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토리당이 별명인 정당들}}}에 대한 내용은 [[토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리#s-2|2]]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토리당이 별명인 정당들: }}}[[토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리#s-2|2]]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영국 보수정당 | ||||||
| | | | |||||
| 케미 베이드녹 | 나이젤 패라지 | 개빈 로빈슨 |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집권내각 | 대처 내각 · 메이저 내각 · 캐머런 내각 · 메이 내각 · 존슨 내각 · 트러스 내각 · 수낙 내각 | ||
| 사상 |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대처주의 · 제국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보수자유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유럽회의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군주주의 · 대안 우파 · 엘리트주의 | ||||||
| 정치인 | 총리 | 존 스튜어트 · 윌리엄 피트 · 아서 웰즐리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스탠리 볼드윈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 |||||
| 야당 당수 | 윌리엄 헤이그 · 이언 덩컨 스미스 · 마이클 하워드 ·케미 베이드녹 | ||||||
| 국무의원 | 리시 수낙 내각 | ||||||
| 국회의원 | 제58대 보수당 국회의원 | ||||||
| 그 외 인물 | 토머스 칼라일 에드먼드 버크 | ||||||
| 언론 | 데일리 메일 · 데일리 익스프레스 · 데일리 텔레그래프 · 이브닝 스탠더드 · 더 타임스 · 더 썬 · GB News | ||||||
| 관련 주제 | 대영제국 · 미들 잉글랜드 · 일국 보수주의 · 자유시장 포럼 · 블루칼라 보수주의 · 근력 자유주의 · 토리 사회주의 · TERF의 섬 | ||||||
|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
| | }}}}}}}}}}}} | ||||||
1. 개요
Tory Party잉글랜드에 존재했던 정당.
역사적으로 두 개의 토리당이 존재했는데, 하나는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재했던 토리이고, 다른 하나는 1783년부터 소(小) 윌리엄 피트를 중심으로 기존의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적 세를 이루며 형성된 토리이다. 즉 따지고 보면 두 당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후자가 전자의 이름을 가져온 것이다.
2. 상세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속했던 토리당은 제임스 2세의 왕위 계승에 찬성한 이들로 이뤄진 당으로, 이름의 유래도 이때 휘그당이 찬성파들을 토리즈(Tories)[1]라고 부른 것이라고 추측된다. 1688년 명예혁명 때는 휘그당과 협력했지만, 이후 하노버 왕조가 이어지면서 휘그당이 내각을 주도하자 약 50년 동안 듣보잡 취급을 받고 세가 약해져, 1760년대 중반부터는 영국 의회에서 토리당의 당원이라 불릴 만한 사람이 한 명도 없게 되었다. 당시의 토리당은 온건 중도와 진보적 리버럴파 중심의 휘그당에 맞서는 반동적 왕당파에 가까웠다.[2]이후 시간이 지나 소(小) 윌리엄 피트와 그를 따르는 의원들이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 세력을 이루게 되는데,[3] 이들은 초창기에는 "독립파 휘그(Independent Whigs)" 또는 "피트주의자(Pittites)"로 불렸으나, 피트의 사후 "토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고 1812년부터는 아예 토리가 이들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정착하게 된다. 과거 토리당과 달리 휘그당에서 갈라져 나온 세력답게 자유민주주의를 수용한 온건 보수를 견지하면서 이후 휘그당과 경쟁하며 영국 정치를 양분하게 된다.
1832년에는 로버트 필에 의해 보수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대에는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던 보수당 정책에 맞서 곡물법 폐지를 통한 자유무역 확대를 주장한 로버트 필을 지지하던 필파들(Peelites)이 보수당을 빠져나와 휘그당의 후신인 자유당과 합치게 된다. 이들 탈당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 훗날 자유당을 이끌고 보수당 대표인 벤자민 디즈레일리와 경쟁하게 되는 윌리엄 글래드스턴이다. 1900년대 초반까지 영국에서 지속된 보수당과 자유당의 양당 체제는 이때를 기점으로 확립된다.
3. 여담
토리라는 표현은 지금도 영국이나 캐나다 같은 일부 영미권에서 보수당이나 보수당 지지자를 지칭하는 속어로 자주 쓰이고 있다. TV 뉴스나 신문에서도 곧잘 등장한다. 샤이 토리가 대표적인 예.[4]4. 관련 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에드워드 하이드 | 존 언레 | 찰스 2세 | 제임스 2세 | |
| 제5대 | 공석 | 공석 | 공석 | |
| 토마스 오스본 | 공석 | 공석 | 공석 | |
| 공석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공석 | 시드니 고돌핀 존 처칠 | 존 처칠 | 시드니 고돌핀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로버트 할리 | 헨리 세인트 존 | 윌리엄 윈덤 | 헨리 세인트 존 |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 왓킨 윌리엄스윈 | 에드먼드 이샴 | 프레더릭 노스 | 윌리엄 피트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 헨리 애딩턴 |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 로버트 젠킨슨 | 아서 웰즐리 | |
| 보수당 당수 ▶ | ||||
| 휘그당 당수 | ||||
| 보수당 당수 | ||||
}}}}}} ||
[1] 아일랜드어로 유적(流賊). "해적"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유적은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도적들을 의미한다. 의미가 어찌 되었건 가톨릭에 대한 은유다. 그러나 실상 토리당의 주축은 고교회파 성공회였다. 휘그당의 강경 개신교 입장에서는 가톨릭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보였겠지만.[2] 그렇다고 해도 군주국인 영국에서 휘그당이 왕당파가 아닌 것은 아니다.[3] 참고로 1770년대 집권한 프레더릭 노스 총리도 최종적으론 휘그당에서 나온 토리당 인사긴 했지만, 이쪽 토리당과는 연관성이 없다. 오히려 이쪽은 폭스-노스 연합 정권을 구축하고 반 윌리엄 피트 세력을 자처했다.[4] 사족으로 토리당의 반대당이었던 휘그당이나 휘그라는 속어는 오늘날 토리 만큼 자주 쓰이진 않는데, 이는 오늘날 영국의 주요 좌파 정당인 노동당이 휘그당을 직접 계승한 당이 아니고, 계보상 적통 계승자 격인 자유민주당도 노동당보다 세력이 약한데다 자유당을 한번 거쳐오며 여러 당의 이합집산이 이뤄진 점 등 때문도 있어 보인다. 물론 아예 안 쓰이는 건 아니라, 2014년 휘그당의 후신이라고 자칭하는 정당이 창당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