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데스티니 시리즈의 가상의 전쟁}}}에 대한 내용은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데스티니 시리즈의 가상의 전쟁: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리프 전쟁(데스티니 시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 전쟁·분쟁 | 교전국 | |
<colbgcolor=#c60b1e> 이탈리아 전쟁 ,1495 ~ 1559, | <colbgcolor=#fff,#191919> | ||
프레베자 해전 ,1538, | | ||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 | ||
몰타 공방전 ,1565, | | ||
레판토 해전 ,1571, | | ||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 | ||
30년 전쟁 ,1618 ~ 1648, | | ||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 | ||
포르투갈 독립 전쟁 ,1640 ~ 1668, |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640-1667).svg 포르투갈 왕국 | ||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 | ||
9년 전쟁 ,1688 ~ 1697, | |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 | ||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 |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 |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 | ||
7년전쟁 ,1754 ~ 1763, | | ||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 | ||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 | ||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 | ||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1808 ~ 1833, | | ||
멕시코 재정복 시도 ,1821 ~ 1829, | | ||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 | ||
스페인-모로코 전쟁 ,1859 ~ 1860, | | ||
도미니카 복원 전쟁 ,1863 ~ 1865, | | ||
친차 제도 전쟁 ,1865 ~ 1866, | | ||
쿠바 독립전쟁 ,1895 ~ 1898, | | ||
필리핀 혁명 ,1896 ~ 1899, | | ||
미국-스페인 전쟁 ,1898, | | ||
리프 전쟁 ,1921 ~ 1926, | | ||
독소전쟁 ,1941 ~ 1944, | | ||
이프니 전쟁 ,1957 ~ 1958, | | ||
녹색행군 ,1975, | | ||
걸프 전쟁 ,1990 ~ 1991, | | ||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6, | | ||
코소보 전쟁 ,1999, | | ||
이라크 전쟁 ,2003 ~ 2017, | | ||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 | }}}}}}}}} |
전간기(1918~1939) | ||
{{{#!wiki style="min-height: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666, #000);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22><colcolor=#fff> 주요 사건 | |
제1차 세계 대전의 끝 (1918~1920) | 부쿠레슈티 조약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 · 뇌이 조약 · 트리아농 조약 · 생제르맹 조약 · 베르사유 조약 | |
전간기 초기 (1918~1931) | 러시아 내전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외몽골 출병 · 카프 폭동 · 로마 진군 · 루르 점령 · 메멜 점령 · 리프 전쟁 · 뮌헨 폭동 · 독일-폴란드 무역 전쟁 ·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 로카르노 조약 · 국민혁명(제1차 국공합작) · 황고둔 사건 · 켈로그-브리앙 조약 · 대공황 · 런던 해군 군축조약 | |
만주사변 (1931~1933) | 만주사변 · 제1차 양광사변 · 나카무라 사건 · 만보산 사건 · 제3차 초공작전 · 류탸오후 사건 · 천진사변 · 영월합작 · 진저우 침공 · 사쿠라다몬 의거 · 마옥산 사건 · 제1차 상하이 사변 · 훙커우 공원 의거 · 송호정전협정 · 이시모토 사건 · 열하사변 · 당고정전협정 | |
나치당 집권 후 (1933~1939) | 복건사변 · 라이히스탁 방화 사건 ·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신강 침공 · 영국-독일 해군조약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스페인 내전 · 라인란트 재무장 · 제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 · 수정의 밤 · 오스트리아 병합 · 하산 호 전투 · 뮌헨 협정 · 슬로바키아-헝가리 전쟁 | |
중일전쟁 (1937~1939) | 루거우차오 사건 · 상하이 전투 · 난징 전투 · 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트라우트만 공작 | |
국제 기구 | ||
}}}}}}}}} |
▲리프 공화국의 영역
1. 개요
리프 전쟁(Rif War, Guerra del Rif)은 모로코 베르베르인들이 건국한 리프 공화국이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기 위하여 1921년부터 1926년까지 스페인과 프랑스를 상대로 벌인 전쟁이다. 전간기 시절 북아프리카에서 있었던 전쟁 중 가장 큰 전쟁이기도 하다.스페인 프랑스 연합군은 이 전쟁에 수십만 대군을 동원했고, 당시 최첨단 무기였던 전차, 전투기, 독가스까지 사용했다. 베르베르인들이 격렬히 저항한데다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수많은 피해를 낳았다.
2. 전개
2.1. 전쟁 초기 스페인의 대패와 리프 공화국의 수립
중세부터 꾸준히 있었던 스페인과 모로코의 분쟁은 19세기 이후 스페인의 모로코 간섭과 식민지배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아메리카 식민지와 필리핀을 잃은 스페인은 마지막 남은 아프리카 식민지만큼은 반드시 지키려 했으며[1] 열강의 다툼으로 모로코 위기가 발생해 모로코 전체를 식민화하는데는 실패했지만 프랑스와 밀약을 체결하여 모로코 일부를 보호령으로 삼는데는 성공했다. 이후 스페인은 보호령이던 모로코를 식민화하는데 성공, 스페인령 사하라와 스페인령 모로코를 설치하였으며 이곳들에 강압적인 통치를 실시했다.이에 분노한 모로코인들과 베르베르인들은 여러 차례 봉기를 일으켰다. 봉기는 진압되었지만 스페인군을 크게 고전시킨 리프 지역의 베르베르인들은 자신감을 갖고 더욱 거세게 봉기를 일으켰고, 위기감을 느낀 스페인은 마누엘 실베스트레 장군을 총대장으로 하여 모로코인 협력군인인 아스카리, 그리고 스페인 외인부대를 중심으로 한 2만여명 규모의 병력을 편성해 베르베르인을 완전히 소탕하려고 했다. 당시 지휘관 중에는 훗날 스페인 총통이 되는 프란시스코 프랑코도 있었다.
이에 리프 지역 베르베르인들은 3천명의 부족 병사들을 동원, 지휘관으로 아브드 엘 크림을 임명했다. 엘 크림은 교사 출신으로 스페인어에 능통했고 유럽인들과의 오랜 접촉으로 서구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아누알 전투에서 실베스트레 장군이 이끄는 스페인군 주력은 기세좋게 진격했지만 엘-크림의 매복에 당해 섬멸하고 말았다. '아누알의 재앙'으로 불리는 이 전투에서[2] 실베스트레 장군은 패주 중에 실종됐고 나머지 지휘관인 펠리페 나바로와 가브리엘 모랄레스는 포로로 잡혔다.[3]
리프 부족군의 대승에 모로코에서는 반 스페인 운동이 크게 일어났고 수많은 주변 부족들과 모로코인들이 열정적으로 리프에 가담했다. 이윽고 리프군은 8만에 달하는 대병력으로 성장했고 곧 멜리야와 인근 스페인령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까지 진격했지만 도시를 함락시키는 데는 실패하고 퇴각했다. 이는 멜리야로 진격할 즈음 이미 엄청난 성과로 리프(Rif) 부족들간 동맹이 느슨해진 것도 있었고 보급선 문제도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엘크림은 그 뒤로도 멜리야를 함락시키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했다고 한다. 스페인으로서는 그 사이에 호세 산후르호(Jose Sanjurjo)의 36,000명 원군이 도착하여 동부지역은 지켜낼 수 있었다.
어쨌든 3개월 간 이 압도적인 전과로 인해 리프 부족은 1920년 9월 18일 리프 공화국을 세우고 아브드 엘크림을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리프 공화국은 서구 제국주의에 반감을 가지던 소련으로부터 국가로 승인을 받아 물자 원조를 약속받는 등 국가로서의 체제를 신속하게 갖추어 갔다. 반면 스페인은 대폭적인 증원을 파견해 공세로 전환했지만 셰프샤우엔 전투에서 또다시 대패하고 모로코에서 전면 철수의 위기까지 몰렸다.
2.2. 프랑스의 참전
한편 스페인과 리프 공화국간의 전쟁을 관망하던 프랑스는 예상 외로 스페인이 대패하고 고전하자 프랑스령 모로코와 프랑스령 알제리에도 이 같은 반식민지 운동이 번질 것을 우려했다.이에 1924년 프랑스군이 전선의 국경부대를 동원해 스페인을 돕기 시작했고 아브드 엘크림은 1925년 프랑스령 모로코를 공격하여 프랑스측으로 하여금 많은 사상자를 내게 했다. 이에 격분한 프랑스측은 무려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 필리프 페탱을 사령관으로 삼아 프랑스 외인부대를 비롯한 대규모 병력을 총동원하여 참전했고 스페인에도 압도적인 군수품 지원을 퍼부어서 다시 공세를 재개하도록 지원했다.
프랑스군은 6만~15만에 달하는 대병력을 동원했다. 스페인도 15만 이상의 병력과 1차 대전 당시 개발되어 전간기에 완료되었던 최첨단 탱크, 항공기까지 동원했으며 그래도 리프 공화국군이 격렬히 저항하자 독가스 공격도 퍼부었다.
이후 1925년 9월 스페인군은 프리모 데리베라의 지휘 하에 리프 공화국의 수도 악스디르 근처였던 알 호세이마(Al Hoceima)에 대규모 상륙 작전을 개시하여 리프 공화국군을 분쇄하고 교두보를 확보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이끄는 스페인 외인부대 병력은 리프 공화국군과의 격렬한 전투를 치렀고 이때 겨자가스 공격으로 다시 리프군을 격퇴했다.
스페인군은 알 호세이마(Al Hoceima) 상륙작전 당시 에스파냐급 드레드노트 전함 2척과 르노 FT 전차를 투입하는 동시에 수상기 모함에서 발진한 함재기까지 동원해 폭격을 가했는데 이는 최초로 육해공이 단일지휘 하에 전개된 상륙작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때 프랑스군도 쿠르베급 전함 파리와 해군 보병 대대를 파견해 지원했다.
2.3. 상륙 작전
최고 사령관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Miguel Primo de Rivera : 1870~1930) 대장은 손발을 맞출 지상군 지휘권을 호세 산후르호(José Sanjurjo : 1872~1936) 소장에게 맡겼다. 작전 본부는 스페인 기함인 알폰소 13세(Alfonso XIII)에 설치되었는데, 이 전함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합동 작전에 참여하는 육해공군의 활동을 조율하는 주요 지휘통제소 역할을 수행했다. 알폰소 13세는 자매함 하이메 1세(Jaime I)와 프랑스의 쿠르베급 전함 파리(Paris)의 지원을 받아 함포 사격으로 지상군을 지원했다. 스페인 순양함 블라스 데 레조(Blas de Lezo), 멘데스 누녜즈(Mendez Nuñez), 빅토리아 에우헤니아(Victoria Eugenia), 레이나 레장테(Reina Regente), 그리고 프랑스 경순양함 스트라스부르(Strasbourg)와 메츠(Metz)가 합류했다. 만 바로 앞에 있는 알후세마스 섬(Alhucemas island)의 스페인 요새는 리피아(Rifia) 진지를 향해 24문의 함포와 곡사포, 그리고 2문의 박격포로 4시간 동안 맹렬한 포격을 퍼부었다.지상군 지원을 위해 투입된 항공기는 합계 162대였으며, 스페인 육군의 브레게 19(Breguet XIX) 경폭격기와 브리스톨 F.2(Bristol F.2) 전투기, 포테즈 15(Potez XV) 정찰기에 더해 스페인 해군의 마키 M.24(Macchi M.24)와 수퍼마린 스캐럽(Supermarine Scarab) 비행정, 그리고 프랑스의 파르망 골리앗(Farman F.65 Goliath) 수상기가 가세했다. 스캐럽 비행정은 수상기모함 데달로(Dédalo)에 실려 운반되어 왔고, 마키 M.24는 전투 지역에서 동쪽으로 70 km 떨어진 부아레그(Bou Areg) 석호에서 출격했다. 데달로는 또한 항공지원과 포병 관측의 이중 임무에 사용될 비행선과 관측 기구도 탑재하고 있었다.
2.4. 쿠디아 타하르 포위전
분리주의 지도자인 아브드 엘 크림(Abd el-Krim : 1882~1963)은 스페인군이 세우타(Ceuta)와 멜리야(Melilla)에서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상륙 작전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수했다. 그는 보호령의 수도인 테투안(Tetouan) 주변의 스페인 방어선에 불시의 타격을 가하기 위해 부사령관이자 전 라이술리 지지자인 아흐메드 엘 에리로(Ahmed-el-Heriro)를 테투안에 급파했다. 이 계획은 테투안 바로 남쪽 산맥의 에스텔라 방어선을 돌파하여 배후를 쳐서 도시 정복의 문을 여는 것이었다.그 지역에서 가장 선진적인 전초기지는 마르틸 강(Martil river)에서 남쪽으로 6 km 떨어진 쿠디아 타하르(Kudia Tahar) 요새였다. 이곳은 아라곤(Aragon)과 카탈루냐 군대를 방어하면서 75mm 산포 부대의 지원을 받고 있었다. 1925년 9월 3일부터 공격이 시작되었고, 쿠디아 타하르는 금새 포위되었다. 리피안의 격렬한 공세로 프리모 데 리베라는 알후세마스에서 군단과 정규군을 세우타로 돌려보내만 했다. 그 순간 브레게 19 경폭격기 16대의 지원을 받은 이 부대는 9월 13일에 스페인 진지를 구원했다. 공군력이 없다시피 했던 리피안 군대는 손쓸 사이도 폭탄과 기총소사에 막대한 사상자를 남기며 패주하고 말았다.
2.5. 종결
수도 악스디르의 함락으로 더 이상 항전이 힘들다고 판단한 아브드 엘크림은 최후의 희망을 걸고 테투안 시에 대공세를 가했으나 결국 도시 함락에 실패하고 전력을 소진한 리프 공화국군은 재기불능 상태에 빠졌다.결국 1926년 5월 아브드 엘 크림은 원래의 적이던 스페인이 아닌 프랑스에 항복하기로 결정하고 무장해제에 응했다. 프랑스 정부는 점령한 모로코 지역에 대해 스페인의 지배권을 인정했지만 아브드 엘 크림을 넘기라는 요구는 거절하고 그를 레위니옹 섬에 유배시켰다.[4]
막대한 희생을 낸 리프 전쟁을 끝으로 모로코는 사실상 스페인과 프랑스의 식민지로 전락했다.
3. 여담
제1차 세계대전과 리프 전쟁에서 보여준 독가스의 위력에 1925년 6월 국제연맹 이사회의 주관으로 독가스 사용을 금지한 제네바 의정서가 작성되어 1928년 발효되었다.[5] 그러나 이후에도 몇몇 국가들은 화학무기를 계속 비축해 두었다 특히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독가스를 살포하여 전시 독가스 금지규정을 어긴 첫 국가가 되었다. 그나마 다행히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비축된 화학무기들이 쓰이는 일은 없었다. 다만 일본은 화학산업과 공군력이 미비한 중화민국에게 마음껏 퍼부었다.리프 공화국은 오늘날 모로코의 공화주의 운동인 신 리프 공화국 운동의 모티브가 되었다.
아브드 엘크림의 게릴라 전술은 당대의 게릴라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고 스페인 내전 당시 게릴라들의 전술로 이어졌다. 여기서 다시 후대의 파르티잔에도 영향을 줘 현대적 게릴라 전술을 완성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받고 있다.
여기서 전투 경험을 쌓은 프란시스코 프랑코와 그가 지휘한 스페인 아프리카 군단은 사실상 유일한 실전 경험을 보유하여 스페인 군부 내에서 일종의 자체적인 파벌을 형성했고 이는 이후 프랑코가 권력을 잡고 스페인 내전에서 활약하는 기반이 되었다.
4. 매체
리프 전쟁을 다룬 대표적인 영화로 프랑스 외인부대를 다룬 1977년작 March or Die가 있는데 대한민국에는 라스트 부루맨이란 제목으로 나왔다. 테렌스 힐, 진 해크만이 나온다. #, 전투 장면1998년작 영화 리전에어도 리프 전쟁을 다뤘다. #
영화 미이라 오프닝에 나온 하무납트라 전투도 배경은 이집트지만 영화 라스트 부루맨의 오마주다. #
스페인 내전을 다룬 영화 판의 미로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스페인 내전에서 활약하고 프랑코 정권의 군부에서 공화파 게릴라를 소탕하는 메인 빌런 비달 대위의 아버지가 리프 전쟁에서 전사했다는 설정이다.
2017년 스페인에서 제작한 넷플릭스 12부작 드라마 '전쟁의 시대'가 리프 전쟁 당시 야전병원에서 활약한 간호사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2022년 2월 15일부로 한국에서 서비스가 종료되어 볼 수 없다.
[1] 특히 모로코는 스페인과 밀접한 곳이라 스페인은 모로코에 대해 기필코 영향력을 행사하기 원했고, 스페인과 국경을 맞댄 이웃 국가 프랑스도 스페인을 모로코에서 아예 배제하고 자기들만 모로코를 집어삼키는것은 불가능하다는것을 인식하고 있었다.[2] 리프 군대는 3천 중 800명 사상, 반면 스페인군은 2만 중 13,192명 사망.[3] 아누알 전투의 패배와 엉망이었던 뒷처리는 보르본 왕조 폐지와 스페인 내전의 원인이 됐을 정도로 그 충격이 컸다. 총리와 대립하며 스페인 정계에서 강경파에 직접 힘을 실어 줬던 알폰소 13세는 이 전투의 여파로 정치적 인기를 급격히 잃었고 이 상황에 이어서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 장군의 쿠데타가 일어났다.[4] 아브드 엘 크림은 이후 20년 넘게 유배를 당하다 2차 대전 이후 풀려나 아프리카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후 북아프리카의 식민지 해방에 대한 활동을 이어갔고, 1956년에는 모로코가 1962년에는 알제리까지 독립하는 모습을 지켜본 뒤. 그 다음 해 숨을 거두었다.[5] 정식 명칭은 “질식성, 독성 또는 기타 가스 및 세균적 전쟁수단의 전시사용 금지에 관한 의정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