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T Projector, Infantry, Anti Tank 보병용 대전차 발사기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대전차화기 | ||
원산지 | 영국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43년~1950년 | ||
개발 | 밀스 제프리스 | ||
개발년도 | 1942년 | ||
생산 |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등 | ||
생산년도 | 1942년~1950년 | ||
생산수 | 115,000정 | ||
사용국 | 영국 그 외 영연방 국가들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중동전쟁 6.25 전쟁 | ||
기종 | |||
원형 | Spigot 박격포 | ||
세부사항 | |||
탄약 | 83mm 성형작약 | ||
급탄 | 전장식 단발 | ||
작동방식 | Spigot 박격포 | ||
전장 | 990mm | ||
중량 | 15kg | ||
탄속 | 76m/s | ||
유효사거리 | 105m | ||
최대사거리 | 320m | }}} |
[clearfix]
1. 개요
PIAT는 Projector, Infantry, Anti-Tank의 약자로(보병용 대전차 발사기) 국내판 무기와 폭약에는 "파이앗"으로 읽는게 맞다고 서술했지만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면 옛날이나 요즘이나 다들 "피아트" 혹은 "피애트"라고 부른다.
소련[1]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대전차 소총이 강화되는 전차의 장갑을 뚫지 못하게 되자 먼로-노이만 효과를 이용하는, 성형작약 고폭탄을 발사하는 무기로 개발되었다.
2. 특징
여기까지는 바주카나 판처파우스트 같은 다른 대전 후반기 대전차 화기와 비슷하지만, 다른 나라가 로켓이나 무반동포의 원리를 이용하여 무기들을 개발한데 반해 영국군은 이 무기를 박격포를 기초로 만들었다! 그것도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발사관 안에 포탄을 넣고 쏘는 일반적인 박격포가 아니라 봉에다가 포탄을 꽂고 쏘는 Spigot mortar라는 독특한 물건. 대신 그 특성상 대구경 포탄을 발사하기 좋다는 장점이 있다.박격포답게 구조도 단순해서 그냥 중앙에 격침으로 사용되는 봉이 있고 그 주변을 발사관이 감싼 형태였다. 발사관 앞쪽은 포탄이 들어갈 수 있게 위쪽을 잘라놓았으며, 봉 안에는 발사관 길이와 비슷한 무식한 공이치기 스프링이 들어 있고 간단한 방아쇠가 이를 붙들고 있는 게 전부. 발사시에는 일반 총탄처럼 스프링이 공이를 쳐서 포탄 뒤쪽의 추진제를 점화시키면 날아가는 평범한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스프링은 반동 흡수를 겸하는 물건인지라 크기가 엄청나게 크고 탄성도 강했다. 장전 후 사격 준비를 위해 당기려면 90킬로그램에 달하는 힘이 필요했는데, 여리거나 키가 작은 병사는 장전하다 스프링의 반동력으로 튕겨나온 포신에 얼굴이나 가슴팍을 맞고 다치는 경우가 허다했다. 교본에도 키가 160cm 이하인 병사는 장전시 다칠 위험이 있다고 적힐 정도였다. 또한 서서 체중으로 눌러 장전해야 했기에 큰 위험을 무릅쓰거나 장전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 쉬웠다.
고탄성 스프링에 대한 이야기가 강조되어 추진제가 없는 것으로 와전되었는데 스프링으로 탄두를 날려보내는 무기가 아니다. 포탄 자체에 추진제가 들어 있고 스프링은 그 추진제의 뇌관을 쳐 주기 위한 구조에 불과하다. 하지만 추진제가 점화되지 않는 불발탄을 사격해 본 테스트에서 스프링의 힘만으로도 1킬로그램이 넘는 포탄을 10미터 이상 날릴 수 있었다고 한다.
설계자도 실전에서 이런 무식한 재장전 방식이 위험하고 불편함을 알고, 한 번 쏘고 나면 그 반동으로 자동으로 스프링이 압축되어 두 번째 사격부터는 다시 당길 필요가 없게 만들었다. 하지만 워낙 대충 만들어서 발사시 스프링이 걸쇠에 안 걸리는 일이 종종 있었고, 이러면 1발 발사할 때마다 앞서 말한 끔찍한 수동식 재장전을 반복해야 한다. 문제는 이 짓을 하려면 먼저 일어나서 발사기를 세운 다음 체중을 실어 온 힘을 다해 눌러야 하므로 매복하고 적 전차를 공격하는 상황에서는 좋은 은엄폐물이 없다면 사실상 첫 발 이후엔 계속 쏠려면 죽을 걸 각오해야했다. 그래서 이 무기에 대한 농담으로 '한 병사가 이걸로 탱크 3대를 격파해서 훈장을 받았는데, 주목할 점은 탱크를 3대 격파한 것이 아니고 혼자서 5발을 연속으로 쏜 것이다' 라고...[2]
위력 자체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도 있었으나 바주카나 초기 판처파우스트와 비슷하여 그럭저럭 써먹을 만한 수준이었고, 박격포 기반이라 후폭풍과 총구화염이 발생하지 않아 위치 노출도 잘 되지 않고. 엎드려쏴도 쉽고 밀폐된 공간에서도 아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대신 사수는 극심한 반동을 몸으로 받아내며 멍은 기본이고 부상을 입기도 했다. 심지어는 반동 때문에 개머리판을 나무둥치 등에 대고 발사하기도 했을 정도. 또 박격포 기반이라 탄두가 무겁고 탄속이 느려서 극단적인 포물선 탄도를 그리는 포탄 때문에 명중률이 좋지 않고, 용수철이 강한 덕분에 방아쇠압이 아주 높아 명중율이 더 떨어지는데다, 발사기 자체의 무게도 탄 제외 15kg에 육박하는 아주 무거운 놈이라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탄도 덕분에 진짜 박격포처럼 장거리 곡사를 가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명중률도 낮고, 무겁고, 장전하기도 어려우면서 자세가 위험하고, 반동도 심해서 일선의 병사들에게서 불평이 쏟아졌지만, 계속 생산되고 사용된 가장 큰 이유로 경황이 없었던 당시 영국 상황에서도 자원과 인시가 적게들어 싸고 빠르게 다수의 병사들을 무장시킬 수 있었다. 약하다 해도 장갑차량을 간단히 격파하고, 전차를 기동 또는 전투불능으로 만들거나 특유의 탄도로 상부장갑을 타격해 완파를 노려볼 수도 있는 위력이었으며, 적은 소음과 화염, 엎드려 쏴가 가능한 점으로 시가지나 숲, 정글 등에선 오히려 로켓보다 나은 점도 있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내내 그럭저럭 써먹었다. 하지만 명중률과 사거리, 장전 문제가 심각해 6.25 전쟁에서 미군이 위력도 좋고, 더 잘 맞고, 더 가볍고, 반동도 거의 없는 슈퍼 바주카를 들고 오자 영국군도 PIAT 대신 미군에게서 슈퍼 바주카를 받아 쓰게 되었고 이후 스웨덴제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다른 대전 중 대량생산 된 골동품 병기들처럼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선 아직도 간혹 쓰인다.#[3]
3. 미디어
- 데이 오브 디피트 - 영국군의 오브젝트 파괴 또는 특정 차량 파괴에 사용된다.
- 머나먼 다리 - 다리 하나를 두고 영국 공수부대와 독일 기계화 부대가 전투를 벌일 때 등장하는데 명중율이 낮게 그려져서 보는 이를 속 터지게 만든다. 작전 2일차에 처음 맞붙은 9SS 소속 기갑수색대대와의 전투에선 나름 많이 맞추며 효과적으로 화력지원을 했지만, 그 뒤부턴 영...[4]
- 바르샤바 1944 - 후반부의 건물 방어전에서 나치 독일의 유/무선조종식 무한궤도지뢰 골리아트가 건물로 다가올 때 그것을 파괴하기 위해 PIAT를 쏜다. 고증에서 호평을 받은 영화답게 준비 장면과 함께 강한 반동으로 사수가 휘청거리는 모습, 탄이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장면이 나온다. 발사된 탄두는 골리아트의 차체를 망가트리고 케이블을 끊어버려 근접하기 전에 무력화시키는데 성공한다. 반파된 골리아트는 신관이 작동해서 자폭한다.
- 배틀필드 V - 돌격병의 병과 장비로 등장한다. 탄낙차가 매우 크고, 조준하면 미니맵에 탄착 지점이 표시되는 등 곡사 사격을 위한 일종의 휴대용 박격포같은 개념의 발사기이다. 장전 속도가 빠른 특징이 있다.
- 스트라이크 위치스 Operation Victory Arrow - '아른헴의 다리'편에서 페리느 H. 끌로스떼르망이 네우로이를 상대로 사용하는데 장전과정까지 묘사하고 있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 - 영연방군의 대전차화기로 Steel Division 2 기준 250m까지 쏠 수 있다. 판처파우스트나 대전차 수류탄보단 좀더 멀리 쏠 수 있지만 바주카나 판처슈렉보다 명중률이 낮아서 최대사거리에서 쏘면 빗나가는 경우도 많다.
- 카르마(FPS) - 다른 대전차화기와 달리 기본적으로 1발 더 많은 3발의 여분 장탄을 지닌 무기라서 상당히 유리했지만 그만큼 가격이 만만치 않았다. 카르마 리턴즈로 바뀐 뒤에는 그저 RPG-2와 별 차이가 없어보이는 무기(재장전 속도가 빠르다는 설은 있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에서는 영국군의 공병과 코만도가 들고 나온다. 데미지가 어마어마한 대신 원거리 명중률이 매우 떨어지는 무기라서 캥거루 장갑차에 피앗 공병 태우고 돌진하면 독일군 장갑차량들을 손쉽게 관광태울 수 있다. 그리고 곡사가 가능하여 장애물 건너편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후속작인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는 본진의 무기고를 언락하면 브렌 경기관총과 함께 영국군의 모든 보병이 사용 가능 하다. 예전엔 명중률이 떨어지지만 곡사로 적 전차의 상부를 타격해 상당한 피해를 줄수 있었던 무기였으나 패치 이후 다른 진영의 대전차 화기들처럼 적 전차를 유도탄 같이 따라갈수 있는 대신 대미지가 크게 낮아졌다. 현재는 미군이 쓰는 바주카의 하위호환 수준이라는 처참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보병들은 이거 이외에는 쓸게 없다
- 플레임즈 오브 워 - 고증에 맞게 영국군의 보병과 차량소총(Motor Rifles) 소대 대부분에 PIAT 사수가 편제되어있다. 대전차 능력(AT)은 모든 보병 화기 중 PTRD-41를 제외하고 가장 낮은 10점이지만, 이 정도만 되어도 판터를 제외한 거의 모든 중형 전차는 정면에서 맞아도 위험하고, 전차 돌격에 방어 사격으로 쏠 경우에는 측면 장갑에 맞기 때문에 판터도 위험하다. 화력은 휴대 대전차 화기가 다 그렇듯이 5+이다. 특이점이 있다면 유효 사정거리가 판처슈렉과 맞먹는 8"/20cm라는 것. 박격포에서 따온 물건 답게 무반동총 특규가 없는 물건이라 후폭풍도 없고 실내 발사도 문제 없다.[5]
4.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c3b091,#6e5b3c>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c3b091,#6e5b3c>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 ||
기관단총 |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Austen Mk.I, Mk.II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S&W Victory Model | |||
지원화기 | 기관총 | Vickers Mk.I, Lewis Mk.III Mk.IV,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98880>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98880>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 ||
기관단총 |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 |||
권총 |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S&W M&P,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Charlton Automatic Rifle, Lewis Mk.III Mk.IV, Vickers Mk.I,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남아프리카 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남아프리카 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Lee-Enfield No.3, No.4 Mk.I | ||
기관단총 | Sten Mk.II, Mk.V | |||
권총 | Webley Mk.IV | |||
지원화기 | 기관총 | Rieder Automatic Rifle, Vickers Mk.I,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M1, PIAT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공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벨기에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b2631> 제2차 세계 대전 벨기에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1b2631> 볼트액션 소총 | 마우저 M1889/36, M24, M35, 리-엔필드, M91/30 | |||
기관단총 | MP28 | ||||
권총 | M1895, M1900, M1903, M1910, M1922, 루비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1b2631>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MG08/15, M1918 브라우닝, M1915/27, FN M1930 | ||
중기관총 | M1895/14, M1914,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7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오드넌스 2인치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 |||
반자동소총 | Kbsp wz.38M, SVT-40E | |||||
기관단총 |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 ||||
중기관총 |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 |||||
대전차화기 | Kb ppanc wz.35, PIATW | |||||
박격포 |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wz.33 | |||||
※윗첨자W: 자유 폴란드군/폴란드 서부군 ※ 윗첨자E: 폴란드 인민군/폴란드 동부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 |||
중기관총 | MG08/15, Ckm wz.30,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PIAT, 판처파우스트 | ||||
화염방사기 | K형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0mm RM-38/40 | ||||
유탄 |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86722> 2차 세계대전 네덜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e86722> 소총 | <colbgcolor=#e86722> 볼트액션 소총 | M.95, 리-엔필드, Vz.24 | |||
반자동소총 |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 |||||
권총 |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73, M.91K,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 |||
중기관총 | M.8, M.18, M.25 | |||||
대전차화기 | PIAT, M1, S-18/1100 | |||||
박격포 |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K | |||||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1891/30, M1938, М1944 | |||
레버액션 소총 | M1895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 ||||
대전차화기 |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F-1, RG-14/30, RGD-33, RG-42 | |||||
지뢰 | PMD-6M, PMD-7, PMD-57, POMZ-1 | |||||
냉병기 | M1927, M1942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 ||||
자동소총 | StG44C | |||||
기관단총 |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 |||||
권총 |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 |||||
화염방사기 | 플라멘베르퍼 42C | |||||
유탄 | M24C, M39C | |||||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4 Mk.I, C3,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Hi-Power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AR-7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 |||||
권총 |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4, L2A1 LMG, F89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FIM-43, Milan | |||||
무반동총 | L6, L14A1 | |||||
화염방사기 | No.2, M2A2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자동소총 | M16A1, IW Steyr | ||||
산탄총 | L32A1, L74A1 | ||||
기관단총 | Sten Mk.II, L2A1 SMG, Lanchester Mk I*, M1928A1, MP5 | ||||
권총 |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3, L2A1 LMG, C9 | ||
다목적기관총 | L7A2, L43A1, M60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L3A4,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1 | ||||
무반동총 | M40, L4, L14A1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L16A2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67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6.25 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Rifle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14, De Lisle Carbine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M3 Carbine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 |||||
권총 | Webley Mk.IV, Pistol No.2 Mk.I,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IV, Bren Mk.I/II/III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ESA, Browning M1919A4, Browning M2HB | |||||
대전차화기 | PIAT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 |||||
냉병기 | Fairbairn-Sykes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미국의 바주카와 나치의 대전차무기를 참고하여 RPG-1을 개발하긴 했는데 개발이 늦고 신뢰성과 화력에 문제가 있어서 실전을 못뛰었다.[2] 제7 구르카연대 소속 Ganju Lama의 사례로 추정되며 임팔 작전 때 PIAT로 중형 전차(아마도 치하) 3대를 격파한 공으로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을 수훈했다. 특이사항으로 인도인이다. (원래 영국은 구르카 대원을 네팔의 일부 부족 중에서 선발한다. 버마 전역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인력이 부족한 와중 네팔-인도 접경지에 사니 얼추 구색이 맞아 받아줬다.)[3] 해당 링크의 이라크 노획무기 창고 사진에서 중앙 좌측 위에 엄청 큰 스프링처럼 생긴게 보일텐데 저게 위에서 말하는 공이치기 스프링이다.[4] 그 다음 날에 판터 한 대가 지나가는데 단 한 발도 맞추지 못하고 놓쳤다.[5] FOW에서 무반동총은 후방 2"/5cm 내에 아군 보병 전투조가 있거나 실내에서는 발사가 불가능하며, 발사시 포연이 심하다는 이유로 은폐가 벗겨진다.[6] 적의 전차를 탈취해서 다른 장갑차량을 파괴 가능한 미션은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