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
한반도 전역에서의 보수주의, 즉 Conservatism in Korea에 대해 다룬다. 북한에는 (실질적인 여부와 별개로) 공식적으로 보수우파 정당이 없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의 경우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문서가 따로 있어서, 이 문서는 구한말과 일제시대가 더 중점이 될 수 있다.2. 역사
2.1. 대한제국 시기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이념이 시작된 기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지만 가장 오래된 기원은 구한말 개화파가 서구의 보수주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본다. 다만 당시 개화파의 라이벌이었던 친청파를 공격하기 위해서 도입한 개념이었을 뿐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이념 자체와는 상관이 없다. 오히려 개화파가 도입했던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는 오히려 (최소한 당대의) 좌파 이념이였다.이후에는 (고전적)자유주의 성향의 독립협회에 맞서 고종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 보수주의 세력을 대변하던 황국협회나 황제파를 비롯한 구한말 왕당파도 (고전적)보수주의/우파 세력이였다고 볼 수 있다.
2.2. 일제강점기 시기
민족주의와 공화주의가 일제강점기 1919년 3.1 운동 이후 폭발적으로 범우파 계열 독립운동가들을 장악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탄생시켰다. 소련에서 수입된 사회주의 이념들이 도입되기 전까지 유일한 이념이 되었다가 우익의 이념으로 정착되었다. 대표적인 정당이 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통일한국당이다.2.3. 광복 이후 이북 지역
조선민주당이라는 기독교에 기반한 보수주의 정당이 있었으나 조만식이 퇴출하고 최용건이 당권을 장악한 이후에는 좌파 정당으로 변모한다. 물론 사실상 조선로동당의 위성정당에 불과하다.조선로동당 일당독재로 인해 북한에 공식적으로 보수주의라고 볼만한 운동은 일소되었으나, 북한의 백두혈통 운운 개인숭배 등 봉건적 요소는 고전적 의미의 보수주의[1]와 가깝거나, 파시즘과 유사하다는 대외적 평가도 있다. 사실 북한이 아닌 최우방국인 중국의 신권위주의도 중국의 보수주의의 일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한편, 자유조선의 경우 아직까진 자유주의에 가깝고, 딱히 보수주의적[2] 성격을 강하게 드러내지는 않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