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이승만 정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48.7.~1951.12.) → 자유당 (1951.12.~1960.4.) 한국민주당 (1948.7.~1949.2.) 민주국민당 (1949.2.~1949.11.) 대한국민당 (1949.11.~1951.12.) |
장면 내각 | 민주당 (1960.8.~1961.5.) | |
박정희 정부 | 민주공화당 (1963.12.~1979.10.) 유신정우회^[1]^ (1973.3.~1979.10.) | |
전두환 정부 | 민주정의당 (1981.1.~1988.2.) | |
노태우 정부 | 민주정의당 (1988.2.~1990.1.) → 민주자유당 (1990.1.~1992.10.) | |
문민정부 | 민주자유당 (1993.2.~1995.12.) → 신한국당 (1995.12.~1997.11.) | |
국민의 정부 | 새정치국민회의 (1998.2.~2000.1.) → 새천년민주당 (2000.1.~2002.5.) 자유민주연합 (1998.2.~2001.9.) 민주국민당 (2001.4.~2001.9.) | |
참여정부 | 새천년민주당 (2003.2.~2003.9.) → 열린우리당 (2004.5.~2007.2.) | |
이명박 정부 | 한나라당 (2008.2.~2012.2.) → 새누리당 (2012.2.~2013.2.) | |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 (2013.2.~2017.2) → 자유한국당 (2017.2.~2017.3.) | |
문재인 정부 | 더불어민주당 (2017.5.~2022.5.) 더불어시민당^[A]^ (2020.3.~2020.5.) | |
윤석열 정부 | 국민의힘 (2022.5.~현재) 국민의미래^[A]^ (2024.2.~2024.4.) | |
[1]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섭단체. [A] 비례대표 득표용 위성정당. |
(창당) | → | 대한국민당 | → | (해산) |
대한국민당 (개별 합류) | ||||
일민구락부 (개별 합류) | → | 자유당 (개별 합류) | ||
대한노농당 (개별 합류) | ||||
신정회 (개별 합류) | → | 노농당 (개별 합류)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개별 합류) | → |
대한국민당 | |
<colcolor=#0087bd> 영문명 | <colbgcolor=#fff,#1F2023>Korea Nationalist Party (KNP) |
창당일 | 1949년 11월 12일 |
해산일 | 1958년 7월 |
국회의원 | 3석 / 203석 (0.6%) |
당 색 | 청록색 (#0087BD) |
1. 개요
1949년 11월 당시 대한민국 국회 원내에서 다수를 차지한 민주국민당이 반 이승만운동을 전개하고 대통령 중심제에서 의원내각제로 바꾸기 위한 개헌안을 제출, 통과시키려 하였다. 이에 11월 12일 명목만 남아있던 대한국민당을 중심으로 신정회(新政會), 대한노농당(大韓勞農黨), 일민구락부(一民俱樂部) 등의 소속 국회의원들이 대한국민당을 재창당하였다. 재창당한 대한국민당은 71석을 확보함으로써 국회 내의 제1당이 되었다. 당시 조직은 최고위원 윤치영(尹致暎)·이인(李仁), 고문 이규갑(李奎甲)·이범승(李範昇)·임영신(任永信), 총무부장 신상학(辛相學), 조직부장 김훈(金薰), 훈련부장 권박영(權博英), 기획부장 정영삼(鄭永參), 선전부장 최운교(崔雲敎), 재정부장 이우세(李友世), 조사부장 양철호(梁鐵鎬), 노동부장 류홍렬(柳鴻烈), 청년부장 남윤상(南潤商) 등이었다.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24석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소속 의원들이 이후 자유당 등으로 이탈하여 원내 교섭단체조차 구성하지 못하였으나, 여전히 자유당과 공조 하에 친여 성향 야당으로 남아있었다. 해산 시까지 당은 이승만의 측근인 윤치영과 이인이 이끌었으며 임영신 역시 대한국민당 소속으로 남아있었다. 1954년 5월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겨우 3석을 얻었다. 1958년 7월 해산하였다. 이후 대부분은 자유당으로 이적했으나, 일부는 전진한이 창당한 노농당 등으로 이적한다.
2. 역사
사건 순서 | 대한국민당(1949년)의 창당 과정 | |||||||||
1 | 무소속 의원 | 대한국민당(1948년) | 대한여자국민당(임영신) | 대동청년단(지청천) | 한국민주당 | |||||
2 | 무소속구락부 | 3.1구락부 | ||||||||
3 | 무소속구락부 | 통합한 대한국민당(1948년) | ||||||||
4 | 성인회[1] | 동인회[2] | 이정회[3] | 청구회[4] | ||||||
5 | 동성회 | 잔류 대한국민당(1948년) 세력 | 민주국민당 | |||||||
6 | 대한노농당 | 일민구락부[5] | 신정회 | |||||||
7 | 1949년 11월 12일 대한국민당(1949년) 창당 |
3. 역대 선거 결과
-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24/210 9.7%
- 1951년 제2대 부통령 선거 이갑성 73/151 낙선
- 1952년 지방선거
- 시의원 2/378
- 읍의원 0/1,115
- 면의원 16/16,051
- 도의원 0/306
- 1952년 제2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무공천
- 부통령 무공천
-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203 1.0%
-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무공천
- 부통령 윤치영 2.8% 낙선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254170,#ddd><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 인사 |
여당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자유당 | |
연립여당 |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대한국민당 | |
정책 및 방향 | 경제개발 3개년 계획 · 의무교육 · 의무 복무 · 시장경제체제 · 지방자치제 · 한미상호방위조약 · 농지개혁법 · 국가보안법 · 이승만 라인 (평화선) · 한국외국어대학교 · 인하공과대학 ·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 한미원조협정 · 사면법 · 양곡매입법→양곡관리법 · 심계원법 · 국군조직법 · 국적법 · 임시우편단속법 · 법원조직법 · 변호사법 | |
평가 | 평가 ·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 |
타임라인 | ||
1948년 | 반민족행위처벌법 통과 · 행정권 이양 · 제주 4.3 사건 · 여순사건 · 국가보안법 제정 | |
1949년 | 반민특위 해산 · 해병대 창설 · 공군 창설 · 병역법 제정 · 징병검사 실시 · 국회 프락치 사건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 |
1950년 | 6.25 전쟁 발발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 유엔군 참전 · 한강 인도교 폭파 · 부산 수도 이전 · 인천 상륙 작전 · 흥남 철수 · 한강 방어선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주문진항 해전 · 오산 전투 · 동락리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대전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안동전투 · 다부동 전투 · 흥남철수 · 보도연맹 학살사건 · 경산 코발트탄광 학살사건 ·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 · 선거법 제정 · 국민방위군 설치령 · 농지개혁 · 한국은행 발족 · 유네스코 가입 | |
1951년 | 1.4 후퇴 · 거창 양민 학살사건 · 국민방위군 사건 · 한국조폐공사 설립 · 자유당 창당 | |
1952년 | 제2대 대통령 선거 · 발췌 개헌 · 이승만 라인 (평화선) 선포 · 백마고지 전투 | |
1953년 | 정전 협정 (휴전) ·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국제시장 대화재 · 노동 3법 제정 | |
1954년 | 사사오입 개헌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 독도의용수비대 파견 | |
1955년 | 단성사 저격 사건 | |
1956년 | 제3대 대통령 선거 · 1956년 지방선거 ·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 한국증권거래소 발족 | |
1957년 | 저작권법 제정 · 장충단집회 방해 사건 · 가짜 이강석 사건 | |
1958년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진보당 사건 · 농업협동조합 발족 | |
1959년 |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 · 조봉암 사형 | |
1960년 | 제4대 대통령 선거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2.28 학생민주의거 · 고려대학교 4.18 학생 시위 · 김주열 최루탄 사건 · 장면 부통령 사퇴 · 이승만 대통령 하야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이승만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이승만 참고 | }}}}}}}}}}}}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 정부수립 이전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조선민족청년단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대한노농당 | 일민구락부 | 대한청년단 | ||
대한국민당 | 통일노농당 | ||||
대한국민당 | 원내자유당 | 원외자유당 | |||
자유당 | |||||
노농당 | 자유당 | 헌정동지회 | |||
민족주의민주사회당 | |||||
한국사회당 | |||||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 |||||
한국독립당 | 재건당 | 국민의당으로 합류 | 정민회 | ||
민주공화당 | 정의당 | ||||
신민당에 합당됨 | 유신정우회 | 정당 해산 | |||
강제 해산 (5.17 내란) | |||||
▼ 제4공화국 이후 | |||||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민주당계 | }}}}}}}}} |
''' 1948.5.31. ~ 1950.5.3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립 여당 | |||||||||||
55석 | 29석 | |||||||||||
야당 | ||||||||||||
12석 | 6석 | |||||||||||
2석 | 1석 | 1석 | 1석 | 1석 | 1석 | |||||||
1석 | 1석 | 1석 | 1석 | 1석 | 1석 | |||||||
무소속 85석 | ||||||||||||
재적 200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71석 | ||||||||||||
야당 | ||||||||||||
69석 | 30석 | |||||||||||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28석 | }}} | 재적 198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50.5.31. ~ 1954.5.3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당시 정당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연립 여당 | ||||||||||
14석 | 24석 | ||||||||||
야당 | |||||||||||
24석 | |||||||||||
10석 | 3석 | ||||||||||
3석 | 2석 | ||||||||||
4석 | |||||||||||
무소속 126석 | |||||||||||
재적 210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당시 교섭단체별 의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99석 | |||||||||||
야당 | |||||||||||
24석 | 20석 | ||||||||||
비교섭단체 및 무소속 36석 | |||||||||||
재적 179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
''' 1954.5.31. ~ 1958.5.3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개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14석 | |||||||||||
야당 | |||||||||||
15석 | 3석 | 3석 | |||||||||
무소속 68석 | |||||||||||
재적 203석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임기 종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여당 | ||||||||||
131석 | |||||||||||
야당 | |||||||||||
46석 | 1석 | ||||||||||
무소속 24석 | |||||||||||
재적 202석 | |||||||||||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