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기를 다룬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제2공화국(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NondescriptCapriciousThreateningTray, 합의사항1=한사군과 미소군정을 틀에 존치하는 대신 첨자로 추가설명, 토론주소2=AnUtopianAndLudicrousThrill, 합의사항2=대한민국의 역대 공화국들은 글자 크기를 줄여서 존치, 토론주소3=SelfishFaultyLongingTurkey, 합의사항3=부제에 강조 표현을 삽입하기, 토론주소4=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4='구한말(개화기)' 서술을 '개화기'로 서술, 토론주소5=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5='남북국시대' 서술은 존치, 토론주소6=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6='삼국시대' 시대구분 표 내 칸은 세로 3칸으로 분리하며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중 첫 번째 칸은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를 서술 -> 두 번째 칸은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를 서술하며 -> 세 번째 칸은 '고구려'/ '백제'/ '신라'만을 서술, 토론주소7=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7= '주호'는 삭제하되 -> '탐라' / '우산' 서술은 존치, 토론주소8=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8=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서술은 존치하되 -> 남북한 / 임시정부 / 미군정 / 소련군정을 제외한 현대의 단체들의 이름 및 수식어는 모두 삭제한다., 토론주소9=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9=세로 열에 height를 모두 동일하게 지정하여 시각적으로 각 칸이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 토론주소10=SomberAboundingDamagingLanguage, 합의사항10=본 틀 내 가야에 대한 첨자로 '가야는 신라의 복속 이후에도 사료에서 존재가 확인되어 7세기 중엽까지 반독립적 상태로 존속했다는 학설도 있음'을 서술한다., 토론주소11=RealChildlikeExclusiveJewel, 합의사항11=근대시점을 개화기\, 일제강점기로 구분하고 해당 정치체로서 개화기에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조선\, 대한민국 임시정부만을 링크한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min(1em, 4.2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f,#101010>상고시대 | <nopad>부여 | <nopad> | <nopad>진국 | <nopad>탐라 | <nopad>우산 | |||||
원삼국시대 | 한사군[2] | <nopad>마한 | <nopad>변한 | <nopad>진한 | |||||||
<nopad>낙랑 | <nopad>동예 | <nopad>옥저 | <nopad>고구려 | ||||||||
삼국시대 | 고구려 | <nopad>백제 | <nopad>가야[3] | <nopad>신라 | |||||||
고구려 | |||||||||||
<nopad>신라 | |||||||||||
남북국시대 | 발해 | 통일신라 | |||||||||
후삼국시대 | <nopad>후고구려 | <nopad>후백제 | 신라 | ||||||||
고려 | |||||||||||
고려시대 | 고려 | ||||||||||
조선시대 | 조선 | ||||||||||
개화기 | 대한제국 | ||||||||||
일제강점기 | 식민지 조선[4] | 대한민국 임시정부 | |||||||||
현대 | <nopad>조선건국준비위원회 | ||||||||||
소련군정[4] | 미군정[4] | ||||||||||
<nopad>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nopad> | ||||||||||
[1] 기자조선은 현대 주류 학설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 |||||||||||
주요 민족: 예맥 · 삼한 · 한민족 | }}}}}}}}} |
대한민국 大韓民國 | Republic of Korea | |||||
국기 | 국장 | ||||
1960년 6월 15일 ~ 1963년 12월 17일 (3년 6개월) 1961년 5월 16일 이후 사실상 헌정 중단 | |||||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tablewidth=|100%><bgcolor=#fff,#1c1d1f> | 제2공화국 (허정 내각) 출범 1960년 6월 15일 윤보선 대통령 취임 1960년 8월 13일 장면 내각 출범 1960년 8월 19일 제4차 개헌 (소급입법 개헌) 1960년 11월 29일 5.16 군사정변 1961년 5월 16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출범 1961년 5월 19일 군정 내각 출범 1961년 5월 20일 윤보선 대통령 하야 1962년 3월 24일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 10월 15일 | }}}}}}}}} | |||
제3차 개헌 이전 | 제5차 개헌 이후 |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대한민국 제3공화국 | ||||
위치 | |||||
한반도 휴전선 이남 지역 | |||||
수도 | |||||
서울특별시 | |||||
면적 | |||||
실효 지배 98,431km2 | 세계 108위 내수면 비율 0.3%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인구 | 총 인구 | <colbgcolor=#fff,#1c1d1f>2,576만 5,673명 (1961년) | ||
인구 밀도 | 257.12명/㎢ (1961년) | }}}}}}}}} | |||
하위 행정구역 | |||||
1특별시 9도 24시 219군 → 1특별시 9도 29시 219군 | |||||
미수복지역 | 이북 5도, 경기도 일부, 강원도 일부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정치 체제 | <colbgcolor=#fff,#1c1d1f>민주공화제(국민주권), 자유민주적 기본질서[1], 단일국가, 의원내각제[2], 양원제, 다당제, 성문법주의(대륙법계) | |||
국가 요인 | 대통령 | 윤보선 | |||
국무총리 | 허정, 장면 | ||||
민의원 의장 | 곽상훈 | ||||
참의원 의장 | 백낙준 | ||||
대법원장 | 배정현 | ||||
여당 | }}}}}}}}} | ||||
경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경제 체제 | <colbgcolor=#fff,#1c1d1f>자본주의 | |||
명목 GDP | 전체 GDP | $24억 1,723만 7,754(1961년) | |||
1인당 GDP | $94(1961년)[3] | ||||
수출입액 | 수출 | $4,087만 8,000(1961년) | |||
수입 | $3억 1,614만 2000(1961년) | ||||
화폐 | 공식 화폐 | 대한민국 환(圜) | }}}}}}}}} | ||
단위 | |||||
법정 연호 | 단군기원(~1961) → 서력기원(1962~) |
[clearfix]
1. 개요
참고: 대한민국 제2공화국 헌법 헌법 제4호, 1960.6.15 개정 헌법 제5호, 1960.11.29 개정 |
1960년 4.19 혁명을 통해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제1공화국이 끝나고 같은 해 6월 15일 3차 개헌으로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8일까지 11개월간 실질적으로 존속했으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가장 짧은 존속기간을 가진 체제로 기록되고 있다.
행정부 수반으로 국무총리를 두어 제7대 총리 장면이 국정을 이끌었으며 간선제로 선출된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을 대한민국의 상징적 국가원수로 하였다. 제2공화국은 박정희 소장이 5.16 군사정변을 일으킨 이후 설립된 초헌법적 입법기구인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해 붕괴된 후 군정 내각 체제가 되었다.
2. 역대 정부 내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임시정부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 · 남조선과도정부 | ||||||||||
제2공화국 | |||||||||||
제2공화국 | 제4공화국 | ||||||||||
박정희 정부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 |||||||||||
제6공화국 | |||||||||||
전두환 정부 | |||||||||||
제6공화국 | |||||||||||
2.1. 헌정 내각
2.1.1. 허정 내각
자세한 내용은 허정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0년 6월 15일 ~ 1960년 8월 18일
2.1.2. 장면 내각
자세한 내용은 장면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0년 8월 19일 ~ 1961년 5월 18일
대부분 사람들이 제2공화국 하면 떠올리는 정부이며 제2공화국이 사실상 이 내각을 가리키는 단어로 쓰이기도 한다.
2.2. 군정 내각
2.2.1. 장도영 내각
자세한 내용은 장도영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1년 5월 20일 ~ 1961년 7월 2일
2.2.2. 송요찬 내각
자세한 내용은 송요찬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1년 7월 3일 ~ 1962년 6월 15일
2.2.2.1. 최덕신 직무대행 체제
자세한 내용은 최덕신 직무대행 체제 문서 참고하십시오.1962년 6월 16일 ~ 1962년 6월 18일
2.2.3. 박정희 내각
자세한 내용은 박정희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2년 6월 18일 ~ 1962년 7월 9일
2.2.4. 김현철 내각
자세한 내용은 김현철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1962년 7월 10일 ~ 1963년 12월 16일
3. 관련 문서
4. 관련 문헌
-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 한승주 저. 종로서적. 1983.
- 제2공화국과 한국민주주의 - 백영철 저. 나남출판. 1996.
-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2권) - 박세길 저. 돌베개. 1989.
- 한국 현대사 산책: 4·19 혁명에서 3선 개헌까지(1권) - 강준만 저. 인물과사상사
- 건국과 부국(이승만 박정희 시대의 재조명) - 김일영 저. 기파랑출판사
- 대한민국 만들기 1945-1987 경제 성장과 민주화 그리고 미국 - 그렉 브레진스키 저. 책과함께
[1] 정확하게 헌법 전문에 쓰여진 표현은 제헌 헌법 때부터 내려온 민주주의제제도이다. 그러나 제2공화국 헌법이 만들어지면서 독일의 방어적 민주주의적 요소로 들어온 헌법재판소 등으로 보았을 때 방어적 민주주의 체제로 보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실제적인 운용은 자유민주주의를 추구한다고 천명했으나 이전 정권의 비자유민주주의적 요소가 잔존했고 공산주의 사상을 금지하는 반공법의 제정 등 비자유민주주의적인 법률을 입안한 사례도 있어서 과도기적인 혼합 체제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제대로 평가도 하기 전에 무너졌기 때문에 자유민주주의로 봐야한다는 이견도 존재한다.[2] 헌정 사상 유일한 의원내각제 체제이다.[3] 현재 가치로 약 $946,한화 약 124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