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holla pistole 베홀라 권총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 ||
원산지 | 독일 제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5년~1945년 | ||
개발 | 베커 & 홀란더 | ||
개발년도 | 1915년으로 추정 | ||
생산 | 베커 & 홀란더 슈텐다 공업 아우구스트 멘츠 조병창 | ||
생산년도 | 1915년~1918년 | ||
생산수 | 45,000정 | ||
단가 | 41마르크 (베커 & 홀란더) 35마르크 (아우구스트 멘츠) | ||
사용국 | 독일 제국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오스만 제국| ]][[틀:국기| ]][[틀:국기| ]] 불가리아 왕국 리투아니아 왕국 핀란드 왕국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파생형 | 베커 & 홀란더 생산형 아우구스트 멘츠 생산형 레온하르트 아른슈타트 생산형 슈텐다 생산형 | ||
세부사항 | |||
탄약 | .32 ACP | ||
급탄 | 7발들이 박스탄창 8발들이 콜트 포켓 해머리스 탄창 | ||
작동방식 | 공이 직동식 블로우백 | ||
총열길이 | 75mm | ||
전장 | 140mm | ||
중량 | 640g | ||
탄속 | 276m/s | }}}}}}}}} |
[clearfix]
1. 개요
베홀라 권총은 1차대전 당시 동맹국이 사용했던 권총이다.
베홀라(Beholla)는 제조사 베커 & 홀란더(Becker & Hollander)의 앞 글자를 따서 합성한 명칭이다.
2. 상세
1차대전 당시 독일 제국은 루거 P08과 마우저 C96를 제식권총으로 채용했지만, 모든 부대에 지급하기에 생산량이 부족했다. 독일 군부는 드라이제 M1907, 마우저 M1910 등 여러 권총을 보조무기로 동원했고, 베홀라도 채용되었다.베홀라는 안정성과 정확성에 좋은 평가를 받았고, 군부의 승인을 받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1915년에서 1918년까지 약 45,000정이 생산되었다.
구조가 단순하고 은닉하기 용이한 동시대의 전형적인 .32 구경 권총이다. 전투용 권총보다 보조 무기로서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고, 무기 수요의 일부를 충족시켰다. 전후에는 민간시장에서 호신용으로 판매되었다.
3. 특징
공이 직동식 싱글 액션 화기로서 단순 블로우백 구조를 가지고 있다. 총열은 6조우선 강선으로 구성되었고, 강선홈은 8.5 ~ 9.6 인치 내외에서 형성되어 있다. 총몸의 도브테일 홈(dovetail groove)을 통해 총열이 결합되며, 약실 아래에 있는 총몸의 확장부를 통과하는 핀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드에는 측면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슬라이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총열 고정 핀과 축선이 일치하므로 도구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4. 생산 유형
베커 & 홀란더의 생산력으로는 군에서 요구하는 수량을 충족시키지 못한 까닭에 동일한 도면을 슈텐다 공업, 아우구스트 멘츠 등에 제공하여 발주를 맡겼다. 각 회사에서 생산된 모델들은 일련번호의 연속성은 유지했지만, 각인은 개별적으로 새겼다.4.1. 베커 & 홀란더
베커 & 홀란더의 초기 생산품은 「BH」로 디자인한 모노그램을 단단한 고무 그립에 새겨넣어 권총손잡이에 부착하였고, 후기 생산품은 톱니 모양의 나무 그립으로 대체했다. 슬라이더 좌측에는 화기종류, 제식명칭, 구경, 정부 승인이 순서대로 새겨있다.[1] 우측에는 제조사명, 전문 분야, 생산 지역이 각인되어 있다.[2] 이 중 D.R.P.(Deutsches Reich Patent) 각인은 베커 & 홀란더 제조 모델에만 있다.
모델 일련번호 No. 503, No. 774, No. 2012, No. 27463, No. 30003이 현존한다.
4.2. 아우구스트 멘츠
"멘타(Menta)"라는 독자적인 이름으로 생산되었다.
6조우선 강선은 베커 & 홀란더의 규격을 따르지만, 총몸 금형이 동일하지 않고 슬라이더 좌측에 「MENTA "KAL." 7.65」 각인만 확인되며 고무 그립도 디자인이 다르고 모노그램이 없다. 전쟁기간 동안 백 여정만 생산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모델 일련번호 No. 8915이 현존한다.
.25 구경 모델도 생산했다. 기존의 .32 구경과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슬라이드 뒤쪽에 새겨진 핑거 그립 홈의 갯수가 7개에서 5개로 감소했고 크기도 축소되었다. 모델 일련번호 No. 4863, No. 5347번이 현존한다.
4.3. 레온하르트 아른슈타트
베커 & 홀란더에서 측정한 강선홈 규격을 맞추었지만, 아우구스트 멘츠처럼 총몸 금형과 고무 그립의 디자인이 다르다.
초기 생산품은 고무 그립과 함께 슬라이드 좌측에는 「SELBSTLADE PISTOLE "Leonhardt"」 각인이 있고, 우측에는 「GERING & CO. ARNSTADT」라고 새겨져 있다. 후기 생산품은 모노그램이 없는 나무 그립을 권총 손잡이에 부착했고, 슬라이드 각인도 좌측에만 새겨져 있다.
레온하르트-아른슈타트에서 제조한 유일한 자동권총으로 대전 말기에 생산되었고, 모델 일련번호 No. 24281, No. 37963이 현존한다.
4.4. 슈텐다
1920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베홀라 권총에 대한 권리가 슈텐다 공업에 매각되었다.
슬라이더 좌측에는 「SELBSTLADE PISTOLS "BEHOLLA" CAL. 7.65 D.R.P.」 각인이 있고, 우측에는 「STENDA-WERKE, G.m.b.H. WAFFENBAU, SUHL」을 새겼다. 그립은 베커 & 홀란더의 디자인과 동일하다.
슈텐다의 독자적인 모델은 총기분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레버를 추가되었고, 해당 모델은 권총 손잡이 그립의 모노그램에 「ST」를 새겨 표시했다. 분해 레버의 특허가 승인된 이후 슬라이더 각인에 'BEHOLLA'가 삭제되었다. 그러나 베커 & 홀란더가 생산한 제품 일련번호의 연속성은 승계했다. 총열 강선은 6조우선을 유지했지만, 슈텐다의 후기 생산품은 총열 강선이 5조우선으로 바뀌었고 강선홈은 18.7 ~ 18.8 인치 내외로 형성되었다.
1920년대 중반 생산이 중단되었고, 정확한 생산수량은 파악되지 않았다.
모델 일련번호 No. 342190, No. 49781, No. 61747, No. 61907 No. 68959 및 일련 번호 미확인 표본 하나가 현존한다.
5. 기타
- 총기 애호가들은 베홀라가 리틀 톰 권총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리라 추정한다. 리틀 톰이 더블 액션 자동권총으로 해머격발 구조와 .25 및 .32 구경을 채용한 반면, 베홀라는 공이 직동식 싱글 액션 구조이며 .32 구경만을 채택하였고 탄창의 삽입방향도 다르지만, 스포츠 및 사냥용 엽총만을 제조했던 베커 & 홀란더가 기존의 제품군과 이질적인 자동권총을 생산할 수 있었던 데에는 리틀 톰의 외관과 구조 및 자동장전이라는 개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한다.
- 베커 & 홀란더의 초기 모델에는 D.R.P. 각인이 없다. 베홀라 생산에 다른 회사가 참여한 이후부터 첨부된 것으로 추정한다.
- 베홀라의 군 납품가는 베커 & 홀란더의 경우 41마르크, 아우구스트 멘츠는 35마르크로 확인된다.
- 다소 놀랍게도 동종 탄환을 쓰는 콜트 포켓 해머리스의 8발들이 탄창과 호환이 된다. 그러나 베홀라 권총의 7발들이 탄창은 구조적인 특징 탓에 콜트 포켓 해머리스의 권총 손잡이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
- 2차대전 당시, 철도 경호원들에게 소량의 베홀라 권총이 지급되었다.
6.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 |||
권총 |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G08/15, Vz.26, MG15nA, MG34 | |
중기관총 |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