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8px; margin-bottom:-6px" | |||||||||||
임시정부 | |||||||||||
헌정중단기 | |||||||||||
이승만 정부 허정 과도정부 | 장면 내각 (윤보선) | 국가재건최고회의 (장도영,박정희) | 박정희 정부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
제4공화국 | 제6공화국 | ||||||||||
위기관리정부 (최규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김영삼) | ||||||||
제6공화국 | |||||||||||
국민의 정부 (김대중) | 참여정부 (노무현) 고건 권한대행 체제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 문재인 정부 | |||||||
제6공화국 문재인 정부 文在寅 政府 / Moon Jae-in Administration | ||
2017년 5월 10일[1] ~ 현재 | ||
성립 이전 | 이후 | |
박근혜정부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 — | |
<colbgcolor=#004EA2> 대통령 | 문재인 ,(19대), | |
국무총리 | 이낙연 ,(2017.5.31~2020.1.13), 정세균 ,(2020.1.14~현재), | |
여당 | 더불어민주당 ,(2017.5~현재), |
1. 개요
▲ 문재인 대통령 |
2017년 5월 9일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의 정권. 제6공화국의 일곱 번째 정부이자, 세 번째 정권교체[2]로 출범한 정부체제다. 임기는 2017년 5월 10일 출범해 2022년 5월 10일까지 예정되어 있다.[3][4] 헌정 사상 최초의 궐위로 인한 선거로 인해 이전 정부들과 달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설치 없이 선거 결과 확정 직후 임기가 시작되었다. 때문에 인수위를 대신하기 위하여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했다.
정부 공식 명칭은 앞선 두 정권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정부 명칭 없이 문재인 정부로 결정됐다. 확정되기 이전에 취임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정부, 언론에서 제3기 민주 정부 등을 혼용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연설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사 연설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문재인 정부로 지칭을 하면서 이제는 언론에서도 공식적인 용어로 문재인 정부를 사용하고 있다.
2. 슬로건, 국정지표
|
- 나라를 나라답게, 든든한 대통령 - 대통령 후보자 시절의 슬로건
- 나라를 나라답게, 국민과 함께 갑니다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출범 직후 쓰인 슬로건
-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활동 기간 종료 후 공식적으로 밝힌 슬로건
3. 대선 공약 사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문재인의 대표 공약 10개의 제목은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해당 공약별 자세한 목표와 이행 방법, 재원 조달 방안 등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일자리를 책임지는 대한민국: 일자리 확대, 국민께 드리는 최고의 선물입니다
- 국민이 주인인 대한민국: 정치권력과 권력기관 개혁, 더 이상 미룰 수 없습니다
- 공정하고 정의로운 대한민국: 반부패·재벌 개혁,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됩니다
- 강하고 평화로운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평화를 선도하는 책임 있는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 청년의 꿈을 지켜주는 대한민국: 청년에게 힘이 되는 나라, 청년으로 다시 서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 성 평등한 대한민국: 여성에 대한 성차별, 대통령이 나서서 해결하겠습니다
- 어르신이 행복한 9988 대한민국: 어르신이 세운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보답하겠습니다
- 아이 키우기 좋은 대한민국: 대한민국 꿈나무 육성, 교육·육아 국가책임제가 정답입니다
- 농어민‧자영업자·소상공인의 소득이 늘어나는 활기찬 대한민국 : 골목상권·농산어촌이 살아나야, 경제가 살아납니다
- 안전하고 건강한 대한민국: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겠습니다
4.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준비하여 2017년 7월 19일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가 5년 동안 어디로, 무엇을 위해, 어떻게 나갈지 가리키는 나침반이 될 국가비전은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이다. 국가비전 달성을 위한 실천전략으로서 5대 국정목표와 20대 국정전략, 100대 국정과제를 설정하였다.4.1. 5대 국정목표 / 20대 국정전략
- 국민이 주인인 정부
- 국민주권의 촛불민주주의 달성
- 소통으로 통합하는 광화문 대통령
- 투명하고 유능한 정부
- 권력기관의 민주적 개혁
- 더불어 잘사는 경제
- 소득주도 성장을 위한 일자리 경제
- 활력이 넘치는 공정 경제
-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민생경제
- 과학기술 발전이 선도하는 4차 산업혁명
- 중소벤처가 주도하는 창업과 혁신성장
- 내 삶을 책임지는 정부
- 모두가 누리는 포용적 복지국가
- 국가가 책임지는 보육과 교육
-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
- 자유와 창의가 넘치는 문화국가
- 노동존중, 성평등을 포함한 차별없는 공정사회
-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자치분권
- 골고루 잘사는 균형발전
-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 강한 안보와 책임국방
- 남북 간 화해협력과 한반도 비핵화
- 국제협력을 주도하는 당당한 외교
4.2. 100대 국정 과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100대 과제 발표 실황 중계 청와대 공개 자료 참고 |
5. 정부 구성
| |||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color:#181818" | 대통령비서실장 | 국가안보실장 | 대통령경호처장 |
노영민 | 정의용 | 주영훈 | |
감사원장 | 국가정보원장 | 방송통신위원장 | |
최재형 | 서훈 | 한상혁 | }}} |
| ||||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181818" | 대통령비서실장 | 정책실장 | ||
노영민 | 김상조 | |||
정무수석비서관 | 민정수석비서관 | 일자리수석비서관 | 경제수석비서관 | |
강기정 | 김조원 | 황덕순 | 이호승 | |
시민사회수석비서관 | 국민소통수석비서관 | 사회수석비서관 | ||
김거성 | 윤도한 | 김연명 | ||
인사수석비서관 | 과학기술보좌관 | 경제보좌관 | ||
김외숙 | 이공주 | 주형철 | ||
특별보좌관 | ||||
통일외교안보 | 외교 (UAE 특임) | 외교 (이라크 특임) | 경제과학 | |
문정인 | 임종석 | 한병도 | 이정동 |
{{{#!wiki style="margin: -10px -8px" | <tablebordercolor=#fff> | 대한민국 국가안보실 | }}} | |
{{{#!wiki style="color:#00347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1px; color:#181818" | 국가안보실장 겸 NSC 상임위원장 | |||
정의용 | ||||
1차장 겸 NSC 사무처장 | 2차장 | |||
김유근 | 김현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무조정실장 | 국무총리비서실장 | ||
노형욱 | 김성수 | |||
국가보훈처장 | 인사혁신처장 | 법제처장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
박삼득 | 황서종 | 김형연 | 이의경 | |
공정거래위원장 | 금융위원장 | 국민권익위원장 | 원자력안전위원장 | |
조성욱 | 은성수 | 박은정 | 엄재식 | |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181818" | | |||
정세균 | ||||
홍남기 | 유은혜 | |||
최기영 | 강경화 | 김연철 | 추미애 | |
정경두 | 진영 | 박양우 | 김현수 | |
성윤모 | 박능후 | 조명래 | 이재갑 | |
이정옥 | 김현미 | 문성혁 | 박영선 | }}}}}}}}} |
5.1. 내각
2020년 3월 15일 기준 | ||||
대통령 | 국무총리 | [[기획재정부장관|경제부총리 겸]] | [[교육부장관|사회부총리 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학기술정보]] |
문재인 | 정세균 | 홍남기 | 유은혜 | 최기영 |
외교부장관 | 통일부장관 | 법무부장관 | 국방부장관 | 행정안전부장관 |
강경화 | 김연철 | 추미애 | 정경두 | 진영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 | 환경부장관 |
박양우 | 김현수 | 성윤모 | 박능후 | 조명래 |
고용노동부장관 | 여성가족부장관 | 국토교통부장관 | 해양수산부장관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이재갑 | 이정옥 | 김현미 | 문성혁 | 박영선 |
5.2. 인사
5.3. 국정기획자문위원회
5.4. 일자리위원회
6. 외교
7. 주요 행적
문재인 정부의 타임라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 2017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18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19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0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1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8. 경제지표
9. 평가
10. 국정 수행 평가
10.1. 여론조사
10.1.1. 리얼미터
리얼미터 | |||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선거 | 득표율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41.1% |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
2017년 5월 3주 | 81.6% | 10.1% | |
2017년 5월 4주 | 84.1% | 10.0% | |
2017년 5월 5주 | 78.1% | 14.2% | |
2017년 6월 1주 | 78.9% | 14.7% | |
2017년 6월 2주 | 75.6% | 17.4% | |
2017년 6월 3주 | 74.2% | 18.6% | |
2017년 6월 4주 | 75.3% | 17.3% | |
2017년 7월 1주 | 76.6% | 16.0% | |
2017년 7월 2주 | 74.6% | 18.6% | |
2017년 7월 3주 | 72.4% | 19.3% | |
2017년 7월 4주 | 74.7% | 18.7% | |
2017년 8월 1주 | 72.5% | 20.9% | |
2017년 8월 2주 | 71.8% | 21.3% | |
2017년 8월 3주 | 72.4% | 21.0% | |
2017년 8월 4주 | 73.9% | 19.7% | |
2017년 8월 5주 | 73.4% | 21.5% | |
2017년 9월 1주 | 69.1% | 24.6% | |
2017년 9월 2주 | 67.1% | 26.8% | |
2017년 9월 3주 | 65.6% | 29.4% | |
2017년 9월 4주 | 67.7% | 26.0% | |
2017년 10월 2주 | 68.5% | 25.8% | |
2017년 10월 3주 | 67.8% | 27.0% | |
2017년 10월 4주 | 67.2% | 26.4% | |
2017년 11월 1주 | 70.3% | 23.9% | |
2017년 11월 2주 | 70.1% | 24.1% | |
2017년 11월 3주 | 71.6% | 24.2% | |
2017년 11월 4주 | 73.0% | 21.4% | |
2017년 11월 5주 | 71.5% | 22.8% | |
2017년 12월 1주 | 70.8% | 23.8% | |
2017년 12월 2주 | 68.6% | 25.7% | |
2017년 12월 3주 | 69.9% | 25.1% | |
2017년 12월 4주 | 68.5% | 25.0% | |
2018년 1월 1주 | 71.6% | 24.1% | |
2018년 1월 2주 | 70.6% | 23.8% | |
2018년 1월 3주 | 66.0% | 29.3% | |
2018년 1월 4주 | 60.8% | 34.6% | |
2018년 1월 5주 | 63.5% | 32.4% | |
2018년 2월 1주 | 63.5% | 32.1% | |
2018년 2월 2주 | 63.1% | 31.5% | |
2018년 2월 3주 | 65.7% | 28.9% | |
2018년 2월 4주 | 66.5% | 29.3% | |
2018년 3월 1주 | 65.8% | 28.2% | |
2018년 3월 2주 | 69.6% | 23.8% | |
2018년 3월 3주 | 69.1% | 26.6% | |
2018년 3월 4주 | 69.5% | 25.6% | |
2018년 4월 1주 | 68.1% | 25.7% | |
2018년 4월 2주 | 66.8% | 26.7% | |
2018년 4월 3주 | 67.8% | 27.8% | |
2018년 4월 4주 | 70.0% | 24.8% | |
2018년 5월 1주 | 77.4% | 15.9% | |
2018년 5월 2주 | 76.3% | 17.7% | |
이 자료는 리얼미터에서 CBS, tbs의 의뢰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지지도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5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folding [ 2년차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2018년 5월 3주 | 74.8% | 20.8% | |
2018년 5월 4주 | 72.5% | 22.6% | |
2018년 5월 5주 | 71.4% | 21.9% | |
2018년 6월 1주 | 72.3% | 21.3% | |
2018년 6월 2주 | 75.9% | 19.0% | |
2018년 6월 3주 | 75.4% | 19.1% | |
2018년 6월 4주 | 71.5% | 22.5% | |
2018년 7월 1주 | 69.3% | 24.9% | |
2018년 7월 2주 | 68.1% | 26.2% | |
2018년 7월 3주 | 62.9% | 31.4% | |
2018년 7월 4주 | 61.1% | 33.3% | |
2018년 8월 1주 | 63.2% | 30.4% | |
2018년 8월 2주 | 58.0% | 35.8% | |
2018년 8월 3주 | 56.3% | 38.4% | |
2018년 8월 4주 | 56.0% | 38.1% | |
2018년 8월 5주 | 55.2% | 40.0% | |
2018년 9월 1주 | 53.5% | 40.5% | |
2018년 9월 2주 | 53.1% | 41.7% | |
2018년 9월 3주 | 61.9% | 32.3% | |
2018년 9월 4주 | 65.3% | 30.3% | |
,2018년 10월 1주, | 62.7% | 31.6% | |
,2018년 10월 2주, | 61.9% | 31.4% | |
,2018년 10월 3주, | 60.4% | 33.0% | |
,2018년 10월 4주, | 58.7% | 35.6% | |
,2018년 10월 5주, | 55.6% | 39.1% | |
,2018년 11월 1주, | 55.4% | 38.3% | |
,2018년 11월 2주, | 53.7% | 39.4% | |
,2018년 11월 3주, | 52.0% | 42.5% | |
,2018년 11월 4주, | 48.4% | 46.6% | |
,2018년 12월 1주, | 49.5% | 45.2% | |
,2018년 12월 2주, | 48.5% | 46.8% | |
,2018년 12월 3주, | 47.1% | 46.1% | |
,2018년 12월 4주, | 45.9% | 49.7% | |
2019년 1월 1주 | 46.4% | 48.2% | |
2019년 1월 2주 | 49.6% | 44.8% | |
2019년 1월 3주 | 49.1% | 45.6% | |
2019년 1월 4주 | 47.7% | 45.7% | |
2019년 1월 5주 | 48.8% | 45.8% | |
2019년 2월 1주 | 50.4% | 45.4% | |
2019년 2월 2주 | 49.8% | 44.0% | |
2019년 2월 3주 | 51.0% | 44.1% | |
2019년 2월 4주 | 49.4% | 44.4% | |
2019년 3월 1주 | 46.3% | 46.8% | |
2019년 3월 2주 | 44.9% | 49.7% | |
2019년 3월 3주 | 47.1% | 47.2% | |
2019년 4월 1주 | 47.5% | 46.7% | |
2019년 4월 2주 | 48.0% | 46.8% | |
2019년 4월 3주 | 48.2% | 46.1% | |
2019년 4월 4주 | 47.4% | 48.4% | |
2019년 5월 1주 | 49.1% | 46.0% | |
2019년 5월 2주 | 48.6% | 47.0% | |
이 자료는 리얼미터에서 CBS, tbs, YTN의 의뢰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지지도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5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folding [ 3년차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2019년 5월 3주 | 49.4% | 46.0% | |
2019년 5월 4주 | 50.0% | 45.6% | |
2019년 5월 5주 | 48.3% | 47.1% | |
2019년 6월 1주 | 48.0% | 46.7% | |
2019년 6월 2주 | 49.5% | 45.4% | |
2019년 6월 3주 | 46.7% | 48.3% | |
2019년 6월 4주 | 47.6% | 47.6% | |
2019년 7월 1주 | 51.3% | 43.8% | |
2019년 7월 2주 | 47.8% | 47.3% | |
2019년 7월 3주 | 51.8% | 43.1% | |
2019년 7월 4주 | 52.1% | 43.7% | |
2019년 7월 5주 | 49.9% | 45.5% | |
2019년 8월 1주 | 50.4% | 44.4% | |
2019년 8월 2주 | 49.4% | 46.3% | |
2019년 8월 3주 | 46.2% | 50.4% | |
2019년 8월 4주 | 46.5% | 50.2% | |
2019년 9월 1주 | 46.3% | 49.9% | |
2019년 9월 2주 | 47.2% | 50.0% | |
2019년 9월 3주 | 45.2% | 52.0% | |
2019년 9월 4주 | 47.3% | 50.2% | |
,2019년 10월 1주, | 44.4% | 52.3% | |
,2019년 10월 2주, | 41.4% | 56.1% | |
,2019년 10월 3주, | 45.0% | 52.3% | |
,2019년 10월 4주, | 45.7% | 50.4% | |
,2019년 10월 5주, | 47.5% | 49.1% | |
,2019년 11월 1주, | 44.5% | 52.2% | |
,2019년 11월 2주, | 47.8% | 48.6% | |
,2019년 11월 3주, | 46.9% | 50.8% | |
,2019년 11월 4주, | 47.6% | 48.3% | |
,2019년 12월 1주, | 47.5% | 48.3% | |
,2019년 12월 2주, | 49.3% | 46.9% | |
,2019년 12월 3주, | 47.6% | 48.0% | |
,2019년 12월 4주, | 49.7% | 46.5% | |
2020년 1월 1주 | 49.0% | 46.2% | |
2020년 1월 2주 | 48.8% | 46.5% | |
2020년 1월 3주 | 45.3% | 50.9% | |
2020년 1월 4주 | 47.0% | 49.9% | |
2020년 1월 5주 | 45.0% | 50.3% | |
2020년 2월 1주 | 46.9% | 49.2% | |
2020년 2월 2주 | 46.6% | 49.7% | |
2020년 2월 3주 | 47.4% | 49.1% | |
2020년 2월 4주 | 46.1% | 50.7% | |
2020년 3월 1주 | 47.9% | 48.7% | |
2020년 3월 2주 | 47.2% | 49.1% | |
이 자료는 리얼미터에서 tbs, YTN의 의뢰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tbs는 3일간(매주 월~수요일), YTN은 5일간ㅏ(매주 월~금요일)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 tbs 의뢰조사 결과 (별첨없음) : YTN 의뢰조사 결과 |
10.1.2. 한국갤럽
한국갤럽 | |||
{{{#!folding [ 1년차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 선거 | 득표율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41.1% |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
2017년 6월 1주 | 84% | 7% | |
2017년 6월 2주 | 82% | 10% | |
2017년 6월 3주 | 83% | 10% | |
2017년 6월 4주 | 79% | 14% | |
2017년 6월 5주 | 80% | 13% | |
2017년 7월 1주 | 83% | 9% | |
2017년 7월 2주 | 80% | 12% | |
2017년 7월 3주 | 74% | 16% | |
2017년 7월 4주 | 77% | 13% | |
2017년 8월 1주 | 77% | 15% | |
2017년 8월 2주 | 78% | 14% | |
2017년 8월 3주 | 78% | 15% | |
2017년 8월 4주 | 79% | 14% | |
2017년 8월 5주 | 76% | 16% | |
2017년 9월 1주 | 72% | 20% | |
2017년 9월 2주 | 69% | 23% | |
2017년 9월 3주 | 70% | 24% | |
2017년 9월 4주 | 65% | 26% | |
2017년 10월 1주 | 추석 연휴 | ||
2017년 10월 2주 | 73% | 19% | |
2017년 10월 3주 | 70% | 23% | |
2017년 10월 4주 | 73% | 19% | |
2017년 11월 1주 | 73% | 18% | |
2017년 11월 2주 | 74% | 18% | |
2017년 11월 3주 | 73% | 20% | |
2017년 11월 4주 | 72% | 18% | |
2017년 11월 5주 | 75% | 17% | |
2017년 12월 1주 | 74% | 18% | |
2017년 12월 2주 | 70% | 21% | |
2017년 12월 3주 | 연말 미조사 | ||
2017년 12월 4주 | 연말 미조사 | ||
2018년 1월 1주 | 72% | 21% | |
2018년 1월 2주 | 73% | 17% | |
2018년 1월 3주 | 67% | 24% | |
2018년 1월 4주 | 64% | 27% | |
2018년 2월 1주 | 63% | 30% | |
2018년 2월 2주 | 63% | 28% | |
2018년 2월 3주 | 설 연휴 | ||
2018년 2월 4주 | 68% | 22% | |
2018년 2월 5주 | 64% | 26% | |
2018년 3월 1주 | 71% | 22% | |
2018년 3월 2주 | 74% | 18% | |
2018년 3월 3주 | 71% | 19% | |
2018년 3월 4주 | 70% | 21% | |
2018년 4월 1주 | 74% | 17% | |
2018년 4월 2주 | 72% | 19% | |
2018년 4월 3주 | 70% | 21% | |
2018년 4월 4주 | 73% | 18% | |
2018년 5월 1주 | 83% | 10% | |
2018년 5월 2주 | 78% | 13% | |
이 자료는 한국갤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지지도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folding [ 2년차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2018년 5월 3주 | 76% | 14% | |
2018년 5월 4주 | 76% | 14% | |
2018년 5월 5주 | 75% | 15% | |
2018년 6월 1주 | 선거 전 주 미조사 | ||
2018년 6월 2주 | 79% | 12% | |
2018년 6월 3주 | 75% | 16% | |
2018년 6월 4주 | 73% | 16% | |
2018년 7월 1주 | 71% | 18% | |
2018년 7월 2주 | 69% | 21% | |
2018년 7월 3주 | 67% | 25% | |
2018년 7월 4주 | 62% | 28% | |
2018년 8월 1주 | 60% | 29% | |
2018년 8월 2주 | 58% | 31% | |
2018년 8월 3주 | 60% | 32% | |
2018년 8월 4주 | 56% | 33% | |
2018년 8월 5주 | 53% | 38% | |
2018년 9월 1주 | 49% | 42% | |
2018년 9월 2주 | 50% | 39% | |
2018년 9월 3주 | 61% | 30% | |
2018년 9월 4주 | 추석 연휴 | ||
,2018년 10월 1주, | 64% | 26% | |
,2018년 10월 2주, | 65% | 25% | |
,2018년 10월 3주, | 62% | 27% | |
,2018년 10월 4주, | 58% | 32% | |
,2018년 11월 1주, | 55% | 35% | |
,2018년 11월 2주, | 54% | 36% | |
,2018년 11월 3주, | 52% | 40% | |
,2018년 11월 4주, | 53% | 38% | |
,2018년 12월 1주, | 49% | 41% | |
,2018년 12월 2주, | 45% | 44% | |
,2018년 12월 3주, | 45% | 46% | |
2018년 12월 4주 | 연말 미조사 | ||
2019년 1월 1주 | 신년 연휴 | ||
2019년 1월 2주 | 48% | 44% | |
2019년 1월 3주 | 47% | 44% | |
2019년 1월 4주 | 46% | 45% | |
2019년 1월 5주 | 47% | 44% | |
2019년 2월 1주 | 설 연휴 | ||
2019년 2월 2주 | 47% | 44% | |
2019년 2월 3주 | 45% | 45% | |
2019년 2월 4주 | 49% | 42% | |
2019년 3월 1주 | 46% | 45% | |
2019년 3월 2주 | 44% | 46% | |
2019년 3월 3주 | 45% | 44% | |
2019년 3월 4주 | 43% | 46% | |
2019년 4월 1주 | 41% | 49% | |
2019년 4월 2주 | 47% | 45% | |
2019년 4월 3주 | 48% | 42% | |
2019년 4월 4주 | 44% | 47% | |
2019년 5월 1주 | 45% | 46% | |
2019년 5월 2주 | 47% | 45% | |
이 자료는 한국갤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지지도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folding [ 3년차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5px" | 조사 기간 | 긍정 | 부정 |
2019년 5월 3주 | 44% | 47% | |
2019년 5월 4주 | 46% | 44% | |
2019년 5월 5주 | 45% | 45% | |
2019년 6월 1주 | 46% | 46% | |
2019년 6월 2주 | 47% | 44% | |
2019년 6월 3주 | 45% | 45% | |
2019년 6월 4주 | 46% | 45% | |
2019년 7월 1주 | 49% | 40% | |
2019년 7월 2주 | 45% | 45% | |
2019년 7월 3주 | 48% | 44% | |
2019년 7월 4주 | 48% | 42% | |
2019년 8월 1주 | 48% | 41% | |
2019년 8월 2주 | 47% | 43% | |
2019년 8월 3주 | 조사 미실시 | ||
2019년 8월 4주 | 45% | 49% | |
2019년 8월 5주 | 44% | 49% | |
2019년 9월 1주 | 43% | 49% | |
2019년 9월 2주 | 추석 연휴 | ||
2019년 9월 3주 | 40% | 53% | |
2019년 9월 4주 | 41% | 50% | |
,2019년 10월 1주, | 42% | 51% | |
,2019년 10월 2주, | 43% | 51% | |
,2019년 10월 3주, | 39% | 53% | |
,2019년 10월 4주, | 41% | 50% | |
,2019년 10월 5주, | 44% | 47% | |
,2019년 11월 1주, | 45% | 47% | |
,2019년 11월 2주, | 46% | 46% | |
,2019년 11월 3주, | 45% | 48% | |
,2019년 11월 4주, | 46% | 46% | |
,2019년 12월 1주, | 48% | 45% | |
,2019년 12월 2주, | 49% | 43% | |
,2019년 12월 3주, | 44% | 46% | |
2019년 12월 4주 | 연말 미조사 | ||
2020년 1월 1주 | 연초 미조사 | ||
2020년 1월 2주 | 47% | 43% | |
2020년 1월 3주 | 45% | 46% | |
2020년 1월 4주 | 설 연휴 | ||
2020년 1월 5주 | 41% | 50% | |
2020년 2월 1주 | 44% | 49% | |
2020년 2월 2주 | 44% | 49% | |
2020년 2월 3주 | 45% | 46% | |
2020년 2월 4주 | 42% | 51% | |
2020년 3월 1주 | 44% | 48% | |
2020년 3월 2주 | 49% | 45% | |
이 자료는 한국갤럽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문재인 정부 국정수행 평가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
11. 주요 사건
11.1. 2017년
- 5월 10일 - 문재인 대통령 취임
- 5월 14일 - 북한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 5월 20일 ~ 6월 11일 - FIFA U-20 월드컵 대한민국
- 5월 21일 - 북한 중거리 탄도미사일 KN-17 발사
- 5월 29일 - 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 6월 28일 ~ 7월 2일 - 미국 순방
- 7월 4일 - 북한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 7월 28일 - 북한 대륙간 탄도미사일 발사
- 8월 15일 - 살충제 계란 파동
- 9월 3일 - 북한의 6차 핵실험
- 9월 26일 -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 사건
- 11월 7일 ~ 11월 8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국빈 방한
- 11월 13일 -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
- 11월 15일 - 포항 지진 발생, 2018 수능 연기 결정
- 12월 21일 -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11.2. 2018년
- 2018년 1월 9일 - 남북고위급회담
- 2018년 1월 15일 - 평창동계올림픽 예술단파견을 위한 남북실무접촉
- 2018년 1월 26일 -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 2018년 2월 9일 ~ 2월 25일 - 평창 동계올림픽
- 2018년 2월 9일 ~ 2월 11일 -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방남
- 2018년 2월 24일 ~ 2월 27일 -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통일선전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
- 2018년 3월 9일 ~ 3월 18일 - 평창 동계패럴림픽
- 2018년 3월 22일 - 정부 개헌안 발표
- 2018년 3월 22일 -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2018년 4월 1일 ~ 4월 3일 -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
- 2018년 4월 14일 -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
- 2018년 4월 27일 - 1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5월 26일 - 2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6월 12일 - 북미정상회담
- 2018년 6월 13일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 2018년 9월 18일 ~ 9월 20일 - 3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10월 7일 -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사고
- 2018년 11월 24일 -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 2018년 12월 11일 - 태안화력발전소 사고
- 2018년 12월 15일 - 청와대 특별감찰반 비위 논란
11.3. 2019년
- 2019년 2월 27일 ~ 2월 28일 - 2019년 북미정상회담
- 2019년 4월 3일 - 2019년 보궐선거
- 2019년 4월 4일 - 2019년 고성-속초 산불
- 2019년 4월 22일 ~ 4월 30일 - 2019년 선거법·공수처법 패스트트랙 파동
- 2019년 5월 4일, 5월 9일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 2019년 5월 30일 -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 2019년 6월 15일 - 삼척항 목선 귀순 사건
- 2019년 6월 30일 -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 2019년 7월 1일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7월 23일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
- 2019년 7월 25일, 7월 31일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 2019년 8월 2일, 8월 6일, 8월 10일, 8월 16일, 8월 24일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 2019년 8월 22일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종료 결정
- 2019년 9월 6일 -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 2019년 9월 10일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 2019년 10월 2일 - 2019년 북한 미사일 도발
- 2019년 10월 7일 -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중단(파산) 시작
- 2019년 11월 7일 - 2019년 탈북 선원 강제 북송 사건
- 2019년 11월 22일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종료 연기
- 2019년 11월 25일 ~ 11월 26일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 2019년 12월 16일 - 2019년 국회 난입 사태
- 2019년 12월 23일 ~ 12월 25일 - 국회 선거법 무제한토론
- 2019년 12월 27일 ~ 12월 28일 - 국회 공수처법 무제한토론
11.4. 2020년
12. 둘러보기
문재인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문재인 | ||
생애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 |||
19대 대선 | 더문캠 · 국민주권선대위 · 3철 · 문재인 1번가 · 19대 대선 공약 · 어대문 · 대깨문 | ||
19대 대선 기간 논란 | |||
비판과 논란 | 북한인권결의안 관련 논란 · 아들 취업 관련 논란 · 말 바꾸기 · 대북문제 | ||
기타 | 자택 · 지지율 · 친문 · 금괴 루머 · 자서전 · 문모닝 · 별명 ·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나라 · 문빠 · 달빛기사단 · 대깨문 · 분류 | ||
문재인 정부 | |||
정부 구성 | 인사 · 국정기획자문위 · 일자리위원회 · 4차산업혁명위원회 · 북방경제협력위원회 · 국가교육회의 | ||
정책 및 방향 | 외교 · 적폐청산 · 소득주도 성장론 · 혁신성장 · 10차 개헌안 · 탈원전 · 광화문 1번가 · 문재인 케어 | ||
타임라인 | |||
평가 | 정치 (인사) / 경제 (노동 · 부동산) / 사회·문화 (젠더) / 외교 (美 · 日 · 中 · 北) / 안보·국방 |
※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 ||[1] 당일 08시 09분에 당선이 의결됨. 당시 대선이 궐위로 인한 선거이므로 당선 의결 즉시 취임[2] 노태우&김영삼(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김대중&노무현(민주당계 정당) / 이명박&박근혜(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문재인(민주당계 정당)[3] 만약 10차 개헌이 이루어져 새 헌법이 시행되더라도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는 그대로 간다. 이후에는 제20대 대통령 선거부터 그 임기가 적용될 확률이 더 높다. 만약에 대통령 임기가 4년 중임제로 변경된 것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적용될 경우에도 현행 헌법 제128조 제2항 "대통령의 임기연장 또는 중임변경을 위한 헌법개정은 그 헌법개정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 대하여는 효력이 없다."에 의하여 문재인 현 대통령은 차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10차 개헌이 예상되는 대로 '문재인 대통령 임기 종료 이후 4년 중임제'라면 문재인 대통령은 5년 임기를 그대로 수행하게 되지만 아닐 경우엔 임기를 일찍 종료할 수도 있다.[4] 문재인 정부 개헌 발의안에 따르면 5월 9일로 결정하였으나 통과될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