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코믹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DC 코믹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디시인사이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3125r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edf1ff,#4a56a8> 관련 문서 | <colcolor=#373a3c,#fff>역사 · 성향 · 문제점 (이용자의 문제) · 사건·사고 (틀) · 문화 및 유행어 · vs 타 커뮤니티 (vs 루리웹 · 근첩 · 네덕) · 디시질 · 김유식 · 갤러 (목록 · 고정닉 · 유동닉 · 통신사 IP) · 정모 관련 괴담 · 디부심 · 갤기장 |
서비스 | 갤러리 (문서 有 · 문서 無) · 마이너 갤러리 (문서 有 · 문서 無 · 승격됨) · 미니 갤러리 (목록) · 디시콘 · 디시위키 · 디시게임 · 디시뉴스 · 갤로그 · 보이스 리플 · 댓글돌이 · 소프트웨어 (클리너) | |
파생 커뮤니티1 | 에펨코리아 · | |
갤러리 | ||
관련 문서 | 개념글 · 실시간 베스트 ( | |
대형 갤러리2 | 스트리머 · 만화 · 국내야구 · 로스트아크 · 인터넷방송 · 기타 국내 드라마 · 남자 연예인 · 해외축구 · 메이플스토리 · 여자 연예인 | |
주요 갤러리3 | 아이돌마스터 · 판타지 · 컴퓨터 본체 · 엘소드 · 우울증 · 역학 · 리그 오브 레전드 · 농구 · 토토 · LGBT · 포켓몬스터 · 편의점 · 대출 · 던전앤파이터 · 부동산 · 주식 · 미스터트롯 · 자동차 · 피파 온라인 · 헬스 | |
주요 마이너 갤러리4 | 원신 project · 블루 아카이브 · 미국 주식 · 중세게임 · 한석원 · 여자배구 · 이세돌(왁엔터테인먼트) · 장르소설 · 해외주식 · 지하성과 용사 · 키즈나 아이 · 이터널 리턴 · VRChat · 우왁굳 · 첼시 · TCG | |
주요 미니 갤러리5 | 버츄얼 인터넷방송 · 이세계 아이돌 · 하꼬 BJ · 국내 하꼬 버츄얼 · 프리아 갤러리 | |
과거 주요 갤러리1 | 엽기 · | |
1 폐쇄되었거나 글쓰기가 제한된 파생 커뮤니티와 갤러리는 취소선 처리. 2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상위 10개 3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11~30위 4 문서가 있는 마이너 갤러리 중 흥한 마이너 갤러리 상위 15개 5 문서가 있는 미니 갤러리 중 흥한 미니 갤러리 상위 5개 갤러리 목록 정렬 기준은 기준일 당시 흥한 갤러리 순위. | ||
기준일 : 2022년 1월 7일 | }}}}}}}}} |
<colbgcolor=#4b59a7,#4b59a7><colcolor=#ffffff,#fafafa> 디시인사이드 dcinsid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 }}} | ||
기업명 | 주식회사 디시인사이드 Dcinside Co., Ltd. (영어) | |||
국가 | [[대한민국| ]] | |||
업종명 |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 |||
설립일 | 1999년 10월 6일사이트 기준 ([age(1999-10-06)]주년) 2000년 3월 24일법인화[A] 2010년 12월 27일현재 법인([age(2010-12-27)]주년) | |||
대표 | 대표이사 , 설립자 김유식, 박주돈 | |||
기업규모 | 중소기업 | |||
회원수 | 1,100만 명(2023년 기준)[2] | |||
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기업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b59a7><colcolor=#fff> 직원수 | 50+[3] |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상장폐지) | |||
매출액 | 129억 2598만원(2020) | |||
영업이익 | 63억 5929만원(2020) | |||
자산총액 | 95억 496만원(2020) | |||
소재지 | 서울 본사 | |||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7길 14[4] (서버 및 사이트 운영[5], 경영방침 수립 담당[6]) | ||||
해외 지사 | ||||
[[중국| ]] 베이징시 차오양구 왕징서원222호[7](문의 응대 및 신고 담당[8]) [[베트남| ]] 하노이 트란 두이 훙[9] (악성 게시물 삭제 담당) | ||||
본사위치 |
[clearfix]
1. 개요
|
디시인사이드 PC 메인화면 |
## CONNECTING HEARTS! 디시인사이드입니다. ##
디시인사이드(Dcinside)은 대한민국의 최대 규모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이다. 본래는 1999년 디지털 카메라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로 시작했으며 닷컴 버블을 타고 급성장하며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로 변모, 2010년대에 들어서 최대 규모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가 되었다. 다른 커뮤니티의 게시판 격에 해당되는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개인 블로그인 갤로그, 뉴스 페이지인 디시뉴스[10], 뉴스 중개 서비스인 디시미디어[11] , 위키 서비스인 디시위키, 게임 서비스인 디시게임 등의 부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2020년대에 이르기까지 20년 가까이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커뮤니티이며, 2022년 10월엔 대한민국 내에서 카카오의 다음을 밀어내고 네이버, 구글, 유튜브에 이은 4위로 올라서며 대규모 사이트로 성장하였다.
2. 현황
| ||
| | 모바일웹 메인화면 |
13억개에 달하는 전세계 웹사이트 중 접속자 150위권 안에 진입한 넷 밖에 안되는 대한민국 사이트 중 하나이며,[14] 하루에 300만 명 가량이 방문하고, 평균 페이지뷰는 매일 1억 7천만회[15] 이상 발생한다. 또한 하루에 약 100만 건의 게시물이 올라오고 약 2~300만 개의 댓글이 달린다.[16][17] 디시인사이드 내의 한 갤러리의 규모가 다른 커뮤니티 전체의 규모와 맞먹는 경우도 허다하다. 2022년 10월 월 방문자수가 2억 명을 돌파해[18] 2022년 현재 2위부터 4위까지 모든 커뮤니티들[19]을 모두 합쳐도 디시인사이드 하나의 규모를 넘기지 못한다.[20]
유동닉 기능을 기반으로 한 익명성과 높은 자유도, 갤러리 서비스를 기반으로 방대한 규모의 커뮤니티를 구축해 성별, 지역, 연령을 막론하고 계속 유저를 흡수하며 성장해오고 있다. 2022년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남초나 여초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고 90년대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 중심으로 움직인다는 특징이 두드러지는데[21] 디시인사이드의 경우 2015년 마이너 갤러리 서비스가 시작된 후부터 다양한 남녀 유저와 Z세대를 빠르게 빨아들여 입시, 연예, 취미 부문에서 여초 갤러리와 취미 갤러리가 수없이 늘어나며 국내에서 가장 높은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래서 남초 커뮤니티인 에펨코리아, 인벤, 여초 커뮤니티인 더쿠, 인스티즈와 달리 한쪽으로의 성비 분포가 극단적으로 심하진 않다.[22]
비슷한 시기에 태동해 일본의 인터넷 문화를 주도한 5ch이 2010년대로 넘어오며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SNS에 밀려나 40~60대 중장년층의 사이트로 전락해버린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23]
3. 역사
2000년과[24] 2022년의 메인화면 비교 |
3.1. 심볼
| |
2000 ~ 2019 | 2019 ~ 현재 |
3.2. 로고
|
2000 ~ 현재 |
3.3. 기업명
1999년 설립될 당시의 이름은 '김유식의 디지털 카메라 인사이드'였다. 김유식은 자신이 전문성을 가진 분야(IT 방면)에 대한 사이트를 만들려는 의도로 노트북을 주제로 하는 노트북인사이드와 디지털 카메라를 주제로 한 디시인사이드라는 사이트 2곳을 개설했는데, 사실 사이트를 열 당시 김유식은 노트북인사이드를 주요 사이트로 여겼고 디시인사이드는 '사이트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만든 구색 맞추기 용도'의 사이트로만 생각했다고 한다. 이후 노트북인사이드를 매각한뒤[25] 디지털카메라인사이드에 더 중점을 두었고, 점차 디지털 카메라 판매 사이트에서,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로 발전시켜나가기에 이른다.설립될 당시에는 평범한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 사이트였다. 즉 디카에 대한 정보나 사용기가 메인이었던 사이트였고, 갤러리는 부가적인 요소였다. 그래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갤러리와 함께 디카 정보 및 사용기, 리뷰 등이 메인 화면을 장식하고 있었다. 현재까지도 사이트 여기저기에서 그 흔적이 약간씩 남아 있는데, 사이트 이름인 DC인사이드에서 앞머리의 DC가 바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의 두문자어이다.
3.4. 슬로건
## IT IS LIFE! 디시인사이드입니다. ## (2003년 ~ 2018년)
CONNECTING HEARTS! 디시인사이드입니다. (현재 슬로건 1[26])
We are with you all the day! IT is Life! 디시인사이드 입니다. (현재 슬로건 2 [27])
CONNECTING HEARTS! 디시인사이드입니다. (현재 슬로건 1[26])
We are with you all the day! IT is Life! 디시인사이드 입니다. (현재 슬로건 2 [27])
4. 소재지
사업장 | 업무 | 설립일 |
[[대한민국| ]] 대한민국 본사(서울, 본사) | 서버 운영[28], 광고 수주 및 집행, 사이트 운영 | 2000년 3월 24일 |
[[중국| ]] 중국 지사(베이징) | 신고 게시물 갤러리 응대 | 2003년 12월 |
[[베트남| ]] 베트남 지사(하노이) | 악성 게시물 삭제 |
5. 디시인사이드의 서비스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4a56a8> | 서비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33,#cccccc | 디시뉴스 | 마이너 갤러리 | 갤러리 | 디시콘 | |
갤로그 | 익사이팅 디시 | 디시게임 | 디시위키 | ||
문서가 없는 서비스 · 중단된 서비스 | }}}}}}}}}}}} |
5.1.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디시인사이드의 주제별 커뮤니티를 말한다.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게시판이라는 이름으로 통용되지만, 본래 카메라 사이트였던 디시인사이드는 커뮤니티의 본래 용도가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들이 자기가 찍은 사진을 주제에 맞는 곳에 올려서 전시하는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그 흔적이 지금도 남아 갤러리라고 칭하고 있다. 디시인사이드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게임, 스포츠, 인물, 방송, 연예 등 사회 각 분야에 대한 2,000여 개의 갤러리가 개설되어 있다.5.2.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2016년 1월 13일 개시한 갤러리 개설 시스템이다. 이용자가 원하는 주제의 갤러리를 직접 개설 및 관리할 수 있다.디시인사이드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연예, 게임, 해외방송, 음식, 국내방송, 스포츠, 생활, 학술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30,000여 개의 마이너 갤러리가 운영되고 있다.
5.3. 디시인사이드 미니 갤러리
2020년 12월 14일에 개시한, 마이너 갤러리보다 더 매니저의 권한이 강화된 시스템. 비밀글, 멤버 기능을 통해 유저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정식 갤러리 승격 방지를 보장한다. 갤러리 개설이 마이너 갤러리 개설보다 자유로운 탓에, 레딧의 서브레딧과 성향이 비슷하다. 디시인사이드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연예, 국내방송, 해외방송, 게임, 취미, 만화/애니메이션, 스포츠, 교통/운송 등 6,000여 개의 미니 갤러리가 운영되고 있다.5.4. 보이스 리플
2012년 10월 5일, 디시인사이드에 목소리로 리플을 남길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하루 만에 성지가 만들어졌다.5.5. 디시콘
2015년 4월 3일, 조각만 한 이미지를 댓글에 아이콘처럼 달 수 있는 디시콘 기능이 추가되었다. 디시에서는 댓글에 짤방을 달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과 댓글 달기의 귀차니즘을 해소해 주기 때문에 자주 쓰인다.5.6. 디시위키
2015년 6월 1일에 생겼다.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를 본 김유식이 "리그베다 위키 관리자들이 하는 짓을 보고 나니, 차라리 내가 위키를 만들어보겠다."며 만든 유머 위주의 위키 시스템이다.5.7. 디시게임
2020년 10월 21일에 생겼다.5.8. 디시뉴스
본격적인 뉴스 제공 포탈로도 입지를 넓히는 중이다. 2019년까지는 기존 중앙일보 제휴인 디씨뉴스제이와 CCBB LAB 두 곳에서만 기사를 제공받아 왔으나 OSSEN과 제휴해 공지에 기사를 넣으며, 게임메카는 댓글돌이가 기사 링크를 걸고, 유용원의 군사세계 또한 갤러리를 제공받아 기사를 올리고 있다.5.9. 문서가 없는 서비스
- 디시미디어
- 만두몰
5.10. 중단된 서비스
- 소모임 - '와글'이라는 서비스의 아이디와 연동하여 만들 수 있는 소모임 게시판 만들기가 생겼다. 이 소모임 게시판에 대해 안 그래도 가속화되어 가는 디시의 친목질을 빼도 박도 못 하게 하는 거 아니냐는 일부 갤러들의 항의가 디시 쪽으로 몇 번 접수되었지만 디시 쪽 입장(아마도 알바의 답변)에서는 "우리가 한 게 아니라 와글이 제휴하자고 해서 실시한 거라 우리 소관까지는 못 된다"는 정도의 답변으로 항의를 일축했다고 한다. 하지만 마이너 갤러리 시스템이 훨씬 상위호환이라서 쓰이지 않는다.
- 갤로비 - 2015년 5월부터 자기가 원하는 주제나 관심사를 커뮤니티로 만들 수 있는 갤로비가 생겨났다. 레딧의 서브레딧 기능과 비슷한 의도로 만든 듯하나 고인물 고닉들은 그냥 기존 갤러리에서 좆목질을 하고 나머지 대다수의 이용자들은 있는지도 모른다.
- 위너타 - 2016년 3월 15일에 추가된 서비스인데 사실 이전에도 추가되었다가 어느샌가 사라진 적 있었다. 16년 6월 기준 갤러리 화면에서 다시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결국 묻혔다.
6. 경영진
7. 성향
8. 문제점
9. 타 사이트와의 관계
10. 사건 사고
10.1. 해외 접속
예전에도 가끔씩 해외 아이피를 차단하는 일이 있었지만, 2016년 9월경부터 해외 접속이 수시로 막히고 있다. 이 때문에 수많은 해외 유저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디시 측에서는 디도스 공격이 해외 IP로 들어와 해외 IP 전체를 막았다고 밝혔다. PC/모바일 웹, DC 공앱 등 어떤 플랫폼을 쓰더라도 정상적으로는 접속할 수 없었다. 현재는 해외에서 디시를 접속하는 유일한 방법은 프록시를 이용하는 것밖에 없다. 참고로 주요 커뮤니티 사이트들 중에선 인벤과 함께 해외 접속이 자주 차단되는 사이트다. 덕분에 해외 유저들의 원성이 자자한 상태이다.2016년 11월 7일 기준 일부 국가에서 해외 IP 차단이 풀렸다가, 2017년 5월 26일 기준으로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PC 버전 웹은 접속이 불가능한 걸로 보이고, 이마저도 수시로 차단과 차단 해제를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다.[32] 윈도우 8에선 2017년 11월 12~15일 정도까지는 크롬으로 다시 접속이 가능했으나, 16~17일쯤에 다시 막힌 것이 확인되었다. 윈도우 10 크롬도 2017년 6월 기준 접속 불가-미국 중부 지역.
2019년 1월 5~7일 경 발생한 DDOS 공격으로 2019년 1월 7~8일부터 약 2주간 해외 전역에 걸쳐 차단을 진행한 것으로 보이며, 2주 차에 잠시 해제된 지역이 있는 반면, 중국은 1월 23일 현재까지 차단되어 있는 등 지역에 따라 여파가 오래가는 중이다.[33] 풀린 지역도 글쓰기와 댓글 기능이 먹통(모바일)이다가 하루 만에 다시 막혔다. 일부 지역이 1주일 만에 다시 풀렸으나 전술한 기능이 먹통이다.
아프리카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가나| ]] | 접속불가 | ? | ||
유럽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영국| ]] | 2019.02.13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프랑스| ]] | 2019.02.13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러시아| ]] | 접속불가 | 접속불가 | ||
[[독일| ]] | 2019.02.13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스웨덴| ]]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그리스| ]] | 2019.01.09 | 접속불가 | 접속불가 | |
[[네덜란드| ]] | 2019/08/10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스위스| ]] | 2019.02.15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아메리카 대륙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미국| ]] 동부 | 2021.09.26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34] |
[[미국| ]] 서부 | 2019.02.16 | 접속가능 | 접속불가 | |
[[캐나다| ]] | 2019.02.25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35] |
[[브라질| ]] | ? | △ | ||
[[멕시코| ]] | 2021.07.17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36] |
아시아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중국| ]] 북부 | 2019.06.04 | 접속가능 | 접속불가 | |
[[중국| ]] 남부 | 2019.02.15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일본| ]] | 2019.02.19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중동 | ||||
[[인도| ]] | 접속가능 | |||
[[아랍에미리트| ]] | 접속가능 | 접속불가 | ||
동남아시아 | ||||
국가명 | 기준일 | PC | 모바일 | 비고 |
[[말레이시아| ]] | 대부분 불가능 | 대부분 불가능 | [37] | |
[[싱가포르| ]] | 접속가능 | 접속가능 | ||
[[태국| ]] | 2019.12.23 | 접속불가 | 접속가능 | |
[[필리핀| ]] | 2019.02.10 | 접속불가 | 접속불가 | |
[[베트남| ]] | 2019.01.19 | 접속불가 | 접속불가 | |
[[미얀마| ]] | 접속불가 | ? |
11. 기타
- 김유식의 디시 아이디는 di01이다. 갤로그는 없다고 나오지만 자신이 매니저로 있는 마이너 갤러리에서 부매니저 임명란에 아이디 di01을 넣어보면 알 수 있다. 또한 김유식 본인이 작성한 댓글은 닉네임이 굵은 글자로 표기되며 닉네임을 클릭해도 갤로그 보기나 작성글 검색 메뉴가 열리지 않는다.
- 2018년까지는 로그인/회원가입 등을 제외하고는 HTTPS를 지원하지 않았다. 갤러리 화면에서 http://를 https://로 고치면 접속이 되기는 했지만, 스크립트 및 CSS, 이미지 등이 전부 http://로 링크되어 있어서 레이아웃이 깨지는 등 정상적인 사용이 불가능했다. 2019년 현재 이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었으며 아예 HTTPS 접속이 기본이 되었다.
- 디시인사이드 직원들은 디시를 안정적이고 칼퇴근 가능하지만 미래가 없는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
- 올렸던 글을 싹 지우고 싶을 땐 디시 클리너를 사용하면 됐었다. 2021년 현재는 사용할 수 없다.
- 한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도 제공한 적이 있었다.
- 비밀번호를 5회 연속 입력 실패 시에는 5회 틀린 시점으로부터 24시간이 지난 후에 로그인이 가능하다.
- 서버 문제로 인해 archive.is 백업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디도스 공격을 당할 때는 분석 초기에 서버 문제로 인해 아카이브 뜨는 게 아예 불가능하다고 뜬다.
- 디시 공앱에서 뜨는 광고를 막기 위해 AdGuard를 사용하면 글 확인이나 댓글 쓰기가 매우 느려져 사용에 심각한 제한이 발생한다. 이는 화이트리스트 추가로 해결이 가능하다.
- 디시인사이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식/비공식 앱과 프로그램이 있다. 자세한 것은 디시인사이드/소프트웨어 문서로.
- 2008년 하반기부터 2014년 초까지는 갤러리 화면 상단에 있는 'OOO 갤러리'라는 배너를 플래시로 띄웠다. 2008년 상반기까지는 이미지를 사용했으나, 갤러리 수가 많아지면서 배너를 일일히 제작하기가 힘들어지다 보니 플래시로 대체한 것이다.[38] 관리자 설정에서 표시될 갤러리 이름을 설정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과거 (구)주식 갤러리처럼 김유식이 배너에 장난을 쳐놓거나(...) 아니면 해킹으로 배너가 바꿔치기당하는 경우[예시]도 있었다. 그러나 2014년 구글 크롬이 패치되면서 '중요하지 않은' 플래시를 알아서 차단하는 기능이 도입되었으며, 이 때문에 디시 배너도 차단당해서 재생 버튼이 뜨는 현상이 발생하자 결국 HTML 기반으로 바꿨다. 사실 그 이전에도 macOS나 리눅스 사용자들이 플래시 좀 없애달라고 항의했지만 무시당했다.
- 다소 뜬금없지만 하마터면 대명 비발디파크(정확히는 대명소노시즌)와 얽힐 뻔했다. 건설사 IC코퍼레이션을 인수하여 우회상장을 시도한 전력 때문인데, IC코퍼레이션은 이 여파로 끝내 망하고 만다. 디시가 먹으려 했던 IC코퍼레이션은 학산건설(대명그룹 인수 당시 HS홀딩스)을 모태로 하여 나온 회사였다. 그러나 대명그룹은 우회상장에 성공한 반면, 디시는 우회상장에 실패했다. 만약 디시도 우회상장에 성공했다면 비록 지분 관계는 없을지라도 대명그룹과 디시는 역사적으로는 같은 뿌리를 갖게 되었을 것이다.
12. 관련 문서
[A] https://www.nicebizinfo.com/ep/EP0100M002GE.nice?kiscode=166141[2] 관련 기사, 관련 기사[3] 2021년 기준. 서울특별시 삼성동 본사의 근무자 수이다.[4] 삼성동, ES타워 14층, 10층[5] 중국에 서버가 있다는 소문과는 달리, 실제로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소재하고 있다.출처 2003년부터 신고 게시물 갤러리 업무만 해외 지사로 아웃소싱되었고, 한국 본사에선 산하 갤러리 관리, 광고 및 마케팅,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선 등 사실상 법인의 전반적인 운영을 맡고 있다. 총 50여명 근무중.[6] 서비스 기획 및 해외 지사의 경영방침 관리[7] 성원국제빌딩 D좌 2503[8] 2003년 12월 경 설립. 한국 본사에서 파견된 인력과 현지에서 채용된 인력이 함께 근무하고 있다. 신고 게시물 갤러리를 통해 접수된 신고를 처리한다.[9] 쯩옌 플라자 아파트 1409호[10] 중앙일보와 제휴.[11] 2022년 현재 파이낸셜뉴스 등 10여개 언론사로부터 기사를 제공받아 게재하고 있다.[12] 1위는 네이버, 2위는 구글, 3위는 유튜브, 5위는 다음이다.시밀러웹 출처[13] 출처 2021년 11월 기준, 갤러리는 2,376개, 마이너 갤러리는 37,954개, 미니 갤러리는 9,766개이다.[14] 2022년 현재, 150위권 이내에 진입한 대한민국의 사이트는 네이버(25위), 디시인사이드(108위), 다음(109위) 이 셋이 유일하다. 출처[15] 2022년 기준[16] 공식 소개문[17] 코로나 펜데믹이 극성에 달했던 2020년 상반기에는 일주일 방문자 수가 880만 명, 일주일 페이지 뷰가 11억 회, 하루 게시물이 100만 건까지 올라갔다.출처[18] 관련 기사[19] 에펨코리아(2위), 인벤(3위), 루리웹(4위)[20] 관련 기사[21] 현재 에펨코리아, 더쿠 등의 사이트가 80~90년대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가 중심이 된 사이트의 대표격. 2000년대 이후 출생한 Z세대는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이동식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PC)를 접하며 성장했기에, 사교 생활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보다 SNS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세한 것은 Z세대 문서 참조.[22] 2021년 디시인사이드의 공식 매체 소개서에 의하면 남성 유저의 비율은 55%, 여성 유저의 비율은 45%로 사실상 남녀 비율이 동일. 주간조선에서 디시인사이드를 남초 커뮤니티와 여초 커뮤니티, 진보 커뮤니티와 보수 커뮤니티 어느 한쪽으로 정의내리지 못했을 정도이다. 주간조선 기사[23] 인터넷에서 주류를 차지하다가 중장년층 사이트로 전락한 한국 커뮤니티에는 일베저장소가 있다. 비교는 이쪽과 하는게 비슷하다. 물론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닌데, 5ch은 유입 없이 기존 유저들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중장년층 사이트로 전락하였지만 일베의 경우는 박근혜 탄핵 이후 일명 정게할배의 추가 유입과 기존 청년 유저의 탈퇴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급속도로 늙어간 경우이다. 2010년 이후 일본 내에서 트위터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일본의 Z세대로부터 외면받아 고령화되어 쇠락한 케이스.[24] 다만 Windows XP인 것을 보아 실제로는 2001년 쯤으로 보인다.[25] 이후 점차 인기를 잃고 명맥만 유지하다가 2010년대 초반에 문을 닫게 된다.www.nbinside.com[26] 메인화면에서 사용된다.[27] 아이디/비밀번호 재설정 과정에서 사용된다. #[28] 디시인사이드의 서버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소재.[29] 이는 패러독스 갤러리 사태 당시 디시 본사를 방문했던 마갤 관리자에 의해 대략적인 실체가 알려졌다.#[30]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상단에서 노출되는 배너형 광고, 자동짤방 광고.[31] 단, 디시인사이드의 최대주주는 아니다. 과거 디시인사이드 우회상장 사태 이후, 디시인사이드가 부채 탕감을 조건으로 매각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분은 타 기업인에게로 넘어갔다.[32] 맥 기준 Safari로는 접속 가능하나 크롬으로는 불가능. 윈도우 10 기준 크롬 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다.[33] 정확히는 가비아에서 막은 것으로 보인다.[34] EDT 12:49 PM, 보스턴[35] MT 12:30AM[36] CDT 18:07, 멕시코 시티[37] 유이하게 싱가포르와 슬랑오르만 접속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는 디시인사이드, 그리고 디시위키까지도 접속이 불가능하다.[38] 다만 완성형에 없는 글자는 표시할 수 없었는지 일부 갤러리(주로 아햏햏과 관련된 갤러리)는 별도의 이미지 배너를 제작했다.[예시]
[40] 도시전설의 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