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공식 사이트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BAFTA)
영국의 영화, 텔레비전, 게임 등 예술 분야를 지원하고 시상식을 주관하는 단체.[1]
1947년 '영국 영화 아카데미'(The British Film Academy)로 출범해 이후 텔레비전 등 다양한 분야로 세력을 넓히며 1976년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1998년에는 주요 시상식 중 이례적으로 게임 부문 시상을 시작했고,[2] 2003년 독립되어 출범한 BAFTA 게임상은 게임계의 권위있는 시상식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초대 회장인 필립 마운트배튼 공을 이어 영국 왕실 인물들이 회장을 맡아왔고, 2010년부터 역임한 현재 5대 회장은 윌리엄 왕세자이다.
2. 시상식
수상부문은 크게 영화상, 텔레비전상, 게임상, 어린이상으로 나뉜다.2.1. 영화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British Academy Film Award | |
| |
<colbgcolor=#000> 국가 | 영국 |
주최 |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
첫 시상년도 | 1949년 5월 29일 ([age(1949-05-29)]주년) |
링크 | 공식 사이트 |
주요 부문들은 다음과 같다.[4]
- 작품상 (1948)
- 여우주연상 (1953)
- 남우주연상 (1953)
- 여우조연상 (1969)
- 남우조연상 (1969)
- 감독상 (1969)
- 각본상 (1984)
- 각색상 (1984)
- 촬영상 (1969)
- 음향상 (1969)
- 음악상 (1969)
- 미술상 (1969)
- 의상상 (1969)
- 편집상 (1978)
- 신인상 (1981)
- 시각효과상 (1983)
- 분장상 (1983)
- 영국 작품상 (1948)
- 외국어영화상 (1948)
- 애니메이션영화상 (2006)
- 단편영화상 (1980)
바프타의 회원들 중에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을 주최하는 AMPAS에도 속하는 경우가 많아서 바프타와 오스카의 각 부문별 후보들은 비슷하게 구성되어있는 편이다. 다만 바프타는 아무래도 영국 중심의 시상식이다보니 후보와 별개로 수상작들에서는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
2020년 73회 바프타 시상식에서는 후보군들의 다양성에 대해 비판을 많이 받아서인지 74회 시상식부터는 규정들을 상당히 많이 바꾸었다.#
우선 각 회원원들에게 출품작 중 무작위로 15편을 선정하여서 보내고, 15편을 모두 본 회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여[5] 1차 후보를 선정한다.# 1차 후보는 부문별로 15 작품씩 선정되며,[6] 여기서 다시 투표를 통해 최종후보를 뽑는데, 각 부문별 회원들은 자기 분야의 영화 15편을 전부 감상하여야 투표권이 생기며, 다양성에 대해 논란이 많던 감독 및 연기 부문은 투표가 아닌 심사위원제를 통해 6명의 후보를 추려낸다.[7] 규정에 변화를 준 덕분인지 백인 후보로 가득했던 73회 바프타와 달리 74회 바프타는 감독상과 연기상 부문에서 6명 중 4명의 후보가 유색인종, 여성, 비영어권 출신 후보로 구성되었다.#
2.1.1. 주요 수상자
2.1.2. 한국인 수상자
- 제71회(2018) 외국어영화상 - 박찬욱, 임승용[8] - (아가씨)
- 제73회(2020) 각본상 - 봉준호, 한진원 (기생충)
- 제73회(2020) 외국어영화상 - 봉준호, 곽신애[9] (기생충)
- 제74회(2021) 여우조연상 - 윤여정 (미나리)
2.1.3. 역대 시상식
- 제6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4년)
- 제6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5년)
- 제69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6년)
- 제70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7년)
- 제71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8년)
- 제72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19년)
- 제7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20년)
-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21년)
- 제7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22년)
- 제76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2023년)
2.2. 텔레비전상
2.3. 게임상
| |||||||
BAFTA | D.I.C.E. | GDC | GJA | IGF | JGA | KGA | TGA |
1998년 BAFTA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상의 한 분야로 출발해 2003년 독립된 시상식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2020년 기준 21개 부문에서 여러 분야의 게임들을 시상한다.
역대 최우수 게임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10]
- 2003: 콜 오브 듀티
- 2004: 하프 라이프 2
- 2006[11]: 고스트 리콘 어드밴스드 워파이터
- 2007: 바이오쇼크
- 2008: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
- 2009: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 2010: 매스 이펙트 2
- 2011: 포탈 2
- 2012: 디스아너드
- 2013: 더 라스트 오브 어스
- 2014: 데스티니
- 2015: 폴아웃 4
- 2016: 언차티드 4: 해적왕과 최후의 보물
- 2017: What Remains of Edith Finch
- 2018: 갓 오브 워
- 2019: Outer Wilds
- 2020: Hades
- 2021: Returnal
2.4. 어린이상
[1] BAFTA 측에서는 이 모든 분야를 'art forms of the moving image'로 동등히 본다.[2] BAFTA Interactive Entertainment Awards의 한 분야로 시작.[3] 다만 아카데미 시상식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세계 최고의 영화 시상식이라 인지도는 이쪽이 훨씬 높다.[4] 괄호 부분은 최초 시상 연도.[5] 이는 오스카에도 적용되는 비판인데, 투표권을 가진 회원들이 모든 작품을 볼 필요는 없기 때문에 주로 캠페인으로 많이 밀어주고 홍보해서 화제성이 높은 작품들을 주로 감상하고 여기에 주로 투표하는 것이다. 때문에 시상식에서 자본과 홍보의 영향력을 줄이고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 15편을 보아야 투표권을 주도록 규정을 바꾼 것이다.[6] 전부 15 작품인 것은 아니고,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감독 부문의 경우엔 5:5 성비를 고려하여 20명을 후보로 선정한다.[7] 물론 심사위원들이 뽑은 6명의 후보 중 수상자는 전 회원들의 투표를 통해 뽑는다.[8] 용필름 대표[9] 바른손이앤에이 대표[10]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시상식의 일부였을때는 1998년 골든아이, 1999년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가 게임상을 수상했고, 2000년~2002년은 플랫폼과 장르별로 따로따로 시상되었다.[11] 시상식 일자가 2월에서 10월로 늦춰지며 기준 연도 역시 늦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