 나뭇잎 지뢰
특수전화기 자동소총 2020년식 98식, 불펍형 98식, M16A1, K2, 복합보총(2017, 2021)N?, 북한 신형 자동보총N?
권총 M1911A1, 잉글리스 하이파워, CZ70, CZ83, 베이비 브라우닝
기관단총 M3 기관단총R, Vz.61, 신형 기관단총N?
저격소총 78식 저격보총, 신형 반자동 저격보총, 신형 볼트액션 저격보총 3종류, DVL-10
R: 퇴역 및 준군사조직용
?:사용여부 불명
N?:제식명칭 불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clearfix]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북한은 당시 일본이 중공업 지대를 건설해 놓아서 그나마 조악한 품질이라도 이런 총기를 제작할 수 있었지만 남한은 아예 중공업 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총기 제작은 1960년대까지 가야 가능해졌다.[2] 49식을 노획해서 사용한 한국군들의 증언에 의하면 드럼 탄창 1개를 연발로 쉬지않고 사격할 시, 마지막 몇 발은 코 앞에 떨어질 정도의 퀄리티였다고 한다. 소설 남부군에서는 한국 전투경찰에게서 노획한 99식 소총과 함께 조악하기 이를 데 없는 총기로 묘사된다.[3] 이 사진은 북한 내에서 선전화로도 그려졌다.[4] 이 사진은 한동안 아래와 같은 사진처럼 박일우, 무정 등 일부 인물들이 삭제된 상태로 알려졌으나, 최근 재공개된 사진은 위의 사진처럼 삭제된 인물들이 다시 나타났다. 파일:49식기관단총1.png[5] 북한에서는 드럼탄창만 생산하고, 바나나식 탄창은 생산하지 않았다. 북한에서 생산된 물량을 대부분 소진하자, 이후에 소련으로부터 추가로 지원받은 물건인 듯하다.[6] 1991년 NHK에서 제작한 '다큐먼트 태평양전쟁' 시리즈에서 과달카날의 반자이돌격 생존자가 미군의 기관총 사격을 "따바따바따바"라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다.[7] 소련군도 드럼 탄창의 스프링 불량등의 이유로 탄을 덜 채운채 사용하기도 했었던것으로 보아 급탄 문제가 제법 있었거나 북한에서도 생산해서 신뢰성이 들쭉날쭉한 드럼보단 전량 소련에서 받아온 바나나 탄창을 더 좋게 본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