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우리별 위성 | 1호('92)† · 2호('93)† · 3호('99)† |
무궁화 위성 | 1호('95)† · 2호('96) · 3호('99) · 5호('06) · 5A호('17) · 6호올레 1호('10) · 7호('17) · 6A호('24) | |
아리랑 위성 | 1호('99)† · 2호('06) · 3호('12) · 3A호('15) · 5호('13) · 6호('24)* · 7호('23)* · 7A호('24)* · 8호('27)* · 9호('28)* | |
천리안 위성 | 1호('10) · 2A호('18) · 2B호('20) · 3호('27)* · 5호('31)* | |
과학기술위성 | 1호('03)† · | |
차세대소형위성 | 1호('18) · 2호('23) · 3호('27)* | |
차세대중형위성 | 1호('21) · 2호('25)* · 3호('25)* · 4호('25)* · 5호('25)* · 6호('25)* | |
군사통신위성 | ANASIS-I무궁화 5호('06) · ANASIS-II('20) | |
정찰위성 | 1호('23) · 2호, 3호('24)* · 4호, 5호('25)* | |
초소형군집위성 | 1호('24)* · 2호~6호('26)* · 7호~11호('27)* | |
기술검증플랫폼 위성 | 1호(28)* · 2호(29)* · 3호(30)* | |
6G저궤도통신위성 | 1호(27)* · 2호(29)* | |
국산 소자·부품 검증 위성 | 1호(25)* · 2호(26)* · 3호(27)* | |
달 궤도선 | 다누리('22) · 달궤도투입성능검증위성(30)* | |
화성 궤도선 | 한국형 화성 궤도선(35)* | |
큐브위성 | 도요샛('23) | |
KPS위성 | 1호(27)* · 2~8호(~35)* | |
차세대대형정찰위성 | 1~12호(425정찰위성사업 이후)* | |
기타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22) | |
※ | ||
관련 틀 : 대한민국의 로켓 | 대한민국의 우주개발계획 | }}}}}}}}} |
천리안 2B호 (GEO-KOMPSAT 2B) | |
관리기관 | KARI |
임무 유형 | 기상관측 |
발사일 | 2020년 02월 18일 19:18 pm (GFT[1]) |
발사체 | 아리안 5 ECA |
발사장 | 기아나 우주센터 ELA-3 |
임무 기간 | 10년 |
중량 | 3.5t |
크기 | 궤도상 3.5 x 8.9 x 4.2 (m) |
전력 | 2.62kw |
궤도 | 정지궤도 (GTO) |
궤도고도 | 35,857 km |
주기 | 24시간 |
궤도 경사 | 0° |
탑재체 | 해상관측용 해색영상기, 환경관측용 분광계 |
1. 개요
정지궤도복합위성 2B((Geostationary Korea Multi Purpose Satellite-2B)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한 정지궤도 인공위성 중 하나이다. 함께 개발되어 2년 앞선 2018년에 발사된 천리안 2A호와 더불어 국내 독자개발[2]된 인공위성이다.천리안위성 2B호는 환경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에 2019년 12월 초 선적전 검토회의를 개최하였으며 검토회의를 통하여 발사장으로의 운송 준비 상황이 점검되었고 2020년 1월 초에 An-124에 실려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발사장으로 운송되었다. 발사장에 도착한 후에는 위성 최종점검, 연료 주입 및 발사체와의 조립 및 점검을 거쳐 2020년 2월 19일 오전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천이궤도에서 발사체와 분리되면 천리안 2A호와 마찬가지로 위성 자체의 추력기를 이용하여 정지궤도에 진입하게 되고 위성체 및 탑재체의 초기운영과 궤도상 시험을 수행 한 후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0년 3월 6일 오후 7시 30분쯤 궤도에 안착했다.
중국의 대기 오염 물질이 한반도로 향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했다. 2020년 11월에 대기관측 영상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
하루 한 번 우리나라를 관측할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저궤도위성과 달리 해가 떠 있는 동안 하루 평균 8번을 관측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더욱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미세먼지 이동경로 뿐 아니라 미세먼지의 생성과 영향 등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미세먼지가 중국발이라는 확실한 증거로, 국제적으로 중국 측에 미세먼지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는 점은 분명 긍정적인 부분이다.
천리안 B호 개발 및 발사 과정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천리안 2B호 실물 공개 영상 | 천리안 2B호 운송 Vlog |
천리안 2B호 발사준비 완료(2020.02.18) | ||
천리안 2B호 발사 완료(2020.02.19) | ||
}}}}}} |
발사 풀영상 |
2. 탑재체
2.1. 해양탑재체
GOCI-I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해양관측을 위한 탑재체로 EADS Astrium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공동개발하였다. 전작인 GOCI가 한반도 주변 해양만 관측했던 것에 비해, GOCI-II는 전지구 해양을 관측과 특정 지역을 선택하여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단 태양의 해수면 입사각을 고려하여 전지구 영상은 1일 1회 얻어진다. GOCI에 비해 GOCI-II는 밴드수도 12개로 향상되었고 기하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하여 별영상촬영기능도 추가되었다. 해양탑재체로 관측한 영상은 부산으로 이전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수신하여 사용될 예정이다.
2.2. 환경탑재체
GEMS, 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한반도 주변의 대기환경감시를 위해 탑재한 초분광영상기(hyperspectral Imager)로 미국의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공동개발하였다. 이 탑재체는 여타 탑재체와 다른 초분광센서가 탑재된다는 특징이 있는데, 예를 들어 기상탑재체인 AMI는 16개 관측 밴드가 적, 녹, 청 등 불연속적인 특정 파장의 밴드를 관측하는데 비해, GEMS는 관측 파장 300nm-500nm 대역에서 0.6nm 간격의(실제로는 0.2nm의 1000개 밴드 모든 데이터를 수신) 준연속 스펙트럼을 관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스펙트럼을 관측하는 분광해상도가 0.6nm로 극히 높기 때문에 영상을 위한 공간해상도는 서울 기준 7km 정도로 다소 낮고, 관측 영역은 5000 x 5000 km로 동북아시아 지역을 매일 낮동안 30분씩 8회 이상 관측한다. 태양 빛을 대기중 오염물질들이 각각 흡수하는 특정 파장 스펙트럼을 분석하게 되면 에어로솔,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포름알데하이드 등이 어느곳에 얼마나 있는지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 알아낼 수 있다. GEMS 관측 자료는 인천 청라에 위치한 대한민국 환경부의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최종 처리되어 국민들의 대기환경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정지궤도위성에 탑재체되어 지속적 관측을 수행하는 초분광탑재체로는 세계 최초로 발사될 예정이며 유사한 자매 탑재체로 미국의 TEMPO가 향후 발사될 예정이다.
3. 경과
3.1. 발사 준비 과정
카운트다운 | 시간 (GFT) | 이벤트 |
T-11:23:00 | 07:55:00 am | 최종 카운트다운 시작 |
T-10:33:00 | 08:45:00 am | 전기 시스템 점검 |
T-04:38:00 | 14:40:00 pm |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로 EPC 충전 시작 |
T-03:28:00 | 15:50:00 pm | ESC-A에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 충전 시작 |
T-03:18:00 | 16:00:00 pm | Vulcain 메인 스테이지 엔진의 냉각 |
T-01:15:00 | 18:03:00 pm | 런처와 원격 측정, 추적 및 명령 간의 연결 확인 시스템 |
T-00:07:00 | 19:11:00 pm | 동기화된 시퀀스를 시작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 이동" 보고서 |
T-00:04:00 | 19:14:00 pm | 비행을 위해 가압된 탱크 |
T-00:01:00 | 19:17:00 pm | 온보드 전원 모드로 전환 |
T-00:00:05 | 19:17:55 pm | 극저온 팔을 위한 열기 명령 |
T-00:00:04 | 19:17:56 pm | 온보드 시스템 인수 |
3.2. 발사 과정 (Ariane 5 Flight VA252)
미션 경과 시간 | 시간 (GFT) | 이벤트 |
T+00:00:01 | 19:18:00 pm | 극저온 메인 스테이지(EPC)의 점화 |
T+00:00:07.05 | '19:18:07.05 pm | 고체 부스터의 점화(EAP) |
T+00:00:07.3 | 19:18:07.3 pm | 발사 |
T+00:00:12.6 | 19:18:12.6 pm | 수직 상승 종료, 피치 동작 시작 |
T+00:00:17.05 | 19:18:17.05 pm | 롤 기동의 시작 |
T+00:00:32.05 | 19:18:32.05 pm | 롤 기동 종료 |
T+00:02:21 | 19:20:21 pm | EAP 분리 |
T+00:03:21 | 19:21:21 pm | 페어링 투하 |
T+00:08:19 | 19:26:19 pm | Natal 추적 스테이션에 의한 획득 |
T+00:08:39 | 19:26:39 pm | EPC 추력 단계 종료 |
T+00:08:45 | 19:26:45 pm | EPC 분리 |
T+00:08:50 | 19:26:50 pm | ESC-A 단계의 점화 |
T+00:13:42 | 19:31:42 pm | Ascension 추적 스테이션에 의한 획득 |
T+00:18:22 | 19:36:22 pm | Libreville 추적 스테이션에서 획득 |
T+00:23:12 | 19:41:12 pm | Malindi 추적 스테이션으로 획득 |
T+00:25:24 | 19:43:24 pm | ESC-A 단계의 소멸 |
T+00:25:26 | 19:43:26 pm | 주입 |
T+00:27:40 | 19:45:40 pm | JCSAT-17 위성분리 |
T+00:29:21 | 19:47:21 pm | SYLDA 분리 |
T+00:31:09 | 19:49:09 pm | GEO-KOMPSAT-2B 위성 분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