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02:21:15

한국사회당(1960년)

대한민국의 진보·보수정당

[[민족주의민주사회당|
민족주의민주사회당
]]

(창당)
(해산)

[[민주혁신당|
민주혁신당
]]
(개별 합류)
파일:한국사회당 흰.png
파일:한국사회당1960글자.png
한국사회당
공식 명칭한국사회당
(韓國社會黨)
창당일1960년 5월 21일
해산일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
대표 전진한
이념 협동조합주의
내부계파 :
당 색
분홍색 (#FF0080)
1. 개요2. 결성과정3. 정강 및 정책4.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그 이후5. 5.16 군사정변과 그 이후6. 역대 당 대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60년 5월 21일 전진한민족주의민주사회당에서 이름을 바꿔 창당한 정당.

2. 결성과정

1960년 5월 21일 전진한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민주사회당과 김성숙을 중심으로 한 민주혁신당의 반 서상일계는 서울에서 민족주의민주사회당을 해체함과 동시에 가칭 한국사회당 발기인대회를 열었다. 이후 6월 14일 시공관에서 대의원 915명 중 823명이 참석한 가운데 결성대회를 열고 선거강령, 임시 집행부를 발표하였다.

3. 정강 및 정책

장비의 현대화

정예병화로 병력인원을 감축하고 복무기한을 2년으로 줄인다.

국제연합 감시 아래 총선거를 통한 민족통일

지방자치제도의 확립을 통한 정치 민주화

중소기업의 산업별 협동화

농산물 가격의 정부 보장, 농가부채 동결

기간산업과 공익성을 상실한 중요산업의 국유화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와 그 이후

결성대회만 치렀을 뿐 창당대회도 치르지 못한 채 선거에 나가게 된 한국사회당은 7월 29일에 있는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의원 19명 참의원 2명 도합 21명의 후보자를 냈지만 창당준비위원장이었던 전진한은 서울특별시 제8 선거구(성동 을)에서 민주당 유성권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고 민의원에서는 남제주군에 출마한 김성숙 후보만이 당선되고, 참의원에서는 경상북도에 출마한 최달희 후보만이 당선되는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이후 혁신당, 사회대중당 등 혁신 세력과 혁신세력 통합을 추진했다.

5. 5.16 군사정변과 그 이후

1961년 5월. 5.16 군사정변으로 군사쿠데타 세력이 정치 활동 전면 금지령을 내리면서 한국사회당은 해체되고 역사속으로 사라져버렸다. 또한 혁명재판에서 당의 조직부장이던 최백근씨는 사형선고를 받고, 최근우 준비위원장이 옥사하는 등 다른 혁신계 정당에 비해 입은 타격이 매우 컸다.

6. 역대 당 대표

파일:한국사회당1960글자.png 대표
초대
전진한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제1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48 ~ 199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 수립 이전
독립노농당 사회당 사회민주당 민주주의독립전선 민주독립당 민족자주연맹
와해 소멸
진보당 민주혁신당
등록취소
사회대중당
사회대중당 혁신당 통일사회당*
강제해산 (5.16 군사정변)
대중당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10월 유신)
통일사회당
정당활동 금지 (5.17 내란)
사회당 신정당 민주사회당
신정사회당
사회민주당
정당등록취소 민중의 당
민중당
*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다수파가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셨으나 곧 해산됨.
노태우 정부 이후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수립 이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조선민족청년단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노농당 일민구락부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통일노농당
대한국민당 원내자유당 원외자유당
자유당
노농당 자유당 헌정동지회
민족주의민주사회당
한국사회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한국독립당 재건당 국민의당으로 합류 정민회
민주공화당 정의당
신민당에 합당됨 유신정우회 정당 해산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파일:1px 투명.svg제5대 민의원
원내 구성
''' 1960.7.29. ~ 1961.5.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175석
야당
파일:사회대중당글자.png
4석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2석
파일:한국사회당1960 글자.png
1석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1석
1석
무소속
49석
재적
233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5.16 군사정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131석
야당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60석
28석
파일:사회대중당글자.png
4석
파일:한국사회당1960 글자.png
1석
파일:통일당(1957년) 글씨(흰색).png
1석
1석
재적
226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파일:국회휘장(참의원).svg파일:1px 투명.svg제5대 참의원
원내 구성
''' 1960.7.29. ~ 1961.5.1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31석
야당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4석
파일:사회대중당글자.png
1석
파일:한국사회당1960 글자.png
1석
파일:혁총맹.png
1석
무소속
20석
재적
58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5.16 군사정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여당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13석
야당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18석
13석
파일:자유당 심볼(백색).png
파일:자유당 선거벽보 글씨.png
1석
파일:사회대중당글자.png
1석
파일:한국사회당1960 글자.png
1석
파일:혁총맹.png
1석
무소속
2석
재적
5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1] 권위주의적 가부장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Paternalistic conservatism을 의미한다. (온정적 보수주의라고 의역하기도 하는데, 이는 다른 이념이다.) 우익사회주의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