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gotten Weapons의 M1907/15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M1916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M34 리뷰 영상
M1907/15 사격 영상
1. 제원
Fusils et mousquetons Berthier 베르티에 소총 | |
종류 | 볼트액션 소총 |
국가 | 프랑스 |
역사 | |
개발 | 에밀 베르티에 |
개발 년도 | 1887년 |
생산 | 생-테티엔 병기창 샤텔로 병기창 |
생산 년도 | 1890년~1945년 |
생산 수 | 2,000,000정 이상 |
사용 년도 | 1890년~1960년대 |
사용 국가 | 프랑스 나치 독일 터키 러시아 세르비아 그리스 이란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리프 전쟁 적백내전 제2차 세계 대전 |
파생형 | M1890 M1892 M1902 M1907 M1907/15 M1907/15 M16 M1916 M1934 |
제원 | |
구경 | 8mm 7.5mm |
탄약 | 8×51mmR 르벨 7.5×54mm 프렌치 |
급탄 | 3, 5발짜리 탄 클립 |
작동 방식 | 볼트액션 |
중량 | 3.1kg (Mle 1892) |
전장 | 945mm (Mle 1892) |
총열 길이 | 453mm (Mle 1892) |
탄속 | 640m/s |
2. 개요
Berthier기존의 르벨 M1886을 대체하기 위해서 프랑스의 철도 기술자 베르티에(Berthier)가 개발한 볼트액션 소총들을 일람하는 문서. 장전 방식 특징상 만리허-베르티에라고도 부른다.
3. 상세
르벨 M1886과 같은 8mm 르벨 탄을 이용하였으며, 한 발씩 집어넣는 튜브 탄창 대신에 한번에 전탄이 장전되는 만리허 소총과 같은 일괄(En-bloc)식 클립으로 장전하지만 3연발[1][2]이었던 탓에 일부 부대에서는 8발이 장전되는 기존의 르벨 소총을 계속 사용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도중에 5연발로 개량된 M1916이 제작되어 보급되었다.
당시 보병과는 달리 기병에게는 적합한 소총이었다. 르벨은 길고 튜브 탄창을 사용해서 말을 타고 있는 동안에는 장전하기가 번거로워 카빈화가 쉽지 않아 간신히 길이를 줄인 시제형만 등장하고 채택이 거부되었기 때문에, 베르티에는 기병과 포병, 헌병대, 식민지 부대가 사용하였고 점차적으로 르벨 소총을 밀어내게 되었다.
프랑스가 제2차 세계대전 초반에 붕괴되어 독일군에 점령당한 이후에는 상당수가 노획되어 대서양 방벽이나 동부전선의 후방에 배치된 독일군 부대에 지급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는 대부분의 베르티에 소총들이 퇴역했으나, 최소 1960년대 초에서 1980년대까지 외인 부대 및 해외 식민지 부대, CRS(공화국 보안대), 국경 수비대 혹은 법 집행 기관 등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4. 종류
- M1890
- M1892
- M1902
- M1907
- M1907/15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걔중에서는 쇼샤 탄창을 단 것도 있다.
M1907/15 M16.
카빈형 M1892 M16.
- M1916 (M1907/15 M16, M1892 M16)
- M1934 (M1907/15 M34)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16, M1907/15 M34, MAS-36 | ||
반자동소총 | RSC M1917, RSC M1918, | |||||
기관단총 | MAS-38, EMP35, 톰슨 M1928 | |||||
권총 | MAS 1873, Mle 1892, M10, M1907, 루비 권총, M1914, M19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09, CSRG M1915, M1918 브라우닝, M1922, M1926, FM 24/29 | |||
중기관총 | M1914, M1930, M1922, M1933, MAC 31, MAC 34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그리스 왕국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FN M1930, M1903, Mle 1874, M1886, Mle 1907/15, Mle 1892/M16, 리-엔필드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 |||||
권총 | 루비 권총, 나강 M1895, 베르크만 M1908, FN M1910/22, 콜트 오피셜 폴리스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쇼샤, M1922, M30,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1914, M1926, Mle 1907, MG M.07/12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브랑 M27/31 | }}} |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 ||||||
자동소총 | FAMAS F1, SG540, M2 카빈, M16A2 | ||||||
기관단총 | MAS-38, MAT-4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P40, Mini Uzi, MP5A3 | ||||||
산탄총 |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 ||||||
권총 |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MAS G1, 마뉘랭 MR73, M686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22, M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 ||||
중기관총 | M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로켓발사기 | M1A1, M9A1, M20, LRAC F1, RAC-112 APILAS | ||||||
미사일발사기 | MILAN, Eryx, Mistral | ||||||
무반동총 | M40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22, M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