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5:07:57

헤센 대공가 비행기 추락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colbgcolor=#fff,#1c1d1f>1937년 11월 16일
유형 악천후, CFIT
발생 위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오스텐더
탑승인원 승객: 9명
승무원: 3명
사망자 탑승객 12명 전원 사망
기종 Ju-52/3mge
항공사 사베나 항공
기체 등록번호 OO-AUB
출발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치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치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뮌헨-림 공항
1차 경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치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치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랑크푸르트 공항
2차 경유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브뤼셀 에베레 공항
도착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크로이던 공항
1. 개요2. 배경과 사건3. 사망자4. 사고 이후5. 헤센 대공가의 수난사

1. 개요

1937년 11월 16일에 발생한 비행기 사고로, 이 사고의 여파로 헤센 대공가인 헤센다름슈타트 가문은 사실상 단절되었다.

당시 사고기 모델은 Ju 52의 여객기 버전이다.

2. 배경과 사건

헤센 대공국[1]의 마지막 대공인 에른스트 루트비히1937년 10월 9일 죽으면서, 10월에 예정되었던 에른스트 루트비히의 차남인 루트비히와 영국 출신 마르가레타 게데스의 결혼은 11월로 미루어졌다.
1937년 11월 비행기 추락 현장 영상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에른스트 루트비히의 장남 게오르크 도나투스는 일가족과 비행기를 타고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로 가던 중 비행기가 오스텐더에서 추락해 탑승하고 있던 헤센 대공가 일원 5명과 간호사, 친구, 비행기 조종사, 승무원 2명 등 12명이 전원 현장에서 사망했다. 비행기는 추락할 때 내려가는 중(I am coming down)이라고 신호를 보냈으며, 목격자들에 의하면 비행기는 시속 100마일의 속력으로 굴뚝을 쳤고, 날개 하나와 엔진이 떨어졌으며 나머지 부분은 비행기가 지붕에 떨어지며 뒤집혔다. 이후 폭발이 일어났고 사고 2시간 이후에도 계속 불이 멈추지 않아 사람들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2]

비행기의 잔해 안에서 출생한 지 얼마 안 된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 공주[3]의 넷째 아들의 시신의 일부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당시 임신 8개월이었던 체칠리아가 비행기 안에서 갑작스럽게 조산을 했고 이로 인해 급히 착륙을 시도하다가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4]

남은 것은 금속 덩이리들과 재 뿐이었으며 사상자들은 폭발 당시 모두 의식이 없었을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폭발 때문에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모든 시신들은 수습되었으며 공장 방(factory room)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특파원은 대공과 대공비는 비행기가 추락하기 전에 끔찍한 시련을 겪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3. 사망자

  • Sister Lina Hahn: 아이들의 유모
  • Arthur Martens: 대공가의 친구
  • Baron von Riedesel zu Eisenbach[6]
  • Antoine Lambotte: 조종사[7]
  • Philippe Courtois: 무선 전신 통신사
  • Yvan Lansmans: 정비공

4. 사고 이후

루트비히와 마르가레타 게데스가 크로이던 비행장에서 비행기를 기다리고 있었을 때 제국항공의 관리가 행복해하며 웃는 둘에게 소식을 전했다. 갑작스러운 사고 소식에 루트비히는[8] 너무나 충격받아서 런던으로 떠나기 전에 치료를 요구했다. 루트비히는 형 일가의 사고 소식을 접하고, 마르가레타와는 다음날에 개인적으로 결혼하겠다고 알렸다.[9]

친한 친구들과 가족들만이 루트비히와 마르가레타의 결혼식에 참석했으며, 신부는 검은색 옷을 입고 등장했고 오직 동백꽃만이 하얬다고 한다. 결혼식에 참석한 사람은 친인척들인 켄트 공작 조지 왕자[10] 켄트 공작부인 마리나[11], 밀포드 헤이븐 후작부인 나데이다[12] 등이었다.[13]
더 크라운에서 묘사한 장례식 장면[14]
이후 루트비히와 마르가레타는 사고를 수습하러 떠났다. 장례식은 게오르크 도나투스의 고향인 헤센다름슈타트에서 거행됐다. 장례식에는 체칠리아의 남동생인 필립 마운트배튼과 외삼촌 루이 마운트배튼도 참석했다. 아돌프 히틀러요제프 괴벨스는 애도의 뜻을 전했고, 헤르만 괴링은 직접 장례식에 참석했다.

마르가레타는 가울리터 스프렌거[15]가 비행기 추락 이후 가족에게 더 많은 동정심을 불러일으키지 않으려는 이유에서 슬픔과 공식 의식에 대한 대중의 표현을 금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름슈타트는 따르지 않았는데, 도시는 슬픔의 상징(검은 깃발)을 보였고, 대중은 루이 마운트배튼과 일련의 왕자들이 등장하는 장례 행렬을 보기 위해 많은 수가 나왔다.

루트비히와 마르가레타가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면서 헤센 대공국의 남계는 끊기게 된다. 루트비히가 1968년 죽은 이후, 헤센 대공국의 (명목상) 대공위는 친척 헤센카셀의 필리프[16], 헤센카셀의 모리츠를 이어 헤센카셀의 도나투스(1966년생)에게로 갔다.

5. 헤센 대공가의 수난사

비극은 빅토리아 여왕앨버트 공의 차녀인 영국의 앨리스 공주1862년헤센 대공국의 대공 루트비히 4세와 결혼해 2남 5녀를 낳으며 시작되었다.
  • 1873년, 앨리스의 차남 프리드리히가 창문 밖으로 떨어져 사망했다.[17]
  • 1878년, 전염병 디프테리아가 창궐하면서 앨리스의 막내딸 마리가 병사했다. 앨리스 공주도 아이들을 직접 간호하다 전염되어 사망했다.
  • 게오르크 도나투스의 딸 요하나는 14개월로 어린 나이였기에 비행기에 타지 않아 살아남았다. 사고 직후에 요하나는 작은 아버지 부부인 루트비히와 마르가레타에게 입양되었지만 비행기 추락 사고 이후 2년도 채 안 된, 1939년 6월 14일에 2살의 어린 나이로 수막염에 걸려 사망했다.[18]

[1] 독일 제국에 속했던 소국들 중 하나로,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이미 군주제가 폐지되었다.[2] 결혼식에서 시동을 맡을 예정이었던 그리스와 덴마크의 케킬리아 공주의 두 아들 알렉산더, 루트비히와 아이젠바흐 남작은 비행기에서 내던져진 후에 짚더미에 떨어졌지만 짚더미에 불이 붙었다고 한다.[3] 게오르크 도나투스의 아내이자 필립 마운트배튼의 누나이다.[4] 평소에 체칠리아는 비행을 무서워했다고 하는데 비행기 추락 사고로 숨졌다.[5]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 왕자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의 3녀로, 영국 국서 필립 마운트배튼의 누나이다.[6] 신랑인 루트비히 공자의 친구로 신랑의 들러리를 맡을 예정이었다. 헤센 대공가와 매우 친밀한 사이였다고 한다.[7] 벨기에 왕 레오폴드 3세의 친구이자 조종사.[8] 이미 루트비히는 한 달 전에 아버지 에른스트 루트비히가 사망했는데, 이 추락사고로 인해 어머니, 형, 형수, 조카들까지 전부 잃게 되었다.[9] 루트비히의 어머니 엘레오노레 대공비는 시누이인 헤센의 빅토리아 공녀가 지내는 켄싱턴 궁전에서 머물기로 되어있었다. 게오르그 도나투스와 체칠리아는 루이 마운트배튼의 저택에서 머물기로 했었다.[10] 켄트 공작의 아버지 조지 5세와 루트비히의 아버지 에른스트 루트비히가 사촌이기에, 켄트 공작과 루트비히는 육촌 지간이었다.[11] 체칠리아의 친사촌이다.[12] 나데이다 미하일로브나 데 토르비 여백작. 2대 밀포드 헤이븐 후작 조지 마운트배튼의 아내로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의 친손녀이자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외증손녀다. 글로리아 밴더빌트 소송사건과 관련되어있다. 조지 마운트배튼은 루트비히와 사촌임과 동시에 체칠리아의 외삼촌이었다.[13] 신랑의 들러리가 사고로 사망해 루이 마운트배튼이 들러리를 맡았다.[14] 당시 나치 독일 집권기라서 나치식으로 장례식을 행하는 장면을 묘사했다. 영구차 바로 뒤를 따라가는 사람이 필립 마운트배튼이다. 필립 뒤에는 나치당원들이 대열을 이루어 걷고 있으며 영국 해군 대령이 있는데, 필립과 체칠리아의 외삼촌인 루이 마운트배튼이다. 영상에는 안 나오지만 필립이 멘붕해 걸음을 멈추자, 뒤따라오던 루이가 조카를 다독이고 같이 데려간다.[15] 가울리터 는 가우 또는 라이히스가우의 수장을 역임한 나치당(NSDAP)의 지역 지도자였다. Gauleiter는 나치 정치 지도력에서 세 번째로 높은 계급이었고, Reichsleiter와 총통에게만 종속되었다.[16] 헤센카셀의 필리프의 아내는 사보이아의 마팔다 공주(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차녀)다. 필리프의 어머니는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의 막내딸 마르가레테이기에, 빅토리아 여왕 기준으로 헤센-다름슈타트의 게오르크 도나투스와 루트비히와는 6촌이다.[17] 혈우병 환자였고 과다출혈로 사망했다.[18] 요하나의 외할머니이자 체칠리아의 어머니인 바텐베르크의 앨리스 공녀는 요하나의 죽음을 두고 '내 아이를 두 번 잃는 기분이었다.'라고 편지에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