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3월 3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3월 5일 |
2월 4일 | 4월 4일 |
◀ | 3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5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63번째(윤년의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한다.2. 사건
2.1. 실제
- 1797년 ~ 1933년 - 미국 대통령 취임일. 존 애덤스부터 프랭클린 루즈벨트까지의 대통령들이 취임한 날이다. 1945년 루즈벨트 대통령이 임기 중 사망하면서 후임 대통령들은 1월 20일에 취임하게 된다.
- 1922년
- 1997년 - 부부싸움을 하던 40대 남성이 홧김에 집안에 LPG 가스를 분사한 후 라이터를 켜 폭발사고를 일으켜 본인 포함 3명이 사망했다.
- 2001년 - 홍제동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 2003년 - SBS 드라마 야인시대 64화가 방영되었다. 그 중 심영이 고자가 된 장면은 5년 후 디시인사이드의 필수요소로 등극하게 된다.
- 2008년 - 서울국제고등학교, 인천국제고등학교가 개교했다.
- 2019년 - 보이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데뷔했다.
- 2021년 - 윤석열 검찰총장이 임기를 143일 남겨놓고 사의를 표명했으며, 한시간여 뒤 사표가 수리되었다. 같은 날 신현수 민정수석의 사표도 수리되었다.
- 2022년 - 한국 대가뭄으로 인해 2022년 울진 산불이라는 10년만에 최대 규모의 대형 산불이 발생했으며 울진, 삼척, 영월, 강릉 등 전국에서 일어났다.
- 2024년 - 푸바오가 중국으로 반환되기 위한 검역 과정을 거쳤다.
2.2. 가상
- 1996년 - 남일대학교의 1996년도 학사 일정이 시작되었고, 컴퓨터공학과 개강 뒷풀이 겸 총MT 자리에서 박남일이 박주민의 가슴을 만져 뺨을 맞는 사건이 일어난다.[1]
- 2019년 - 여의도의 국회의사당이 테러로 무너진다.
3. 기념일 및 절기
3월 1일이 금요일이고, 3월 2, 3일이 토, 일요일인 경우, 대부분의 입학식, 시업식이 이 때 치러지게 된다. 임시 휴일이 없는 한 입학식, 시업식이 미뤄질 수 있는 마지막 날짜. 2013년, 2019년, 2024년[2]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특히 2024년에는 2월 29일이 있어서 삼일절이 금요일로 밀린다.[3][4]여담으로, 2000년 3월 4일생은 2013년 중학교 입학식, 2019년 대학교 개강과 겹쳤다.[5] 또 2006년 3월 4일생은 2013년 초등학교 입학식, 2019년 중학교 입학식과 겹쳤다.[6] 또한 1990년 3월 3일생 및 2001년 3월 3일생도 마찬가지로 초등학교 및 중학교 입학식과 겹쳤다.
대체휴일 제도가 확대되면서 3.1절이 토요일인 해도 3월 3일이 대체공휴일로 3월 4일에 개학/입학하게 되었다.[7] 2024년 및 2025년, 2030년, 2031년, 2036년 등이 3월 4일 개학 및 입학이다.
중국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개막하는 날이다.
4. 축일
- 성 가시미로
- 성 네스토르, 성 바실리오, 성 아가토도로, 성 아르카디오, 성 에우제니오, 성 에테리오, 성 에프렘, 성 엘피디오, 성 카피토
- 복자 로메오
- 성 루치오 1세 (교황)
- 복녀 플라치다 비엘
- 복자 훔베르토
5. 생일
5.1. 실존 인물
- 895년 - 유지원(~948년): 후한의 초대 황제
- 1363년 - 황희(~1452년): 조선 전기의 재상
- 1394년 - 인판트 동 엔히크(~1460년): 포르투갈의 왕자, 에비제우의 대공
- 1537년 - 융경제(~1572년): 명나라의 12대 황제
- 1561년 - 이이 나오마사(~1602년):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 1678년 - 안토니오 비발디(~1741년): 이탈리아의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 1793년 - 오시오 헤이하치로(~1837년): 일본의 양명학자이자 반란 지도자.
- 1882년 - 원태우(~1950년): 한국의 독립운동가
- 1889년 - 홍사익(~1946년): 조선 출신의 일본 제국 육군 중장
- 1892년 - 이광수(~1950년): 한국의 소설가
- 1907년 - 마리아 브라냐스 모레라(~2024년): 인류 역사상 8번째로 장수한 인물.
- 1913년 - 존 가필드(~1952년): 미국의 배우
- 1925년 - 폴 모리아(~2006년): 프랑스의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 쳄발로 연주자
- 1931년 - 아마치 시게루(~1985년): 일본의 배우
- 1935년 - 루돌프 욥스트(~2020년): 독일의 전 축구 선수
- 1944년 - 바비 워맥(~2014년):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 1948년 - 크리스 스콰이어(~2015년): 영국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의 베이시스트
- 1958년 - 인호봉(~2021년):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 1963년 - 제이슨 뉴스테드: 미국 스래시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전 베이시스트
- 1966년 - 김예령: 대한민국의 배우
- 1970년
- 1972년 - 요스 베르스타펜: 네덜란드의 카레이서
- 1974년
- 1975년 - 이준오: 한국의 가수.
- 1978년 - 정수성: 한국의 야구 코치, 前 야구 선수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4년 - 장위안: 중국 국적의 방송인
- 1986년 - 박민영: 한국의 배우
- 1987년 - 원에스더: 한국의 성우
- 1990년 - 드레이먼드 그린: 미국의 농구 선수
- 1991년 - 이창진: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루태: 대한민국의 유튜버 및 트위치 스트리머
- 1996년
- 1997년
- 1998년 - 서진솔: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Ssol'
- 1999년
- 2000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송야쉔: 중국의 아이돌 시대소년단의 멤버
- 2005년 - 금희: 대한민국의 걸그룹 첫사랑의 멤버. 본명 한금희.
- 2021년 - 체리 그랜트: 올리버쌤의 딸
5.2. 가상 인물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사사가와 쿄코
- 너의 이름은. - 미야미즈 히토하
- 다마고치 - 와타와타치
- 러브 라이브! 선샤인!! - 쿠니키다 하나마루
- 마리아 홀릭 - 시도우 시즈
- 머나먼 시공 속에서 2 - 아키후미
- 미오리 셀레스타 - 츤데리아 소속 버츄얼 유튜버
- 백야극광 - 미아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 테루하시 마코토
- 스페이스 차이나드레스 - 벤자민
- 쓰리몬 - 마루이 미츠바, 후타바, 히토하
- 앙상블 걸즈!! - 스나가 미도리
- 와타와타치 - 다마고치
- 왕궁의 트리니티 - 노엘 온스 워델세람
- 에버소울 - 제이드
- 원피스 - 마시라
- 유루캠△ - 이누야마 아오이, 카가미하라 나데시코[8]
- 얼터너티브 걸즈 - 키라 사유리
- 영원한 7일의 도시 - 이자크
- 제멋대로 하이스펙 - 타카츠카 치토세
- 절망 프리즌 - 이즈모 사나에
- 치즈인더트랩 - 백인하
- 최애의 러브보다 사랑의 러브 - 하야호시 아쿠루
- 펜트하우스 시리즈 - 송희수
- 프린세스 메이커 5 - 이토 케이코
- 헤븐 번즈 레드 - 미코토 후부키
힐러 - 채영신[9]- Gift - 호카조노 린카
- Robotics;Notes - 이레이 미즈카
- 카자노 히오리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아마지키 타마키
- 보루토 - 토오노 카타스케
- 리마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쟈로프, 쿠스카 - SHOW BY ROCK!!
6. 기일
6.1. 실존 인물
- 1832년 - 장 프랑수아 샹폴리옹(1790년~): 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한 프랑스의 언어학자
- 1852년 - 니콜라이 고골(1809년~): 러시아 제국의 작가
- 1858년 - 매튜 페리(군인)(1794년~): 미국의 군인
- 1994년 - 존 캔디(1950년~): 캐나다의 배우
- 2008년
- 2015년 - 니시자와 노부타카(1940년~): 일본의 애니메이션 감독, 연출가
- 2018년 - 다비데 아스토리(1987년~):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 2021년 - 김태욱(1960년~): 대한민국의 아나운서
- 2022년 - 선가희(2000년~):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 2024년 - TARAKO(1960년~): 일본의 성우
6.2. 가상 인물
[1] 고학생 스타팅일 경우 주인공의 높은 근성 수치로 인해 이 이벤트가 일어나지 않지만, 작중 묘사 정황상 오렌지족이 정사인 것으로 보이므로 이에 맞춰 기록.[2] 주 5일제 수업이 완전히 실시된 건 2012년이다. 그리고 2012~13년만 해도 완전히는 실시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한편 대다수의 2006년생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입학식을 모두 3월 4일에 했다. '대다수'인 경우는 (조기입학이나 늦게 입학하는 변수를 빼더라도) 상술했듯이 이들이 입학한 2013년의 경우 주 5일제를 완전히는 실시하지 않는 학교들이 있었기 때문이다.[3] 사실상 삼일절 연휴. 정확히는 2월 1일이 목요일이었다.[4] 2000년생과 2006년생은 입학을 두 번씩이나 3월 4일에 했으며, 2006년, 2012년생은 이러한 경우가 학창시절 때 세 번이나 있다. 특히 2006년생은 2013년, 2019년, 2024년이 각각 초1, 중1, 고3으로 초중고 모두 3월 4일에 학기를 시작한 것을 겪게 된다. 2012년생은 초1과 초6, 고3으로 초등학생 때 두 번 겪는다.[5] 이 아이들은 생일선물을 개학, 개강으로 받았다고 한다.[6] 1989년 3월 4일생도 요일이 겹치겠지만, 입학 당시에는 주 5일제가 실시되기 전이다.[7] 3월 1일이 일요일인 해는 3월 3일.[8] 위 3월 4일에 태어난 실존 인물인 '오시오 헤이하치로' 덕에 둘이 함께 '오시오 콤비'라(...) 불린다.[9] 주민등록증에서 밝힌 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