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38><colcolor=#fff> 영국 초대 공군참모총장 휴 트렌차드 Hugh Trenchard GCB, OM, GCVO, DSO | ||
| ||
본명 | 초대 트렌차드 준남작 휴 몬태규 트렌차드 Hugh Montague Trenchard, 1st Viscount Trenchard | |
출생 | 1873년 2월 3일 |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서머싯주 톤턴 | ||
사망 | 1956년 2월 10일 (향년 83세) | |
영국 런던 | ||
국적 |
| |
복무 | 영국 육군 (1893~1918) 영국 공군 (1918~1930) | |
학력 | 노팅엄 고등학교 트렌트 칼리지중퇴 | |
최종 계급 | 원수 | |
참전 |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
재임기간 | 초대 공군참모총장 | |
1918년 1월 3일 ~ 1918년 4월 13일 1919년 3월 31일 ~ 1930년 1월 1일 |
1. 개요
영국의 군인.2. 생애
서머싯주 톤턴 군인집안에서 태어났으며 1893년 왕립스코틀랜드퓨질리어연대 2대대 소위로 임관하여 인도 펀자브에 배치되었다. 당시 윈스턴 처칠과 만나 친해졌다. 2차 보어 전쟁에 조지 커즌 휘하에서 남아프리카로 이동해 케이프타운에 도착하고 기병중대 소속이 되었다. 크루거스도르프에서 보어 게릴라들을 만나 교전했으며 추격 중 보어군의 총에 맞아 폐가 관통되어 척추가 부러졌다. 귀국해 총알을 제거하고 알프스산맥 30개 언덕을 썰매를 통해 내려가면서 재활했다.복귀 후 전쟁부에 있다가 남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아일랜드에서 복무하고 39세에 소령으로 진급했다. 비행기에 관심을 갖고 지원했으나 나이가 많고 키가 크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하지만 끝까지 매달려 비행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며 열정적으로 배웠으나 기량이 빠르게 증가하진 않았다. 다만 평범한 비행기술에 비해 통찰력이 있고 체계적인 성격이라 학교의 교범, 교훈을 정립했다. 또한 앞으로 전쟁은 공군이 바꿀 것이다고 예측했다. 이 덕으로 비행학교장이 되었다.
1차 대전이 발발하고 프레더릭 사이크스의 후임으로 비행대대장이 되었고 기존의 공군의 임무인 정찰임무 말고 폭격임무를 수행해달라고 요구했고 상관이자 항공대 설립자였던 데이비드 헨더슨의 거부했으나 더글러스 헤이그는 뇌브샤펠을 폭격하라고 지시했다. 첫 폭격은 성공적이지 못했으나 헤이그는 다시 한번더 기회를 받았고 루스 전투에서 소부대 폭격으로 독일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렸다.
이 전투로 대장으로 진급하고 이후 전략폭격과 전투기 3대가 1편대를 이루는 제대를 만들었다. 프랑스, 이후에 참전하는 미군도 영국 항공대의 전술을 차용해 갈 정도였다. 1918년 초대 공군참모총장에 올랐으나 최고사령부와 갈등으로 2주만에 사임했다. 이후 전선으로 돌아와 독립폭격군 사령관이 되어 백일 공세 당시 전략폭격을 감행했다.
전후 공군참모총장으로 복귀해 윈스턴 처칠 내각에서 국방비서실장도 겸했다. 공군의 확대에 노력했으며 1927년 원수로 진급하고 1930년 제대했다.
런던경찰위원장으로 경찰을 개혁했다. 하지만 대공황이 장기화되며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공군이 폐합된다는 사실에 반발하고 공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36년 아프리카 연합회사의 회장으로 1937년 헤르만 괴링의 초청을 받아 각 공군으로 신경전을 펼치기도 했다.
2차 대전이 발발하고 고령으로 인해 일선으로 가지 못했으나 본토에서 비행장을 순회하며 장병들을 위로했고 전략폭격의 이론을 주장했는데 이 것이 영국 공군의 기본 전략으로 채택되었다. 전후 조용히 살다가 1956년 사망했다.
3.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수 Field Marshal/Admiral of the Fleet | |
육군 원수 | 허버트 키치너† | 존 프렌치 | 더글러스 헤이그 | 프레더릭 로버츠 | |
해군 원수 | 존 피셔 | |
대장 General/Admiral | ||
육군 대장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줄리언 빙 | 헨리 롤린슨 | 휴버트 고프 | 이언 해밀턴 | 찰스 먼로 | 윌리엄 버드우드 | 윌리엄 로버트슨 | 헨리 휴즈 윌슨 | 휴 트렌차드 | |
해군 대장 |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
중장 Lieutenant-General/Vice-Admiral | ||
육군 중장 | 새뮤얼 로맥스† | 로버트 브로드우드† | 아치볼드 머리 | |
해군 중장 | 존 루스 | |
소장 Major-General/Rear-Admiral | ||
육군 소장 | 휴버트 해밀턴† | 톰슨 캐퍼† | 조지 세시저† | 프레더릭 윙† | 루이스 볼스 | |
해군 소장 | 로저 키스 | |
준장 Brigadier/Commodore | ||
육군 준장 | 존 고프† | 레지널드 다이어전 | 버나드 프레이버그전 | 시릴 뉴월전 | |
해군 준장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전: 전시계급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