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당) | → | 사회민주당 | → | (해산) | 
|   (개별 합류)  | → |   (개별 합류)[1]  | ||
|   (흡수 합당)  | → | → |   (개별 합류)[2]  | |
|   | |
| 사회민주당 | |
| <colcolor=#C81830> 등록번호 | <colbgcolor=#fff,#010101>제39호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45-1 | 
| 등록일 | 1985년 7월 15일 | 
| 해산일 | 1988년 4월 29일 (등록 취소) | 
| 해산 전 총재 | 권두영 | 
| 당 색 | 빨강 (#C81830)   |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좌파 | 
| 당원 수 | 79,366명 (1988년 4월 29일 기준)[3]  | 
1. 개요
1985년 3월 1일부터 1988년까지 있었던 김철이 주도하여 창당한 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 정당.2. 창당 과정
1985년 김철의 통합사회당(가칭)창당준비위원회는 신도성이 주도하는 한국사회당발기위원회측과의 통합이 결렬된 이후 3월 1일 흥사단 대강당에서 대의원 248명 중 2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당대회를 열고 사회민주당으로 하고 함께 신정사회당과 통합에 나선다. (출처: 조선일보 1985.3.2.)사회민주당 중앙선관위에 창당 등록 1985.7.15. (출처: 조선일보 1985.7.17.)
4월 11일 서린호텔에서 사회민주당과 가칭 한국사회당은 통합함을 결의하고 이어 1986년 5월 27일 서린호텔 소시알룸에서 사회민주당과 신정사회당을 통합함을 결정하였다. 이후 치러진 통합전당대회에서는 당대표직을 놓고 지분 싸움이 벌어졌다. #
3. 합당 후 행보
1980년대 김철의 행보는 전두환 정부에 협조하는 방식이었다. 당연하겠지만 이 때문에 당시 진보성향 운동가들이나 유권자들에게 배신자라며 욕을 잔탕 먹고있던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사회민주당 위원장으로 선임된 권두영은 민주노동운동세력을 중심으로 농민운동, 도시빈민운동과 연대해 조직을 확대하는 등 당세 확장에 힘을 쏟아 부었으나 대중들의 인지도는 미약하였다.4.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그 이후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홍숙자가 사회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당적 문제로 등록무효 되었다. #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4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여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4]|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 ||||||
|  제1공화국 ~ 노태우 정부  (1948 ~ 199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정부 수립 이전 | |||||
| 독립노농당 | 사회당 | 사회민주당 | 민주주의독립전선 | 민주독립당 | ||
| 와해 및 소멸 (6.25 전쟁) | ||||||
| 진보당 | 민주혁신당 | |||||
| 등록취소 | ||||||
| 혁신동지총연맹 | 사회대중당 | 혁신당 | 사회당 | |||
| 사회대중당 | 통일사회당* | |||||
| 강제해산 (5.16 군사정변) | ||||||
| 대중당 | 통일사회당 | |||||
| 정당활동 금지 (10월 유신) | ||||||
| 통일사회당 | ||||||
| 정당활동 금지 (5.17 내란) | ||||||
| 사회당 | 신정당 | 민주사회당 | ||||
| 신정사회당 | ||||||
| 사회민주당 | ||||||
| 한겨레민주당 | 민중의 당 | |||||
| 민중당 | ||||||
| *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다수파가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를 구성하셨으나 곧 해산됨. | ||||||
| ▼ 노태우 정부 이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