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0 04:11:38

하이데라바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파키스탄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파키스탄의 도시: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하이데라바드(파키스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차르 미나르.jpg
구도심의 상징인 차르 미나르 (1591년 건설) 일대
파일:하이다레바드 1.png
금융 지구 일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공화국 텔랑가나주의 주도
하이데라바드
हैदराबाद | حیدرآباد
హైదరాబాద్ | Hyderabad
<colbgcolor=#046a38><colcolor=#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면적 650 km²
인구 6,809,970명
광역권 인구 9,700,000명
공용어 텔루구어, 우르두어, 영어
종교 힌두교 64.93%
이슬람교 30.13%
기독교 2.75%
시간대 UTC +5:30 (IST)

1. 개요2. 역사3. 경제4. 관광5. 교육6. 교통7. 여담

1. 개요


인도 중남부의 도시로, 텔랑가나주의 주도이자 최대도시다. 인구는 7백만 명으로 인도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며 벵갈루루, 첸나이와 함께 드라비다어권 남인도의 중심 도시다.

2. 역사

도시 이름의 유래는 사자(حيدر‎)의 도시(آباد)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 4대 칼리파이자 초대 이맘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에서 유래했다.[1] 1591년에 쿠틉 샤히 왕조(골콘다 술탄국)의 수도로 지어졌는데 17세기 말에 무굴 제국아우랑제브에게 정복되었지만 아우랑제브 사후 제국이 18세기 초에 혼란에 빠지자 무함마드 샤재상이었던 아사프 자흐 1세개혁을 이끌었으나 개혁이 실패하자 1723년 재상직을 그만두고 데칸으로 내려갔다. 당시 데칸 총독인 무바리즈 칸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총독을 쫓아냈고 하이데라바드에 명목상 무굴 제국의 신하국인 하이데라바드 왕국을 세웠지만 사실상 독립국을 선포한 것이나 다름없다. 하이데라바드 왕국은 프랑스와 영국의 군사고문을 초빙해 유럽식 군대를 육성했고 친영파가 되어 마라타 정복에 동참했다. 하이데라바드 왕국은 18세기 말 영국보호국이 되었고 이는 인도의 독립 직후인 1948년까지 이어졌는데 시내 중심부에 그 궁전이 남아 있어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다.

하이데라바드 왕국은 전술했듯 무슬림 번왕이 다수 힌두교도들을 다스리는 체제였는데 1947년 인도 제국인도 자치령파키스탄 자치령으로 분할 독립하면서 인도 제국 소속의 토후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 중 하나로 귀속을 요구받게 되었다. 하이데라바드는 인도나 파키스탄 둘 중 어느 나라로도 귀속되는 것을 거부했는데 하이데라바드를 완전히 둘러싼 인도가 자국으로 귀속되라는 압력을 넣었다.[2] 결국 인도로 귀속되기를 원하는 힌두교도 신민들의 지지를 받은 인도가 1948년 하이데라바드를 침공해 멸망시키고[3] 그 자리에 하이데라바드주를 설치했고 1950년이 되어서는 니잠제까지 완전히 폐지해 토후국 체제가 끝났다.[4]

1956년에는 주 재구성 법을 통과해 구 토후국들을 언어와 인종구성에 따라 해체 후 재구성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이데라바드도 단일한 하이데라바드 주를 폐지하고 언어권에 따라 마하라슈트라주, 카르나타카주, 안드라프라데시주 등으로 분할하면서 하이데라바드 토후국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5] 하지만 똑같은 텔루구어권임에도 구 하이데라바드 토후국 영토의 주민들은 안드라프라데시주의 일부로 사는 걸 반대했고 결국 이들의 요구가 받아들어져 2011년 안드라프라데시주에서 옛 하이데라바드 토후국 영토를 떼어내 텔랑가나주를 신설했다.

하지만 무슬림 번왕이 다수의 힌두교도들을 다스리던 국가가 인도로의 병합을 거부하다가 침공받던 모습은 카슈미르에서의 모습과 종교만 뒤바뀐 판박이라[6] 파키스탄에서는 카슈미르 관련 논쟁에 하이데라바드의 사례를 끌고 오기도 한다.

하이데라바드라는 이름은 이슬람과 밀접한 연관이 있고 파키스탄에 같은 이름의 도시가 있어서 인도 인민당이 집권한 이후 힌두트바를 노골적으로 주장하면서 무굴 제국 및 영국인들이 붙였던 도시 이름을 바꾸면서 하이데라바드 같이 이슬람과 관련된 지명도 같이 힌두식으로 바꾸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도시 건설 당시 지어진 차르 미나르[7]은 현재까지도 그 독특한 모습을 자랑하며 랜드마크 기능을 하고 있다. 시내 서부의 언덕 위에 웅장한 모습으로 남아있는 골콘다 성채(Golkonda Fortress)도 관광객이 주로 방문하는 명소다. 이슬람 토후국의 지배가 600년 넘게 이어진 역사로 인해 파키스탄의 독립 이후로도 현재까지 200만이 넘는 무슬림이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전체 인구의 약 30%가 무슬림, 64%가 힌두교도다.[8] 하지만 힌두-이슬람 간의 갈등은 1990년의 폭동으로 비화되어 3백 명이 희생되기도 하였다.

인도 IT 산업의 중심지 중 하나지만 동시에 인구의 13%인 백만 명이 빈민이어서 대규모 슬럼가가 도시 외곽에 자리하고 있기도 하다. 인도의 주요 대도시지만 일반적으로 인도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고 평가되는 곳은 아니다. 2020년 기준으로 인도 정부가 조사한 생활 편의 지수(Ease of Living Index)에서 인구 백만 이상의 도시 49개 중 하이데라바드는 24위로 중간 수준의 성적이었다.[9]

3. 경제

하이데라바드는 '사이버 시티(Cyberabad)' 또는 '하이테크 시티(HITEC City)'라는 별명으로 불릴 만큼 인도 IT 산업의 핵심 거점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IT 지원 서비스,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엔터테인먼트 및 디지털 미디어,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센터 등이 발달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미국 외 최대 R&D 캠퍼스), 구글(Google), 아마존(Amazon), IBM 등 다수의 글로벌 IT 대기업들이 대규모 캠퍼스와 운영 센터를 설립했다. 하이데라바드는 인도 전체 의약품 생산량의 약 1/3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 하이데라바드는 18세기와 19세기까지 진주 무역의 중요한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다. 이는 도시의 별명이 '진주의 도시'가 된 이유이며, 아라비아만에서 공수한 진주를 가공하고 거래하는 장인의 전통이 있다. 하이데라바드의 전신인 골콘다 왕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이아몬드를 거래하는 중심지였고 코이누르도 이 곳에서 채굴되었다.

4. 관광

  • 차르미나르 (Charminar) : 1591년에 무함마드 쿨리 쿠틉 샤에 의해 지어진 하이데라바드의 상징으로, 시아파 이슬람 건축이다. 4개의 웅장한 아치와 48m 높이의 미나레트(첨탑)가 특징이며, 이 건축물은 도시의 심장부 역할을 한다.
  • 비를라 만디르 (Birla Mandir) : 해발 85m 높이의 언덕에 세워진 힌두 사원으로 2,000톤의 순백 대리석으로 지어졌다.
  • 쿠트브 샤히 무덤 (Qutb Shahi tombs) : 하이데라바드에 위치한 쿠트브 샤히 왕조 역대 왕들과 왕족, 귀족들의 왕실 묘지로 돔은 원래 파란색과 녹색의 유약을 바른 타일로 덮여 있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후세인 사가르 (Hussain Sagar) : 1562년 이브라힘 쿨리 쿠틉 샤 왕의 통치 기간 동안 무시 강의 지류를 가로질러 건설된 인공 호수로 호수는 하트 모양을 하고 있어 2012년 세계관광기구로부터 세계의 심장으로 선포되기도 했다. 후세인 사가르 호수 한가운데 있는 지브롤터 바위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석가모니 불상이 있다.
  • 팔라크누마 궁전 (Falaknuma Palace) : 우르드어로 하늘의 거울이라는 뜻으로 해발 약 609m 언덕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 1893년에 하이데라바드 왕국의 귀족이자 총리였던 나왑 비카르 울 움라에 의해 지어졌다.
  • 살라르 정 박물관 (Salar Jung Museum) : 인도에서 세 번째로 큰 국립 박물관이자, 단 한 사람의 소장품으로 이루어진 세계 최대 규모의 컬렉션 중 하나로 나왑 미르 유수프 알리 칸이 평생에 걸쳐 수집한 것을 전시하고 있다. 42,000점 이상의 미술품, 9,000점 이상의 필사본, 60,000권 이상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다.
  • 라드 바자르 (Laad Bazaar) : 바자르의 이름인 ' 라드(laad)' 는 옻칠을 뜻하는데 , 이는 팔찌에 인조 다이아몬드를 박는 데 사용된다. 이 쇼핑가에서 대부분의 상점은 팔찌, 사리 , 웨딩 관련 품목, 모조 보석을 판매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 메카 마스지드 (Makkah Masjid) : 1694년 무굴 제국의 황제 아우랑제브가 완공한 모스크로 10,000명의 예배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인도에서 가장 큰 모스크 중 하나이다.

5. 교육

인도에서는 중요한 교육 도시이기도 하다. 인도 최초의 국립 법과대학이자 인도 최고의 법과대학으로 평가받는 인도 국립 법과대학(National Academy of Legal Studies and Research)이 위치해 있는 곳이기도 하며 인도 공과대학교 하이데라바드(IIT Hyderabad)는 2008년에 세워진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IIT이지만 하이데라바드의 역동적인 IT 산업에 기반하여 단숨에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이공계 중심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10] 1974년에 설립된 하이데라바드 대학교(University of Hyderabad)는 자와할랄 네루 대학교, 델리 대학교, 캘커타 대학교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인도의 최고 명문 종합대학 중 하나로, 보통 IIT가 있는 도시에서 IIT보다 일반 종합대학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것과는 달리 IIT 하이데라바드를 능가한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하이데라바드의 인도 상과대학원(Indian School of Business)은 인도 최고의 경영학 대학원 과정을 제공한다.

6. 교통

관문공항으로서 라지브 간디 국제공항이 있다.

7. 여담

  • 인도에서 요리로 유명한 도시이기도 하다. 인도의 어떤 도시를 가든지 하이데라바드 비리야니(biriyani)를 파는 식당을 볼 수 있고 그 명성에 걸맞게 하이데라바드에서 어딜 가든 평균 이상의 비리야니를 맛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남인도 요리 문서의 안드라프라데시/텔랑가나 지방 항목 참조.

[1] 알리의 별명이 바로 사자(حيدر‎)였다.[2] 골콘다 광산의 다이아몬드 등으로 막대한 부를 끌어모아 한때 아시아의 제일가는 거부 중 하나로 손꼽혔던 하이데라바드의 마지막 니잠 오스만 알리 칸은 아직 즉위도 안 한 엘리자베스 공주에게 즉위식 때 착용하라며 거대한 다이아몬드 목걸이까지 선물하면서 어떻게든 영국의 지지를 끌어내려고 했지만 이미 인도에서 완전 철수를 결정한 지 오래였던 영국 정부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3] 폴로 작전(Operation Polo). 전쟁이라고 하기 싫었던 인도는 하이데라바드 침공작전을 군사작전이 아닌 경찰행위로 규정했다. 최소 2만 7천, 추정치 20만 혹은 그 이상이 살해당했고 더 많은 무슬림들이 현지 깡패와 군대의 폭력에 노출되었다.[4] 단 니잠 오스만 알리 칸은 1956년까지 하이데라바드 주지사로 임명되었다. 라지프라무크(Rajpramukh)라고 하는데 마이소르나 라자스탄 등 거대 토후국 출신 주들은 순조로운 권력 이양을 위해 이렇게 옛 군주들을 라지프라무크로 임명해 해당 주의 인도 편입을 진행하도록 했다.[5] 이때 오스만 알리 칸을 포함해 라지프라무크들도 일제히 해임했다.[6] 카슈미르에서는 힌두교도 번왕이 무슬림 다수를 다스리는 체제였고 인도와 파키스탄 양국 모두로의 귀속을 거부하다가 파키스탄 민병대의 침공으로 인도 정부의 도움을 청하면서 분쟁지역이 되었다.[7] 4개의 탑[8] 광역시 내의 Hyderabad district는 옛 하이데라바드 니잠국 시절의 주요 도심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2011년 통계 기준으로 무슬림 인구가 43.89%, 힌두교도 인구가 51.45%로 조사되었다. https://en.m.wikipedia.org/wiki/Hyderabad_district,_India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무슬림 인구가 상당한 도시다.[9] 인도 정부 부처의 2020년 랭킹 페이지(2021년 4월 23일 접속)[10] 단 캠퍼스가 하이데라바드 시내에 있는 것은 아니고 하이데라바드 광역권에 속한 다른 도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