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07:15:03

영국-홍콩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프리카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암바조니아 국기.svg
암바조니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영국·스페인·지브롤터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영국-나치 독일 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영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K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영국
United Kingdom
英國
홍콩
香港
Hong Kong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3. 상호 왕래4. 관련 기사5. 관련 문서

1. 개요

영국홍콩의 관계.

영국은 과거 식민지배 종주국으로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도(홍콩 반환) 여러가지로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홍콩 반환 협정인 중영공동선언에 따라 일국양제와 함께 영국이 합법적으로 홍콩 내정에 개입할 수 있기 때문. 다만 반환 이후 주권에 대한 입장은 단호하며 분리주의자들의 영국 재편입 요구에 대해 "영국은 홍콩이 중국령임을 인정한다."라고 하며 선을 그었다. 어쨌든 반환 협정으로 인해 자신들 이권도 지키고 이래저래 나름 이익을 건진데다가 애초 시작이 시작인지라 계속 버텨도 관타나모 만처럼 국제사회가 비판을 한 바가지 할 판이었다. 물론 초강대국으로 깡패 짓이 얼마든지 가능한 미국이라면 중국에 사용료를 억지로 쥐어주거나 해서 뻐티기가 가능했겠지만 문제는 1982년 당시 영국은 영국병 등 상태가 안 좋아서 문제였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최근 홍콩에서 민주화 시위가 일어나자 홍콩의 마지막 총독이었던 크리스 패튼은 영국은 홍콩 주민들의 자유 보호에 침묵해선 안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덩달아서 중영관계를 고려해 홍콩은 국가가 아니다라며 홍콩 독립에 대해서는 선을 긋고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2017년 6월 30일에 보리스 존슨 외무장관이 중국의 일국양제 훼손에 대해 비판했다.# 영국 정부의 공식입장은 홍콩은 중국에 반환되었고 대신에 특별행정구 내 영국 이권이 보장되며 영국은 홍콩의 진정한 민주화 및 자치화만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며 이는 영국령이었다 독립한 나라들인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등에 대한 영국의 태도와 똑같다.

2017년에 홍콩으로 들어올려던 영국의 인권운동가가 홍콩입국을 거부당하자 영국이 강력하게 반발했고 동시에 중국은 법에 따라 처리했을 뿐이라고 반발했다.#

제레미 헌트 외무장관이 보고서에서 홍콩의 고도의 자치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밝히자 중국은 반발했다.#

홍콩의 마지막 총독이었던 크리스 패튼은 범죄인 인도법안을 체결한 홍콩에 대해 SNS에서 비판의 글을 올렸다.#

홍콩 보안법에 맞서 영국은 홍콩인들의 영국 시민권을 확대하기로 했다.#

2022년 6월 30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트위터에 올린 영상 메시지를 통해 중국이 일국양제를 준수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 하였으며, 중국이 약속을 지키도록 최선을 다해서 홍콩이 홍콩인에 의해, 홍콩인을 위해 통치되도록 하겠다고 말하였다. 관련기사

홍콩 보안법 제정 이후, 홍콩인들이 영국으로 이주하면서 영국의 시골에 정착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3. 상호 왕래

홍콩은 과거 식민지 시절에 영국 해외여권(BN(O) Passport)을 썼는데 영국령 해외영토의 주민들에게 발행하던 일종의 식민지 여권으로[1] 무늬만 영국 여권이라 영국 영주권이 없고 솅겐 협정 대상도 아니었다. 현재는 정면에 중국 국장이 찍힌 홍콩SAR 여권을 대신 쓴다. 홍콩인들 중 20~30대 이하 세대는 전원 홍콩 여권이라고 보면 된다.

정확히는 1997년 반환 및 홍콩 특별행정구 성립 전까지 사용하던 여권은 BDTC여권이며 (British Dependent Territories Citizen passport) 그리고 BNO여권은 당시 1997년 출생 이전 즉 1980년대 ~ 1990년대 출생이면 한국인이든지 홍콩인이든지 상관없이 홍콩 영주권을 가지고 있었다면 발행이 되었다.[2]

참고로 무국적자는 BNO를 소지시 BC(British Citizen 여권)여권이 주어졌다. 물론 대표적 무국적자인 구룡성채에 살던 남베트남 피난민들은 화교 혈통들인지라 반환 이후 자동으로 중국 국적을 부여받았고 홍콩 여권을 받았다.

그리고 당시 홍콩 거주 영국계 백인이나 후손 및 인도, 파키스탄계 등 반환 후 자동적으로 중국 국적이 부여되지 않는다. 양안 공통으로 조상이 청나라중화민국중국인 혈통이 아니면 국적 취득이 되지 않는다. 이런 사람들은 BOC(영국해외시민권)가 주어졌다. 자녀에게 국적승계가 가능한 점만 제외하면 BNO와 다른 점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도 영국인 이주민들이 5%나 되어 꽤 많으며 공무 담임권도 있어서, 홍콩 경무처홍콩 소방처, 해관(海關. 세관의 중국어 표현) 등에는 영국인 직원들도 볼 수 있다. 식민지 시절에는 당연히 고위직에는 중국계는 못 올라가는 제약이 있었으나 홍콩 반환협정 이후 이를 철폐해 인종 간 불평등은 사라졌다.

4. 관련 기사

5. 관련 문서



[1] 이와 다르게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미국령 사모아,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거주 시민들에게 미국 대륙의 50개 주와 하와이알래스카월경지 거주 시민들과 동일한 미국 여권을 발급한다. 미국령 사모아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국민들은 본토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완전한 미국 시민권자이기 때문에 다른 여권이 발급될 이유가 없으며, 미국령 사모아 주민은 미국 국민(National)이지만 시민권(Citizenship)은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로 다른 지역 시민들과 동일한 여권을 발급받고 다만 여권 내부에 시민권자가 아니란 내용이 기재된다. 본토에서는 외국인과 내국인의 중간 정도로 대우된다. 시민권자들과 동일한 여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타 속령이나 본토에 아무 제약 없이 출입할 수 있고, 본토에서 아무 제약 없이 거주하거나 일자리를 구할 수 있다. 다만 시민권자가 아닌 관계로 선거권/피선거권이 없으며 시민권을 취득하려면 외국인이 귀화하는 것과 비슷한 과정을 밟아야 한다.[2] 한국인으로 BNO여권 소지자인 사람의 경험을 말하자면 현재까지 7백만 홍콩 인구중 절반이 BNO를 소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33만명은 Full citizenship인 완전한 영국 국적을 소지 중이며, BNO여권은 영국 입국시 6개월의 비자면제를 받을 수 있었으나 현재 정책 변경으로 본토에서는 비자가 필요하다. 해외 거주민으로 분류하여 영국 거주권을 주지 않기 때문인데 이는 식민지인들을 안 받는 꼼수에 가깝다. 비자 신청 시에는 관련 서류 면제, 영국 거주시 관할 경찰서 등록 면제, 5년 이상 영국 거주시 Full citizenship으로 자동 변경, 워킹홀리데이 대신 다른 제도로 영국 입국 후 취업 가능, 영국 거주시 선거권 취득 정도가 현재 주는 혜택이며 유럽연합 여권도 아니고 어차피 중국 본토나 대만에서 영국의 홍콩 주권을 인정하지 않고 일종의 1국가 2체제 비슷한 특별 행정구로 봐서 행정권만 인정했기 때문에 홍콩 여권이나 영국 식민지 여권이나 그게 그거다. 그래서 현재 젊은 층은 홍콩 여권으로 바꾸는 사례도 꽤 있다. 현재까지는 싱가포르말레이시아처럼 부분적으로 영국 해외여권 보유자가 남고 대세가 홍콩 여권이 될 걸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