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제국 관련 틀 | |||||||||||||||||||||||||||||||||||||||||||||||||||||||||||||||||||||||||||||||||||||||||||||||||||||||||||||||||||||||||||||||||||
|
대영제국 British Empire | ||
국기(1707년~1801년) | ||
국기(1801년 이후)[1] | 국장(1952년 이후)[2] | |
Dieu et mon droit 신과 나의 권리 | ||
상징 | ||
국가 | God Save the King/Queen | |
지도 | ||
▲ 1921년 당시 최대 강역 | ||
1607년[3] ~ 1997년[4] | ||
성립 이전 | 해체 이후 |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영연방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8102e; font-size: .8em" [[영연방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51d; font-size: .8em" | |
영연방 미가입국 {{{#!wiki style="margin: 0 -10px -15px; min-height: 40px" {{{#ffd51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미국 | |
아일랜드[탈퇴] | ||
이집트 | ||
[[수단 공화국|{{{#ffcc33 수단}}}]] · [[남수단|{{{#ffcc33 남수단}}}]] | ||
네팔 | ||
부탄 | ||
미얀마 | ||
사우디아라비아 | ||
이라크 | ||
아랍에미리트 | ||
요르단 | ||
예멘 | ||
쿠웨이트 | ||
카타르 | ||
바레인 | ||
리비아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
짐바브웨[탈퇴] | ||
오만 |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
에리트레아 | ||
중화인민공화국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82b10; font-size: .8em" | }}}}}}}}} | |
지리 | ||
위치 | <colcolor=#000,#fff>영국 본토와 그에 부속된 전 세계의 식민지 | |
수도 | 런던 | |
면적 | 35,500,000km2 (1920년 기준)[7] | |
인문환경 | ||
인구 | 458,000,000명(1920년) 550,398,825명(1939년)[8] | |
공용어 | 영어 | |
종교 | 개신교(주로 성공회[9]), 가톨릭, 힌두교, 이슬람교, 불교 등 | |
민족 | 영국인, 아일랜드인,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캐나다인, 호주인, 이집트인, 말레이시아인 등 | |
정치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식민제국 | |
국가원수 | 영국 국왕[10] | |
정부수반 | 영국 총리 | |
주요 국왕 | 빅토리아 여왕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 | |
주요 총리 | 벤저민 디즈레일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램지 맥도널드 네빌 체임벌린 윈스턴 처칠 클레멘트 애틀리 마거릿 대처 토니 블레어 | |
경제 | ||
통화 | 파운드 스털링 |
[clearfix]
1. 개요
17세기[11]부터 20세기까지 존속한 영국과 영국 치하 식민지를 부르던 호칭.[12] 1607년 최초의 13개 식민지 건설을 시작으로 1997년 홍콩 반환까지 지구상의 모든 대륙에 걸쳐 있던 식민제국으로서의 영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앵글로색슨 제국이라고도 부른다.[13] 참고로 영어 명칭 'British Empire'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엘리자베스 1세의 웨일스인 신하 존 디(John Dee)라고 알려져 있다.미국과 소련의 냉전 시대 이전에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5대양 6대주에 걸쳐 모든 문명권에[14] 영향력을 행사했던 인류 역사상 최초의 초강대국이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 승전 직후 최전성기에는 패전국의 식민지까지 이어받아 전 세계 육지 면적의 1/4과 전 세계 인구의 1/6을 보유했으며, 영토 면적으로는 세계 최대[16][17], 인구 수로도 당대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하면 보편적으로 가장 먼저 떠올리는 국가이다.
2. 위상
We are not interested in the possibilities of defeat; they do not exist.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엔 관심 없습니다.[18]
빅토리아 여왕, 1899년 제2차 보어 전쟁에 대해
대영제국은 나폴레옹 전쟁 승리 이후 지배적인 강국으로 부상하여[19][20] 빅토리아 시대(19세기 중엽)[21]에 그 세력과 영향력이 전 세계에 달해 세계 패권국에 이르렀다.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엔 관심 없습니다.[18]
빅토리아 여왕, 1899년 제2차 보어 전쟁에 대해
흔히 '대영제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영국 정부가 썼던 공식 국명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영국과 영국이 지배하는 식민지들을 통칭하기 위해 편의상 붙여진 명칭이다.[22] 영국 국왕은 영국령 인도(인도 제국)에 한하여 황제 지위를 겸했을 뿐, 통합된 국가의 수장을 지칭하는 명칭은 어디까지나 국왕이었다. 서양에서는 칭제 이후 정통성 차원에서 옛 로마 제국과 어떻게 해서하도 연결점을 어떻게든 만들어서라도 주장해야 했는데[23] 대영제국은 해당하지 않는다.
전성기 대영제국의 대항마로 꼽혔던 것은 전반기는 프랑스 식민제국, 후반기는 러시아 제국이 꼽혔지만, 전자는 7년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등 여러 사건을 거쳐 결국 영국이 명확하게 우세를 차지했고,[25] 후자는 그레이트 게임으로 불리는 패권 경쟁을 했지만 영국이 국력에서 우세한 상황 하에서 러시아의 거대한 영토와 인구, 군사력의 잠재력을 감안해 미리 대비해 견제한다는 성격이 강했다.[26] 20세기 초에 신흥 열강으로 떠오르던 미국도 영국의 잠재적 적국으로 간주하고 미국에 대한 견제 정책을 수립하려 했으나[27], 또 다른 열강 독일 제국이 급부상하는 바람에 당장 유럽에서 패권 경쟁을 벌이느라 바빠 지원을 얻으면 얻었지 미국을 견제할 상황이 아니었다.
대영제국은 현대 문명의 형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다. 대영제국은 영어[28], 민주주의[29], 자본주의[30], 시간대[31], 산업 혁명[32], 스포츠[33], 정장 등 수없이 많은 오늘날의 인류의 보편 문화를 만들어 놓은 엄청난 문화력과 산업력을 가졌고, 또 그것을 실현 가능하게 했던 실행력과 국력을 가졌다. 당시 대영제국이 건드리지 않은 국가가 거의 없었기에, 현대의 보편 문명을 전 세계에 전파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현대 세계의 여러 방면의 표준이 영국식이 된 것도 바로 대영제국의 영향력 때문이다.[34]
당장 이들의 언어인 영어가 현재 국제어 노릇을 하고 있으며, 세계의 시간 체계는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원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의 복식인 양복이 전 세계의 정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산업, 사상, 정치, 군사 등등 현대 문명의 기준이 된 것들 중 상당수가 대영제국에서 만들어져 확산되었다.
그나마 영향이 적다고도 할 수 있는 음식 분야에서마저도, 커리가 지구 반바퀴를 돌아 카레로 변하게 하거나 차 문화를 세계적으로 퍼트리는 등, 이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영역은 하나도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대영제국이 직접 건드리지 않은 국가들도 결국 영국의 영향을 받은 다른 국가들과 교류를 하거나 침략을 당했기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으니 가히 전 세계가 대영제국의 영향을 받았다고 봐야 한다.
반면에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는데, 특히 서아시아나 아프리카의 분쟁에 꽤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사례만 봐도 팔레스타인 문제, 예멘 내 남북 갈등, 이집트-수단 국경 분쟁(비르타윌 문서 참고), 로힝야족 및 카렌, 카친족 분리독립 문제, 과테말라-벨리즈 영토 분쟁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농담 삼아 현대 세계의 분쟁의 원점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십중팔구 영국과 연결된다는 농담 아닌 농담이 나올 정도다.
현재는 영연방이라는 회원국 간 외교 기구로 바뀌었다. 영연방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연합왕국, United Kingdom)과 자치령(Dominion)[35] 정부 간 연합 조직으로서 출범했다. 본래 대영제국(British Empire)은 본토인 영국(연합 왕국)이 다수의 자치령, 식민지 등을 거느리는 형태였지만, 1차 대전 때 영국을 도와 피 흘려 싸운 자치령들이 그 전보다 많은 권한을 달라고 요구, 영국 정부가 1931년에 웨스트민스터 헌장으로 그 요구를 수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자치령들이 외교권, 군사권까지 자체적으로 가지게 돼 사실상 독립국[36]이 되었는데(물론 일부 권한은 예외적으로 영국이 계속 가지고 있기도 했다[37]), 이들이 완전히 남남이 되는 건 아니었으므로 영국과 자치령들의 입장을 조율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영연방을 창설하게 되었다. 물론 대영제국 시절 식민지였던 이집트, 수단, 짐바브웨 같은 국가들은 일부 빠지고 타국 식민지이던 모잠비크, 카메룬(다수지역) 등이 영연방으로 들어오며 구성국과 그 형태는 사뭇 달라졌다. 자세한 것은 영연방 문서 참조.
3. 대영제국의 부흥과 해체, 미국의 시대로
대영제국은 대항해시대 후발 주자로 시작하여 명예혁명 이후 18세기에 1707년 그레이트브리튼 연합 왕국이 탄생하여 주요 해상 열강의 반열에 이르고 7년전쟁 이후 서구의 주요 강대국으로 등극해 최강대국으로 서서히 부상하기 시작하며, 산업 혁명과 영란전쟁, 트라팔가르 해전, 나폴레옹 전쟁 이후 라이벌이던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제국, 프랑스 제1제국을 물리치고 전후 빈 체제에서 영국 중심의 서유럽의 패권과 질서를 확립해 전 세계 바다 패권을 확실히 하였다.비록 영국은 가장 중요한 식민지였던 미국을 상실했으나 여전히 캐나다와 벵골 등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국은 1788년 제임스 쿡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발견한 호주를 식민화하고 나폴레옹과의 투쟁 과정에서 세계 각지에서 수많은 거점을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새롭게 구성된 제2차 식민 제국으로 불리는 대영제국의 중심은 동인도 회사가 직접 통치하기 시작한 인도였다. 나폴레옹 전쟁을 끝낸 워털루 전투 (1815년) 이후부터는 증기선과 전신 등의 새로운 기술을 통해 전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이후 대영제국은 19세기 빈 체제 Pax britannica(1815~1914)에 온 세계 바다를 독점하여 특히 빅토리아 시대에 지구 반대편 동양의 거대한 제국이었던 청나라까지 박살내면서 그 위상과 위엄, 국력은 절정을 맞고 전 지구적으로 세를 과시하였으며, 쇠퇴는 20세기 전체에 걸쳐 서서히 이루어졌다. 아니, 어쩌면 대영제국의 '쇠퇴'라는 표현보다는 그저 영국이 미국의 영향력과 체제하에 종속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옳은 표현일 지도 모른다. 어떤 측면에서 그것은 살아남았고 대영제국과 영연방의 흔적은 오늘날까지도 상당 부분 현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콩, 싱가포르, 카리브해 버뮤다 버진아일랜드 등 해양 휴양지, 전 세계 대양 곳곳 영국과 미국의 해군 기지 섬들과 해상 패권, 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의 영연방 왕국과 인도 등 구 식민지들이 함께하는 영연방이라는 국제기구가 존재하며 스포츠(축구)나 영문학(셜록 홈즈, 셰익스피어, 해리 포터 등) 등 그것의 교류 흔적과 문화적 영향력(소프트파워)과 금융 지배력은 유지되어 오늘날까지도 이러한 지역과 국가들에 영국과 미국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까지도 영국의 소프트파워나 가치는 범세계적이다.
빅토리아 시대가 마무리되어 20세기에 접어들 무렵, 영국은 산업혁명이후 패권을 잡은 19세기 초-중엽 이래 1890년대~1900년대부터 영국의 질서에서 탄생해 자라온 독일 제국과 아메리카 대륙에서 서쪽으로 팽창하며 커온 미국의 도전에 직면하기 시작했다. 제2차 산업 혁명이후 영국은 산업 분야와 과학기술 분야의 상대적, 절대적 우위를 점차 잃어가기 시작했으며 군사, 경제, 산업, 과학 분야에서 부강해져 오던 두 국가와 건함 경쟁등을 맞이한다. 영국의 해상 패권에 도전해오던 두 경쟁자 사이에서 영국은 유럽에서 독일을 억제하고 미국에게 서반구에서 양보를 하는 쪽을 선택하였다. 그렇게 영국은 영-미 베네수엘라 위기, 파나마 운하 양보, 알레스카 국경분쟁 양보 등 미국에게 캐나다, 서반구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한 발 양보하고 유럽에서의 전열에 집중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로 팽창된 유럽 열강 세력들은 제1차 세계 대전이라는 대충돌을 맞이한다. 1차 대전의 여파로 대영제국과 서유럽 중심의 국제 질서는 본격적으로 한 차례의 쇠퇴를 맞이한다.
세계대전에 따른 전쟁 특수는 미국에 막대한 채무를 지며 사실상 파산 상태[39]에 들어갔으며 많은 자국의 젊은 인재들이 전장에서 희생되었고, 미국의 GDP가 대영제국의 전체 GDP, 뉴욕의 증시가 런던과 유럽 전체의 증시 총합을 확연히 추월하도록 만들어 주었으며,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을 통해 영국의 절대적인 해상 패권이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40] 금 보유량 역시 영국과 유럽에서 상당 부분이 미국으로 넘어가 기축 통화였던 파운드 스털링의 지위와 지분이 상당 부분 미국의 달러로 이전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여기서부터 이미 대영제국의 패권은 하락세였다. 1차 대전 이후 늘어난 영토 규모는 겉보기에 불과할 뿐, 영국 중심의 해군 우위, 금융과 무역 질서가 붕괴되고 제국의 내부는 망가졌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 미국발 사상인 민족자결주의에 의해 제국의 내부가 와해되기 시작하였고 영국의 제국주의 가치와 사상, 대영제국의 존립의 정당성이 심각하게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그에 더해 미국발 대공황에 의해 전후 영국이 주도하던 국제 경제 시스템과 런던의 금융 중심지로서의 역할과 권위가 사실상 붕괴되었으며, 1930년대부터 국제 금융 영향력[41], 과학과 학술의 중심지의 이동[42][43], 1930년대 노벨상 수상급 업적과 학술의 양적 및 질적 아웃풋 등의 부분에서 미국이 서유럽 과학 강국을 서서히 웃돌기 시작하고 있다는 점 등이 있다.[44] 웨스트민스터 헌장, 신인도통치법등 영국의 국력이 이미 한계에 달해 지속적인 대영제국의 세력 퇴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보아, 대영제국의 시대는 이미 저물어가고 있으며 세계의 중심이 미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국제 정세는 분명히 있었다.[45]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재임기, 대공황과 뉴딜정책,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미국은 영국의 국력과 영향력, 글로벌 리더십을 완전히 추월하고[46] 대영제국의 세계적 영향력을 흡수했다.[47][48]
2차 세계대전 시기, 히틀러 주도의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자, 영국도 이를 좌시하지 않고 1939년에 독일에 전쟁을 선포하며 제2차 세계대전에 참가하였다. 1940년에는 윈스턴 처칠이 총리직에 올랐고, 내각을 이끌고 전쟁을 지속해나갔다. 다만 개전 초기에는 프랑스 등의 동맹들이 나치에게 쓸려나가며 홀로 외로운 전쟁을 계속하였으나, 처칠 총리가 산업을 독려하고 과학자, 기술자들에게 정부를 지지해줄 것을 호소하면서 점차 전세가 역전되기 시작하였다. 1940년에는 왕립 공군이 영국본토방공전에서 독일의 루프트바페를 상대로 영공을 수호하는 데에 성공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런던 등을 포함한 시가지가 엄청난 폭격을 당했다. 1941년에는 영국과 미국, 소련이 대동맹을 맺었고, 점차 나치를 포함한 추축국을 상대로 대대적인 반격전에 나서며 유럽, 대서양,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등에서 엄청난 격전을 벌였다. 영국군은 1944년에 실시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유럽을 나치 치하에서 해방시키며 상당한 군공을 세웠다. 영국군은 유럽뿐만 아니라 미얀마, 태평양 등에서도 활약하였으며, 영국 태평양함대는 태평양에서 일본 함대와 맞서 싸우기도 하였다. 또한 영국 출신 과학자들은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가하며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이끌어내는 데에 일조하였다.
2차 세계대전 시기동안, 영국은 미국, 소련, 중국과 함께 세계의 4대 강대국 측에 들었다. 이들은 전후에 세계평화와 신세계질서 구축을 위하여 국제연합을 창설하였고, 안전보장이사회의 상임이사국 지위를 얻었다. 또한 IMF, 세계은행, 북대서양 조약 기구 등 세계의 한 축을 담당하는 국제기구들을 설립하였다. 영국은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으로 인하여 국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었고, 이 때문에 미국 주도의 경제재건프로그램인 마셜 플랜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대전이 끝난 이후 노동당이 이끄는 정부가 급진적인 개혁 정책들을 펼쳤고, 사회 전반을 바꾸기 위하여 막대한 노력을 기울였다. 수많은 주요 산업들과 자원들이 국유화되었고, 복지국가의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거대한 규모의 국민복지제도가 설립되었다. 한편 해외 식민지들 사이에서는 점차 민족주의가 대두하였고, 한창 영국이 전쟁으로 약화된 틈을 타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하였다. 결국 영국은 어쩔 수 없이 이들을 독립시킬 수밖에 없었고, 1947년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이후 30여 년 동안 대영제국의 거의 모든 식민지들이 독립을 얻어내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영국의 지원 하에 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들은 독립 이후에도 영국 주도의 코멘웰스에 가입하였고, 일부는 심지어 영국 국왕을 최고 국가원수로 모시기도 한다.
2차 대전이 마무리될 무렵까지도 대영제국은 세계 주요 강대국(BIG 3, 미국-영국-소련) 중 하나였고 오히려 국제적인 영향력은 연합국의 나치 독일에 대한 전후 처리 문제를 제외하고는 영국이 소련보다는 우위였다.[49] 전후에도 미국과 영국을 필두로 한 제1세계는 소련의 영향력에 있던 제2세계보다 훨씬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규모가 컸다.[50]
영국은 2차대전 기간중에는 동양에서 일본에게 맞고 대독일 전선에서도 휘청였으며 인도 등 식민지들의 독립운동과 항쟁이 난립했지만 그래도 거대한 제국은 적어도 겉으로는 건재할 것으로 보여졌다.
제국 몰락의 결정적인 이유는 2차 세계 대전으로,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영국과 다른 지역과의 연결망에 큰 타격을 입었고, 급기야는 1942년 일본 제국과의 말레이 해전과 실론 해전으로 동양 함대가 소멸하거나 나치 독일과의 해전에서 주력 수상함 다수와 맞바꾼 전과를 세우고 라이온급 전함 개발안도 뱅가드 전함으로 엄청나게 축소되었으며, 미국의 지원을 얻는 대가로 해외의 여러 해군 기지나 항구를 넘겨주는 등 재해권을 기반으로 했던 대영제국의 영향력이 크게 손상되었다. 그 대신 전쟁 기간 내내 영국은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이라크[51], 시리아, 마다가스카르를 나치 독일과 비시 프랑스에서 해방시켰고 결국 마지막에 전쟁에서 승리하기는 했다.종전 이후 1947년 영국령 인도 제국독립 이후 제국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내리막길을 걷다가, 결정적으로 중동지역에서 1956년 제2차 중동전쟁 당시 미국과 소련이 초강대국의 자리를 대체했다는 권위를 굴욕적으로 인정하며,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하고 물러나게 된다. 영국은 1947년에 인도가 독립하고도 수에즈 운하를 지나는 항로를 장악하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 왔으며 영국은 전후 극심한 재정난[52]과 혼란에도 불구하고 미국-소련에 이어 1952년 핵무기를 가지게 된 세 번째 국가였다.[53] 다만 핵무기를 가지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1956년에 일어난 제2차 중동 전쟁에서 자국의 약화된 국력을 실감할 수밖에 없었고, 세계를 좌지우지하던 초강대국이 아닌,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의 눈치를 보는 국가로 위치가 격하되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 이후 우주개발경쟁과 핵경쟁, 체제경쟁 등 미-소 냉전체재로 본격화가 가속화되었다.
이때 미국은 영국에 대해 제재를 단행하면서 자유 진영에서 서열이 누가 더 위인지 각인시켰다. 미국에서 단행한 미국이 보유하던 영국의 파운드화를 매각과 미국 석유의 영국 수출 중단은 영국은 이제 경제적으로 자립이 불가능한, 미국의 재정 도움이 없이는 자국 군대를 유지할 수도 없는 종이호랑이임을 드러냈다.
수에즈 위기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결국 독자 노선을 포기, 미국의 체제와 영향권에 종속되어버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후 1960년대, 1970년대 까지도 미-소 다음가는 여전히 상당한 국제정치적 영향력은 있었지만[54] 영국병과 영연방을 뒤로한 유럽연합가입[55] 등으로 20세기 후반 지속적인 위상과 정치/경제적 역량의 상대적 쇠퇴가 있는 동안에도 상당한 위상이 있었다. 1971년에는 수에즈 동쪽의 주둔 영국군 5만 명을 전면 철수시켰고 1984년에는 브루나이의 독립을 승인하였다. 1980년대까지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왕국 국가들의 헌법 개정 권한 등 상당한 위상이 있었고 국제정치적 입김도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시절 일본보다도 우위였다.[56][57] 이후 대영제국에 지배를 받던 수많은 지역들이 미국, 인도, 캐나다, 네팔, 파키스탄 등으로 독립해 나가면서 영국은 대영제국 시기 3550만 ㎢까지 확장했었던 거의 대부분 영토들을 죄다 잃어버리고 제2차 세계 대전이후 초강대국 미-소 사이에서 1960년대이래 중소분열, 핑퐁외교 등 외교적 양다리와 양탄일성[58] 등 군사, 외교, (과학)기술적으로 다시 강대국으로 등극한 지구 반대편 엄청난 인구, 국토 체급의 동아시아의 중화인민공화국에게 홍콩 반환을 마침표로 24만 3610㎢의 섬나라로 남게 되면서 대영제국은 완전하게 해체된다. 학계에서는 이 1997년 홍콩 반환을 대영제국의 영토, 사상적, 역량적 종말로 간주한다.
결국 영국은 대영제국으로서 세계의 패권에 개입하는 것을 포기하고, 독자 노선 대신 미국과의 결속[59]을 통해 UN 상임이사국 위치, 최소한도의 핵무기와 상당한 수의 독자적 인공위성, 미사일과 발사체 등 항공우주 기술, 미 대양해군의 보조이면서 그 자체도 대양해군인 영국 해군 그리고 미국의 대외 개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MI6 등의 영국의 대외 정보국과 SAS등 미 특수부대에 뒤지지 않는 정예 특수부대 등의 정예화된 첨단 군사력을 유지하고 미국의 대외적 군사 개입에 자국의 의지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보조로 파병하는 등, 중동 지역과 영연방에서의 자국의 입지, 미국 시장에의 접근성[60]과 미국 브레튼우즈 시스템하의 금융 입지[61], 그 외 자국의 무역로를 보장받는 등, 미국의 체제에 협조하면서 세계 무대에서의 자국의 입지와 지분, 이익, 지위를 미국의 질서하에서 최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행사하는 쪽으로(2차대전 이후의 일본처럼) 입장을 선회했다.
이러한 미국에의 협조결과와 미국으로부터의 보답, 영국 자체의 국력과 역량, 세력권 등으로 영국은[62]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상당한 국제정치적인 입지와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런던 시티의 금융업, 미국의 정보 자산 및 미국과 기타 영어권 국가들로부터의 정보 교류[63], 미국 등 영어권 국가들 간의 학술 교류[64]와 영어로 된 최신 지식 리뉴얼, 기타 영연방 등 영어권 국가 출신 인재 흡수 같은 베네핏으로 보다 수월하게 영국 대학의 글로벌 위상과 대외경쟁력 유지, 상임이사국과 (영연방, 중동 등) 대외 지정학적, 국제정치적 입지, 축구 등 스포츠, 대영제국과 더불어 미국의 국력에 힘입어 영어라는 글로벌 공용어 위상 확립과 영어라는 언어적 글로벌 플랫폼 확장, 그리고 그에 의한 영문학 위상과 대중성, 현대 대중음악 선도, BBC등의 글로벌 언론사, 이코노미스트나 파이낸셜 타임즈 같은 글로벌 신문, 영어권 대형 글로벌로펌, 로열 더치 쉘 같은 에너지기업과 글로벌 광물개발 및 정유 기술 기업, IHG같은 글로벌 주요 호텔, 다이슨, 대외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정예 군사력( MI6, SAS, 해공군 등등)이 근거이다.
그러므로 오늘날까지도 영국은 미국, 중국, 러시아 다음가는 글로벌 강대국으로 역량, 리더십과 위상, 영향력이 남아 있다. 정치외교적 입지도 아시아태평양, 유럽, 영연방, 아프리카, 중동, 인도, 북미와 카리브해 등지에 미국처럼 전 세계 모든 지역에 문어발처럼 걸치고 있다. 이는 광범위한 영토와 독자 경제권으로 강력하고 넓은 힘과 영향력이 있는 러시아에 버금갈 정도로 여러 지역에 지정학적으로, 군사/정치적 측면에서 오늘날까지도 영국이 여러 지역에서 이런저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이자 근거이다. 특히 여전히 영국은 금융에서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 비슷한 체급의 열강들인 아시아태평양 일부에 그치는 일본, 유럽에 한정된 독일, 독일과 일본에 비해 '패전국' 딱지도 없고 정치외교적인 상임이사국 지위와 프랑코포니라는[65] 기구도 가지고 있지만 2차대전시기 독일에게 박살나 위상이 크게 꺽이고 세력권이나 대외적 영향력도 북아프리카 구 식민지 일부와 유럽에 한정된 영향력을 가진 프랑스와 달리, 2차대전때 미국-소련에 더불어 BIG 3 주요 승전국이자 전후 국제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과 영향을 미쳤고, 오늘날에도 글로벌 소프트파워와 세계 여러 각지에 다리를 걸친 정치외교력, 금융에서의 런던의 역할, 과거 패권국이던 대영제국이라는 역사적 유산과 그 흔적인 영연방이라는 기구의 존재는 영국이 비교우위로 누리고 있는 이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미중러를 제외한 다른 글로벌 강대국[66]들 대비 아직도 영국의 종합 국력과 영향력, 위상은 대단하고 열강들 중에서도 상위권이라 볼 수 있다. 당연히 영국인들 본인 스스로도 자부심이 대단한 편이며 여전한 강대국 정체성을 갖고 있다.[67]
특히 영어라는 언어의 위상 및 글로벌 대중성 확립이나, 대중음악, 글로벌 기업, 영국제 명품 분야에서는 19세기에도 유럽에 어느 정도 문화적인 열등감이 있었던 데 비해[68] 롤스로이스 처럼 독일이나 미국에게 기술과 산업 우위를 잃어가기 시작하던 20세기 초반부터 고급화를 시도하면서 북미(특히 미국), 영연방, 아시아, 유럽 등지에서 입지를 굳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더 떠올랐다. 그렇기에 영국의 소프트파워 및 브랜드 가치는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 이는 2차 대전 이후에 명품 분야를 제외하고 건축, 미술, 연극, 문학, 음악 등 대부분의 분야의 소프트파워를 미국에게 빼앗긴 프랑스와는 크게 대조적이다.
이렇게 언어/문화적 파워, 상당 부분 유지되고 있는 영국의 사상과 가치, 국제정치적인 입지와 위상(상임이사국과 영연방), 경제적 영향력(세계적인 금융도시 런던.), 과학 기술과 학문, 대학 위상( 옥스브리지), 정예화된 첨단 군사력과 정보력 및 정보 자산(파이브 아이즈, SAS, MI6), 이해관계가 걸린 지역에 지정학적인 세력 투사[69], 자국의 이익과 권력, 영향력을 수호할 능력 등등 대영제국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던 군사, 정치, 외교, 지위, 언어/문화, 경제력(금융) 등 '세계인의 정신(과 부) 을 장악했던 대영제국'은 세계 지도상에서 물리적으로는 사라진 듯 보이나,[70] 지금도 상당 부분 유엔 같은 국제 기구나 NATO 같은 군사 동맹 체제, 신 대서양 헌장, AUKUS연합, NAFTA 협정 참여 등, 미국의 브레튼우즈 시스템 하에서 군사, 정치, 경제, 문화적 부분에서의 위상과 권한 등의 상당한 지분을 가지고 나름대로 다른 형식으로 세계인의 정신에서 살아 있다고 볼 수 있다.
4. 무역
자세한 내용은 잉글랜드 왕국/무역 문서 참고하십시오.5. 인구
1750년을 기준으로 영국의 지역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지역 | 지역별 인구 |
잉글랜드/웨일스 | 7,200,000명 |
스코틀랜드 | 1,300,000명 |
아일랜드 | 3,150,000명 |
세인트키츠 | - |
바베이도스 | 50,000명 |
앤티가 | 50,000명 |
자메이카 | 150,000명 |
기타 카리브 | 50,000명 |
뉴햄프셔 | 50,000명 |
매사추세츠 | 200,000명 |
코네티컷 | 100,000명 |
로드아일랜드 | 50,000명 |
뉴욕 | 100,000명 |
뉴저지 | 50,000명 |
펜실베이니아 | 100,000명 |
델라웨어 | 50,000명 |
메릴랜드 | 150,000명 |
버지니아 | 250,000명 |
노스캐롤라이나 | 50,000명 |
사우스캐롤라이나 | 50,000명 |
조지아 | - |
합계 | 13,150,000명 |
지역 | 지역별 인구 |
잉글랜드/웨일스 | 13,700,000명 |
스코틀랜드 | 2,300,000명 |
아일랜드 | 6,700,000명 |
세인트키츠 | - |
바베이도스 | 100,000명 |
앤티가 | 50,000명 |
자메이카 | 400,000명 |
그레나다 | 50,000명 |
트리니다드 | 50,000명 |
영국 기아나 | 100,000명 |
기타 카리브 | 150,000명 |
노바스코샤 | 150,000명 |
로어/어퍼 캐나다 | 600,000명 |
기타 캐나다 | 100,000명 |
벵골 | 69,700,000명 |
포트세인트조지 | 13,500,000명 |
봄베이 | 6,250,000명 |
데칸디스트릭트 | 11,150,000명 |
동인도회사보호지 | 40,400,000명 |
실론 | 950,000명 |
모리셔스 | 100,000명 |
기타 아시아 | 100,000명 |
케이프오브굿홉 | 150,000명 |
시에라리온 | - |
기타 아프리카 | - |
오스트레일리아 | 50,000명 |
지브롤터 | - |
몰타 | 100,000명 |
합계 | 166,900,000명 |
6. 역사
영토 확장을 기준으로 크게 제1제국(1607년 ~ 1783년)과 제2제국(1783년 ~ 1997년)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1783년은 영국이 미국의 독립을 인정한 해이다.6.1. 제1제국
- 헨리 8세와 엘리자베스 1세로 유명한 튜더 왕조의 뒤를 이은, 스튜어트 왕조의 첫 왕 제임스 1세 때 아메리카의 제임스타운에 도착하며 시작(1607년) 잉글랜드 제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동군연합
- 내전 끝에 사형된 스튜어트 왕조의 찰스 1세를 거쳐, 올리버 크롬웰 호국경의 잉글랜드 연방
- 다시 찰스 2세가 돌아와 스튜어트 왕조를 부활시킴. 허나, 제임스 2세 때 명예혁명이 발생해 오렌지공 윌리엄이 상륙, 하노버 왕조가 시작됨.(자코바이트도 생성)
- 하노버 왕조의 조지 시대 중, 조지 3세가 미국 독립전쟁에서 패할 때까지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시대에 험프리 길버트 경이 현재 캐나다의 뉴펀들랜드에서 잉글랜드의 아메리카 최초의 영유권을 선포하고 1585년 월터 롤리 경이 보낸 함대가 현재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로어노크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미스테리하게 사라져버렸고, 실질적인 대영제국의 식민지 건설의 시작은 버지니아주에 제임스타운이 성공적으로 세워진 1607년으로 본다. 그리고 1620년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온 청교도들이 현재의 보스턴 지역에 정착한 이후,[71][72] 잉글랜드의 청교도인이 계속 넘어오면서 청교도가 북미 식민지의 주류가 되었다.
잉글랜드는 미국 식민지 건설과 비슷한 시기에 카리브 해와 인도에도 진출했고, 이 두 지역은 17~19세기에 영국이 부강해진 원동력이 되었다. 처음에 카리브 해 지역은 스페인 제국이 선점하고 있던 터라 잉글랜드는 몇몇 무인도를 점거하는 것으로 작게 시작하였지만 1655년 스페인으로부터 자메이카 등을 빼앗으면서 카리브 해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카리브 해 지역의 사탕수수와 담배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나온 막대한 수익은 동시대 북미 대륙에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던 식민지들의 개발에 필요한 자금줄이 되어 주었다.
잉글랜드의 인도 진출은 1600년에 영국 동인도 회사가 설립되면서 본격화 되었다. 이미 포르투갈이 인도 무역을 장악하고 있던 와중에도 잉글랜드는 동북부에 위치한 벵골 지역에 무역항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벵골은 당시 인도에서 가장 부유한 지방이었을 뿐만 아니라 비단, 면직물, 아편 교역의 중심지였는데, 비단과 면직물은 곧 향신료보다도 더 큰 무역 수익을 안겨주는 효자 상품이 되었다.
이후 잉글랜드 동인도 회사가 확장에 나서면서 인도에서 포르투갈을 비교적 쉽게 몰아냈으나, 인도를 넘어 동남아시아까지 진출하려는 시도는 이미 이 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네덜란드 상인들의 조직적 방해로 인해 좌절되었다. 비록 잉글랜드 해군이 제법 강하기는 했지만, 17세기 유럽에서 가장 부강한 국가는 해상왕국 네덜란드였기에, 아직 잉글랜드는 네덜란드를 상대하기에 벅찼던 것이다.[73] 실제로 1650년대와 1660년대에 있었던 두 차례의 영란전쟁에서 잉글랜드 해군은 강력한 네덜란드 해군을 당해내지 못했다.
그러나 1672년 프랑스의 루이 14세가 네덜란드를 침공한 시기부터 대서양 무역의 주도권이 서서히 잉글랜드 쪽으로 넘어오기 시작한다. 비록 영국과 프랑스가 동맹을 맺고 네덜란드와 싸운 3차 영란전쟁에서 영국 해군이 패하기는 했으나, 이후 네덜란드는 최대 30만명에 달하는 대군을 동원할 수 있던 프랑스에 대비하기 위해 육군을 육성하느라 해군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반면에 영국의 해군력은 꾸준히 성장하였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1688년에 벌어진 명예 혁명으로 인해 네덜란드의 오라녀 공 윌리엄을 잉글랜드 왕으로 모셔와 네덜란드와 일종의 동군연합을 형성하면서, 잉글랜드는 네덜란드 상인들의 방해를 걱정하지 않고 아시아 무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오라녀 공과 함께 넘어온 네덜란드인들은 공채 제도 등 네덜란드 해상 왕국의 기초가 된 제도들도 가지고 와서 잉글랜드에 이식해 주었다. 이후 영국과 스웨덴이 각각 대서양 무역과 발트해 무역의 상당 부분을 잠식해 나가자 무역 소득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던 네덜란드는 서서히 쇠퇴하게 된다.
미니 세계 대전이었던 7년 전쟁 (1756~1763)을 통해 프랑스와의 경쟁에서 승리해 인도의 벵골 지방과 캐나다의 퀘벡 주도 정복한다. 본래 인도에 있던 영국의 무역항들은 무굴 제국의 봉신으로 존재했으나,[74] 1757년 플라시 전투 이후 벵골은 독립된 영국 동인도 회사령이 되었다. 이후 무굴 제국이 아우랑제브 황제의 사후 급속도로 약화되는 틈을 타서 영국은 인도 전체로 세력을 넓히게 된다. 한편 7년 전쟁 시기 북미 대륙에서 벌어진 영국과 프랑스의 싸움을 따로 떼서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라고도 하는데, 영국은 이 전쟁을 통해 북미 대륙에서 프랑스 세력을 격파하는데 성공했고, 1763년 파리 조약으로 미시시피 강 동쪽의 루이지애나 일부와 퀘벡 등 프랑스의 북미 식민지를 할양받는다.
그러나 1775년 미국 지역에 있던 아메리카 13개 식민지가 영국의 세금 정책에 대해 불만을 품고 일으킨 미국 독립전쟁에서 패배하고 1783년 베르사이유 평화 조약에서 미국의 독립을 승인하게 되었다. 8년간의 전쟁(실질적인 전쟁은 6년)에서 영국은 막대한 전비를 지출하느라 허리가 휠 지경이었고, 또한 프랑스, 네덜란드, 그리고 스페인이 미국 편으로 참전하자,[75] 단독으로 이들을 상대했던 영국은 수세에 몰릴 수 밖에 없었다. 강력한 영국 해군은 개별 적국의 해군보다는 우위에 있었으나 연합군 전체에 비해서는 열세였고 (1782년 기준 영국이 운영한 전열함이 94척이었던 것에 비해, 프랑스 73척, 스페인 54척, 네덜란드 19척), 영국 해군은 북대서양 뿐만 아니라 카리브해, 북해, 인도양, 지브롤터의 지중해 입구 등 너무 넓은 영역을 통제해야 했다. 그래서 1779년에는 심지어 영불해협의 통제권을 상실할 정도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 영국 경제는 7년 전쟁 때의 벼락 호경기 이후 심각한 불경기에 빠져 있었기에, 수렁에 빠진 전쟁을 지속하기 보다는 미국 식민지의 독립을 승인할 수 밖에 없었다.
영국의 아메리카 주요 영토 지배 시기는 다음과 같다.
- 카리브 섬
- 세인트키츠 (1625년~)
- 바베이도스 (1627년~)
- 앤티가 (1632년~)
- 자메이카 (1655년~)
- 그레나다 (1763년~)
- 트리니다드 (1797년~)
- 영국령 기아나 (1803년~)
- 북아메리카 식민지
- 버지니아 (1607년~)
- 매사추세츠 (1620년~)
- 메릴랜드 (1632년~)
- 코네티컷 (1635년~)
- 로드아일랜드 (1644년~)
- 노스캐롤라이나( 1662년~)
- 사우스캐롤라이나 (1662년~)
- 뉴욕 (1664년~)
- 뉴저지 (1664년~)
- 뉴햄프셔 (1679년~)
- 펜실베이니아 (1681년~)
- 델라웨어 (1704년~)
- 조지아 (1713년~)
- 캐나다
- 노바스코샤 (1713년~)
- 로어/어퍼 캐나다 (1759년~)
6.2. 제2제국
비록 영국은 중요한 식민지였던 미국을 상실했으나 여전히 카리브해의 섬들, 벵골을 비롯한 인도, 캐나다 등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국은 1788년 제임스 쿡의 태평양 탐험을 통해 발견한 호주를 식민화했다. 새롭게 구성된 제2차 식민 제국으로 불리는 대영제국의 중심은 동인도 회사가 직접 통치하기 시작한 인도였다.
또한 1764년 제니 방적기, 1765년 제임스 와트의 효율높은 증기 기관, 1814년 스티븐슨의 증기 기관차 등이 개발되고, 산업 혁명이 시작되면서 영국 경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한편 18세기에 노퍽 농법이라고도 불리는 4윤작법이 체계화 되면서 영국의 농업 생산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덕분에 1750년에 550만 명이었던 영국 인구가 1800년에 900만, 1850년에는 1600만 명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는데도, 영국 본토가 식량의 순수출국이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1803~1815) 기간 동안 영국은 프랑스를 상대하느라 상당한 고통을 감내해야 했지만, 나폴레옹 전쟁을 끝낸 워털루 전투 (1815년) 이후 영국은 유럽 최강대국의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다. 학자마다 약간의 이견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워털루 이후 1870년대까지가 대영 제국의 리즈 시절로 여겨진다.
영국 해군은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꾸준히 양적으로 팽창했을 뿐만 아니라, 전쟁 중에 프랑스와 스페인 등 경쟁 국가의 해군을 분쇄했기에, 영국 해군은 세계 2~4위 3개국 해군을 모두 합한 것보다도 더 강력해졌다. 결국 워털루 전투 이후 약 80년간 영국 해군은 경쟁자 없이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영국의 국내총생산 대비 국방비 지출은 2~3% 수준에 그치면서 안정적인 정부 재정의 운영이 가능했다.[76] 또한 시대적 상황도 영국에게 유리하게 돌아갔다. 격변의 시대이자 극한 투쟁의 시대였던 나폴레옹 전쟁을 겪은 이후, 빈 체제 하에서 유럽 대륙의 국가들은 국내적으로 사회의 변화를 억누르느라 산업 혁명을 느리게 받아들였으며, 국제적으로 국가간 화목을 중시하느라 관세를 낮게 유지했다. 덕분에 대량 생산된 영국의 저렴한 공산품이 유럽을 휩쓸 수 있었다.
영국의 대륙별 초기 영토 지배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아시아
- 인도 (2,921,000㎢)
- 동인도회사보호지 (1,592,000㎢)
- 벵골 (571,000㎢)
- 포트세인트조지 (368,000㎢)
- 데칸디스트릭트 (236,000㎢)
- 봄베이 (154,000㎢)
- 실론
- 모리셔스
- 싱가포르
- 말라카
- 페낭
- 아프리카
- 케이프오브굿홉
- 시에라리온
- 세네갈
- 고레
- 페르난도포
- 오세아니아
- 오스트레일리아
- 유럽
- 지브롤터
- 몰타
- 아일랜드
이후에는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과 이집트의 카이로를 연결하는 종단 정책을 펼쳤고 연이어 카이로에서 인도의 캘커타를 연결하는 3C 정책을 펼치며 중동 지역으로 진출을 꾀하였으며,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고 형성된 경로를 따라 싱가포르 방면으로도 진출했다.
제국의 판도는 계속 커져갔지만 19세기 말부터 국제 사회에서 영국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는 서서히 가라앉기 시작하였다. 물론 이 시기에도 영국의 국력이 천천히 성장하기는 했지만, 미국과 독일 같은 후발주자들이 영국보다 더 빠르게 성장한 것이 문제였다. 1848~1849년 혁명의 열기가 유럽 대륙을 휩쓸고 간 뒤에 유럽 각국들은 뒤늦게 산업화에 나서며 영국을 추격하기 시작했고, 높은 관세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것이 트렌드가 된 19세기 말부터 영국산 공산품은 더 이상 자유무역의 혜택을 볼 수 없었다. 그래서 20세기에 들어서기 전에 이미 영국은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을 미국에 넘겨줘야 했고,[77] 1910년 경에는 독일에도 따라잡혀서 경제력 세계 3위로 내려 앉았다. 그래서 영국은 “굳이 생사를 같이할 동맹을 만들 필요가 없다“라는 19세기의 위대한 고립(splendid isolation) 정책을 포기하고 1902년 영일동맹과 1907년 삼국협상을 타개하게 된다.
그래도 제1차 세계 대전(1914~1918)에서 독일을 상대로 승리했던 대영제국의 판도는 1920년에 정점에 올라서 35,500,000㎢의 영토와 458,000,000명의 인구를 통치했다. 그러나 이어진 제2차 세계 대전(1939~1945)으로 영국 본토의 국력은 크게 소모되었고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연방 등 여러 자치령과 식민지들은 독립을 요구하면서 제국은 조금씩 해체되기 시작했다.
사실 결정적인 이유는 1차 세계 대전으로, 전쟁에 너무 많은 국력을 쏟아부은 나머지 이미 전쟁 중간인 1917년에 영국은 파산 상태에 몰려 있었다. 미국의 참전으로 어찌저찌 전쟁에는 승리하긴 했지만, 전후에 대영제국의 체면을 회복하고자 추진한 금본위제 복귀라는 삽질과 1929년 전세계를 휩쓴 대공황을 겪으며 영국 경제는 수렁에서 빠지게 됬다. 뿐만 아니라 1880년대 이후 아프리카 등에서 획득한 거대한 식민지들은 인프라와 통치 기구를 구축하는데 많은 자금이 투입되야 했던 것에 비해 산출은 이에 미치지 못해서, 안그래도 전쟁으로 인한 막대한 빚을 안고 있던 영국 정부를 옭죄었다.[78]
설상가상으로 1차 대전 중 식민지로부터 원자재, 인력, 세금을 강출한 것에 대한 보상 문제가 야기되고, 다민족국가인 적국(오스트리아 제국, 오스만 제국 등)을 분열시키기 위한 프로파간다로 민족자결주의와 민주주의를 적극적으로 퍼트린 결과가 부메랑으로 돌아와서, 자국 식민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결국 밸푸어 선언(1926)과 웨스트민스터 헌장(1931)을 통해 식민지의 자치권을 확대하며 대영제국이 현재의 영연방 체제로 변화하는 신호탄을 올렸다.
다만 이러한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1차 대전 이후 실질적인 세계 최강국으로 부상한 미국이 전통적인 고립주의 외교노선으로 회귀함에 따라 영국이 2차 대전 때까지는 국제 관계의 리더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1차 대전에서 같은 편으로 싸웠던 동지들 중에서 이탈리아와 일본은 적으로 돌아서고, 소련은 서구 국가들을 의심스럽게 보고 있었기에, 영국 편에 남은 것은 남들이 대공황에서 회복하던 1930년대에도 여전히 경제적으로 헤매고 있던 서구 민주주의 3국(영국, 프랑스, 미국) 뿐이었다.[79] 여기서 미국은 고립주의로 돌아간 데다가 1938년에야 비로소 군비 확충에 나선 터라 미국의 도움을 확신할 수 없었다.
1차 대전의 충격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채 맞이한 2차 세계 대전에서 영국과 다른 지역과의 연결망에 큰 타격을 입었고, 급기야는 1942년 일본 제국과의 말레이 해전과 실론 해전으로 동양 함대가 소멸하거나 나치 독일과의 해전에서 주력 수상함 다수와 맞바꾼 전과를 세우고 라이온급 전함 개발안도 뱅가드 전함으로 엄청나게 축소되었으며, 미국의 지원을 얻는 대가로 해외의 여러 해군 기지를 넘겨주는 등 재해권을 기반으로 했던 대영제국의 영향력이 크게 손상되었다. 그 대신 전쟁 기간 내내 영국은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이라크[80], 시리아, 마다가스카르를 나치 독일과 비시 프랑스에서 해방시켰고, 결국 마지막에는 전쟁에서 승리하기는 했다.
한편 미국은 영국의 식민지에서 출발했다가 독립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미국의 유권자들은 미국인들의 세금이 대영제국의 식민지를 유지시켜주는데 쓰이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2차 대전을 승리하기 위해 미국의 지원과 참전이 절실했던 영국의 윈스턴 처칠 수상은 1941년 미국의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과의 회담 후에 민족자결권을 천명한 대서양 헌장을 발표할 수 밖에 없었다. 처칠은 대서양 헌장이 추축국의 점령지에만 적용된다고 둘러대려 했지만, 이후 루즈벨트 대통령이 영국 식민지에도 적용된다고 확인사살 하면서, 많은 영국의 식민지들이 종전 후의 독립에 대한 꿈을 키우게 되었다. 루즈벨트의 민주당 정권 뿐만 아니라 전후에 등장한 공화당 쪽의 아이젠하워 정권(1953~1961) 역시 미국이 대영제국의 식민지 유지를 위해 미국의 국력을 투입해줄 의지가 전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미국의 도움없이는 영국이 더이상 타 대륙에서 힘자랑을 할 수 없다는 현실이 면밀하게 드러났다.
1947년에 독립에 대한 열망이 강했던 인도와 파키스탄이 독립하고 1948년에 팔레스타인 땅에 이스라엘이 건국된 뒤에도, 영국이 수에즈 운하를 지나는 항로를 장악하는 등 인도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식민지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영국 본토가 전쟁 이후 완전히 파산 상태에 놓여 미국의 마셜 플랜으로 간신히 살아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지원금을 식민지의 유지에 쓴다는 것은 명분이 부족했다. 뿐만 아니라 많은 독립 운동가들이 신흥 강대국인 소련으로 대표되는 공산주의 세력과 연대해가는 상황에서, 허약해진 제국이 식민지를 고집했다간 결국 식민지도 지키지 못하면서 전세계 지도가 붉게 물드는 결과만 가져올 수도 있었다. 결국 영국은 1960년대에 아프리카, 말레이시아, 카리브해 지역, 키프로스 등 많은 식민지들을 독립시켜 주어야 했다. 1971년에는 수에즈 동쪽의 주둔 영국군 5만 명을 전면 철수시켰고 1984년에는 브루나이의 독립을 승인하였으며 1997년에는 홍콩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했다. 실질적으로는 학계와 일상을 막론하고 1997년에 발생한 홍콩 반환을 제국의 완전한 종말로 간주하고 있다.
7. 평가
대영제국은 제국주의 시대 식민제국의 대명사로서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규모를 가졌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인류의 근현대 문명이 사실상 영국의 역사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81][82]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끼친 국가이다. 하지만 그에 비례해서 전 세계 식민지 국가의 주권을 가장 많이 침범했다고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많다. 대영제국의 범죄 행각은 대표적으로 보어 전쟁 당시 보어인 학살과 감금, 인도, 아시아, 아프리카, 중국에 대한 침략과 착취, 학살 등을 들 수 있으며, 대영제국이 이들에게 남긴 부정적 유산들은 지금까지도 지속적으로 크고 작은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다.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식민제국에 대한 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반인륜적으로 받아들여지며 대영제국 역시 예외가 아님에도, 대영제국이 인류사에 미친 막대한 긍정적인 영향들과 상당 부분 차별화되는 타 식민제국과의 행보로 인해 대영제국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견해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7.1. 긍정적 평가
1,40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세계 1인당 소득 추세 변화 | 산업혁명 이후 평균 소득 변화 |
영국이 인류사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 부분에선 사실 지대한 공헌 정도를 넘어서 수천년 세계 문명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놨다. 인류의 근현대 문명이 영국의 역사라고 봐도 과언은 아닌데, 이전 수천년간 세계는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농업이 주류 시스템으로서 사실상 정체됐던 인류의 소득, 인구는 영국이 촉발한 산업화, 자유무역, 1차 세계화, 중상주의 이후 비로소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영국도 한때 노예무역에 가담하긴 했으나, 열강 중 최초로 이를 금지시키고 국가 예산의 40%라는 막대한 돈을 지출하여 아프리카 현지 추장과의 반노예 협정체결 및 다른 열강에게도 압박을 행사하는 등, 노예무역 근절 활동을 통해 보편적인 인권 향상에 기여했다. 그 밖에도 백신, 항생제, 마취제 등을 통해 인류 수십억 명의 생명을 살린 것과, 축구, 골프, 럭비, 배드민턴, 뮤지컬 등과 같은 현대인들의 즐길거리를 제공해준 것은 덤. 또 세계 15대 경제 대국 중 무려 4곳[83]이 영국의 식민지였다는 점에서 짐작할 수 있듯 가히 세계 근대사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국을 빼놓고는 전혀 설명할 수 없는 수준이다.
더불어 제국의 규모에 비해 다른 식민제국보다는 상대적으로 나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84] 결국 역사는 늘 강대국 간 패권국 지위를 가지고 싸워 왔는데, 당시 대영제국이 패권국으로서 프랑스 제국, 스페인, 네덜란드, 러시아, 독일 같은 나라는 보다는 상대적으로 나았다는 관점이다.
대영제국은 피지배 지역에 관용적이고 피지배민들을 잘 대우해 줬을 뿐 아니라, 영국은 다른 식민제국처럼 정복지를 자국으로 직접 병합하기보다는 해외 식민지 개념으로 보고 현지의 문화적 요소까지 강압적으로 말살하려 하지는 않은 데다가[85], 일상 행정 업무 다수는 현지인들에게 맡기고 간접적으로 통치를 한 경우가 많아 중앙 권력의 직접적인 탄압을 받은 경험이 적었던 편이기 때문이다.[86][87] 미국 독립 전쟁으로 식민지를 포기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식민제국보다는[88] 상대적으로 식민지들의 독립을 쉽게 허락했던 편이다. 이러한 평가는 주로 비교 대상인 프랑스가 탈식민화 과정에서 인도차이나와 알제리에서 식민지군들과 거대한 전면전을 벌이면서(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많은 인명피해를 냈던 것과 달리 영국은 비교적 평화적으로 탈식민지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다.[89] 때문에 아직도 상당수의 구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 뒤에도 영연방에 소속되어 있고 현재도 회원국만 56개국 인구 24억 명에 이른다. 때문에 누구보다 제국주의를 혐오하고 비판했던 조지 오웰조차 기존 대영제국이 이를 위협하는 다른 신흥 제국보다 나았음을 시인했었다.
나는 이미 제국주의는 사악한 것이며, 내가 일을 때려치우는 것이 빠르면 빠를수록 그것에서 더 잘 벗어날 수 있으리라 결심하였다.ˑˑˑˑˑ 이론적으로 나는 미얀마인들을 지지했고, 영국인들에 반대했다. ˑˑˑˑˑ 내가 하고 있던 일에 관해 나는 내가 표현할 수 있는 것보다 그것을 싫어했다. ˑˑˑˑˑ 그러나 나는 아무것도 전망할 수 없었다. ˑˑˑˑˑ 나는 대영제국이 사멸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지도 못했고, 대영제국을 밀어내려 하는 더 젊은 제국들보다 대영제국이 훨씬 낫다는 사실도 알지 못했다.
조지 오웰 - 《코끼리를 쏘다》 中
조지 오웰 - 《코끼리를 쏘다》 中
이러한 주장에 대해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과 유사한 맥락에서 비판하는 의견이 있으나, 이는 전형적인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에 해당한다. 애초에 상대적으로 다른 열강 식민지에 비해 나았다는 것이지 그렇다고 영국의 모든 식민지가 현재 다 잘 산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며, 기여점도 상존한다는 것이지 현재까지 모든 발전의 공이 영국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역사관이나 식민지-피식민지 관계는 나라마다 상이하며, 최소 공과 사를 모두 인정하는 나라도 많기 때문에 대영제국에 대한 평가를 단순히 한일관계에 동치시켜 긍정적인 요소를 그저 식민지 근대화론일 뿐이라 치부하며 모든 것을 부정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니다. 일례로 인도만 해도 공과 사를 모두 인정하는 편인데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는 영국을 좋은 친구라 평가했고, 전 총리 만모한 싱은 2005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한 공개 연설에서 영국의 기여점을 인정하기도 했다.[90] 게다가 반박으로 든 대만은 되려 친일여론이 높으며, 마찬가지로 대만 교과서에서도 일본의 공을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반론이 아닌 오히려 그 반론을 재반박하는 예시에 해당된다. |## 미국도 마찬가지로 당초 영국과 자치권 문제로 결별한 것이지, 그 뿌리나 영국의 관습, 문화, 법률, 시스템을 그대로 계수했기에 잘못된 예시이다.[91]
또한 영국의 광대한 식민지 중 현재 잘 사는 나라는 소수라는 주장 역시도 그럼 애초에 미국, 호주, 캐나다, 싱가포르와 같은 선진국이 산술적으로 많은 것이 가능한지를 따져봐야 할 것이며, 당시 영국과 경쟁했던 프랑스, 네덜란드, 러시아, 포르투갈 등의 식민지는 현재 그러한 나라가 존재하는지를 반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식민지도 단순히 하나의 형태만 있는 것이 아니고 자치령, 보호령, 위임령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 같은 식민지로 볼게 아니라 통치 기간 여하와 그게 직접적이었는지 아니며 단지 무역과 외교 정도에만 관여하는 간접적인 형태인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 분명한 것은 이전의 다른 제국과 달리 대영제국의 주요 확장 동기는 주로 영토 보다는 중상주의에 기반한 무역 그 자체였는데, 이로 인해 대체적으로 영국 식민지에서 이전까지 주류였던 폐쇄적이던 봉건주의 농업 경제에서 벗어나 상업과 무역 활동이 촉진됐다는 점이다. 또한 영국이 주도한 자유무역과 증기선, 전신, 철도, 해저 케이블 같은 교통 및 통신의 혁신은 세계적으로 수많은 나라들을 세계화의 가치 사슬 속에 편입시키게 만들었는데, 이러한 활발한 교역을 통해 나타난 폭발적인 세계 경제 성장과 소득 증가는 실증 데이터에서 보듯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것이다.
일례로 인도는 현재도 가난하지만, 영국령 기간 동안 최소 인구가 수억 명이 늘어났다는 점과 영국령 시절 세계로 진출한 인도 상인들로 인해 현재의 탄탄한 인도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 또한 뭄바이와 캘커타의 경우도 원래 허허벌판이던 지역에서 영국의 막대한 투자로 인도 최대의 상업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나라도 식민지배 기간 동안 의료 체계 확립, 위생 개선, 예방접종 실시 등으로 기대수명 및 인구가 폭증한 바가 있으며[92], 식민지 근대화론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제강점기가 전례 없는 근대화가 이루어진 시기라는 것은 별 의견없이 모두가 동의한다[93]. 실제로 일제 식민지 기간동안 조선의 인구는 어찌 됐건 늘긴 늘었다. 물론 태평양 전쟁 말기에 벌어진 광기가 너무나도 끔찍했기에 영국의 식민지들과 마찬가지로 이를 근거로 일본에 지배받길 잘했다는 식의 발언은 너무 나가는 것이겠다.
인도의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수상인 자와할랄 네루 역시 영국이 인도에 서구적 의회 정부와 개인의 자유라는 개념을 가져다 주었고, 인도인들 사이에 정치적 통일감을 발생시켜 하나의 단일 민족으로 탈바꿈 시켜주고 민족주의 발단에 불을 지폈다는 영국인들의 주장에 "많은 진실이 있다" 라고 인정했다. 영국이 인도에 서구를 향한 인도의 창을 처음 열고 철도, 전신, 전화 등과 같은 산업주의의 전령을 도입함으로써 인도에 서구 산업주의와 과학을 알려준 공로를 인정해주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 네루의 자서전 - 《자유를 향하여 (Toward Freedom), 1942》 中
또한 호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같은 경우는 죄수나 하층민 위주였다곤 하지만 어쨌건 본토 영국인을 이주시켜 그들로 인구 대부분을 구성하게 된 지역이라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식민지가 아니라 본토확장의 개념이니 결과를 부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영국-캐나다 관계는 조선-일제의 관계하고 식민지라는 명칭만 같을 뿐이지 속내는 완전히 다르다는 뜻이다.[94] 미국 독립 전쟁 역시 당시의 영국인들은 한국으로 치면 경상도나 전라도가 독립 전쟁을 일으켜 다른 나라로 떨어져 나가는 그런 내용으로 받아들였다. ― 네루의 자서전 - 《자유를 향하여 (Toward Freedom), 1942》 中
이러한 주장은 라틴아메리카의 사례만 봐도 바로 반박할 수 있는 주장이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계가 대거 이주하여 현재도 이들이 후손으로서 백인비율이 높은 우루과이 (88%), 아르헨티나 (85%) 코스타리카 (83%), 칠레 (53%), 브라질 (47%) 등의 경우만 봐도 백인 비율이 높음에도 중남미 내에서나 국력이나 있지, 중남미 바깥으로 나가면 정치적 영향력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또 예시로 든 미국만 해도 영국 이전에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가 이미 진출해 있었으며, 프랑스인 거쳐 네덜란드인들이 통치하던 뉴욕(뉴 암스테르담)같은 경우엔 영국 이전까지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낙후되어 있던 실정이었다.
또한 영국이 거느렸던 아프리카의 식민지의 경우, 현재 세계적으로 잘 사는 나라는 거의 없다고 보는 게 맞지만 애초에 유럽인 이전 특히 사하라 이남 지역은 19세기만 해도 청동기 문명 수준으로서 애초에 매우 낙후됐던 지역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하며, 남아공은 현재도 아프리카 내에선 그래도 가장 잘사는 나라축에 속한다. 로디지아(현 짐바브웨) 같은 경우는 독립 직후 아프리카의 빵 바구니라 불릴 정도로 잘 살았으나,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독립 이후 독립운동가 출신인 로버트 무가베에 의해서 수십 년간 철저하게 파괴된 경우에 해당된다. 인도의 경우엔 매우 많은 인구의 힘[95]으로 경제대국 반열에 있는 것이지 1인당 소득은 여전히 후진국이다. 하지만 인도는 영국령 시절 수억 명의 인구가 늘어 1인당 GDP가 정체된 측면이 있다는 것과, 영국 이전 인도는 애초에 수백 개로 쪼개진 지역에 가까웠으나 영국에 의해 비로서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통일이 됐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렇듯 나라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단순히 지도를 보고 영국의 식민지 중 못 사는 나라가 더 많다는 논리로 모든 것을 전부 부정하거나, 그 반대로 미화하는 것도 정답은 아니다. 다만 확실한 건 다른 열강에 비하면 그래도 영국의 식민지가 상대적으로 발전한 국가가 많다라는 점이다.[96]
결과적으로 동시대 영국과 패권국 지위를 경쟁했던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벨기에, 독일, 일본 제국 등이 약탈경제 체제, 대량 학살 체제, 적극적인 동화 정책으로 운영되어 20세기 이후 식민지 해체 물결 속에서도 끝까지 저항하며 결말이 매우 좋지 않았던 것에 비해, 영국은 상당한 자치권 부여와 함께 가급적 문화 및 종교는 건들지 않았고,[97] 독립 문제도 비교적 깔끔히 해결했기에 아직도 56개국 24억 명이라는 많은 구 식민지들이 영연방에 자발적으로 소속되어 수평적인 관계에서 영국과 친목 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심지어 엘리자베스 2세 서거의 날에 과거 식민지였던 인도가 국가 묵념의 날을 지정하며 화제가 되기도 했다.
7.2. 부정적 평가
대영제국이 다른 식민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았다고 하더라도, 그렇다고 하여 수없이 저지른 악행 자체가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서 종종 보이는 '세계사에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면 십중팔구는 영국 때문' 같은 혐성국 밈에 너무 매몰돼서 모든 것을 영국 탓이라고 하는 건 잘못된 평가이지만 그렇다고 정확히 그에 반대로 영국의 식민지배가 좋았다고 하는 것 역시 너무 나간 것이다. 특히 인도와 같이 오랜 시간 영국의 식민지배와 압제에 고통받았던 나라에서 이런 소리를 했다가는 제대로 된 대접은커녕 무사하기 어렵다.[98]대표적인 게 영국의 식민지들은 잘 살고 무역과 상업이 발달하고, 사회, 정치적으로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나라들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평화롭다라는 평가가 있다. 물론 어느 정도는 사실이긴 하지만 이건 근본적으로 일본이 한국을 발전시켰다는 주장과 똑같은 주장이다. 실제로 상술된 논리를 똑같이 대입해보면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과 한국은 무역과 상업이 발달된 선진국이다라는 문장이 나온다. 물론 이 주장에 동의할 사람은 소수일 것이다. 그리고 이 주장이 틀린 가장 큰 이유는 이 주장에 부합하는 국가가 어디가 있고 얼마나 있는지를 보면 된다. 지구 육지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어마어마 한 식민지 중에 홍콩,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 미국,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키프로스, 몰타 정도에 불과하다. 오히려 미국은 자국민들을 이주시켜 세운 식민지인데도 본토 영국이 싫다고 독립 전쟁까지 일으키며 뛰쳐 나갔으니 영국 식민지가 되면 꿀을 빤다는 이론의 대표적인 반례이며, 미얀마,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수단, 나이지리아, 우간다, 말라위의 사례처럼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았음에도 정치, 경제적으로 혼란한 후진국이거나 세계의 화약고 수준으로 내정이 불안정한 국가들도 적지 않다.[99]
그리고 영국은 식민지인들의 문화적 요소까지 강압적으로 말살하려 하지는 않았다고 하는데, 말살하려 든 적이 여러 번 있다.
영국에 의한 명백히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인도 문화 말살에 대해 나는 놀라고 분개한다...(중략)...인도의 여러 곳에는 마을 공동체들이 관리하던 공동 학교 시스템이 있었다. 동인도회사 직원들은 이 마을 공동체들을 파괴했다. 인도 총독은 교육을 장려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주민들에게 음주를 권장했다.
- 윌 듀란트
위 인용문에서 말하는 마을 공동체의 개념은, 영국이 진출하기 전 인도 전역에 널리 퍼져 있던 다르마(dharma)라는 공동체 의식에 대한 개념에서 비롯한다. 깊게 알고 싶다면, KIEP의 대외경제 정책연구원에서 발간한 연구 자료 인도인의 공동체의식을 참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윌 듀란트
대영제국이 영국령 식민지 각지에서 저지른 각종 만행들은 혐성국 문서에 잘 정리되어 있다.
7.3. 서양에서 바라보는 시각
서양 커뮤니티 웹에서는 양학러 같은 이미지가 있다. 이런 밈이 탄생한건 보통 유럽내에서 강력했던 제국들은 유럽 대륙내 여러지역을 지배하며 그 국력을 과시 했는데 대영제국은 그런게 없었다.[100]
실제 스페인은 이탈리아 남부와 네덜란드 그 외 유럽 대륙 곳곳을 지배했고 프랑스는 나폴레옹 시절 3~4일만에 베를린을 함락하고 이베리아 반도와 이탈리아 북부 그리고 유럽 중부 전체를 주물럭 거렸었다. 독일은 말할 필요도 없이 나치 독일 시절 러시아와 영국을 제외하면 전 유럽이 독일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다. 러시아는 유럽 절반을 공산화 시켰고 미국과 냉전을 찍었다.
반대로 대영제국의 식민지를 보면 신대륙과 아프리카가 80% 이상인데 이들은 대부분이 국가 성립조차 안된 부족 사회들이였다.[101] 실제로 제 1차 세계대전 때는 독일을 상대했을 때 최대 제국이라는 타이틀의 명성이 무색하게 압도적인 포스를 전혀 보여주지 못했고 그로인해 미국의 참전으로 승패가 갈리게 되었다. 게다가 2차 세계대전 때는 미국 참전 전까지는 유럽 대륙에 상륙해서 독일 본토로 진격하는 것은 꿈도 못꾸고 본토 방어에만 열을 올렸다.
이것은 여기저기 식민지들을 건설하면서 덩치는 커졌으나 결국 가장 중요한 본토의 체급이 작아서 한계가 뚜렷했기 때문이다. 이제껏 석기시대 정도 밖에 안되는 부족 사회나 상대하다가 바로 옆에 똑같이 산업혁명을 거친 산업 국가들을 상대로 총력적을 펼친다는 것은 아예 다른 이야기다. 이 때는 본토의 역량에 따라 좌지우지 될 수 밖에 없다. 영토가 작다는 것은 그만큼 자원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꼭 필요한 군수품,무기 생산이 열세라는 의미다. 이는 섬 특성상 식민지는 멀어서 본토로 가져 오는 시간만 해도 몇달이 걸리며 또 생산하는데 시간까지 합치면 바로바로 가까운 자국의 지방으로 내려가서 혹은 주변국가로 가서 몇시간 또는 며칠만에 원자재를 싹 끌어다 금방금방 생산하는 대륙 국가들의 역량에는 전혀 비할바가 되지 못한다.
결국 여기저기 식민지 건설로 땅은 많으나 강자들이 우굴거리는 자기들 안방에선 다른 유럽 제국들과 달리 지배도 못했고 또 신흥국가 독일을 상대하면서도 홀로서는 벅찬 모습등을 보여주며 서양권에서는 빈 땅(Empty land)들만 먹었다고 하여 대영제국을 저평가 하게 된 것. 쉽게 말해 로마 제국,몽골제국 처럼 압도적 원톱이 아닌 1등은 1등인데 2,3등들도 만만치 않아 1등으로서의 위엄이 확 깎인다는 것. 그래서 서양 커뮤니티에서 역사 얘기가 나오면 영국인들이 대영제국을 자랑할 때 이 이미지가 같이 올라와서 반격을 당하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8. 한자어 명칭
대한민국과 중국에서는 영어 명칭 British Empire에 대응 요소가 없는 대(大) 자를 붙여서 대영제국(大英帝國)이라 관습적으로 칭하고 있고 여기에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때문에 영국 제국, 영 제국, 브리튼 제국, 제국주의 영국 등의 대안이 제시되기도 하지만 실제 쓰임은 학계를 제외하면 일반적이지 않다.[102] 한국에서는 일본 제국, 청나라 등의 예에서 보듯이 실제 정식 국호에 '대'를 붙였던 제국들조차 대를 빼고 부르는 것이 보통이기에 대영제국은 꽤 특이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명칭이 보편적으로 쓰이게 된 경위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비판적인 관점으로 영국을 타당한 이유 없이 높여 부르는 이름이면서, 동시에 영국 자국도 고수하지 않은 제국주의적인 명칭으로 불러주는 것이므로 무분별하게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 있다. 때문에 요즘의 역사 교과서나 학술자료에서는 중립성을 강조하기 위해 '영제국', '영국 제국', 아니면 그냥 ‘영국’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앞둔 무렵 고려대학교 총장 현상윤은 대한민국을 국호로 정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셋째로 대한(大韓)이란 대(大) 자는 대영(大英)이나 대일본(大日本)과 같이 제국주의 사상을 본떠서 지었던 것이니 오늘날 민주주의와 평화주의를 국시로 표방하는 때에 이것을 국호로 채용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한다.
《동아일보》_〈헌법 제정과 나의 의견〉, 현상윤, 1948.6.23.
위처럼 대한(大韓)이란 이름을 제국주의와 연관시키는 인식은 주류가 아니므로 걸러 들어야겠지만 대한민국의 국호가 그러한가를 떠나서, 대한이 대영제국, 대일본제국과 궤를 같이하는 표현이라는 인식이 존재했음은 확인해 둘 만하다. 참고로 오늘날 대한(大韓)의 이름은 한국인의 입장에서 (정치형태가 크게 다르지만) 대한제국을 계승한다는 입장에 있으며, 대한(大韓)이란 말은 한반도 토착 세력이었던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三韓)이 의미가 확장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변한지역의 가야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의미로 쓰인 것이며,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나온 단어는 아니다. 즉, 대한(大韓)이란 고구려 백제 신라(가야)를 아우른 큰 한(大韓)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스스로를 높이는 의도에서 사용되어 온 것은 대조선(大朝鮮)의 사례처럼 사실이긴 하다.《동아일보》_〈헌법 제정과 나의 의견〉, 현상윤, 1948.6.23.
한편 일본에서는 일본 개화기에 영국을 서양 문명의 중심으로 여기던 것과 영일동맹을 매개로 서양의 위대한 대영제국과 자신들의 대일본 제국을 대비시키려던 의식 등이 대영제국이란 명칭을 즐겨 쓴 배경일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다만 일본에서도 정설이 딱히 없기 때문에 일부의 견해고 이것이 사실이라 해도 대영제국 명칭의 출처가 일본이라는 결론은 섣불리 내릴 수 없을 것이다. 비록 서양 열강과 일본 제국주의의 피해자였다는 점 때문에 묻히는 경향은 있지만 중국 역시 제국주의의 범주에 들어가는 국가고 스스로를 대로 붙여 높여 불렀던 점 역시 일본과 같았으므로 비슷한 관점에서 대영제국을 인식했을 가능성은 있기 때문이다.
다른 관점으로는 대영 제국은 과거에 영국을 대영(大英) 또는 대영국(大英國)이라고도 칭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그 자체는 제국주의나 사대주의 등과 관계없다는 입장이 있다. 지금은 대영제국, 대영박물관(British Museum),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 대영백과사전(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등의 일부 명칭에 붙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용례가 사라진 표현이지만 예전에는 영국을 대영이나 대영국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조선, 청나라의 공식 외교 문서에서 영국을 대영국이라 표기한 예도 있다.
영국이란 표현은 본래 잉글랜드(England)의 음역인 영길리(英吉利)에서 유래했다. 과거부터 영국 밖에서는 연합왕국(United Kingdom)인 영국을 잉글랜드로 대표해 부르거나 둘을 잘 구분하지 않고 영국을 잉글랜드로 부르거나 하는 경우가 흔했고 한자문화권 역시 같은 사정으로 잉글랜드뿐만 아니라 연합 왕국에 대해서도 영길리·영국 등으로 부르게 되었다. 그런데 잉글랜드와 그레이트 브리튼을 같은 한자어 영국(英國)으로 표기하면 필요할 때 둘을 구분할 수가 없으니 잉글랜드와 구분해 연합 왕국을 지칭할 때는 대영·대영국 표현이 같이 쓰였다는 것이다.
영국과 같이 연합왕국의 형식을 따르는 것이 특이한 형식이어서 정확히 부합하는 예를 찾기 쉬운 것은 아니지만 영어 표현에서 'Greater ~'는 어떤 중심 국가와 그 국가의 지배력 또는 문화권이 미치는 주변 권역을 의미하는 범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이란보다 넓은 페르시아 제국들의 영향권을 지칭하는 'Greater Iran', 중화권을 뜻하는 'Greater China', 현재의 인도 공화국보다 넓은 남아시아 지역 혹은 그 밖에 인도 문화의 영향력이 미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권역을 지칭하는 'Greater India',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그 바깥의 스칸디나비아 문화권까지 함께 지칭하는 표현 중 하나인 'Greater Scandinavia' 등이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현재는 주로 '범(凡)- 권'의 형태로 번역되지만 '대(大)-' 또는 '대(大)- 권' 형태로 번역된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본토를 제외한 권역 일부를 지칭한다는 면에서 정확한 의미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위 용례들과 같이 영어로는 'Greater Greece'로 번역되는 '마그나 그라키아(Magna Graecia)'가 '대(大) 그리스'로 번역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영국'과 '대영제국'의 관계도 그러한 사례를 참고해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은 조선왕조실록에서 처음 대영국이란 표현이 등장한 기사다.
6월 25일 어느 국가 배인지 이상한 모양의 삼범 죽선(三帆竹船) 1척이 홍주(洪州)의 고대도(古代島) 뒷 바다에 와서 정박했는데 영길리국(英吉利國)의 배라고 말하기 때문에 지방관인 홍주 목사(洪州牧使) 이민회(李敏會)와 수군 우후(水軍虞候) 김형수(金瑩綬)로 하여금 달려가서 문정(問情)하게 했더니 말이 통하지 않아 서자(書字)로 문답했는데 국명은 영길리국(英吉利國) 또는 대영국(大英國)이라고 부르고 난돈(蘭墩)과 흔도사단(忻都斯担)[103]이란 곳에 사는데 영길리국·애란국(愛蘭國)·사객란국(斯客蘭國)[104]이 합쳐져 한 국가를 이루었기 때문에 대영국이라 칭하고 국왕의 성은 위씨(威氏)[105]고 지방(地方)은 중국(中國)과 같이 넓은데 난돈(蘭墩)의 지방은 75리(里)고 국중에는 산이 많고 물은 적으나 오곡(五穀)이 모두 있다고 했고 변계(邊界)는 곤련(昆連)에 가까운데 곧 운남성(雲南省)에서 발원(發源)하는 한줄기 하류(河流)[106]가 영국의 한 지방을 거쳐 대해(大海)로 들어간다고 했습니다. 북경(北京)까지의 거리는 수로(水路)로 7만 리이고 육로(陸路)로는 4만 리이며, 조선(朝鮮)까지는 수로로 7만 리인데 법란치(法蘭治)·아사라(我斯羅)·여송(呂宋)을 지나고 지리아(地理亞) 등의 나라를 넘어서야 비로소 도착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순조실록 32권(순조 32년 1832년 7월 21일 을축 4번째 기사)
조선에도 이미 영국의 존재는 중국에서 들어온 서적 등을 통해 알려져 있었고[107][108] 영국 배가 다녀간 적[109]도 있었으나 필담이나마 조선의 관리와 문답한 기록은 이것이 최초다. 영길리국을 대영국이라고도 부른다는 사실은 이 기사에서 처음 알려진 것으로 이 기사에 한해서 보면 대영국은 연합 왕국인 영(길리)국을 강조해 부르는 말로서 쓰였다. 다만 이 기사에서도 대영국이라 부르는 이유에 관한 인용 이후에는 다시 영국이라 부르고 있고 실록 전체적으로 아주 드물게 쓰인 표현이다. 외국인과 한자로 나눈 필담이 실록에 실린 것들을 보면 프랑스인이 자신을 "대불란서에서 왔다"라거나 미국인이 "대미국에서 왔다"라고 했다는 경우가 보이는데 그들이 그렇게 말했다고 해서 조선 측이 일일이 대불란서, 대미국으로 불러 주지 않은 것과 같은 이치다. 또한 위 기사를 근거로 대영국은 여러 국가를 통일한 국가라는 의미에서 대를 붙인 것이므로 훗날 고종이 대한이란 국호를 선포할 때 "삼한(三韓)이 하나로 통합된 국가니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1897)라고 했던 것과 같은 것이라 보는 시각이 있다.순조실록 32권(순조 32년 1832년 7월 21일 을축 4번째 기사)
대한이라 함은 한(韓)은 한이지만 옛날 같은 작은 한이 아니라 지금은 커다란 한이라는 뜻을 보인 것이다. 이렇게 '대한'이란 것은 두 자가 다 합해 국가 이름이 되는 것이요, 결코 대명이나 대영과 같이 높이는 뜻으로 대자를 붙인 것이 아니고 '한국'이라 함은 실제 대한을 간단하게 부르는 것이다.
《조선상식문답》_최남선, 1946.
최남선의 인식으로는 대한과 달리 대영은 영국을 높여 부르는 의미였다는 것으로 앞에 소개한 현상윤의 주장과 비교했을 때 그 취지는 반대되지만 대영에 관한 인식은 동일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조선상식문답》_최남선, 1946.
일본에서 메이지 천황 시절 대일본제국 헌법을 만들 때 헌법에서의 일본 국호 앞에 대를 붙여야 하는지에 관해 논의하던 중 나온 발언으로 초안엔 대가 없었기 때문에 넣어야 한다는 요구에 대해 헌법 기초자 중 한명인 이노우에 고와시(井上毅)는 이렇게 답변했다.
皇室典範には大日本と書けども、憲法は内外の関係もあれば、大の字を書くこと不可なるが如し。若し憲法と皇室典範とは一様の文字を要するものなれば、叡旨を受て、典範にある大の字を削り、憲法と一様にせんことを望む。英国に於て大英国(グレイト・ブリタン)と云ふ所以は、仏国にある「ブリタン」と区別するの意なり。又大清、大朝鮮と云うものは、大の字を国名の上に冠して自ら尊大にするの嫌いあり。寧ろ大の字を削り、単に日本と称すること穏当ならん。
황실 전범(典範)에서는 대일본이라 쓰지만, 헌법은 대내외의 관계도 있거니와, 대 자를 쓰는 것은 불가할 듯하다. 만약 헌법과 황실 전범이 같은 글자여야 한다면, 말씀을 받들어, 전범에 있는 대 자를 지우고 헌법과 일치케 하길 바란다. 영국에 대해 대영국이라 하는 까닭은 프랑스에 있는 브르타뉴와 구별하려는 뜻이다. 또 대청, 대조선이라 하는 것은 대 자를 국명 앞에 붙여 스스로를 지나치게 높이는 경향이 있다. 오히려 대 자를 지우고 단순히 일본이라 칭하는 것이 온당하리라.[110]
《明治憲法制定史(下)》
프랑스의 브르타뉴와 구분해 불렀다는 것은 영어에서 영국을 가리키는 명칭 중 하나인 Great Britain에서 앞에 Great가 붙은 유래에 관한 것이다. Great Britain은 좁게는 아일랜드를 제외한 영국 본토 섬의 지명이자 넓게는 영국 전체의 통칭이기도 해서 Great Britain에서 Great를 '대'로 번역해 대영국이라 한다. 여기서는 영국(Great Britain)을 가리킬 때 대영국이라고도 했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으로 일본이 예전에 영국과 맺은 조약 등에서는 영국을 대불렬전국(大不列顛國)이라 표기했다. 대불렬전 또한 Great Britain의 역어로 대는 Great의 직역, 불렬전은 Britain의 중국어 음역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Great Britain을 グレートブリテン(Gurēto Buriten)으로 가타카나로 표기하지만 중화권에서는 지금도 공식적으로 大不列颠(Dà Bùlièdiān)이라 표기한다.황실 전범(典範)에서는 대일본이라 쓰지만, 헌법은 대내외의 관계도 있거니와, 대 자를 쓰는 것은 불가할 듯하다. 만약 헌법과 황실 전범이 같은 글자여야 한다면, 말씀을 받들어, 전범에 있는 대 자를 지우고 헌법과 일치케 하길 바란다. 영국에 대해 대영국이라 하는 까닭은 프랑스에 있는 브르타뉴와 구별하려는 뜻이다. 또 대청, 대조선이라 하는 것은 대 자를 국명 앞에 붙여 스스로를 지나치게 높이는 경향이 있다. 오히려 대 자를 지우고 단순히 일본이라 칭하는 것이 온당하리라.[110]
《明治憲法制定史(下)》
대영국이라는 표기는 일치하지만 문맥상 국호를 높여 부르는 의미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예도 있다.
대조선국 대군주(大君主)와 대영국 대군주 겸 오인도[111] 대후제(五印度大后帝) 양국의 우호(友好)를 영원히 돈독하게 하기를 간절히 염원해 피차 왕래하면서 오래도록 통상하기를 의정(議訂)한다.
(중략)
조선에 있는 영국 인민과 그 재산은 영국에서 파견한 법률과 소송을 처리하는 관원이 전적으로 관할한다.
조영수호통상조약, 1883.
조선은 후기 들어 국호를 대조선·대조선국으로도 표기했는데 조약 등에서 조선과 상대국을 나란히 쓸 때는 상대국에도 으레 대를 붙여 표기했고 그 아래 줄에서 보듯이 조선을 조선이라고 표기하면 영국도 영국이라고만 표기하는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대를 붙여 부른 다른 국가의 예는 아래와 같다.(중략)
조선에 있는 영국 인민과 그 재산은 영국에서 파견한 법률과 소송을 처리하는 관원이 전적으로 관할한다.
조영수호통상조약, 1883.
대조선국과 대아메리카 합중국〔大亞美理駕合衆國〕은 우호 관계를 두터이 해 피차 인민들을 돌보기를 간절히 바란다.
(중략)
이후 대조선국 군주와 대미국 대통령과 그 인민들은 각각 모두 영원히 화평하고 우애 있게 지낸다.
(중략)
미국 선척이 조선의 근해에서 태풍(颱風)을 만났거나 혹은 식량·석탄·물이 모자라고 통상 항구와의 거리가 멀리 떨어졌을 때는 곳에 따라 정박해 태풍을 피하고 식량을 사고 선척을 수리하도록 한다.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대조선국(大朝鮮國) 대군주(大君主)와 대프랑스 민주국[112]〔大法民主國〕 대통령〔大伯理璽天德〕[113]은 양국의 영원한 우호를 간절히 염원해 피차 왕래하면서 오랫동안 통상하는 일을 의정했다.
(중략)
조선에 있는 프랑스〔法國〕 인민과 그들의 재산은 프랑스에서 파견한 형명(刑名)과 사송(詞訟)을 처리하는 관원에게 돌려보내서 전적으로 관할하도록 한다.
조불수호통상조약, 1886.
청나라는 본래 세계의 상국을 자임해 외국에 칙유(勅諭)[114] 외에는 보낸 일이 없다가 나중에 평등한 입장에서 외국에 외교 국서를 보내기 시작했는데 이때는 스스로를 대청국이라 하듯이 상대국 국호 앞에도 대(大)를 붙여 표기했다.(중략)
이후 대조선국 군주와 대미국 대통령과 그 인민들은 각각 모두 영원히 화평하고 우애 있게 지낸다.
(중략)
미국 선척이 조선의 근해에서 태풍(颱風)을 만났거나 혹은 식량·석탄·물이 모자라고 통상 항구와의 거리가 멀리 떨어졌을 때는 곳에 따라 정박해 태풍을 피하고 식량을 사고 선척을 수리하도록 한다.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대조선국(大朝鮮國) 대군주(大君主)와 대프랑스 민주국[112]〔大法民主國〕 대통령〔大伯理璽天德〕[113]은 양국의 영원한 우호를 간절히 염원해 피차 왕래하면서 오랫동안 통상하는 일을 의정했다.
(중략)
조선에 있는 프랑스〔法國〕 인민과 그들의 재산은 프랑스에서 파견한 형명(刑名)과 사송(詞訟)을 처리하는 관원에게 돌려보내서 전적으로 관할하도록 한다.
조불수호통상조약, 1886.
9. 피지배국
1919년 제1차 세계대전 직후에서 1922년 아일랜드 독립 이전 시기.[118]
캐나다, 13개 식민지(미국), 호주, 뉴질랜드는 영국이 본국 직할 속령으로서 자국민들이 새로 거주할 목적으로 완전한 자국 영토로 생각하고 개발한 영토다. 영국이 대영제국이라 불리던 시절 아일랜드 섬은 연합 왕국의 일원으로써 해외 영토(식민지)가 아닌 영국의 본국 영토로 있었지만 식민지와 다를 바 없어서 결국 독립 투쟁을 벌여 독립했는데 그 과정에서 일시적이지만 자치령으로 있었다.
[[틀:대영제국의 식민지| 대영제국의 식민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i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버지니아 · 뉴욕 · 매사추세츠만 · 뉴햄프셔 · 뉴저지 · 노스캐롤라이나 · 사우스캐롤라이나 · 조지아 · 동플로리다 · 서플로리다 · 뉴아일랜드 · 퀘벡 · 하 캐나다 · 상 캐나다 · 밴쿠버 섬 · 노바스코샤 · 캐나다 연합 · 브리티시컬럼비아 · 뉴펀들랜드 · 바하마 · 버뮤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지브롤터 · 몰타 · 헬리골란드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해협식민지 · 아덴 식민지 · 싱가포르 · 말라카 · 홍콩 · 거문도 · 라부안 · 딘딩 · 피낭 · 북 보르네오 · 사라왁 · 실론 · 버마 · 인도양 지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뉴사우스웨일스 · 빅토리아 · 태즈메이니아 · 퀸즐랜드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 · 노퍽 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 섬 · 피지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투발루 · 길버트 제도 · 핏케언 제도 · 뉴 헤브리디스 공동통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케이프 · 나탈 · 트란스발 · 오렌지 강 · 시에라리온 · 골드코스트 · 아샨티 · 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라고스 · 바수톨란드 · 베추아날란드 · 케냐 · 감비아 · 모리셔스 · 세이셸 · 세인트헬레나 · 남로디지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포클랜드 · 자메이카 · 영국령 온두라스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세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 및 앵귈라 · 몬트세랫 · 바베이도스 · 영국령 기아나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앤티가 · 도미니카 · 그레나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 빈센트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남극 지역 · 호주령 남극 지역 · 로스 속령 | }}} | |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y는 1982년 법령 개정에 따라 영국 속령 British Dependent Territory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2002년 다시 명칭을 영국 해외 영토 British Overseas Territories로 개정하여 현재에 이른다. | |||||||||||||||||||||
보호령 Protector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바베이도스 · 모스키토해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몰타 · 이오니아 제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아덴 보호령 · 남아라비아 보호령 ·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 · 남아라비아 연방 · 몰디브 · 시킴 · 시스-수틀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토켈라우 · 파푸아 · 쿡 제도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영국령 솔로몬 제도 · 니우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소말릴란드 · 스와질란드 · 베추아날란드 · 니아살란드 · 감비아 · 우간다 · 동아프리카 · 케냐 · 시에라리온 · 앵글로-이집트 수단 · 북로디지아 · 바로첼란드 · 북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 골드코스트 북쪽 영토 · 이집트 헤디브국 · 이집트 술탄국 · 월비스베이 · 잔지바르 | }}} | |||||||
보호국 Protected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 부탄 · 티베트 · 아프가니스탄 · 페르시아 · 몰디브 · 북보르네오 · 브루나이 · 사라왁 · 무스카트-오만 · 말레이 연합주 (파항 · 스름반 · 페락 · 슬랑오르) · 말레이 비연합주 (조호르 · 크다 · 클란탄 · 프를리스 · 트렝가누) · 말라야 연방 · 바레인 · 쿠웨이트 · 카타르 · 트루셜 스테이트 · 네지드-하사 · 네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통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스와질란드 · 이집트 왕국 | }}} | |||||||||||||
인도 제국 Indian Empire | |||||||||||||||||||||
영국령 인도 British Ind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마드라스 · 벵갈 · 코로만델 및 벵갈 · 봄베이 · 서부(수라트) · 아그라 · 해협식민지 · 페르시아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나그푸르 · 델리 · 동벵갈 및 아삼 · 아그라 · 아삼 · 벵갈 · 버마 · 상부 버마 · 하부 버마 · 비하르 오리사 · 비하르 · 오리사 · 중부주 · 중부 및 베라르주 · 베라르 · 연합주 · 영국령 인도 연합주 · 아그라-아우드 연합주 · 마드라스 · 신드 · 아주머-멀와라 ·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 영국령 발루치스탄 · 코그 · 판트-피플로다 · 펀자브 · 서북변경주 · 서북주 · 아덴 · 소말릴란드 | }}} | ||||||||||||||||
인도 번왕국 Princely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왕국*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 잠무-카슈미르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 베나레스국 · 트라방코르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괄리오르의 2개 번왕국 · 라지푸타나의 23개 번왕국 · 발루치스탄의 3개 번왕국 · 벵갈의 30개 번왕국 · 중부 인도의 148개 번왕국 · 동부 인도의 42개 번왕국 · 마드라스의 5개 번왕국 · 펀자브의 45개 번왕국 · 아삼의 26개 번왕국 · 연합주의 2개 번왕국 · 중부주의 15개 번왕국 · 봄베이의 354개 번왕국 · 서북변경주의 5개 번왕국 · 길기트의 2개 번왕국 · 콜라푸르와 데칸의 18개 번왕국 · 구자라트와 바로다의 43개 번왕국 · 서부 인도의 263개 번왕국 · 버마의 52개 번왕국 | }}} | ||||||||||||||||
* 네팔 왕국은 1923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 정부에게 외교권을 통제당하여 외무는 오로지 영국 통감(British resident)에 의해 행사되었지만, 다른 토후국들과는 달리 내부 행정에 대해서는 완전한 독립을 유지하였던 보호국이었다. 그러나 완전히 독립한 1923년 이전까지는 간혹 인도 제국의 토후국 목록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Imperial Gazetteer of India(1909) | |||||||||||||||||||||
자치령 Dominions |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뉴펀들랜드 · 남아프리카 · 아일랜드 · 인도 · 파키스탄 · 실론 · 피지 · 가나 | |||||||||||||||||||||
* 로디지아는 일방적으로 식민지 남로디지아가 자치령을 선포한 것으로,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 |||||||||||||||||||||
조차지 Concessions | |||||||||||||||||||||
홍콩 · 신까이 · 상하이 · 톈진 · 웨이하이웨이 · 한커우 · 광저우 · 전장 · 샤먼 · 텅충 | |||||||||||||||||||||
국제연맹 위임통치령 League of Nations Mandates | |||||||||||||||||||||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 메소포타미아 · 탕가니카 · 서카메룬 · 토골란드 · 뉴기니 · 나우루 · 사모아 · 남서아프리카 | |||||||||||||||||||||
괴뢰국 Puppet States | |||||||||||||||||||||
이라크 왕국 · 이란 제국* | |||||||||||||||||||||
* 이란 제국은 1941년 대영제국과 소련의 페르시아 침공 협공으로 점령되어, 영소군 각각이 각 점령지에 주둔하였고 또한 각각의 점령지를 통치하는 분할 통치가 이뤄졌다. | |||||||||||||||||||||
군정 Military Administrations | |||||||||||||||||||||
오가덴 · 에리트레아 · 소말릴란드 · 리비아 |
대영제국의 식민지 깃발 목록
-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말레이시아 (1824~1956): 해협식민지, 말레이 연합주, 말라야 연방
- 싱가포르 (1824~1963)
- 브루나이 (1838~1984)
- 버마 (1824~1948)
- 벵쿨렌[119](1685~1824)
- 필리핀 (1762~1764)
- 남아시아
- 인도 제국[120] (1757~1947)
- 스리랑카 (1796~1948):인도 제국의 일부가 아닌 영국령 실론이라는 별개의 식민지였다.
- 몰디브 (1887~1965)
- 네팔 (1816~1923): 사실 네팔은 공식적으로 영국의 식민지나 보호국이 된 적이 없으나 1816년 영국과의 전쟁에서 진 이후 영국의 강력한 영향 아래 놓이면서 사실상 보호국이었다. 1923년은 영국과 네팔이 1816년 불평등 조약을 대체하는 대등한 조약을 맺은 시기였다.
- 부탄 (1910~1949): 부탄은 영국의 식민지가 아닌 보호국으로 취급된다. 그 당시에도 영국은 부탄에 간섭을 하지 않고 오히려 일부 영국인이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부탄에 들어온 것이었다.
- 아프가니스탄 (1879~1919)
- 서아시아
- 페르시아 (1919~1921, 1941~1946): 공식적으로 '보호령' 이름이 붙은 적은 없으나, 이미 카자르 왕조 때인 1912년에 영-러 페르시아 분할협정에 승인하여 영국과 러시아와는 준식민지 상태에 다름없는 불평등한 외교 관계에 있었으며, 1919년에는 러시아 내전을 틈타 영국이 영국-이란 협정을 맺고 군사적·경제적 종속국으로 삼았다. 물론 이는 영국의 패권 정치에 대한 국제적 비난으로 2년이 채 못 가 폐지되었다. 또한 이때 자원을 영국에 팔아넘기고 호의호식하는 왕조에 반발하여 쿠데타로 왕조가 교체되었다. 이후 성립된 팔라비 왕조 때인 1941년에도 이른바 페르시아 침공이라 불리는 영국-소련의 침공으로 사실상의 식민지에 준하는 지배를 받기도 했다.
- 팔레스타인 (1920~1948)
- 트란스요르단 (1921~1946)
- 메소포타미아 (1920~1932, 1941~1947)
- 오만 (1892~1970)
- 카타르 (1916~1971)
- 영국령 아덴 (1839~1967)
- 쿠웨이트 (1899~1961)
- 휴전 오만 (1906~1971)
- 바레인 (1820~1971)
- 사우디아라비아 (1915~1927)
- 오세아니아
- 호주 (1770~1942)[121]
- 뉴질랜드 (1788~1947)[122]
- 파푸아뉴기니 (1883~1975)
- 피지 (1874~1970)
- 통가 (1900~1970)
- 솔로몬 제도 (1893~1978)
- 길버트&엘리스 제도 (1877~1976)
- 뉴헤브리디스 제도[123] (1887~1980)
- 북아메리카
- 13개 식민지 (1607~1776) 현재의 미국 동부 16개 주로 13개 주와 나중에 주로 승격된 버몬트, 메인 주, 웨스트버지니아를 일컫는다. 1776년 독립 이후 아메리카 합중국이 되었다.
- 뉴펀들랜드 (1610~1949): 1907년 자치령이 세워졌으나 1934년 자치령 지위를 포기했다. 이후 1949년 캐나다에 합병되었다.
- 캐나다 (1710~1931)[124]
- 오리건[125] (1792~1846)
- 중앙아메리카
- 영국령 온두라스 (1749~1981)
- 자메이카 (1655~1962)
- 도미니카 (1805~1978)
- 바베이도스 (1627~1966)
- 바하마 (1717~1973)
- 트리니다드 토바고 (1802~1962)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1767~1979)
- 세인트루시아 (1814~1967)
- 그레나다 (1763~1974)
- 모스키토해안[126] (1638~1787, 1844~1860)
- 쿠바 (1762~1763)
- 남아메리카
종단 정책이 나타난 지도로 지도의 연도는 영국에서 독립한 연도 |
- 아프리카
- 이집트 (1881~1922, 1952)[127]
- 앵글로-이집트 수단 (1899~1956)[128]
- 나이지리아 (1861~1960)
- 남아프리카 공화국 (1795~1931)[129]
- 남로디지아 (1889~1965, 1979~1980)
- 케냐 (1888~1963)
- 우간다 (1894~1962)
- 골드코스트 (1867~1957)
- 영국령 소말릴란드 (1884~1960)
- 소말리아 (1941~1949)
- 감비아 (1821~1965)
- 시에라리온 (1800~1960)
- 베추아날랜드 (1885~1966)
- 바수톨란드 (1868~1966)
- 스와질란드 (1906~1968)
- 북로디지아 (1890~1964)
- 니아살랜드 (1891~1964)
- 모리셔스 (1810~1968)
- 세이셸 (1814~1976)
- 탕가니카 (1916~1961)
- 잔지바르 (1890~1963)
- 카메룬 (1916~1961)
- 리비아 (1942~1951)
- 에리트레아 (1941~1952)
- 유럽
- 아일랜드 섬
북아일랜드 (1171~현재)아일랜드 (1171~1922):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는 엄밀히 말하면 법적으로 영국 본토의 일부이다. 다만 아일랜드의 경우, 독립 이전까지 영국 본토의 일부였으나 취급이 식민지와 다를 것이 없었다.- 몰타 (1800~1964)
- 지브롤터 (1704~현재)
- 이오니아 제도 (1815~1864)
- 코르시카 (1794~1796)
- 키프로스 (1878~1960)
- 남극
10. 관련 문서
- 6.25 전쟁[130]
- 식민제국
- 팍스
- 빅토리아 여왕
- 빅토리아 시대
- 영연방: 영국과 영국의 지배를 받던 국가들이 모여 결성된 국제기구로, 타 식민 제국과 가장 구별되는 특징이다.
- 영연방 왕국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제국 연방
- 혐성국
11. 매체에서의 등장
한때 전 세계적인 위세를 떨쳤던지라 여러 매체에서 직간접적으로 나오거나 모티브가 되고 있다. 어딘가 흔히 말하는 영국풍 제국이 나올 경우 십중팔구 대영제국이거나 대영제국을 모티브로 한 가상 국가다. 영국의 창작물에만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일본 등의 해외 창작물에도 많이 등장한다.11.1. 영상매체
}}}||-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의 모든 편에 개근하고 있다.[131]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실사화에서도 배경으로 나온다.
- 디즈니 피터팬 시리즈에서 초반, 후반에 나온다. 1편은 1차대전 전 또는 후의 대영제국, 2편은 런던 대공습 시기 대영제국이다. 그리고 잘 따지고 보면 웬디, 존, 마이클 등의 달링 가족과 후크 선장도 영국인이다.
- 레이튼 교수와 영원한 디바에서는 20세기 경의 전성기 대영제국 본토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들을 영국 고고학 박사 레이튼 교수가 풀어나간다. 그러나 소재가 소재인 만큼 대영제국의 정치, 군사적 면은 느끼기 힘들다.
- 코드기어스 시리즈에서는 대영제국 + 미국을 모티브로 한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이 나온다.[132] 설정상 미국의 독립전쟁은 실패, 이후 영국이 나폴레옹에게 패배해 본토를 버리고 아메리카로 도주해 거기서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을 세웠다고 한다.
- 황비홍 시리즈도 청나라 말엽이 무대인 만큼 미국, 일본 등과 더불어 황비홍의 조국 청나라를 괴롭히는 악역으로 나온다. 황비홍 시리즈가 아니라도 청나라 말엽을 소재로 한 영화에서 대영 제국이 선역으로 나온 적은 거의 없다. 비유하면 한국 영화에서 다뤄지는 조선 말기나 일제강점기에서 일제가 철저히 악역 포지션으로 나오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 빅토리아&압둘에서는 인도인이 주인공임에도 부분적 선역으로 등장한다.
11.2. 게임
- 대다수 스팀펑크의 경우 과거 산업혁명 시점이나 직후 대영 제국 본토의 분위기를 모티브로 한다.
- 다이스(EA Digital Illusions CE)가 제작한 게임이자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FPS 게임인 배틀필드 1에서 협상국인 미합중국, 프랑스 제3공화국, 이집트, 러시아 제국과 함께 등장 세력으로 나온다.
- ANNO 1800의 주요 시대 모델이다.
-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에서도 시기상 자주 출현하는 편이기도 하다. 켄웨이 부자와 셰이 패트릭 코맥 등 굵직한 주요 인물들이 미합중국의 독립을 전후로 활동한 대영 제국 출신이며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는 아예 배경이 1868년 산업 혁명 당시의 대영제국이다.[133]
- 문명 시리즈에서는 첫 문명부터 문명 6에 이르기까지 개근했다. 다만 게임 자체가 특정한 시기가 아니라 인류의 역사 전체를 다 다루는 만큼 대영제국이라기보다 그냥 영국으로 보는 게 옳으며, 심지어 원문으로는 영국도 아니고 잉글랜드다. 다만 빅토리아 여왕이나 레드코트도 두 번(문명 4, 문명 6) 나오고 문명 6에서는 산업혁명을 문명 특성으로 주는 등 대영제국의 면모도 간간이 반영되고는 있다.
- Victoria II에서는 게임의 이름답게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등장하며 막강한 해군을 이용해 대륙 구석구석을 침략하고 상륙전으로 플레이어를 피곤하게 하는 국가로 악명이 높다. 시작부터 인도라는 사기급 식민지를 보유하고 있어 산업 발전에 필요한 대부분의 자원이 충족되어 잘 큰 독일이나 미국이 아닌 이상 영국의 산업력을 뛰어넘기가 힘든 최강 국가.
- Victoria 3에서도 역시나 등장한다.
- 하츠 오브 아이언 시리즈에서 영국이 파시즘 정권이 되었을 때의 국명이 대영제국이다. 다만 인도와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는 자치령/식민지로 분리되어 있다. 물론 플레이어의 역량에 따라 나중에 자치령을 합병시킬 수도 있다.
- 역사의 시대 2에서도 등장한다. 직접 플레이 할 수 있으며, 캐나다+호주+뉴질랜드+인도제국+말레이+영국 플레이도 가능하다.
- Guts & Blackpowder의 대영제국은 나폴레옹 전쟁 중, 좀비 사태가 터져 유럽 대륙 쪽으로 해군을 보내 아군이든 적군이든 구조하고 있다.[134][135][136]
11.3. 서적
- 이원복 교수의 만화책에도 나온다. 먼나라 이웃나라 영국편에서는 완전히 영국 중심이고, 학습만화 세계사의 경우, 영국 정부 포지션일 때는 영국 신사로서 나온다. 6권 쯔음부터 표지를 장식하며 본격적으로 나와서 11권에는 제목에 엘리자베스 1세가 있고, 12귄에는 넬슨 제독으로 추정되는 삽화, 15권 뒤쪽에 세포이 항쟁, 17권 앞 표지에 마크 전차, 그렇게 6화쯤부터 20화까지 한 화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학습만화 한국사에서도 대한제국 시기에 등장한다.
- 서유럽 여행 가이드에도 무조건 영국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영국이 들어가는 가이드 책에는 무조건 대영제국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1] 유니언 잭 문서 참조.[2] 역대 국장은 영국/국장 참조.[3] 버지니아 식민지 건설.[4] 홍콩 반환.[탈퇴] 영연방에 탈퇴했다.[탈퇴] [7] 영국 본토 면적 314,000㎢을 포함한 수치로 아프리카보다 5,130,000km²넓다.[8] 식민지 인구에다가 영국 본토 인구 46,800,000명 포함. 당시 세계 1위.[9] 본국인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경우 국교회인 성공회 신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스코틀랜드와 아메리카 식민지는 청교도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일랜드 지방의 경우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를 차지했다.[10] King(남성)/Queen(여성). 주로 왕 또는 여왕으로 번역한다. 인도 제국에 한하여 황제(Emperor/Empress)의 자격을 인정받았다. 당시에 '대영제국 황제'는커녕 '대영제국 국왕'이라고 불린 적도 단 한 번도 없었고, 그냥 예나 지금이나 영국 국왕이다.[11] 영국 최초의 아메리카 식민지 제임스타운이 제임스 1세 시기에 생겨났다.[12] 영국과 그 식민지를 아울러 부르는 호칭일 뿐, 대영제국이라는 국가가 세워졌다 멸망한 것은 절대 아니다.[13] 남극의 경우 1959년 맺어진 남극조약으로 영유권이 인정되지 않으나, 이미 대영제국은 조약 채결 이전 1775년 당시 남극 수렴선 남쪽에 위치하여 사실상 남극의 범위에 포함되는 사우스조지아섬을 발견하고 실효지배하였다. 또한 남극조약 채결 전까지는 영국령 남극 지역 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였다. 즉, 남극조약 채결 이전까지의 대영제국은 사실상 남극까지 영토를 지닌 국가로 보는 것이다.[14] 참고로 다른 해양 세력들의 해상 패권은 대영제국이나 미국의 제해권에 비할 바가 못 되었다. 전 세계 모든 지역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진정한 초강대국의 정의에 부합하는 국가는 인류 역사상 지금까지도 미국, 소련, 대영제국의 3개 나라뿐이다.[15] 학계에서는 이견이 있지만 현대 이전의 초강대국이라고 지칭되기도 한다. 애초에 초강대국의 개념을 고안한 윌리엄 폭스가 대영제국을 초강대국에 포함시켰다. <The Super-Power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the Soviet Union - Their Responsibility for Peace> (초강대국: 미국, 영국, 소련 - 평화에 대한 그들의 책임) 다만 대영제국이 소련,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초강대국이 맞는지는 여전히 의견이 갈리는데, 자세한 건 초강대국 문서를 참고할 것.[16] 영토 면적은 최대지만 식민제국의 특성상 각 대륙마다 떨어져 있어 정작 연결성은 가장 떨어졌다. 당장 대영제국 바로 다음으로 영토가 넓은 몽골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만 보아도 영토가 서로 떨어지지 않고 단일한 영토를 유지하였다. 그렇지만 발달된 항해술과 과학 기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유한 제해권으로 인해 생각보다 연결성이 결코 앞서 말한 다른 제국들보다 크게 뒤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기동성 있는 모습을 보여주곤 했다.[17] 사실 최대 판도를 유지한 기간 자체는 길지 않다. 베를린 회담 이후 아프리카 식민지화를 거의 마친 게 1890년대이며 아일랜드가 사실상 독립한 게 아일랜드 자유국이 세워진 1922년이다.[18] 영어에는 Royal We 혹은 Majestic Plural로 불리는 보통 서구의 군주가 스스로를 복수(We)로 칭하는 장엄 복수형이라는 어법이 존재하나 위 발언은 당시 보어 전쟁에 적극적이었던 전시 내각이 소집된 상태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다소 소극적인 행보를 보인 총리를 꾸짖으면서 나온 것으로 정황상 본인 혼자만을 가리키기보다는 내각 전원을 칭하는 것이라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19] 일반적으로 나폴레옹 전쟁 승리 후 열린 빈 회의에서 결정된 빈 체제 시작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1815~1914년의 99년을 'pax britianica'로 정의한다.[20] 하지만 우리 같은 극동아시아 세계관에서는 아편전쟁 이전까지 청나라가 '잠자는 사자'라는 명칭을 들으며 서구권에게 실체에 비해 상당히 고평가를 받았고, 우리 역시 그다지 서구를 동아시아에 비해 더 선진적이거나 우월하다고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논란이 있을 수 있다. 그래도 전체적으로 오늘날 되돌아봤을 때, 대항해시대 이후 늘 서구 역사의 중요 부분을 차지해왔으며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 약 한 세기에 걸쳐, 특히 빅토리아 시대 동안 전 세계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이 막강했다. 유럽 대륙에서의 영향력에는 논란이 있으나 비스마르크의 대외 정책과 세계관만 보더라도 빈 체제 이후 지도력을 상당 부분 발휘하였으며, 이 이후로는 프랑스도 대영제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그에 협조한 점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러시아 제국 역시 상당 부분 영국이 상대적 우위를 점하고 성공적으로 여유롭게 견제되고 있었다. 인류 역사상 최초의 기축통화라고 평가받는 것 역시 파운드 스털링이며, 그 이후 미국 달러와 냉전 시대 소련의 공산권 경제 체제의 블록 등이 범 세계적인 경제 체제에 해당하고 있으며 현대 문명의 형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였다.[21] 아편전쟁, 크림전쟁, 세포이 항쟁[22] 당시 대영제국의 정식 국명은 Kingdom of Great Britain(1707년~1801년)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1801년~1927년)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1927년 이후)이었다.[23] 유렵권 칭제 필수 조건이며, 안되면 타 문화권 황제 칭호라도 써야 하는 것이 맞고 나무위키 여러 문서에도 잘 쓰여있다. 실제로 많은 서양의 황제국들이 직간접적으로 로마 제국과의 연관을 주장했고 그 외에는 이탈리아 왕국처럼 외국 황제 직위 뺏어다 썼다. 로마와의 연관성을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으면서 타 문화권의 직위를 빌려오지도 않은 케이스로는 전히스파니아의 황제, 프랑스 제국 등이 있지 않냐고 반박할 수 있는데, 애초에 전히스파니아의 황제는 어떻게든 로마와의 연관성을 최대한 억지로 쥐어짜내기는 했는데다가 그 마저도, 그냥 무시당해서 얼마 안가 버려졌고, 프랑스 제국은 프랑스 제1제국의 경우는 최대한 초대 로마 황제인 아우구스투스를 의식한 방식으로 황위를 받아냈으며, 서로마 제국을 계승한 프랑크제국을 계승한다는 명분으로 즉위했다. 일단 유럽에서 제국을 칭하려면 억지든 아니든 일단 로마 제국과의 연결성을 어떻게든 끼워맞춰보든지(...) 아니면 아예 다른 곳의 제위를 점령해서 참칭하든지 둘중 하나였다.[24] 물론 현 시점에서도 영국이 강대국인 것은 여전하다.[25] 결국 프랑스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뒤부터는 사실상 대영제국의 패권을 넘는 것은 포기하고 영국과 다투지 않고 사이좋게 지내는 방향으로 간다.[26] 실제로 약 100여년이 지나, 러시아 제국을 계승한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 독립과 소련의 핵개발(2차대전 기간 중에는 소련의 역량이 미국과 서유럽 열강에게 높게 평가받지 못했다)을 기점으로 영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확실히 뛰어넘어 초강대국에 등극하니 19세기 영국의 우려와 견제는 결코 헛된 생각은 아니었다.[27] 1차대전 당시 미국이 평갑판형 구축함 수백 척을 찍어내는 공업력을 선보이자 영국이 기겁한 게 컸다. 이후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영일동맹을 기반으로 미국을 견제하려 했으나 영국과 일본이 끝내 결렬하고 해군 조약을 체결을 위해 무산된다. 그리고 미국도 마찬가지로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는 영국을 가장 위험한 라이벌로 간주하고 대비를 했다.[28] 종주국이지만, 역사적으로 영어를 오늘날 국제어로 만들고 리드하고 있는 주체는 미국의 비중이 더 크다. 20세기 후반까지, 20세기 내내 경쟁자이던 러시아어, 프랑스어는 물론이고 기타 독일어, 일본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심지어 에스페란토어까지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영국은 세계의 주요 강대국 중 하나고, 추가로 재밌게도 영어가 미국에서 온전히 쓰이게 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일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영어 문서로.[29] 물론 민주주의 확산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공이 훨씬 크다. 빅토리아 시대에도 민주주의는 영국에서나 성공한 모델이며 이를 같이 따라온 국가는 미국과 프랑스 정도였다. 오늘날 인류 보편 문명에는 전혀 해당하지 못했고 세계 각지에서는 각자 고유 체제들이 존재했다. 20세기 초반 전간기에도 역시 파시즘과 군국주의, 전체주의가 여기저기서 유행하여 창궐하였으며 민주주의는 영국에서나 성공한 모델로 여겨졌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제2세계, 제3세계 국가들이 많았고, 여전히 민주주의나 자본주의에 대한 의구심과 회의감도 있었다. 오늘날과 같이 민주주의가 지배적인 입지를 굳히는 데에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냉전 종료 이후의 최근까지 와야 한다. 단,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공화주의, 자유주의 혁명이 미국과 프랑스에서 일어나기 전 명예혁명이 우선이었으므로 영국이 세계사에 미친 영향력이 결코 과소평가될 수 없다. 추가적으로 2차대전 이후에도 현재 역시 영국은 한 손에 꼽히는 강대국이고 미국과 함께 냉전승리를 위해 나토 및 세계 각지에서 소련에 맞서 싸웠다. 따라서 제1세계 맹주는 미-영-프다.[30] 현대 자본주의는 미국이 전적으로 이끌고 있으나, 자본주의 태동은 단연 영국이다. 국부론[31] 북미나 동아시아에서도 여전히 그리니치 천문대 기준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도 영국이 중심이 된 세계 지도를 사용한다.[32] 1차 산업혁명은 영국의 독무대였고 제2차 산업 혁명부터는 독일과 미국 등 후발 주자들이 많이 추격하여 영국의 비중은 '상대적으로는' 적지만 그래도 산업과 학문 분야에서 항공, 전기전자, 핵, 통신, 해저 케이블, 화학, 제약 등 2차대전 시기에도 제트엔진과 페니실린 핵 개발 등 영국의 공도 상당하다. 인터넷과 컴퓨터, 반도체, 우주 기술을 비롯한 제3차 산업 혁명부터는 미국(일본, 대만, 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으로 주도권이 많이 넘어갔으나 여전히 영어권 미국 및 북미의 기업과 학계에 교류, 협력하여 AI시대에도 같이 주도하고 있다. 대표적 예시가 앨런 튜링, 아파넷에 이은 월드 와이드 웹 팀 버너스리, AI대부 제프리 힌튼, 구글 딥마인드 알파고의 데미스 허사비스 등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컴퓨터 과학의 발전은 당연히 미국의 학계와 과학자, 기업들의 공이 훨씬 크다. 당장 최고 등급 학자들이나 IT, 반도체 기업들, 튜링상만 봐도 미국이 영국보다 5-6배 이상, 65% 가량 받는다. 그러나 영국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학계와 기업, 인재 풀을 갖췄고 그 외 2차대전 이후의 과학, 학문 분야 노벨상수상도 미국에 이은 2위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격차가 계속 커지는 와중에도 영국은 크게 선방하고 있는 나라이다.[33] 특히 축구와 크리켓[34] 하지만 일정 부분 근대를 풍미했던 영국의 가치가 현대에 와서 미국과 함께 또는 그에 의해 변형된 측면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는 여전히 영국식이다. 하지만 요즘의 영어 스타일은 미국식 영어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영국에서조차), 우리는 양복은 여전히 입지만 모자는 더이상 쓰지 않고, 지팡이도 없다. 자본주의 역시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미국의 경제학자들의 뉴딜 정책 이후 수정자본주의가 들어섰고, 제국주의형 폐쇄적 경제 모델에서 미국식 자유무역, 브레튼우즈시스템하의 달러 통화 체제로 넘어갔다. 요즘의 민주주의 정치 모델 역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공화제, 미국식 대통령제를 채택하는 국가들이 늘어났으며, 대통령제에 대해 절충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헌법이나 프랑스의 이원정부제 같은 유럽의 모델들도 생겨났고 의원내각제 국가들 사이에서도 대통령제 시스템을 본뜬 총리직선제같은 시도와 논의들도 일본, 이스라엘, 영국 등지에서 계속 직선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런던 시장 직선제 등. 소위 말해 내각제 국가들의 정치인들은 '고인물'들이 많다는 것이다. 대통령제의 시스템에 대한 권위성이나 권력집중 현상에 대한 협치가 부족하여 군주제성 비판을 감안하더라도, 미국에서도 사실 대통령이 국정 전반을 이렇게 주도한 것은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등장한 2차대전 이후의 일이고 원래는 여느 현재 유럽의 의회공화제 대통령들처럼 의회 중심의 정치가 이루어졌다. 미국 대통령의 인사권이나 예산권, 입법권, 외교, 군 통수권 등이 다 의회(또는 연준) 에 묶여 있으며 연방제 하의 각 주정부들의 자치권이나 사법부의 견제에도 많은 제약을 받는 것들이 그 예이다.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미국 역시 정치 문화에 따라서 미국은 이 헌법 그대로 두고도 다시 의회 중심의 국정 운영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만 온건한 양당제로 잘 협치가 이루어져 의회가 주도하던 미국 민주주의 모델이 최근 21세기 들어 심하게 분열되어서 폭도들이 미국 의회에 쳐들어가는 상상하기도 어려운 일이 미국에서 발생해버렸다.[35] 자치령들은 식민지처럼 속령이기는 하지만 본국인 영국 정부를 본떠 자신들만의 자치 정부를 갖추고 내정에는 간섭을 받지 않았다. 캐나다가 최초의 자치령이었다.[36] 1차 대전 때는 자치령들이 독자적인 외교, 군사권이 없었기 때문에 영국과 별도의 선전포고를 하지 않고 참전했다. 하지만 2차 대전 때는 자치령들이 이미 독립국과 마찬가지로 외교와 군사권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과 별도로 선전포고를 하고 참전했다.[37] 예를 들면 캐나다 헌법과 호주 헌법, 뉴질랜드 헌법은 1980년대까지 영국 의회에서 개정 권한이 있었고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스스로 개정할 수 없었다. 이론상 캐나다와 호주, 뉴질랜드가 헌법을 고치고 싶다면 영국 정부에다가 이러저러하게 고쳐달라고 요청해서 협의해야 했던 것이다. 물론 지금은 그 권한이 캐나다 의회와 호주 의회, 뉴질랜드 의회로 완전히 넘어왔다.[38] 영국의 정치가들은 2차대전 이후 미국에게 패권이 넘어가는 국제 정세 속에서 미국을 로마에, 영국을 그리스에 비유하는 것을 좋아했다.[39] 이거만 봐도 얼마나 영국이 1차대전 이후에 재정 꼬라지가 말이 아니었는지 한 번에 보여준다. 전후 서유럽의 전쟁 배상 협약에서도 영국보다 미국이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산업 생산력만 과잉되어 뛰어났으나 채무국이었던 미국이 전후 채권국으로 탈바꿈된 것을 감안하면 이 시기부터 이미 서서히 세계 경제 패권이 미국으로 넘어가고 있었다고 볼 수 있겠다. 2차대전은 파산을 넘어 아예 몰락해버린 수준이고 이를 미국 주도의 마셜 플랜에 의지하여 회복하였다.[40] 세계 대전 이후 맺은 해군조약은 이제 영국이 전 세계 바다를 미국, 일본 등 신대륙과 극동의 경쟁자, 도전자들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압도할 정도의 역량이 이제 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1차대전 이후 소련 역시 새로 탄생하여 국제 무대에 등장하였다. pax britanica 의 종료의 가장 큰 사건을 대개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꼽는다.[41] 대공황 이후 미영프 금융협정, 중미은협정등 미국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점[42] 20세기 초 과학 부문 노벨상 수상자는 대개 독일 출신이었다. 그리고 1933년 나치당이 독일에 집권하자 그들을 피해 페르미, 노이만, 아인슈타인 등 무게감 있는 과학자들이 영국이 아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물론 보어 같이 영국으로 간 케이스도 없는 것은 아니었다. 영어권 위키에서는 20세기 초반, 특히 전후 1920년대부터 1차대전 여파로 인해 전쟁이 두려운 학자들의 꾸준한 미국 이민, 두뇌 유입과 초청 강연들이 있어왔다고 서술하고 있다. 유입도 되고 유학도 보내고 유럽이 주목할 정도의 자체적인 발전도 있었던 셈이다.[43] 192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오펜하이머가 영국과 독일 같은 유럽에 한 수 배우러 유학 간 반면, 1936~8년경에는 앨런 튜링이 미국으로 유학 올 수준까지 미국 학계가 성장했다.[44] 물론 어디까지나 당시 이뤄지고 있던 연구의 질을 말하는 것이고, 그간 축적된 유럽 학계의 데이터 총합을 완전히 따라잡는 것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서유럽의 학술을 완전히 제치고 세계의 중심이 된, 오늘날 미국 학계의 위상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그 이후에서나 이루어졌다.[45] 그렇다고 2차 대전 이전의 영국의 종합적인 국제적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곤란하다. 항공기, 제트엔진, 마그네트론등 당시 첨단 과학기술 분야, 학문적 성취에서도 유럽에서 최상위권이었고 제조업 비중이나 경쟁력도 (상대적으로는 감소되어가긴 했지만) 여전히 상위권이었고 종합적인 국가 역량도 최상위권이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분명히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다.[46] 다만 실질 국력은 이미 1차 대전 종전 시점부터 미국이 영국보다 월등했다.[47] 2차 대전 초기 대독일 전선을 홀로 이행하면서 크게 휘청였으며, 이후 미국이 참전하면서 숨을 돌렸으나 미국이 주도권을 쥐고 전쟁을 이끌면서 영국은 미국의 보조 역할에 만족해야 했다. 당시 영국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은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게끔 많은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결국 미국이 참전을 결정했을 때 영국에 상당히 무리가 있는 요구를 했었음에도 처칠은 이를 수용했다. 루즈벨트 재선 후, 영국의 지원 요청에 대해 미국이 했던 제안(미국 측의 영국 정부 회계 감사, 금괴 요구, 영국 국영 기업 소유권을 헐값에 미국으로 이전)만 봐도 2차 대전 당시의 영국과 미국의 관계와 영국의 처참한 입장을 한눈에 보여준다.[48] 랜드리스를 통해 미국이 기술, 산업의 절대적 우위를 과시하고,구축함과 기지 협정을 통해 대영제국의 세계 해양 패권을 완전히 인수했다. 맨해튼 계획을 통해 영국의 튜브 앨로이스 프로젝트를 흡수하고 영국이나 독일 같은 서유럽 대비 미국 학계의 과학 기술과 개발력의 우위를 세계에 증명,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연합군 총사령관 자리, UN 초기헌장과 본사를 미국에 설립, 파이브 아이즈의 수장으로 등극, 브레튼 우즈 협정을 통해 그간 달러와 파운드로 양분되어 있던 세계 기축 통화/금융 시장 영향력을 완전히 미국으로 흡수, 미영 석유 협정 기축 통화 지정과 중동 지역에서 가장 큰 비중인 사우디의 석유를 미국이 가져가고 영국에게는 이란을 배정하여 일방적인 서열 정리를 영국에게 강요하는 등 2차 대전은 이제 미국이 영국이 주도하던 질서와 군사개입의 리더십을 추월해 보다 강한 국가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시기였다.[49] 당시에는 소련이 그렇게 강력하지 않았으며 이후 핵 개발과 전후 복구 등 급격한 진전으로 1950년대 이후에서나 강력한 패자로 떠오른다. 다만 처칠에 이어 후임 총리 노동당의 애틀리가 집권하여 인도 독립을 바로 승인하였으며, 2차대전 중에도 유럽과 동아시아(일본-중국 전선)의 정세를 소련과 미국이 주도하고 중동에서도 외교에서 미국에게 밀리기 시작하였고 인도 독립문제의 해결시기를 앞당기는 등, 처칠 본인도 어느정도 직감하고 있었다. 영국이 저물어가고 있다는 분위기는 확실히 있었다. 화폐환율을 보면 파운드-달러간 거래가치가 2차대전 직전까지도 1파운드당 5달러 선을 유지하였으나, 2차대전이 개전되고 미국이 참전한 이래 대전 기간 4달러 선으로 떨어지고 전후 인도독립과 브레튼우즈 협정을 거쳐 파운드당 2.8달러 선까지 떨어진다. 2차대전과 전후 정세의 변화에 따라 대영제국과 화폐 환율거래가치가 반토막으로 축소된 것이다. https://www.miketodd.net/encyc/dollhist.htm[50] 미국의 휘하에 있던 부하들은 영국, 프랑스, 서독 및 서유럽 국가들, 일본 등 전에 힘깨나 쓰던 제국주의 열강들이었고 소련 밑에는 동독이나 중국 정도인데 이마저도 중국은 도중에 틀어졌다. 당연히 소련도 나중에는 미국 앞마당인 쿠바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제3세계 비동맹국가 선봉장인 인도는 물론 중동의 터키, 페르시아, 아랍세력, 아프리카나 남미 국가들에게까지도 영향력을 행사했고, 영국, 프랑스 등 서유럽 국가들과 중국 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도 국력에서 압도하고 미국과 대등한 군사력을 잠시나마 형성했으며(경제력은 크게 밀렸지만 자원이나 식량 등에서 독자 경제권이었던 것은 미국에게 큰 부담이었다) 사상이나 문화에서 치열하게 대립했음은 물론이요, 우주에서도 치열하게 경쟁했던 라이벌이었다.[51] 다만 여긴 이라크 스스로가 영국에 선전포고하는 대담한 짓을 했다 굴복한 거다.[52] 1952년까지 배급제가 시행될 정도였다.[53] 수소폭탄개발 순위도 미국(1951)-소련(1953)-영국(1957)이며 중국과 프랑스는 원자탄은 1960년 이후, 수소탄은 10년 뒤인 1967-68년에 성공하였다. 영국은 독일, 미국과 더불어 2차대전 당시 핵물리학과 원자탄 개발 기술에 있어서 가장 앞서서 경쟁하던 국가이니 당연한 격차이다.[54] UN에서 거부권을 제일 많이 행사한 국가 순위도 소련(러시아)-미국-영국-중국, 프랑스 순이다. (다만 중국은 1971년에서야 제대로된 대륙국가인 PRC(중화인민공화국)이 상임이사국 자리를 계승했고 이후로도 가급적 개입을 하지 않고 있을 뿐, 단독 거부는 대부분 미국과 러시아(소련)가 하고 중국, 영국, 프랑스는 비슷하게 아껴서 사용을 자제해왔다. 오늘날 중국은 당연히 러시아, 영국보다 비중있고 잠재력이 높은 강대국이다.) 1963년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PTBT) 등 주요 군사, 정치 협약에도 미-소와 더불어 주요 3강으로 협정에 참여하였고, 1994년 우크라이나 부다페스트 안전보장 각서 에도 미국, 러시아와 함께 핵심 열강으로서 참여하였다. 중국과 프랑스는 따로 약한 개별 보증을 했다.[55] 미국의 지지와 요청이 있기도 하였으나 보다 큰 이유는 2차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자국의 약화된 국력과 국제적 지위를 실감하고 유럽에서 큰형님 노릇을 하면서 국제정치적인 입지의 반등을 노려보려던 것이었으나, 최근 브렉시트사태를 보듯 유럽은 독일과 프랑스 위주로 굴러갔고 영국은 상대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 영국인들과 그 정치인들로부터 큰 불만이어서 다시 탈퇴하였다.[56] 다만 플라자 합의 이후 80년대 후반~ 1990년대까지는 일시적으로나마 영국, 프랑스, 독일을 다 합친 경제 규모에 1인당 GDP는 미국을 뛰어넘은 것은 말할 것도 없이 룩셈부르크, 스위스랑 비교되는 수준이었고 타 아시아 국가들의 GDP를 합친 것조차 압도할 정도의 엄청난 거시경제지표로 인해 90년대 중~후반 영미와 일본의 격차가 닷컴버블로 인해 다시 벌어지기 전까지 일본의 위협론, 그리고 경제, 금융, 문화, 산업 및 과학기술적 영향력과 대외위상, 국력은 러시아(이쪽은 소련 붕괴+보리스 옐친 2연타를 얻어맞았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중국(이쪽은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에야 최빈국을 벗어났다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영국, 프랑스 같은 상임이사국들 이상이였다. 당시만 하더라도 진주만 공습과 태평양전쟁 시기의 기억이 가시기 전이고 서구의 반일정서는 현재 반중정서 이상이었다.[57] 사실 일본이 국제정치적 입김이 미미했던 것은 2차 대전을 치른 것의 업보이긴 하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80~90년대 일본은 순수 경제적 영향력만으로 패권을 행사한 세계에서도 유일무이한 사례이기도 하다.[58] 이 시기 스페이스 클럽 1970년 일본의 오스미와 중국의 동방홍은 소련, 미국, 프랑스에 이어 1971년 영국보다도 앞선 것이였다.[59] 당연하지만 이는 미국도 역시 영국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한 2자간 관계로 두고 있다. 여러 부담이 되는 국제정치판에서 많은 부분에서 미국에 영국이 지지와 지원을 보내주듯, 미국 역시 영국에게 많은 부분을 지원하고 양보한다. 영국은 2차대전때 영국 본토 항공전등 서부전선 기여도 분명하고 당시에도 주요 3대 열강이었고, 전후에 질서 있고 조용하게 패권을 이양하는 등, 현재 미국 중심의 국제 질서 확립에 매우 큰 기여를 한 국가이니 당연히 미국에 큰소리 칠 국력과 그런 입지를 가질 자격은 당연하다. 그리고 단순히 이는 양자 간의 호의가 아니라 영국은 여전히 여러 분야에서 선도적이고 지배적인 역량이 있고 특히 핵심적으로 금융을 통해 그 영향력이 여전하기에 영국은 오늘날에도 충분히 글로벌적인 영향과 역량을 보유한 국가이다. 국제 무대에서 영국의 역할에 확신이 서지 않을 수 있지만 영국은 지금도 여러 종합적 역량, 특히 금융을 통해 확실히 영향력이 있다. 우크라 사태 대 러시아 영국의 제재[60] 미국 시장은 언어도 통할 뿐더러, 영국이 '제국의 보석'이라고 칭해온 인도 시장의 가치에 10배에 달하며 문화 시장, 휴양지던 기술, 자원, 물자, 식량 등등 없는 게 없는 거대 시장이다. 특히 미국의 문화적 파급력과 전 세계의 트렌드 선도는 너무나 지배적이기에 이 문화력에 올라타서 여전히 영국과 영국인들은 대외적으로 상당한 문화적인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대중음악에서는 2차대전이전까지는 영국은 유럽 대륙에 비해 영향력이 미미하였던 것이 지금은 반대로 북미와 세계 대중음악을 선도하는 데 비해 유럽은 2류로 전락하였으니 문화에서는 다른 의미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또한 영화, 연극 분야의 헐리우드나 브로드웨이, 미국 it기업이나 학계, 금융 기업에서 활동하는 영국인들이나 영연방인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브리티시 인베이전 참고. 사실 실속 없고 적자만 내던 식민지들이나 비교적 질적인 필요성이 떨어지는 인도 시장보다는 글로벌 무역과 금융 시스템에서의 입지, 그리고 미국과 유럽 시장에의 접근성이 경제적인 실속은 훨씬 높다. 그런 의미에서 대영제국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현대 사상에 맞는 경제 체제로 보다 실용적이게 변형되고 확장된 셈이다. 영국의 문화적 파워(소프트파워)나 영어의 힘, 여전히 영국은 금융에서 중요한 일을 하고 있고 그에 따른 외교정치력과 경제적 영향력만큼은 여전히 강하기 때문이다.[61] 스털링의 미국 달러와의 통화 스와프, 런던의 금융 중심지 역할 등, 구 식민지 지역이나 중동 지역에서 그리고 그 외의 지역에서의 영향력.[62] 2차대전이후 아시아가 부상하고 미국과 소련이 세계정세를 주도하면서 미국은 여전히 잘나가는데 비해 유럽은 계속 상대적 침체를 맞는 등, 점차 시대가 변화되어가면서 어느 정도 위상은 상대적으로 약화되긴 했지만[63] 파이브 아이즈 등이 있다.[64] 물론 유럽연합 시절에는 독일 등 대륙과의 교류가 더 컸다.[65] 프랑코포니는 사실 세력권을 보여주는 기구로써는 영연방에 비해 그 가치가 낮다.[66] 프랑스, 독일, 일본, 인도 등. 강대국의 최소급까지 합하면 이탈리아, 대한민국, 브라질도 포함된다.[67] 영국인들은 초강대국인 대영제국 시절과 영연방, 나폴레옹 전쟁과 양차대전 승리의 경험이 있어서인지 동양의 일본(섬)이 역사적으로 중국(대륙)과 대등한 존재라고 여겨 조공무역도 하지 않았듯, 자신들은 유럽이 아니며, 로마제국의 영광과 버금가는 역사상 가장 거대한 판도의 독자 제국으로서의 영광이 있었고, 로마제국의 후예를 자처하여 분열과 재탄생, 건국을 반복해온 유럽, 러시아, 미국 등 거대한 대륙규모의 국가 전체와 대등한 라이벌이자 존재라고 생각하는 정서가 있다.[68] 19세기 외교 공용어나 상류 귀족 사회의 문화적 언어로 위상이 높던 언어가 영어가 아니라 프랑스어였던 것은 다 아는 공공연한 상식이고, 산업혁명을 성공시키고 세계를 호령하기 시작하던 19세기에도 프랑스나 독일,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대륙 국가들에게 돈만 많고 문화는 빈약한 나라 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했을 정도이다. 지금은 스포츠, 대학 학문, 음악, 문학, 패션,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대부분의 분야에서 글로벌하게 막강한 문화적 영향력이 있기에 상상하기 어렵겠지만 사실이다. 당연하지만 이건 주로 음악 및 식문화 분야에서 그렇고 이전에도 셰익스피어를 필두로 한 영문학이나그야 영어가 영국 언어니까 경제, 철학, 자연과학 등 학문분야 에서는 유럽 내 최상급이었다.[69] 중동지역 석유, 기타 식량 등의 실물자산[70] 인도제국을 독점하고 수에즈 위기 이전의 독자적으로 세계를 호령했던 19세기 제국주의 선두 주자 시절만큼의 영광에는 당연히 미치지 못하지만, 당시는 타 비서구 문명권 대비 압도적인 군사 및 기술, 산업 우위도 있었고, 미국도 비교적 국력이 약한 후발 국가였고 독일은 나타나기 전이거나 이제 막 성장하던 시기이며, 러시아와의 그레이트 게임도 소련시절에 비한다면 많이 미숙했으며 산업화도 되지 않은 농업국가였다. 따라서 영어랑 별개로 19세기, 특히 빅토리아 시대 세계인들의 세계관에서 영국의 비중은 2차대전 이후의 미국-소련이나 13세기 구대륙에서의 몽골제국에 뒤지지 않는다. 더욱이 세계사에 끼친 영향력으로는 미국, 소련, 몽골보다도 한 수 위라고 볼 수도 있다. 다만 영국/문화 소프트파워 측면에서는 오히려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현재가 최전성기 리즈라 볼 수 있고, 반면 영연방 왕국 국가들 사이 모국이 영국이었고 영국과 연대감을 형성하려는 정체성은 21세기 넘어오면서 많이 희미해지긴 했다. 호주도 영국 뿐 아니라 북미나 동아시아에 관심이 많으며 캐나다도 미국에 훨씬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래도 대미 의존 축소 및 영연방 국가들 간의 연대를 위해 이주의 자유 보장이나 영국 브렉시트 대안으로 CANZUK결속 논의도 나오고 있다. 인도를 잃은 대신 CANZUK국가들 경제권의 규모가 대영제국 시절의 규모보다 인구, 경제력 측면에서 비교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커졌다. 당시는 인도를 제외한 제국의 경제력은 거의 미미했지만 지금은 캐나다와 호주를 합하면 인도+파키스탄 보다 크다.[71] 다만 메이플라워 호는 청교도적인 신념으로 추진된 이민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승객과 선원의 절반 정도만이 청교도였으며, 그나마도 이 중에서 적지 않은 수가 이민 모집 공고를 전해듣고 즉석에서 청교도가 된 하층민과 악성 채무자였다.[72]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 성공적인 식민지를 처음 세운 사람들은 메이플라워를 타고 넘어온 청교도인들이라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임스타운이 첫 식민지로 인정받는다. 심지어 메이플라워 호도 처음에 유럽을 떠날 때에 목표로 한 곳이 제임스타운이었고, 청교도들은 여기서 겨울을 난 뒤에 해안을 따라 북상하다가 보스턴 지역에 정착했다. 다만 제임스타운은 물자가 떨어져서 사람들이 잠시 마을을 버리고 떠났던 흑역사가 있어서 도시의 영속성에 흠집이 있다. 그래도 조금 늦게나마 잉글랜드 본토에서 보급품이 도착하자 떠나던 시민들이 돌아와서 도시를 재건하였다.[73] 다만 네덜란드는 뛰어난 경제력과 강력한 제해권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인구가 너무 적었기에 전성기에도 유럽의 패권국이 되지 못했다.[74] 무굴 제국은 본래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발호한 티무르계 무슬림 지배층이 많은 힌두계 토착 봉신국들을 지배하는 구조였기에, 무굴 제국의 입장에서는 자신을 잘 섬기기만 하면 힌두교도나 영국인들이나 큰 차이는 없었다.[75] 스페인은 18세기초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결과로 프랑스 출신인 부르봉계 왕이 등극한 이후 대체로 (예외는 있지만) 프랑스와 비슷한 외교 노선을 걸었기에, 스페인이 프랑스를 따라 참전한 것은 이해할만 하나, 1688년 명예 혁명 이후 영국의 오랜 동맹국이었던 네덜란드가 영국의 반대편으로 참전한 것은 의외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영국과 동맹을 맺은 이후 영국이 유럽의 강대국으로 떠오르는 동안 자신은 2류 국가로 서서히 추락하자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래서 이미 1770년 쯤에 이미 네덜란드와 영국의 관계는 파탄에 처해 있었다.[76] 참고로 2018년 기준 미국의 GDP 대비 국방비 지출이 3.2%, 한국이 2.4%, 이스라엘이 4.3%였다.[77] 하지만 미국은 아직 빈약한 육해군을 보유했으며 먼로 독트린으로 대변되는 고립주의를 유지했기에, 영국을 넘어선 패권국으로 인식되지 않았다.[78] 2차 대전 이후의 영국병이 유명하지만, 영국의 국제 산업 경쟁력은 이미 1차 대전 이후부터 하락세에 있었다. 그래도 전통적인 산업이 침체에 들어가는 동안 항공, 화학과 같은 새로운 산업이 발전했다는 것은 호재였다. 특히 얼마 후에 벌어질 일을 생각해보면 항공 산업의 발전은 쓰러져가는 제국의 목숨줄을 지켜준 것과 다름 없었다.[79] 영국의 사정은 본문에 설명되어 있고, 프랑스는 독일의 부활을 견제한다며 남들은 다 군축에 들어갔던 1920년대에도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하다가 대공황이 덮치자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었다. 미국은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으로 급한불은 잡았으나, 대공황의 진원지인만큼 1937년에 큰 불황이 또 찾아올 정도로 회복세가 느렸다. 반면에 1930년대 독일과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정권은 군수 산업을 돌려서 실업자에게 일자리를 주면서 대공황의 파고를 넘어서고 있었고, 일본은 다카하시 고레키요의 케인즈식 처방으로 불황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금융 측면에서 고립경제였던 소련은 대공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데다가, 인구의 80%가 농촌의 저학력층이라는 고질적 문제를 그냥 농촌 인구를 공장으로 강제 이주시키고 그냥 학교를 많이 세운다는 신박한 방법으로 해결하여 고속성장을 달리고 있었다. 그래서 1차 대전 직전인 1913년에 대비한 2차 대전 직전인 1938년의 각국 제조업 생산 능력을 보면 독일, 이탈리아, 일본이 25년간 각각 49%, 95%, 452% 성장했으며, 소련은 무려 857% 성장한 반면, 영국, 프랑스, 미국은 각각 18%, 15%, 43% 성장하는데 그쳤다.[80] 다만 여긴 이라크 스스로가 영국에 선전포고하는 대담한 짓을 했다 굴복한 거다.[81] 실제로 영국 중등학교 역사 과목은 세계사를 기반으로 하며 시대마다 심층적으로 배운다. 때문에 영국 현지에서는 역사가 매우 어려운 과목으로 악명 높다.[82] 세계 현대사의 주인공인 미국도 영국인들이 정착해 건설한 식민지에서 비롯된 나라다.[83] 미국, 인도, 캐나다, 호주. 이들은 인도를 제외하면 영국인들이 정착해 건설한 식민지 출신 국가들이다. 영국 본토까지 합하면 15대 경제대국 중 무려 1/3을 영국&영연방 계열이 독점하며, 미국 역시 세계 현대사의 주인공 격이다. 현대 세계 정세에 대영제국의 흔적은 지워질 수 없는 셈.[84] 현재에도 미국이 논란거리가 많다고 해도 러시아나 중국, 아랍 같은 데에 비해서는 낫다는 평가가 대세라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85] 인도 같은 경우는 인구가 너무 많고 힌두 이념에 너무 경직되어 말살시키는 것이 불가능했다.[86] 가장 극단적인 비교 사례가 소말리아와 소말릴란드이다. 소말리아가 부족, 군벌 간 내전으로 엉망이 된 상황에서 소말릴란드만큼은 자체 정부를 새우고 훨씬 안정적인 상황을 지속하고 있다. 이 둘의 결정적인 차이는 식민지 시대에 소말릴란드는 영국이 지배했고 나머지 소말리아 지역은 이탈리아가 지배했다는 점이다. 영국은 간접 지배 방식으로 기존의 사회 체계에 크게 손대지 않은 결과 엉망이 된 상황에서도 과거의 씨족사회의 체계와 원로들의 권위가 그대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전통적인 협의 과정을 통해 무기를 내려놓으며 온건하게 지배할 수 있었다. 반면 이탈리아는 직접 지배를 위해 현지에 있던 기존 사회 체계를 철저히 파괴해 버린 결과 전통적 권위 및 사회 체계가 사라져서 중재가 불가능해졌기에 지금의 소말리아가 되었다.[87] 다만 그만큼 현지 토후국 등의 전근대적 착취 시스템이 온존된 면도 있기에 현지 기득권의 이권을 보장하며 친영파로 육성하는 분할통치에 불과했다는 식의 해석도 존재한다. 한국 웹상에서 영국식 갈라치기라고 말하는 것은 보통 이런 현지 지배 체계 온존과 쿨리 유입 등의 다민족화 현상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88] 프랑스는 알제리 전쟁(알제리)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인도네시아), 스페인은 라틴아메리카 혁명(멕시코, 칠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페루, 콜롬비아 등), 포르투갈은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앙골라,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오스만 제국은 그리스, 불가리아, 중동 아랍 지역 등의 식민지 독립 움직임을 무력으로 억누르려다가 옛 지배 국가들과의 전쟁으로 막대한 사상자들을 내고 식민지 피지배국들이 독립했다.[89] 사실 이건 영국이 선한 국가였기 때문이 아니라 다른 식민제국보다 현명했기 때문이다. 식민제국을 더 유지할 수는 없으며 갈수록 손해만 늘어난다는 걸 눈치챘기에 그대로 놔 준 거지, 분명히 이익이 되는데도 놔 준 게 아니다. 결과적으로 전쟁으로 독립한 것보다는 더 나은 결과였지만. 인권 의식이 발달해 최소한의 제동이라도 걸고 있는 현대와 달리 과거 국제 관계에서는 자국의 이익이 최우선이었지, 선악 같은 것은 어디에도 없었다.[90] 다만 그 연설에서 "인도인 대다수가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이 아닌 자치를 원했다"는 식으로 발언한 것은 빼도 박도 못한다.[91] 일례로 독립 후에도 미국의 상류층들은 영국의 귀족들을 동경, 모방하고 다녔으며, 영국의 자본 유입과 수많은 기계들을 밀수해가며 경제를 발전시켜 나갔다.[92] 다만 이 부분에서 대해서는 일제가 통치를 잘해서 조선의 인구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인구 통계의 집계 방식에서 나타난 수치의 착각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식민지 근대화론을 논파하는 논문과 저서를 여러 개 발표한 허수열 교수에 의하면 조선 왕조는 세금을 적게 거두는 성리학을 국시로 삼았기 때문에 일부러 인구 조사를 철저히 하지 않았는데, 일제는 그런 성리학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세금을 많이 거두기 위해 일부러 인구 조사를 철저히 진행했고 그래서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인구가 집계된 것에 불과하다는 견해다.[93] 하지만 이 부분에도 얼마든지 반박이 가능한데, 인구가 늘고 경제규모가 커지면 의료 서비스 역시 높아져야 마땅한데도, 식민지 한국의 의료 서비스는 도리어 감소했고 조선내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절대 다수는 조선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이었고 정작 조선인들은 매우 적었다.일제시대 민중들의 의료혜택수준[94] 조선-일제의 관계는 영국-케냐 관계를 비롯한 유럽-아프리카의 관계나 유럽-중동의 관계에 더 가까운 편으로 조선의 경우 중동과 아프리카처럼 제국주의로 피해 입은 쪽에 해당된다.[95] 인도의 인구 규모는 14억을 능가하는 세계 1위다.[96] 일단 아프리카 국가 중 독립 초부터 민주주의 체제였던 유이한 국가들인 보츠와나와 모리셔스가 영국의 식민지 출신이다.[97] 80일간의 세계일주에서도 인도가 비록 자국의 식민지이지만 힌두교를 비롯한 전통은 존중하고 아무리 영국인이라도 저 부분에서 금기를 범하거나 인도인을 함부로 대하면 형사 처벌로 다스린다는 언급이 있다. 물론 사티는 엄격히 금지했고 그 어떤 양보도 없었다.[98] 실제로 영국의 인도 지배가 인도를 통합하는 계기가 되고 인도의 근대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는 주장이나 연구결과가 적지 않지만, 이러한 관점은 서양이나 타국에서는 몰라도 대다수의 인도 현지인들에게는 매우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애초에 인도인들이 국부, 영웅으로 모시며 깊은 존경을 표하고 있는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자와할랄 네루,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 모라르지 데사이,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 우담 싱 등등 모두 영국의 식민지배에게 맞서 치열하게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투사들이다.[99] 물론 말라위와 우간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인 점도 국가 발전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100] 영국이 유럽에서 영국 본토 외에 지배한 지역은 바로 옆에 있던 아일랜드와 키프로스, 몰타 뿐이다.[101] 대영제국의 식민지 중 문명국가의 비율은 인도제국과 이집트를 다 합쳐봐야 전체 면적의 약 15% 수준 밖에 안된다.[102] 다만 서양사학계에서는 '영제국'이 나름대로 정착한 상황이다. 아주 친영적, 친제국적 성향을 가진 교수들도 별 이의 없이 영제국이라고 한다.[103] 힌두스탄(인도)을 말한다.[104] 각각 잉글랜드·아일랜드·스코틀랜드로 당시는 아일랜드 전역이 영국에 합병된 상태였고 웨일스는 잉글랜드의 일부로 인식되었다.[105] 윌리엄 4세를 말한다.[106] 갠지스 강을 말한다.[107] 실록 상에서 영길리국 기록이 최초로 나오는 때는 정조 17년(1793년)이다.[108] 다만 조선의 민간 기록에서 영국이 언급된 때는 실록보다 더 빠른데, 1614년 조선의 학자인 이수광이 쓴 백과사전인 지봉유설에 보면, 지금의 전라남도 고흥인 흥양 앞바다에 놀랍게도 영국 배로 추정되는 서양의 해적선(!)이 나타나서 조선 수군과 하루 종일 결전을 벌이다가 달아났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를 참조 바람.[109] 순조 16년(1816년)의 일로 이때는 말이 통하지 않아 책 세권을 받고 그냥 보냈는데 그 책 사이에 있던 편지의 한자를 해석해서 간신히 영길리국 배라는 것만 알아낸다.[110] 이것은 당시에도 소수 의견이었고 결국 헌법에서도 대를 붙이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11] 오인도(五印度)는 인도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현장 시절부터 있었던 단어다.[112] 당시에는 republic의 번역으로 민주가 쓰였다. 나중에 민주는 democracy의 번역으로 굳어진다.[113] 대(大)백리새천덕이라 적혀있는데 백리새천덕은 프레지던트(President)를 중국어 한자로 음역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 발음으론 보리시톈더(bólǐxǐtiāndé). 여기서도 프레지던트 앞에 대를 붙였다.[114] 임금의 말씀을 적은 포고문[115] 법국(法國)은 프랑스의 중국식 한자 표기다.[116] 스페인의 옛 음역인 日斯巴尼亞(일사파니아)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117] 홀란트(Holland)의 음역 화란(和蘭)의 앞 글자를 딴 것으로 한국과 일본에서는 蘭을 약자로 써서 영란전쟁 등과 같이 표기하고 현대 중국어에서는 和 대신 荷를 쓴다.[118] 1차대전 승전 후 독일에게서 강탈한 식민지들이 미포함되었다.[119] 현 벵쿨루.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서부에 위치.[120] 현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동남아 지역에 있는 미얀마[121] 오스트레일리아법 제정 시기인 1986년을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비준한 1942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122] 뉴질랜드 신헌법 제정 시기인 1986년을 독립으로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비준한 1947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123] 프랑스 식민제국과 공동 통치.[124] 캐나다법 제정 시기인 1982년을 독립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웨스트민스터 헌장에 따라 1931년부로 독립국 지위를 얻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125] 현재의 오리건 주 외에도 워싱턴 주, 아이다호 주, 몬태나 주 북서부, 와이오밍 일부를 포함한다.[126] 현 니카라과의 동부 해안과 온두라스 동남부 해안 일부.[127] 실질적인 독립은 1952년 나세르의 쿠데타 이후다.[128] 영국-이집트 공동통치령.[129] 1910년 자치령이 세워졌지만 완전히 독립하게 된 것은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 제정 이후다.[130] 유니콘 등의 영국 함선들이 활약했고, 파병 비율은 미국 다음으로 높다.[131] 실질적으론 동인도회사이긴 하지만.[132] 단, 대외적인 이미지의 모티브가 그렇다는 것이지 작중 국가적으로 보이는 악행과 국가의 핵심이자 본질인 막장 사상은 영락없이 나치를 비롯한 2차 대전의 추축국들과 똑같은 악의 제국이자 독재국가다.[133] 여담으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는 영국을 꽤 좋아하는 모양인데, 바이킹을 주인공으로 하는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에서도 하필 이교도 대군세 시기를 배경 삼아 영국을 등장시킨다.[134] 여담으로 구출하는 군함은 HMS 언던티드 호로 나폴레옹이 유배갈 때 탔던 배다.[135] 사실 정확힌 휴전을 해서 고립된 생존자들을 구조해 좀비관련 사실을 얻거나 좀비사태떄 참전국들은 생존하기위해 뭉치고 있는 상황이라 손하나더 늘릴려는 목적일수도 있다.[136] 여담으로 코펜하겐 맵만 유일하게 브라타니아 해군들이 작전상 덴마크군+좀비가 코펜하겐 외부로 나가면 병이 더 확산돼서 덴마크군과 좀비를 대포로 함께 죽이려다 덴마크군에 저항에 배가 침몰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