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4:29:24

블루칼라 보수주의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보수당(영국)
,
,
,
,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UK ETA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과)
음식요리(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대표팀) · NIFL · IFA(대표팀) · 럭비(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국방부(국방위원회) · 영국군(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군복(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2차대전) · 핵무기(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육군(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E Squadron · SAS ·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영국 보수정당
파일:보수당(영국) 아이콘.svg 파일:개혁 영국 로고.svg 파일:민주연합당 로고.svg
케미 베이드녹 나이젤 패라지 개빈 로빈슨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내각 대처 내각 · 메이저 내각 · 캐머런 내각 · 메이 내각 · 존슨 내각 ·
트러스 내각 · 수낙 내각
사상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대처주의 · 제국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보수자유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유럽회의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군주주의 · 대안 우파 · 엘리트주의
정치인 총리 존 스튜어트 · 윌리엄 피트 · 아서 웰즐리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스탠리 볼드윈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야당 당수 윌리엄 헤이그 · 이언 덩컨 스미스 · 마이클 하워드 ·케미 베이드녹
국무의원 리시 수낙 내각
국회의원 제58대 보수당 국회의원
그 외 인물 토머스 칼라일
언론 데일리 메일 · 데일리 익스프레스 · 데일리 텔레그래프 · 이브닝 스탠더드 · 더 타임스 · 더 썬
관련 주제 대영제국 · 미들 잉글랜드 · 일국 보수주의 · 자유시장 포럼 · 블루칼라 보수주의 · 근력 자유주의 · 토리 사회주의 · TERF의 섬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Blue Collar Conservativism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 한글 명칭 블루칼라 보수주의
창립일 2019년 3월 30일
이념 보수주의
우익대중주의
유럽회의주의
스펙트럼 우익
정당
회장 에스더 맥베이 (Esther McVey)
의장 벤 브레들리 (Ben Bradley)
의석 수(하원)[1]
160석 / 365석 (43.8%)
사이트 bluecollarconservatism.co.uk

1. 개요2. 성향3.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 보수당의 코커스로, 정식 명칭은 분명하게 "블루칼라 보수주의"지만 편의상 "블루칼라 보수주의자들(Blue Collar Conservatives)"로도 불린다. 일국 보수주의자들과 함께 보수당 내 양대 코커스이며, 자유시장 포럼과 함께 보수당 내 3대 의원모임으로 분류되고 한다.

2. 성향

"블루칼라"라는 명칭만 놓고 보면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육체 노동자(Labourer)들에 중점을 두는 코커스로 보이지만, "일하는 사람들을 대변하겠다(Champion working people)"는 슬로건에서 알 수 있듯 생산활동을 통해 살림을 꾸리는 사회 구성원 전체를 대변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향하는 것으로 보인다.[2]

블루칼라 보수주의 스스로는 실용적 보수주의 성향을 지향한다고 한다. 그 밖에 지향하는 가치들은 아래와 같다. #
  • 공정과 자유 : 우리는 법의 심판이 가해자들의 편이 아닌 피해자들의 편에 있으며, 정부기관들이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운영되며, 일하는 사람들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울 용의도 있지만 무엇보다 자신들의 삶에 대한 자율권을 갖고 있으며,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믿는다.
  • 동등한 기회 : 우리는 실용적인 보수주의가 기회를 극대화하고 근로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일하는 사람들에게 최대한의 이득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교육부터 시작해서, 우리는 젊은이들이 자신들이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기술을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우리는 보수당이 자기 역량 강화를 지지하고 사람들이 어떤 위치에 있든 인생을 꾸려나갈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믿는다.
  • 잘 운영되는 공공서비스 : 우리는 정부가 국민들에게 최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의무이자 국민들이 정부로부터 바라는 점이라고 믿는다. 이는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그들로 하여금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들과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들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성장하는 상태에 있는 경쟁력 있는 경제 체제만이 공공서비스를 제대로 지원할 수 있다고 믿는다. 사회주의는 열악한 공공서비스를 의미한다.
  • 돈의 가치 : 우리는 사람들이 열심히 번 돈을 존중해야 한다고 믿는다. 낭비와 비효율적인 예산집행은 타파되어야 하며, 관료주의적 타성은 지양되어야 한다. 정부는 국민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이용하는 도로를 통해서든, 아니면 활용하는 공공서비스를 통해서든 자신들이 내는 세금의 편익을 느낄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정부 지출은 국내외의 임의적인 어젠다들이 아니라 일하는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우선시되어야 한다.
  • 사람들이 나아가게끔 하는 것 : 우리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열심히 일하며, 이렇게 획득한 수입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과세가 이뤄져야 한다고 믿는다. 이는 가계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우선순위에 필요한 지출들을 할 수 있게끔 할 뿐만아니라, 소비를 위한 여력과 기업들의 더 많은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끔 해 경제와 소상공인들에게 이득을 준다. 우리는 정부가 수행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들을 믿지만, 정부의 역할에 제한이 있어야 하며 선택과 다양성이 장려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 기업들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게끔 지원하는 것 : 우리는 사람들이 일자리를 갖는 것이야말로 자기발전에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일하는 사람들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일자리들을 창출하는 기업들 또한 지지해야 한다.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영국이란 성장하는 기업, 더 많은 혁신, 그리고 국내로의 해외투자를 통해 일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의 모든 잠재력이 일깨워지기 위해서는 모든 지역들이 발전의 혜택을 볼 수 있어야 한다.
  • 영국과 지역공동체 : 우리는 국방력, 세계에 대한 봉사와 해외원조를 통해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영국이 국제사회에서 선한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연합왕국으로서의 강력함을 믿고 잉글랜드인, 웨일스인, 스코틀랜드인, 북아일랜드인으로서 자랑스럽다. 우리는 우리가 어느 세대이거나 지역 출신이든 영국과 우리의 지역공동체에 자신감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져야 한다고 믿는다.

3. 여담

보리스 존슨일국 보수주의 코커스보다는 블루칼라 보수주의 코커스에 가깝다.

코커스와 별개로 보리스 존슨도 일국 보수주의 전통에 포함되긴 한다.[3] 실제로 동성결혼 찬성이나 테레사 메이에 비하면 이민에 어느 정도 친화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어느 정도 진보적인 모습을 보였었다. 강경우파로써의 모습은 브렉시트 정도만 빼면 그리 두드러지진 않았었다. 그리고 런던 시장 시절에도 어느 정도 친서민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노동당 강세인 런던에서 보수당 소속으로써 시장을 연임하기도 했다. 물론 총리 재임 시절 그의 내각은 중도부터 극우까지 다양한 성향의 인물들로 구성되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1] 영국의 코커스들은 보통 하원에서 조직되고 상원에는 의석이 없는 경우가 많다.[2] 한국의 보수 진영에서 운동권 출신 민주당 계열 정치인들을 비판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인 "제대로 일해본 적 없는 사람들"에서의 "일하는 사람들"과 유사한 맥락이다. # #[3] 일국 보수주의 코커스는 존슨식의 전통적인 가부장적 보수주의보다 좀 더 자유보수주의적 성격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