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수 Field Marshal/Admiral of the Fleet | |
육군 원수 | 허버트 키치너† | 존 프렌치 | 더글러스 헤이그 | 프레더릭 로버츠 | |
해군 원수 | 존 피셔 | |
대장 General/Admiral | ||
육군 대장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줄리언 빙 | 헨리 롤린슨 | 휴버트 고프 | 이언 해밀턴 | 찰스 먼로 | 윌리엄 버드우드 | 윌리엄 로버트슨 | 헨리 휴즈 윌슨 | 휴 트렌차드 | |
해군 대장 |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
중장 Lieutenant-General/Vice-Admiral | ||
육군 중장 | 새뮤얼 로맥스† | 로버트 브로드우드† | 아치볼드 머리 | |
해군 중장 | 존 루스 | |
소장 Major-General/Rear-Admiral | ||
육군 소장 | 휴버트 해밀턴† | 톰슨 캐퍼† | 조지 세시저† | 프레더릭 윙† | 루이스 볼스 | |
해군 소장 | 로저 키스 | 크리스토퍼 크래독† | |
준장 Brigadier/Commodore | ||
육군 준장 | 존 고프† | 레지널드 다이어전 | 버나드 프레이버그전 | 시릴 뉴월전 |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전 | |
해군 준장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전: 전시계급 |
}}}}}}}}} ||
<colbgcolor=#000038><colcolor=#fff> 찰스 먼로 Charles Monro GCB, GCSI, GCMG, KStJ | ||
| ||
본명 | 초대 준남작 찰스 카마이클 먼로 경 Sir Charles Carmichael Monro, 1st Baronet | |
출생 | 1860년 6월 15일 | |
메이드오브유다호 안 | ||
사망 | 1929년 12월 7일 (향년 69세) | |
영국 웨스트민스터 | ||
학력 | 셔본 스쿨 육군사관학교 | |
국적 |
| |
복무 | 영국 육군 (1878~1920) | |
최종 계급 | 대장 | |
참전 |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
1. 개요
영국의 군인.2. 생애
여객선 메이드오브유다호 선내에서 태어났다. 1878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보병연대 소위로 임관했다. 1881년 중위로 진급하고 1889년 대위로 진급한 후 참모대학에 진학해 1년 뒤 졸업했다. 1899년 소령으로 진급하고 부관으로 복무했으며 보어 전쟁에 파데스부르크 전투에 참가했다. 1900년 중령으로 진급했다.1903년 소화기학교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06년 대령으로 진급했다. 헨리 메릭 로슨의 후임으로 제13여단장이 되었고 준장으로 진급했다. 1910년 소장으로 진급했고 제2런던사단장으로 부임했다. 신설된 방위군을 베이시 존 도슨 소장과 편제를 만들기도 했다.
1차 대전이 발발하자 제2사단장으로 임명되어 제1차 이프르 전투에 투입되었고 12월 임시계급 중장으로 진급과 동시에 제1군단장으로 부임했다. 1915년 7월 임시계급 대장으로 진급하고 제3군사령관으로 영전했으며 10월 영구계급 중장으로 진급했다.
갈리폴리 전투 당시 공세 초반부터 책임이 있는 협상군 사령관 이언 해밀턴이 해임되고 후임 사령관으로 낙점되어 병력들의 희생을 막기 위해 퇴각을 결정했다. 철수작전을 계획했을 당시 먼로는 희생이 많을 것이다고 예상하고 움직였으나 윌리엄 버드우드의 지휘아래 기만작전을 섞어 사상자 없이 성공적인 철수작전을 펼쳐 탈출에 성공했다.
1916년 잠시 인도군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가 제1군사령관에 임명되어 서부전선에 복귀했다. 이후 중동으로 옮겨가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담당했고 스탠리 모드와 함께 오스만 제국군을 상대했다. 1917년 바그다드에 입성했고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 영국군사령관을 지냈으며 1920년 제대했다. 지브롤터 총독을 지냈고 1929년 암으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