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0:22:15

필립 마운트배튼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colbgcolor=#1353B4><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0%, #1353B4 30%, #1353B4 70%, #001F7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빅토리아 엘리자베스 2세
조지 앨버트 필립
}}}}}}}}}}}}}}}
필립 마운트배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BritishArmedForces.svg
영국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원수
Field Marshal / Admiral of the Fleet
Marshal of the Royal Air Force
육군
Army
<colcolor=#000,#fff> 헨리 시모어 콘웨이 | 윌리엄 헨리 | 조지 하워드 | 프레더릭 어거스터스 | 존 켐벨 | 제프리 에머스트 | 존 그리핀 | 스터드홈 호지슨 | 조지 타운센드 | 프레데릭 캐번디시 | 찰스 레녹스 | 에드워드 어거스터스 | 아서 웰즐리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 아돌푸스 프레더릭 | 윌리엄 프레더릭 | *레오폴드 1세 | 찰스 무어 | 윌리엄 하코트 | 앨러리드 클라크 | 사무엘 헐스 | *앨버트 공 | *빌럼 2세 | 조지 누겐트 | 토머스 그로스베너 | 헨리 파제트 | 피츠로이 서머싯 | 스테이플튼 코튼 | 존 빙 | 헨리 하딩 | 존 콜보른 | 에드워드 블레이크니 | 휴 고프 | 조지 윌리엄 프레데릭 찰스 | 콜린 켐벨 | 알렉산더 우드포드 | 윌리엄 곰 | 휴 로스 | 존 폭스 버고인 | 조지 폴록 | 존 포스터 피츠제럴드 | 조지 헤이 | *에드워드 7세 | 윌리엄 로완 | 찰스 요르크 | 휴 로스 | 로버트 네이피어 | 패트릭 그랜트 | 존 미첼 | 리처드 제임스 데이커스 | 윌리엄 파울렛 | 조지 찰스 빙엄 | 린톤 사이먼스 | 프레더릭 헤인스 | 도널드 마틴 스튜어트 | 가넷 울즐리 | 프레더릭 로버츠 | 작센바이마르제나흐의 빌헬름아우구스트 | 네빌 보울즈 체임벌린 | *빌헬름 2세 | 헨리 노르만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헨리 에블린 우드 | 조지 화이트 | *프란츠 요제프 1세 | 프랜시스 그렌펠 | 찰스 헨리 브라운로우 | 허버트 키치너 | *조지 5세M | 폴 샌포드 메수엔 | 윌리엄 니콜슨 | 존 프렌치 | *니콜라이 2세 | 더글러스 헤이그 | 찰스 에저턴 | *다이쇼 덴노 | 페르디낭 포슈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헨리 휴스 윌슨 | 윌리엄 로버트슨 | 아서 바렛 | *알베르 1세 | 윌리엄 버드후드 | 클라우드 제이콥 | 조지 밀른 | *알폰소 13세 | *히로히토 | 줄리안 빙 | 루돌프 램바르트 | 필립 체트우드 | 아치볼드 몽고메리매싱버드 | *에드워드 8세M | 시릴 데버렐 | *조지 6세M | 윌리엄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 | 얀 스뮈츠 | 존 딜 | 존 베레커 | 아치볼드 웨이벌 | 앨런 브룩 | 해럴드 알렉산더 | 버나드 로 몽고메리 | 헨리 매이틀랜드 윌슨 | 클로드 오킨렉 | 윌리엄 슬림 | *필립 마운트배튼M | 존 하딩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제럴드 템플러 | 프랜시스 페스팅 | *마헨드라 | *하일레 셀라시에 | 리처드 헐 | 제임스 카셀스 | 제프리 베이커 | 마이클 카버 | 로널드 깁스 | *비렌드라 | 에드윈 브래멀 | 존 스테니어 | 나이젤 바그날 | 리처드 빈센트 | 존 채플 | *켄트 공작 에드워드 공자 | 피터 잉게 | *찰스 3세M | 찰스 거스리H | 마이클 워커H
해군
Navy
조지 레게 | 에드워드 러셀 | 조지 루크 | 클라우데슬리 쇼벨 | 존 리크 | 스태포드 페어본 | 매튜 에일머 | 조지 빙 | 존 노리스 | 샬로너 오글 | 제임스 스튜어트 | 조지 클린턴 | 조지 앤슨 | 윌리엄 롤리 | 에드워드 호크 | 존 포브스 | 리처드 하우 | 피터 파커 | 윌리엄 4세 | 존 저비스 | 윌리엄 윌리엄스-프리먼 | 제임스 갬비어 | 찰스 폴 | 찰스 에드먼드 뉴전트 | 제임스 호킨스-휘셰드 | 조지 마틴 | 토마스 비암 마틴 | 조지 콕번 | 찰스 오글 | 존 웨스트 | 윌리엄 게이지 | 그레이엄 하몬드 | 프랜시스 오스틴 | 윌리엄 파커 | 루시우스 커티스 | 토마스 코크란 | 조지 시모어 | 제임스 고든 | 윌리엄 보울스 | 조지 사토리우스 | 페어팩스 모르즈비 | 휴스턴 스튜어트 | 프로보 월리스 | 헨리 코드링턴 | 헨리 케펠 | 토마스 메이틀랜드 | 로드니 먼디 | 제임스 호프 | 토마스 시몬즈 | 알렉산더 밀른 | 찰스 엘리엇 | 알프레드 라이더 | *에드워드 7세 | 제프리 혼비 | 존 헤이 | *윌리엄 2세 | 존 코머렐 | 알프레드 어니스트 알버트 | 리처드 제임스 미드 | 앨저넌 라이언스 | 프레드릭 리처드 | 노웰 살몬 | 제임스 어스킨 | 찰스 호담 | 월터 커 | 에드워드 시모어 | 존 피셔 | 아서 윌슨 | *니콜라이 2세 | 제라드 노엘 | *하인리히 폰 프로이센 | 아서 팬쇼 | 조지 5세 | 윌리엄 메이 | 헤드워스 뮤 | 조지 캘러헌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헨리 잭슨 | 로슬린 웨미스 | 세실 버니 | 도브턴 스터디 | 루트비히 마운트배튼 | 찰스 매든 | 서머셋 고프-칼소프 | 존 드 로벡 | 헨리 올리버 | 오스몬드 브록 | 로저 키이스 | 프레더릭 필드 | 레지날드 티릿 | 어른 챗필드 | 에드워드 8세 | 존 켈리 | 조지 6세 | 윌리엄 보일 | 로저 백하우스 | 더들리 파운드 | 찰스 포브스 | 앤드류 커닝햄 | 존 토비 | 제임스 서머빌 | 존 커닝햄 | 브루스 프레이저 | 앨저넌 윌리스 | 아서 파워 | 필립 비안 | 필립 마운트배튼 | 로드릭 맥그리거 | 조지 크레이지 | 루이 마운트배튼 | 찰스 램브 | 캐스퍼 존 | 바릴 베그 | 마이클 르 파누 | 피터 힐-노턴 | 마이클 폴록 | 에드워드 애쉬모어 | 테렌스 르윈 | 헨리 리치 | 존 필드하우스 | *올라프 5세 | 윌리엄 스태블리 | 줄리안 오스왈드 | 벤자민 배서스트 | *찰스 3세 | 마이클 보이스
공군
Air Force
휴 트렌차드 | 존 살몬드 | *에드워드 8세 | *조지 6세 | 에드워드 엘링턴 | 시릴 뉴월 | 찰스 포탈 | 아서 테더 | 숄토 더글러스 | 아서 해리스 | 존 슬레소르 | *필립 마운트배튼 | 윌리엄 딕슨 | 더모트 보일 |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 토머스 파이크 | 찰스 엘워디 | 존 그랜디 | 데니스 스포츠우드 | 앤드류 험프리 | 네일 카메론 | 마이클 비덤 | 키스 윌리엄슨 | 데이비드 크레이그 | 피터 하딩 | *찰스 3세 | 조크 스터럽H
비고 M : 해병대, H : 명예진급(비왕실)
※ 진급시기 기준 세분,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통일된 1707년 이후 기준으로 서술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03f7e> 파일:축구협회(잉글랜드) 로고.svg축구협회
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아서 펨버 에베네제르 몰리 프랜시스 마린딘 아서 키네어드
<rowcolor=#fff> 5대 6대 7대 8대
찰스 클레그 윌리엄 픽포드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에든버러 공작 필립
<rowcolor=#fff> 9대 10대 11대 12대
글로스터 공작 헨리 왕자 조지 래슬스 켄트 공작 에드워드 공자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rowcolor=#fff> 13대
웨일스 공 윌리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초대

헨리 브루엄
남작
2대

존 잉글리스
3대

아서 밸푸어
백작
4대

제임스 매슈 배리
준남작
5대

존 버헌
남작
6대

빅터 호프
후작
7대

필립 마운트배튼
공작
8대


프린세스 로열
}}}}}}}}}}}} ||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영국 엘리자베스 2세의 국서 & 에든버러 공작
필립 마운트배튼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파일:prince-philip-gty-ml-180417_1x1_1600.jpg
이름 그리스어 그리스와 덴마크의 필리포스
(Φίλιππος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영어 필립 마운트배튼
(Philip Mountbatten)[1]
출생 1921년 6월 10일
그리스 왕국 코르푸 섬 몬 레포스 궁전
(現 그리스 공화국 이오니아 코르푸 섬 몬 레포스 궁전)
사망 2021년 4월 9일 (향년 99세)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윈저 성
장례식 2021년 4월 17일
잉글랜드 버크셔 윈저 윈저 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
신체 183cm
학력 맥자넷 아메리칸 스쿨
침 스쿨
고든스턴 스쿨 (졸업)
영국해군사관학교 (졸업)
배우자 엘리자베스 2세 (1947년 결혼)
자녀 찰스, , 앤드루, 에드워드
아버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형제 마르가리타, 테오도라, 케킬리아, 소피아
종교 정교회 (그리스 교회)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서명
파일:필립 마운트배튼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군사 경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353B4><colcolor=#fff> 임관 영국 해군사관학교 (1940년)
복무 영국 해군
1939년 ~ 1952년
최종 계급 중령
명예 계급 원수 (영국 육군)
원수 (영국 해군)
원수 (영국 해병대)
원수 (영국 공군)
상훈 전승 공로 훈장[2]
전쟁의 십자가 훈장[3]
그리스 전쟁의 십자가 훈장
대한민국 체육훈장 청룡장
참전 제2차 세계 대전[4] }}}}}}}}}
파일:755375-1525793472-1.jpg
공식 초상화[5]

1. 개요2. 작위3. 생애4. 평가5. 가족 관계
5.1. 조상5.2. 자녀
6. 매체에서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부군이자 국서.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외아들이다.

2. 작위

파일:Coat of Arms of Philip, Duke of Edinburgh2.png
문장[6]
  • 그리스덴마크의 필리포스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Philip of Greece and Denmark (1921년 6월 10일 ~ 1947년 3월 18일)
  • 필립 마운트배튼 대위 Lieutenant Philip Mountbatten (1947년 3월 18일 ~ 1947년 11월 19일)[7]
  • 필립 마운트배튼 경 전하 His Royal Highness Sir Philip Mountbatten (1947년 11월 19일 ~ 1947년 11월 20일)[8]
  • 에든버러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Edinburgh (1947년 11월 20일 ~ 1957년 2월 22일)
    • 메리오너스 백작 Earl of Merioneth (1947년 11월 20일 ~ 2021년 4월 9일)
    • 그리니치 남작 Baron Greenwich (1947년 11월 20일 ~ 2021년 4월 9일)
  •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Philip, Duke of Edinburgh (1957년 2월 22일 ~ 2021년 4월 9일)

공식적인 칭호는 '에든버러 공작, 메리오너스 백작, 그리니치 남작, 가터 훈장의 기사, 시슬 훈장의 특별기사, 대영제국 훈장의 기사, 오더 오브 메리트 훈장의 회원, 오스트레일리아 훈장의 컴패니언, 뉴질랜드 훈장의 회원, 여왕 공로 훈장의 컴패니언, 파푸아뉴기니 로거후 훈장의 치프, 캐나다 훈장의 컴패니언, 캐나다 무공 훈장과 캐나다 군대 훈장의 커맨더, 여왕 폐하의 영광스런 추밀원과 캐나다 추밀원의 의장, 해군 최고 사령관이신 필립 공 전하'이다.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립 마운트배튼/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립 마운트배튼/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가족 관계

5.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colbgcolor=#fff3e4,#331c00>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 <colbgcolor=#ffffe4,#323300> 요르요스 1세
크리스티안 9세
헤센카셀의 루이제 공녀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
러시아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헤센의 알렉산더 공자
율리아 하우케 여백작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
헤센 대공국 대공 루트비히 4세
영국의 앨리스 공주

5.2. 자녀

파일:queen-elizabeth-family-1-ba7bf09cc1ae413e97abe4e97d2527a0.jpg
<rowcolor=#fff> 2007년 가족 사진[9]
자녀 이름 출생 배우자/자녀
1남 찰스 3세 1948년 11월 14일 다이애나 스펜서
슬하 2남[10]
카밀라 파커 보울스
1녀 프린세스 로열 앤 1950년 8월 15일 마크 필립스
슬하 1남 1녀[11]
티머시 로런스
2남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1960년 2월 19일 사라 퍼거슨
슬하 2녀[12]
3남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1964년 3월 10일 소피 리스존스
슬하 1남 1녀[13]

6. 매체에서

결혼 이후 해군 커리어를 이어나가며 몰타에서 행복한 결혼 초기를 보내고 있었으나, 엘리자베스가 예상보다 일찍 국왕으로 즉위하게 되자 개인적인 커리어를 포기하고 국서로 살아가야 하는 현실로 인한 부부 사이의 갈등이 격화되는 모습이 그려진다.[14] 대관식을 TV로 생중계 하거나 다큐멘터리로 왕실의 생활 모습을 공개하는 등 변하는 시대에 개방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의혹 제기일 뿐이긴 하지만 해외 순방 중의 불륜인지 아닌지 의심되는 애매한 연출이나 장남 찰스에게 매정하게 구는 모습 등이 묘사된다.[15] 초반 시즌 많은 갈등을 겪고 나서 부부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정기로 들어선 시즌 3 이후부터는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게 된다.

7. 여담

  • 2살도 안 되어 그리스를 떠났기 때문에 그리스어는 그리 잘하지 못하지만, 1992년 밝힌 바에 따르면 어느 정도 알아들었다고 한다. 또한 프랑스어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독일의 슐레 슐로스 잘렘에서 수학하기도 하여 독일어 능력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다. #
  • 1985년 전두환 前 대통령은 필립 공이 당시 국제승마협회 회장 자격으로 방한했을 때, 필립 공에게 체육훈장 청룡장을 수여했다. # 이후 필립은 2004년 여왕의 초청으로 영국을 국빈 방문한 노무현 前 대통령 환영만찬이 열리자 훈장을 이브닝 드레스에 패용한 채 참석했다.
  • 러시아 혁명 와중에 처형당한 니콜라이 2세 일가의 유해가 1991년 공식 발굴되었을 때 신원 확인을 위한 DNA 검사 샘플로 필립의 DNA가 제출되었다. 필립의 외조모인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가 니콜라이 2세의 아내 헤센의 알릭스 공녀와 자매였기 때문에 알렉산드라 황후 및 자녀인 올가, 타티아나, 마리야, 아나스타시야, 알렉세이와 밀포드헤이븐 후작부인의 외손자인 필립의 미토콘드리아가 일치할 수 있었다.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들 가운데서 미토콘드리아가 모계로 유전된 사람으로서 DNA 검사 당시 생존한 알렉산드라 황후와 가장 가까운 친척이 바로 필립이었다.
  • 젊은 시절부터 운전하는 걸 상당히 좋아해서 90살이 넘은 나이까지 랜드로버를 운전하는 모습이 종종 포착됐다. 2019년 랜드로버를 몰다가 교통사고를 냈는데 며칠도 안 되어 다시 운전대를 잡은 모습이 포착됐다. 안전벨트까지 매지 않은 상태였다 보니 비판 여론이 들끓자 반강제적으로 운전면허증을 반납했다.
  • 손자며느리 웨일스 공비 캐서린의 할아버지인 피터 미들턴과 만난 적이 있다. 피터 미들턴은 마이클 미들턴의 아버지로, 1962년 필이 남미로 비행 여행을 떠났을 때 부조종사로 함께 탑승했다. 피터 미들턴은 2010년에 사망하여 1년 뒤에 열린 손녀의 결혼식을 보지 못했으며 필립과도 재회를 못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13%, #1353b4 87%, #001F7E)"{{{#!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tablebgcolor=#1353b4>파일:Royal_Cypher_of_Prince_Philip,_Duke_of_Edinburgh.svg.png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colbgcolor=#fff,#1f2023>영국 국서 · 영연방 왕국 국서(캐나다 국서 · 호주 국서 · 뉴질랜드 국서) · 에든버러 공작 · 축구협회 회장 ·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 · 영국 해군 중령
생애 생애
재위 시기 국서 시절
가족 관계 가족관계
아버지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르가리타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테오도라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 · 누나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 배우자 엘리자베스 2세 · 장남 찰스 3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앤 · 차남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 3남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대중매체 더 크라운
기타 영국 · 그리스 왕국 · 윈저 왕조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영국 해군 · 루이 마운트배튼
}}}}}}}}} ||


[1] 엘리자베스 2세와의 혼인을 위해 영국으로 귀화하면서 외가의 성인 마운트배튼을 쓰게 되었다.[2] MiD[3] Croix de Guerre[4] 크레타 섬 전투, 마타판 곶 해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드라군 작전, 롭슨 작전, 렌즈콩 작전, 오키나와 전투 등의 전투에 참전했다.[5] 말년인 2017년에 공개된 초상화로, 필립 공의 생전 마지막으로 공개된 초상화이다. 특이하게도 영국의 훈장이 아닌, 덴마크 코끼리 기사단 훈장의 대수를 둘렀는데 글뤽스부르크 왕조 출신임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그림 속에서 필립이 서있는 복도의 끝에는 어머니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와 외할머니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가 태어난 방이 있으며, 오른쪽 벽에 부착된 영국 왕실 가족 초상화에는 어머니 앨리스 공녀의 어린시절 모습이 그려져 있다.[6] 남편의 문장과 합쳐지는 왕자비들의 문장과 달리 아내의 문장과 합쳐지지 않았다. 좌측 하단의 흑백 문양이 외가 문장이며, 상단 문장은 친가와 그리스의 문장에서 따왔다. 우측 하단의 문장은 에든버러 시의 문장에서 따왔다.[7] 엘리자베스 2세와의 결혼을 위해 이후 그리스 왕위 계승권과 왕족 신분을 포기했다.[8] 엘리자베스 2세와의 결혼을 위해 그리스 왕족 신분을 포기하면서 전하 경칭을 잃었다가 다시 받게 되었다. 공주의 남편은 전하 경칭을 사용하지 않으나 필립은 차기 여왕의 부군이 될 사람이었기에 수여한 것이다.[9] 뒷줄 왼쪽부터 요크 공작 앤드루 왕자, 프린세스 로열 앤, 에든버러 공작 에드워드 왕자, 찰스 3세, 엘리자베스 2세, 필립이다.[10] 웨일스 공 윌리엄, 서식스 공작 해리 왕자[11] 피터 필립스, 자라 틴달[12] 요크의 베아트리스 공녀, 요크의 유지니 공녀[13] 루이즈 마운트배튼윈저, 제임스 마운트배튼윈저[14] 즉위 시점 필립은 30세, 엘리자베스는 25세였다.[15] 여태 있던 의혹들이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설정해 극이 진행되다 보니 필립은 이 드라마를 싫어했다. 제작자들을 고소하길 원했으며, 특히 누나 체칠리아의 죽음을 묘사한 것에 대해 분개했다고 한다.#[16] 영국 왕실인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윈저 왕조.[17] 그리스 및 덴마크 왕실인 글뤽스부르크 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