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7 19:06:57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
(창당) 조선민족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민족청년단
]]
(당명 변경)

[[조선민족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
(당명 변경)
대한민족청년단
(합당)
파일:jokcheong.jpg
조선민족청년단(대한민족청년단)
공식명칭<colbgcolor=#fff,#1F2023>조선민족청년단(朝鮮民族靑年團)
⇨ 대한민족청년단(大韓民族靑年團)[1]
약칭족청(族靑)
창단일1946년 10월 9일
해산일1949년 1월 20일 (대한청년단에 흡수 통합)
스펙트럼우익 ~ 극우
본부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5가 77번지
중앙 훈련소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우이동(現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2]
총재이범석
단장이준식
의석 수
6석 / 200석
상징색청색계열[3]

1. 개요2. 상세3. 주요 인물4. 강령: 단지삼칙(團旨三則)5. 단가6. 대중매체에서7. 역대 선거 결과8. 관련 정치단체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n69z77N.jpg
창단 1주년 기념식 사진. 맨 앞에 말탄 사람이 단장인 이범석이다.
세계는 넓고 인류는 그 수가 하도 많지만, 역사와 전통으로 보아 우리처럼 강건한 조건을 갖춘 민족은 다시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영원한 민족 생성 과정의 한 일원으로서, 과거의 온갖 유산을 계승하는 과거의 종말인 동시에 미래의 온갖 가치를 창조할 기점에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무감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는 우리의 역사적.전통적 영광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우리의 앞날을 더욱 빛나게 할 신성한 책임, 조상 천대에 대한 또 자손 만대에 대한 가장 엄중한 책임을 걸머지고 있는 것이다.
이범석 - 민족론
시간 순서 조선민족청년단의 명멸 과정
1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청년조선총동맹[4] 1946년 10월 9일 조선민족청년단 창단
1948년 8월 대한민족청년단으로 개칭
2 1948년 12월 19일 대한청년단 창단
3 1949년 1월 20일 대한청년단대한민족청년단을 흡수함.
1946년 10월에 이범석을 중심으로 창단된 우익 청년단체. 약칭으로 '족청'이라 한다.

2. 상세

이범석을 중심으로 안춘생노태준이 지휘했던 광복군 제2지대를 주축으로하여 창설되었다.

당시의 다른 우익단체들과 차별화된 점이 상당히 많았는데 일단 자본주의공산주의에 모두 반대하는 제3의 노선에 있었다. 또한 다른 우익 단체들이 테러를 일삼거나 좌익 세력과 물리적으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족청은 이범석부터가 테러를 반대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좌익과 충돌하지 않고 청년들의 교육과 훈련에 집중했다. 그 때문에 당시 여러 우익단체들의 지나친 폭력행사를 우려하고 상대적으로 온건한 우파를 찾던 미군정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강령으로는 단지삼칙이 있었으며, '민족지상, 국가지상'의 슬로건을 내걸었다. 이 '민족지상, 국가지상'은 장제스국민당의 '국가지상, 민족지상'과 순서만 다른 것이다. 족청 창단의 주축이었던 광복군은 독립운동 당시에 장제스의 국민당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그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도 참여하여 6명의 당선자를 냈으며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 명칭을 '대한민족청년단'으로 변경했다. 이후 이승만의 지시로 청년단체 통합이 추진되면서 결국 1949년 1월 대한청년단에 흡수, 통합되었다. 비록 족청은 사라졌지만 족청계는 그 후에도 자유당 창당의 핵심세력이 되었으나, 그 수장인 이범석이 1952년 부산정치파동 이후 권력투쟁에서 패배하고 족청계도 정치적으로 제거되면서 자유당에서 배제되었다.

족청에서 하는 경례법이 따로 있었는데, 거수경례를 하지 않고 심장 아래쪽에 90도로 손을 올리는 방식의 경례였다고 한다.

3. 주요 인물

최고의결기관으로 전국위원회를 두었고 전국위원회에서 선임된 이사들로 구성된 중앙이사회가 실질적인 운영을 맡았다. 그 밑에 각 단위의 지방위원회와 지방단부가 조직되었으며, 각 단에 총무부, 조직부, 선전부, 훈련부, 연구위원회, 훈련소를 두었다. 광복군 시절부터 이범석과 함께 활동해온 이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수원에 설치된 중앙훈련소의 소장도 이범석이 맡았으며 부소장도 송면수, 이준식, 안춘생 등 광복군 출신들이 맡았다. # 중앙훈련소에서는 이범석, 송면수, 조일문 같은 족청을 운영하던 인물들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당대 내로라하는 거물급 인사들이 초청되어 강의를 했는데 정인보, 조소앙 등이 와서 강의를 했다고 한다.
단장 이범석
부단장 이준식, 김형원
총무부장 김웅권, 강인봉
조직부장 노태준, 정일명(鄭逸明)
선전부장 송면수(宋冕秀), 조일문
재정부장 백두진, 유창순(劉彰順)
훈련부장 안춘생(安椿生)
학생부장 유해준
여성부장 최이권(崔以權), 김현숙(金賢淑), 박봉애(朴奉愛)
감찰부장 김근찬(金根燦)
후생부장 김정희(金晶熙)

후에 이범석이 국무총리에 취임하면서 이범석은 총재가 되고, 이준식이 단장이 되었다.

족청에서 단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는 최영희, 박병권, 노재현, 박임항, 태완선, 유창순, 장준하, 백두진, 김철, 서영훈, 김정례, 이희호 등이 있다.

4. 강령: 단지삼칙(團旨三則)

① 우리는 민족정신을 환기하여 민족지상·국가지상의 이념하에 청년의 사명을 다할 것을 기한다.
② 우리는 종파를 초월하여 대내자립·대외공존의 정신으로 민족의 역량을 집결할 것을 기한다.
③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며 원대한 곳을 바라보고(着眼遠大), 비근한 것부터 착수하여(着手卑近) 건국도상의 청년다운 순감(純感)을 바칠 것을 기한다.

5. 단가


단가와 중앙훈련소가의 일부분이 복원되었다.

6. 대중매체에서

7. 역대 선거 결과

8. 관련 정치단체

  • 청구회
  • 신정회

9. 둘러보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황국협회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수립 이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노농당 일민구락부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통일노농당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자유당
노농당 자유당 헌정동지회
민족주의민주사회당
한국사회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한국독립당 재건당 국민의당으로 합류 정민회
민주공화당 정의당
신민당에 합당됨 유신정우회 정당 해산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전체주의) · 내셔널리즘(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일부 · 반제국주의일부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독일노동전선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파일:모호 아이콘.svg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써의 파시즘(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 1948.5.31. ~ 1950.5.3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연립 여당
55석
29석
야당
12석
6석
2석
11석
무소속
85석
재적
200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71석
야당
69석
파일:일민구락부.png
30석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28석
}}}
재적
198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1948년 8월에 개칭[2] 1948년 7월 10일 이전[3] 파란색, 남색 계열인 것은 맞는데 남아있는 고화질의 컬러 사진이 없어서 구체적으로 정확히 어떤 색인지는 알 수 없다. 남아있는 대한민족청년단 단원수첩을 보면 위의 로고색보다 더 짙은 남색이다. 근대사 아카이브 사이트의 소장자료에서 '대한민족청년단 단원 수첩'을 검색하면 나온다. 이 자료당기, 벽보에서는 하늘색이다.[4] 대한민주청년동맹의 후신으로 비밀결사인 백의사의 대외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