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14:24:35

한국광복군


<nopad>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역사건립 · 역사 (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정치 수반 · 부수반 · 각료 · 국가행정조직 · 연통제 · 교통국 · 역대 청사
(국무원 · 국무회의 · 국무위원회)
(임시의정원 · 비상국민회의)
군사한국광복군 (편제)
광복군사령부 · 윌로우스 비행학교 · 육군주만참의부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 한국청년전지공작대 · 한교전지공작대
사건코민테른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 광복군 9개 준승
인물역대 수반 · 역대 부수반 · 역대 각료
김구 · 여운형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성숙 · 김규식 · 이동휘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홍진 · 조소앙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 김철 · 조지 쇼 · 노백린 · 신채호 · 이범석 · 두쥔후이
논란법통 논란 · 건국절 논란
기타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국독립당 · 대일선전성명서 · 대덕선전포고문
연표대한민국 연호 · 1919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fff,#1c1d1f>상고·원삼국시대고조선군 | 부여군
삼국시대고구려군백제군신라군가야군
남북국시대발해군신라군
후삼국시대고려군후백제군신라군
고려 시대고려군
조선 시대조선군 (의병)
대한제국대한제국군 (의병)
일제강점기일제 조선군 (조선보병대)독립군 (한국광복군)
해방정국
(건군기)
적위대보안대
철도보안대북조선철도경비대
수상보안대해안경비대
해방병단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국방경비대조선경비대
현대조선인민군대한민국 국군}}}}}}}}}
한국광복군
韓國光復軍
Korean Liberation Army[1]
<nopad> 파일:한국광복군 휘장.svg
<colbgcolor=#306><colcolor=#fff> 설립 1940년 9월 17일 ([age(1940-09-17)]주년)
중화민국 충칭시
(現 중화인민공화국 충칭시)
복원 1946년 5월 16일[2]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 임시정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 임시정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휘체계 김구 (통수권자)
유동열 (지휘권자)
지청천 (총사령관)
김원봉 (부사령관)
이범석 (참모장)
최용덕 (총무처장)
병력 575명 (서훈자)
약 2만 명 (1946년)[3]
참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지원국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중화민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중화민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중화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화민국}}}{{{#!if 출력 != null
중화민국}}}}}}]]

(중국국민당중국공산당[4])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미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미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미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자유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유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소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4]]}}} {{{#!if 출력 == null
소련}}}{{{#!if 출력 != null
}}}}}}]]
[6]
적대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후신 대한민국 국군[7]
파일:광복군 2지대 사열식.jpg
<colbgcolor=#306><colcolor=#fff> 한국광복군 (이범석 장군 휘하 제2지대)[8]
파일:한국 광복군 서명문 태극기.jpg
<colbgcolor=#306><colcolor=#fff>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9]

1. 개요2. 역사
2.1. 상세
3. 편제4. 활동
4.1. 징모활동(초모공작)4.2. 선전/방송 활동4.3. 유격전4.4. 공군 활동4.5. 독수리 작전(Eagle Project)
5. 광복 이후
5.1. 트루먼의 부정5.2. 확군
5.2.1. 한국광복군 예비대5.2.2. 가짜 광복군 논란5.2.3. 루머 "박정희 비밀광복군설"
5.3. 귀국5.4. 한국광복군 복원선언
6. 의의 및 평가
6.1. 의의6.2. 평가
7. 대한민국 국군과의 관계8. 출신 인물
8.1. 국가서훈자 명단8.2. 광복군 출신 대한민국 군·정부 인사8.3. 광복군 출신 경찰8.4. 여성 대원
9. 계급
9.1. 1941 ~ 19449.2. 1945 ~ 1946
10. 호칭11. 직책12. 복제
12.1. 국민혁명군의 상황12.2. 광복군 군복 : 청색 국민혁명군 군복12.3. 광복 이후
13. 무기
13.1. 총기류
13.1.1. 총기제한 사례13.1.2. 총기지급 및 소지사례
13.2. 기갑부대(미실행)13.3. 항공 병기(미실행)13.4. 해상 병기
14. 군가15. 광복군 훈련 담당 군관학교16. 여담17. 관련 문서18. 관련 현충시설19. 매체 속에서의 광복군
19.1. 815(게임)19.2. 영화19.3. 드라마19.4. 웹툰
20. 관련 자료21. 둘러보기

1. 개요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충칭(重慶)에서 창설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다.[10]

2. 역사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盧溝橋事件)을 시작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했다. 그 해 8월 상하이에서 벌어진 송호회전(淞滬會戰)와 12월 난징 대학살이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의 2차 국공합작이 이뤄졌고, 일본제국에 맞서 싸우기 위해 장제스 국민당 총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무력수단을 갖추는데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여기에는 윤봉길 의사의 홍커우 공원 의거로 중국인들이 한국인들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된 데다, 장제스 총재와 김구 주석 개인이 돈독한 관계도 한몫했다.

1939년, 유럽에선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다. 독일의 폴란드 침공(Fall Weiß / Polenfeldzug)이러한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임시정부는 대일전쟁을 위한 준비를 서둘렀고, 이를 위해 전시태세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임시정부가 전시태세를 갖추기 위해 추진한 대표적인 사업이 韓國光復軍(이하 광복군으로 약칭)의 창설이었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 공격하면서 미·일간에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10일 대일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를 발표하였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성명서
우리는 3천만 한인과 정부를 대표하여 삼가 중국⋅영국⋅미국⋅네덜란드⋅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및 기타 여러 나라가 일본에 대해 전쟁을 선포한 것이 일본을 격패(擊敗)시키고 동아시아를 재건하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 되므로 이를 축하하면서, 다음과 같이 성명한다.

1. 한국 전체 인민은 현재 이미 반침략전선에 참가해오고 있으며, 이제 하나의 전투단위로서 축심국(軸心國)에 전쟁을 선언한다.
2. 1910년 합병조약과 일체의 불평등 조약이 무효이며, 아울러 반침략 국가가 한국에서 합리적으로 얻은 기득권익이 존중될 것임을 거듭 선포한다.
3. 한국과 중국 및 서태평양에서 왜구(倭寇)를 완전히 구축(驅逐)하기 위하여 최후의 승리를 거둘 때까지 혈전(血戰)한다.
4. 일본 세력 아래 조성된 창춘(長春)[11]남경정권(南京政權)[12]을 승인하지 않는다.
5. 루스벨트·처칠 선언의 각 항이 한국의 독립을 실현하는데 적용되기를 견결(堅決)히[13] 주장하며, 특히 민주 진영의 최후 승리를 미리 축원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인), 외무부장 조소앙(인)
대한민국 23년[14] 12월 9일

2.1. 상세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었다. 한국광복군 창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오랜 노력의 산물이자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와 대결한 결과이기도 했다.[15] 한국광복군 창설은 1938년 10월 10일 이래 유일한 한인 무력으로 인정된 조선의용대에 대한 중국국민당정부의 지지와 신뢰가 붕괴된 반면,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세력에 대한 중국정부의 지원이 확대되는 과정의 산물이었다.

한국광복군 창설은 임시정부의 군사 계획 수립과 광복진선의 청년조직인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군사활동의 결과로 가능하게 되었다. 먼저 중일전쟁 발발 직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김구를 중심으로 군사적 대응책을 모색했다. 1937년 7월 15일 치장에서 개최된 임시정부 국무회의는 군사위원회를 설립해서 군사활동을 추진했다.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된 유동열, 지청천, 이복원, 현익철, 안공근, 김학규일본 육군사관학교신흥무관학교 등 군사학교를 졸업한 후 만주에서 조선혁명군, 한국독립군을 조직하고 투쟁했던 군인들이었다. 군사 활동의 방안으로 속성군관학교를 설립해서 초급장교 200여명을 양성하고, 1개 연대를 편성한다는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예산 약 37만원을 성정했다.[16] 그러나 상하이, 난징이 차례로 일본군에 점령되고, 중국국민당정부가 피난길에 오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전장, 창사, 광저우, 류저우, 치장을 거쳐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긴 이동기에 접어들어야 했다.

1939년 10월, 충칭에서 한국광복진선의 청년조직으로 조직된 한국청년전지공작대가 활동을 개시했다. 30여명의 대원으로 출발한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대장 나월환, 부대장 김동수. 군사조장 박기성, 정훈조장 이하유, 예술조장 한유한, 공작조장 이해평으로 구성되었다.[17] 이들은 중국중앙군관학교 등에서 군사훈련을 받은 사람들로 아나키즘 활동에 참가한 사람들과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9.2) 출신들로 구성되었다. 민족주의자들과 무정부주의자들의 결합으로 이뤄진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말 그대로 항일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전지(戰地)에서 중국과 함께 싸울 것을 목표로 한 조직이었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1939년 12월 산시성(섬서성) 시안으로 출동해 대전선전, 정보 수집, 초모 공작 등을 수행했다.
파일:20250710_111646.jpg
1940년 11월 시안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일동
이와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1939년 7월 30일 군사특파단 파견을 결정했고, 11월 조성환(단장), 황학수, 나태섭, 이준식을 군사특파단으로 선임하였다. 군사특파단은 산시성(섬서성) 시안에서 화북지역 한인교포를 상대로 초모공작을 펼쳤으며 1940년 11월 시안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설치될 때 활동했다. 이를 근거로 시안에서 군사근거지가 마련되었으며, 이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시안에 설치되었다.[18]

1935년 이래 김구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 역할을 했던 한국국민당(1935년)은 광복진선에 속해있던 나머지 2개 정당인 재건한국독립당(1935년), 재건조선혁명당(1937년)과 통합해 1940년 5월 9일 한국독립당(1940년)이 되었다. 치장 7당 회의, 5당 회의가 실패한 후 1939년 10월부터 진행된 통합 작업의 결과였다. 충칭 시대 한국독립당(1940년)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자 사실상 한국광복군의 주도 정당이 되었다.

광복군의 창설은 한국독립당에 의해 계획, 추진되었다. 기강에서 3당이 통합[19]을 추진하면서 광복군 창설을 주요 현안으로 결정하였다. 당이 추진해 갈 장단기 정책을 논의하면서
“국방군(國防軍)을 편성하기 위해 국민의무병역을 실시한다”(당강 6조)
“장교 및 무장대오를 통일 훈련하여 광복군을 편성할 것”(당책 3조)[20]
광복군 편성을 한국독립당이 추진해 나갈 당면 목표의 하나로 결정한 것이다.

김구한국독립당(1940년)을 대표하여 1940년 초부터 중국국민당정부의 요인 주자화, 쉐엔증 등을 상대로 한국광복군 편성의 필요성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당시 장제스왕징웨이 괴뢰정권에 맞서 일본, 대만, 조선의 반파시스트 세력의 결집을 꾀하고 있었기에, 김구의 요청에 적극적이었다. 장제스는 한국광복군 창설을 인준했지만, 이미 남의사를 통해서 김원봉조선의용대를 승인,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므로 곧바로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지는 않았다. 중국국민당 군사위원회는 나월환한국청년전지공작대가 요청한 군사적 지원에 대해 조선의용대 측의 의견을 수용해서 한인 무력은 조선의용대를 통일하라는 입장을 취했다.[21] 조선의용대 책임자 김원봉은 중국군 군사위원회에 한국광복군의 정식 성립 허가를 내주지 말아야 한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한국광복군은 한국독립당(1940년)을 배경으로 한 것이지 각 당 연합체가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정부가 한국무장부대를 허가하려면 한국독립당(1940년), 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동맹 등 3개 당파의 연합위원회를 조직한 뒤, 그 무장부대를 연합위원회 직할 하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김구, 광복진선 측은 1940년 1~2월 김원봉,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공산주의로 비난하는 한 편, 중국국민당 내 비호 세력을 좌파로 몰아 공격했다.[22] 이 결과, 1940년 4월 2일 쉐옌증, 왕잉셩 등이 국민당 중앙조사통계국에서 한국독립당(1940년)김구, 유동열, 엄항섭, 민족혁명당의 이소민, 주세민 등과 함께 「조선혁명운동 원조방안 담화회」를 개최하고 광복진선과 민족혁명당은 병존하며, 황허 이남 장강 이북은 광복진선의 공작지구, 장강 이남은 민족혁명당 공작지구로 구분한다는 조선혁명운동 판법을 결정했다.[23] 즉, 1940년 4월에 이르러 중국국민당은 광복진선(한국독립당(1940년))과 민족혁명당의 병존, 한국청년전지공작대조선의용대의 병립을 결정한 것이다. 중국국민당이 유일하게 인정했던 한인 무장부대였던 조선의용대의 위상이 하락하고, 김구를 지원을 받는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대한 후대가 두드러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중국국민당이 제 1차 반공고조기(1939.12~1940.3)에 접어들면서, 국공합작 대신 중국공산당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을 개시하는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중국국민당의 반공활동은 환남사변(1941.1)으로 폭발했으며,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공산주의자들의 영향이 적지 않던 조선의용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고조된 반면 반공적 입장이 확실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우대한 결과 한국광복군 창설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 또한 시대 상황의 변화에 따른 일련의 사태가 위기 의식을 고조시켜, 조선의용대 주력이 화북으로 북상하게 된 것이다. 중국국민당의 지원과 지지를 둘러싼 김구, 김원봉의 대립과 대결은 중일전쟁환남사변의 시대 상황에 따라 출렁거렸던 것이다.

조선의용대는 한국광복군의 성립에 대하여 계속 반대 태도를 취하였다.
"한국광복군은 각 당파 합작의 기초 위에 건립된 것이 아니다."
"진정하고 명실상부한 국군이 될 수 없다."
"한국광복군이라는 명칭은 복고적인 색채가 농후하여, 적극적인 혁명 의지가 나타나있지 않다."[24]

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쌍방간에는 때때로 상호비방과 상호쟁탈전이 벌어졌다.[25] 한국독립당(1940년)민족혁명당, 한국광복군과 조선의용대 양자는 서로를 비판, 비난했지만, 여러 차례 단일당 통합을 논의할 정도로 긴밀한 사이였고, 구성원들은 한솥밥을 먹던 사이였다. 양자는 중국국민당 지지를 호소하는 친국민당 세력이었고, 결국 중국국민당 정부의 강력한 주선, 권고로 군사력을 통합했다. 물론 양자의 사상, 조직, 연령, 교육 배경에는 차이가 있었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한국독립당(1940년)이 보수적, 반공적 입장이었던 것에 비해 민족혁명당이 진보적, 좌파적 입장을 취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한국독립당(1940년)이 (대한제국군, 조선혁명군, 한국독립군의 경력을 지낸) 원로급 장노년들과 그들의 가족이 중심축을 이룬 데 비해 민족혁명당은 비교적 2030대의 혈기왕성한 청년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한국독립당(1940년) 민족혁명당
학교 종류별 교육 배경 인원수(백분률) 인원수(백분률)
국내/국외학교 국내 학교 졸업 9 (56.3%) 6(27.3%)
국외 학교 졸업 7(43.7%) 16(72.7%)
보통/군사학교 보통학교 졸업 11(68.7%) 18(81.8%)
군사학교 졸업 5(31.3%) 4(18.2%)
대학, 非대학 대학 졸업 2(12.5%) 12(54.5%)
非대학 졸업 14(87.5%) 10(45.5%)
  • 출전 : 후춘후이(胡春惠)지음, 신승하 옮김 1978, 『중국 안의 한국 독립운동』, 단국대학교 출판부, 233쪽을 수정.

후춘후이(胡春惠)는 1944년도 「한국양당중앙간부명책(韓國兩黨中央幹部名冊)」을 기준으로 한국독립당(1940년) 16명, 민족혁명당 22명의 영수급의 교육 배경을 분석했다. 양당의 지도자급을 분석했을 때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은 한국독립당(1940년)민족혁명당에 비해 29%가 낮았으며, 대학 이상의 학력자의 경우 한국독립당(1940년)이 12.5%, 민족혁명당 54.5%로 양당의 차이는 42%에 달했다. 민족혁명당의 평균 학력이 훨씬 높았다. 이 점이 한국독립당(1940년) 영수들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 영도 지위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독립당(1940년) 내부 자체에서도 당원들의 경시를 받는 요인이 되었다.[26] 양 당이 서로를 대하는 기본적 태고와 상호관계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럼에도 양자 모두 중국국민당이 포섭할 수 있는 사상, 이념, 노선의 범위에 들어 있었으며, 상호 적대적이거나 빙탄불상용의 관계는 아니었다. 사상과 이념의 차이는 결정적이거나 돌이킬 수 없는 것이 아니었다. 문제는 상대방에 대한 태도와 자세, 인간적 존중과 신뢰의 차원이었다. 민족혁명당이 청년층의 진보적, 급진적 시대 인식을 대표했다면 한국독립당(1940년)은 수 십년 혁명 경험과 그에 근거한 노년층 지사적 태도와 자기 확신과 비타협적 태도가 충돌하고 파열한 것이다. 청년의 패기와 노년의 지혜가 서로 포용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장제스는 1940년 4월 주자화에게 참모총장 허잉친과 한국광복군 지원 요청을 상의하라고 명령했고, 허잉친은 보고를 들은 후, 5월 하순 한국광복군 설립을 비준했다. 그러나 한국광복군 설립과 그에 대한 원조는 즉각 이뤄지지 않았다. 1940년 5월 23일 쉐옌증 등 중국국민당 중앙조사통계국 간부들과 김구, 엄항섭 간 회의에서 한국광복군 창설 문제가 논의되었다. 핵심은 한국광복군 병력 모집 방법과 광복군 내부 행정관리의 자주성 문제였다.[27] 이날 회의에서 중국국민당김구 측에게 자세한 한국광복군 창설 방안의 작성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1940년 5월 한국독립당(1940년)김구 명의로 「한국광복군 편성에 관한 계획 대강(韓國光復軍編鍊計劃大綱)」을 제출했다. 핵심내용은
① 한국광복군을 편성하고, 항일전쟁에서 중한연합작전을 펼친다.
② 1개 사단을 편성한다.
③ 한국광복군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가 관할하며, 중국 군사최고영수는 중한연합군의 최고사령관으로 통솔한다.
④ 준비비용은 50만원으로 한다.

이 계획안을 살펴본 왕잉셩(1940.6.4.)은 현재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은 60명이며, 한국광복군을 중국의 동맹군으로 설정한 것도 중한의 지위가 상이 하므로 한국광복군은 조선의용대와 같이 중국의 한 개 부대가 되어야 하며, 한국광복군의 세를 과시하기 위해 내부에 다수의 중국인을 파견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다.[28]
파일:1000053564.jpg 파일:FB_IMG_1474742784289.jpg
1940년 9월 17일,
충칭에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전례식을 마치고.
1940년 9월 17일, 중경, 한국광복군 창설 기념식이 끝난 뒤 오찬장
축사하는 김구 주석(중앙좌 검은 옷)과 임시정부 요인 엄항섭(우)
중국국민당이 한국광복군 설립에 우호적이었으나 조선의용대와 동일한 원칙하에 대우하며, 직접적 지원을 꺼리고 통수권을 제한하려 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창설위원회(위원장 김구)를 조직한 후, 1940년 8월 4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구성을 완료했다. 이후, 1940년 9월 1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겸 한국광복군 창설위원회 위원장 김구명의로 「한국광복군 선언문(1940. 9. 15)」을 발표해 광복군 창설을 공표했다.
한국광복군 선언문(1940. 9. 15)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민국 원년(元年)에 정부가 공포한 군사조직법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장제스 원수(蔣介石 元帥)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내에서 광복군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22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함을 이에 선언한다.

한국광복군은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우리 두 나라의 독립을 회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하여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과거 삼십년간 일본이 우리 조국을 병합 통치하는 동안 우리 민족의 확고한 독립정신은 불명예스러운 노예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무자비한 압박자에 대한 영웅적 항전을 계속하여 왔다. 영광스러운 중화민국의 항전이 사개년에 도달한 이 때 우리는 큰 희망을 가지고 우리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우리의 전투력을 강화할 시기가 왔다고 확신한다.

우리는 중화민국 최고영수 장제스 원수가 한국민족에 대하여 원대한 정책을 채택함을 기뻐하여 감사의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우리들은 한중연합전선에서 우리 스스로 계속불단한 투쟁을 감행하여 극동 및 아시아 인민중에서 자유 평등을 쟁취할 것을 약속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겸 한국광복군 창설위원장 김구
이로써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에, 한국독립당(1940년)이 아닌 정부의 군대로 설립된 것이다.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을 축하하는 예식(韓國光復軍成立典禮)」이 1940년 9월 17일 충칭에서 개최되었다. 한국광복군의 지휘부는 다음과 같이 편성되었다.
총사령관 지청천
참모장 이범석
참모처장 채원개
부관처장 황학수
정훈처장 조소앙
군법처장 홍진
관리처장 김붕준
군수처장 차이석
군의처장 유진동
  • 부(附) 특무대 및 로사령(路司令)
제 1대 대장 이준식
제 2대 대장 김학규
제 3대 대장 공진원
제 4대 대장 김동산
  • 이상 4대 대원 60명, 도합 240명, 제 1도 동북사령 박대호, 제 1로 현재 인원 4,800명[29]

처장으로 이름이 오른 황학수, 조소앙, 홍진, 김붕준, 차이석, 유진동대한민국 임시정부 핵심인사로 한국광복군에서 실제 역할을 맡기보다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지위를 점했을 것이다. 총사령부의 구체적 명단을 일제 정보자료에 등장한다.[30]
총사령 지청천
참모장 이범석
고급참모 채원개
참모 이복원, 이준식, 김학규
부관 나태섭, 황학수, 조시원, 조성환
전령장교 고일명, 유해준
주계장교 왕흥, 김의한, 민영구, 이상만
군의 유진동, 임의탁, 엄화근
함께보기 : 건국강령
함께보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성명서
함께보기 :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보고서
[ 펼치기 · 접기 ]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보고서

(1) 한국국군과 역사상의 국제투쟁
한국 민족의 건국역사는 오천년에 달하며, 중화 · 애급(埃及 이집트) · 희랍(希臘 그리스) 및 인도(印度)와 더불어 문화가 가장 유구한 나라의 하나이다. 한국은 삼천만 인구를 가지고 84000mi2의 국토를 지키고 있다. 여기에 소요되는 병력은 적어도 50만, 많으면 100만이다. 일찌기 성(盛)할 때에는 강병 100만을 거느려 밖으로는 이민족을 막고 안으로 국토기반을 튼튼히 함으로써, 이웃을 사귀는 방도와 자신을 지키는 방패로 삼았다. 그 뒤 15세기말에 해군대장 이순신, 육군원수부 권율이 서의 명나라군과 연합하여 명장 송응창(宋應昌), 양호(楊鎬), 진린(陳璘), 이여송(李如松)과 더불어 동쪽의 왜군을 막으니 전전(轉戰: 여기저기 싸움) 8년에 비로소 왜군을 몰아냈다. 16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북쪽으로 청나라와 싸우니 싸울 때마다 화의를 맺었다. 이 두 전쟁을 겪고 난 뒤로부터 민족의식이 날로 높아지고 널리 치군지술(治軍之術)을 받아들여 국군 훈련의 명목 하에 서구의 총포와 같은 기구를 썼다. 중국인 척계광(戚繼光)의 전략은 일찌기 300여년전부터 국방에 응용하여 조금도 손색이 없었다.

(2) 포오츠머스 조약(Treaty of Portsmouth)과 한국
18세기 하반기 이래 서세(西勢: 서구세력이) 동점(東漸: 동쪽으로 점점 번져) 인적(隣敵: 이웃의 적)이 넘보니 국내에서는 내홍(內訌)이 자주 일어났으며, 그 틈을 타서 외환(外患)이 일어났다. 일본과 아라사(러시아) 두 나라가 한국 경내에 병력을 진주시켰다가 양국간에 정전이 이루어진 결과, 소위 「포오츠모드 조약(Treaty of Portsmouth)」이란 것이 세상에 나왔으니, 이것은 결국 한국의 희생을 가져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1905년으로부터 1910년까지 사이에 한국인이 얻은 것은 다만 저 수십종의 망국조약 뿐이었다. 여기에서 삼천만 민족은 일본의 포로가 되고, 84000mi2의 국토는 일본인의 이식처(移殖處)가 되고 광대하기 이를 데 없는 모든 권리는 결국 그들의 전리품이 되고 말았다. 충용 구국의 국방군은 적장 하세가와(長谷川)에 의하여 강제 해산당하고(1907년 8월 1일). 오천년 독립국가는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1910년 8월 29일) 그것은 매국노와 적국 정부가 늑대와 이리처럼 결탁하여 꾸며낸 한토막 망국의 비극이었으니, 「포오츠머드 조약(Treaty of Portsmouth)」이 끼친 해독(害毒)은 참으로 혹심한 것이었다.

(3) 국방군 해산과 광복군 창립
1907년 이상설, 이위종, 이준 세 사람은 밀명을 받고 화란(네덜란드)에 가 만국평화회의에 참가하여 1905년 11월 17일에 늑결(勒結: 굴레로 얽듯이 옳아맴) 보호조약의 무효를 선포하려 하였다.
때마침 일본의 괴수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통감으로 있어 한국 황실을 협박, 퇴위케 하고 하야시 곤스케(林權助)으로 하여금 7조약을 늑결케 하였다. 다시 주한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長谷川)에 명령, 장병을 소집케 하여 국군 해산의 음모를 꾸몄다. 이때 시위대 제 1연대 제 1대대장 박승환은 영내에서 의거하여 국치를 씻고자 하였으나, 화(禍: 재앙)가 황제에 미칠 것을 두려워 한 나머지, 거사를 뒤로 미루다가 성사하지 못하였다. 8월 1일에 이르러 국군이 해산되매 박장군은 노기가 머리 끝까지 뻗쳐 적장을 크게 꾸짖고, 휘하 장병에게 훈계하기도 전에 기氣가 격激하고 간담(肝膽: 속마음)이 터질듯하여 총을 뽑아 자진(自盡: 스스로 다하여 죽음)하였다. 해와 별을 꿰뚫고 귀신도 우는 박장군의 총성이 울러 퍼지자, 한국 국방군은 용감히 싸움터에 떨쳐 나아가 주한 일본군을 크게 무찌르니 거리는 온통 붉게 물들었다. 며칠이 안 가서 이 소식은 안한 일대에 퍼져 의병이 다시 들고 일어났다. 그리하여 국방군과 민병이 서로 힘을 합쳐 그들이 가는 곳마나 모조리 적을 휩쓸어 버리니, 그 명성과 위세는 큰 물결처럼 호호탕탕(물이 한없이 넓게 흐르다.)하였다. 그러나 전전(轉戰) 10여년에 한국의 전국토는 창림탄우(槍林彈雨)의 전장으로 변화하고, 비무장의 한인 남녀 노소 중 비참하게 적의 칼에 쓰러진 사람은 50만이 넘었다. 번갈아 가면서 한국에 주둔한 적군 중 한국군에 의하여 맞아 죽은 자 또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았다. 요컨대 한국 광복군은 일찌기 1907년 8월 1일 국방군 해산과 동시에 성림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적이 우리 국군을 해산시킨 그 날이 바로 우리 광복군이 창설된 날이다. 미침 그 33주년에 해당되는 금년 8월 한국 광복군총사령부는 항전의 소리높은 우방의 임시수도에서 그 성립 기념식을 거행하였다. 이에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의 줄거리를 약술하여 우방 인사에 고한다.

(4) 광복군 국내에서 국외로 이전
광복군이 국내에서 적과 싸운지 5~6년에 적을 완전히 몰아내기까지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국가를 위한 독립전에서, 민족을 위한 해방전에서 장기저항을 할 수 있었고 또 민족정신을 발휘함으로써 여러 사람의 민족영웅과 혁명선열을 낳았다. 경술년(庚戌年) 신해년(辛亥年)에 이르러 한국은 망하고 청조에는 혁명이 일어나 중화민국이 난징에 건립되매 한국 광복운동의 대본영은 국내로부터 국외로 이전하였다. 상하이, 길림, 펑톈, 블라디보스톡, 호놀룰루, 샌프란시스코우 등지를 근거로 외교와 군사 공작이 비밀리에 진행되었다. 동북성에 학교를 세워 사관 인재를 양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청년 학생을 미국, 소련 및 중국 윈난(雲南) 군관학교에 밀파하였다. 동시에 유격대를 편성하여 두만, 압록 양강 연안에서 적군과 교전하였다. 대소교전에서 무찌른 적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앞에서 쓰러지면 뒤에서 이어 나가기를 계속 10년, 그 동안 잠깐의 쉼도 없었다.

(5) 광복군과 대한민국
제 1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린 1919년 3월 1일 한국은 독립을 선포하고 민국정부와 의정원을 건립하였다. 국내외의 무장 항적부대를 개편하여 광복군을 세웠다. 광복군은 규정을 만들고 장령(將領)을 임명하고 총사령부를 설립하였다. 동북 만주에서는 3대 군사기관이 재만교포 200만을 통제하여 장정을 모으고 군량을 거두어 적군과 맹렬히 대적하니 적의 총독은 크게 두려워한 나머지, 주한일본군만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하여 3개 사단의 병력을 증가하였다. 그들은 보루(堡壘)를 구축하고 경비정을 증가하고, 전선망을 가설하고, 교통망을 확장하고, 군용도로를 닦고, 비행기와 탱크를 배치시키고, 전국 경찰을 보조케 하고 다시 사복부대와 밀정을 모집하여 대적을 맞아 싸우듯이 전시와 마찬가지로 침식(寢食 잠 자는 일과 먹는 일)의 여가도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전과를 보면 10전투에 1개의 승리도 거두지 못하였다. 이에 적은 마침내 외교수단을 빌려 한국을 제압하려 하였다. 즉 1925년 일본 주한총독부 경무청장과 중국 펑톈성 경찰청장의 손에 의하여 「미쓰야 조약(三矣條約)」이 체결되었다. 거기에는 『중일 양국경찰은 서로 힘을 합하여 한교의 반일운동을 제지한다. 중국당국은 반일한인의 체포에 노력할 것이며, 한인 영수의 성명은 주한 일본당국이 그 명단을 작성하여, 즉시 교부한다. 또한 품행이 단정치 못한 한인은 중국 경찰이 체포, 일본 관서에 넘겨서 심문 징벌토록 한다.』고 규정하였다. 생각컨데 당시의 동북성은 아직도 중국 혁명정부의 세력 범위에 들지 못하였으므로 그곳 한국군은 공인을 받지 못하였음은 물론, 묵인조차 받지 못하였다. 그 때문에 세계인(世人)의 감격와 눈물을 자아내게 하였던 수 많은 의사와 애국지사는 손쓸 겨를도 없이 포박당하고 말았으니, 천년 뒷 사람으로 하여금 어찌 통한케 하지 않을 수 있으랴! 옛 일을 더듬어 오늘을 생각할 때 창해(滄海: 푸른 바다)가 상전(桑田: 뽕나무 밭)으로 변한 것 같은 착잡한 감회를 금할 수 없으리라. 그러나 한국군에게는 동족 교포의 인화(人和: 인심이 화합함)와 산옥(山獄: 험한 산) 삼림(森林: 울창한 숲)의 지리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군은 때로는 숨고 때로는 나타나고, 깜쪽같이 흩어지거나 뭉치고, 출몰이 무상하고 형세에 따라 기습 또는 정면공격을 하여 소수로써 능히 다수를 적대하니 험난을 평탄으로 바꾸기도 하였다. 1931년 이후에는 한중 양군이 서로 제휴하여 조직을 엄밀히 하고 군규율을 바로 세우게 되었으므로 싸울 때막가 전의는 더욱 격앙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 조금도 퇴조(退潮: 왕성하던 세력이 쇠퇴함)되지 않았다. 백두산, 흑룡강 일대에는 아직도 능히 싸울만한 수의 군대의 백전불굴의 용사들이 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건국군이요. 약소민족의 전위대요, 중 · 한 공동의 구적(仇敵)을 타도하는 선봉대요, 동아의 평화를 건립하는 기간부대이다.

(6) 중 · 소의 대일 타협시기와 광복군
국제적 연쇄관계에 있어서나 민족적 연대성에 있어서, 어떠한 민족과 국가도 국외에 고립할 수는 없다. 한국 광복군도 또한 하나의 민족 단위의 무장세력인 만큼 국제 환경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일찌기 러일 타협기에는 한국군은 러시아 국경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였다. 예컨데 미쓰야 협약이 만주에서 시행되고 있던 때와 같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는 국제적 원조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국내 민중의 옹호와 지지조차 잃게 되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지난날의 한국군은 참으로 많은 위협과 핍박을 받아 왔다. 그 중에서도 무기와 군비를 마련할 길이 막혔다는 것은 가장 큰 위협이었다. 그러나 한국군은 구사일생 중에서도 목숨을 다하여 싸우고 몸을 던져 탈전(奪戰)하였다. 수만 병력이 동원되어 적군을 대파하기를 수십번, 조금도 중단함이 없었으니, 이는 약소 민족운동사 상 하나의 이채(異彩: 색다른 빛)를 기록하는 것이었다. 그러는 가운데에서 다만 하나의 기다림이 있었다. 그것은 곧 우방의 대일개전이었다.

(7) 광복군과 중국
신해혁명 이후 중 · 한의 제휴(提携) 관계는 현저히 깊어지고 절실해졌다. 북벌에 앞서 중국 광둥성 황푸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장교장은 한국 독립당 청년을 다수 수용하여 국내외 유지들의 마음은 항상 여기에 쏠려 있었다. 「128」에 이어서 일어난 「429」는 서로 원인과 결과를 이루어 중 · 한의 동구(同仇: 같은 원수) 의식은 더욱 깊어졌다. 군관학교 낙양분교에서 한인 청년을 비밀히 수용하여 장령(將領)이 될 만한 인재를 길렀음은 북벌 성공 후에 전개된 대국면(大局面)의 하나로는 이는 실로 대일 개전의 선성(先聲)이었다. 이와같은 폭풍우의 전야에, 동북 만주의 각계 영수는 이에 군사기관을 설립하여 국내외의 동지에게 즉시 동원하도록 밀령을 내렸다. 때마침 중국 최고영수 장위원장(蔣委員長)은 중 · 한 공동의 원수(怨讐) 적개와 손중산(孫中山) 선생이 약소민족 부조(扶助)의 원칙과 유지(遺旨)를 받들어 분연히 한국광복군의 중국 내에서의 편성과 활동을 승인하는 한 편, 지방 군정 각계에 령을 내려 상호 연결하고 편리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는 중 · 한 연합군 성립의 선성이었다. 이에 한국 임시정부는 본래의 규정인 광복군 조례와 총사령부 조직대강에 의거하여 새로 광복군을 편성함으로써, 구제신군(舊制新軍)이 울연히 일어나 오늘 의식을 거행한 한국 광복군총사령부의 성립을 보게 된 것이다. 중한 오천년의 신의와 우의의 교환은 대일투쟁의 협력 과정에서 더욱 강화되고 두터웠으니, 이는 자연의 세勢라 하지 않을 수 없다.

(8) 광복군의 임무와 그 구성분자
광복군에는 파괴와 건설의 임무가 있다.
① 국내의 적에 대하여 모든 침략적 정치, 군사, 경제, 문화, 교통 기구를 타도할 것
② 국내의 한국인에 대하여 모든 봉건세력 반혁명세력 및 적에 부역한 각종 악렬요인(惡劣要因)을 타도할 것.
③ 모든 낡고 오염된 풍속을 제거할 것은 파괴의 임무에 속한다.
① 대한민국 건국방침을 받들어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제도(토지의 국유, 보통선거제도, 국비교육의 실시 및 의무교육의 연한年限의 연장)를 수립할 것
②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지위의 평등을 실시할 것.
③ 우리를 평등하게 대우하는 자와 더불어 손을 맞잡고 세계 인류의 평화와 행복 촉진에 협력할 것은 건설의 임무에 속한다.
한국 광복군의 임무가 정해진 이상, 그 구성분자도 이에 따라 정해진다. 무릇 조국독립과 민족해방을 위하여 싸우고자 하는 자 및 공화국과 합리적 사회의 건립을 위하여 싸우고자 하는 자는 누구나 광복군의 기치하에 들어올 수 있다. 정의는 용감히 앞으로 나아갈 뿐, 뒤를 돌아봄이 없다. 맹세코 인류의 독 벌레를 격멸하여 다시 국기를 영원 무궁한 터전 위에 세우리라. 진심으로 원하건대 정의, 인도를 주장하는 우방 인사의 가르침이 있을지어다.


중국 군사위원회는 중국국민당정부의 승인 없이 공표된 한국광복군에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또한 중국 군사위원회는 조선의용대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고 조선의용대 측 반발도 적지 않았으므로, 한국광복군 승인을 미루고 한국독립운동 진영의 무장력을 통합시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 와중에 조선의용대 주력이 1941년 봄 화북 중국공산당 지구로 북상한 후, 1941년 7월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결성함으로써 상황은 정리되었다. 남은 것은 한국광복군을 승인하고 중국 군사위원회의 지휘, 통제 하에 묶어두는 작업이었다.

조선의용대 주력이 북상한 직후인 1941년 5~6월 한국광복군 측은 조선의용대의 공산주의적 색채와 북상 과정에 대한 보고를 중국국민당 군사위원회에 전달했으며, 이 직후에 한국광복군에 대한 중국 측의 우호적 평가가 고조되었다. 1941년 5월 김학규, 왕쥔청(王俊誠)은 주자화에게 「조선의용대가 황허를 건너 중공지구에 들어간 경과(1941)」를 보고 했다. 조선의용대는 적색 청년 100여명 정도이며, 원래 중국 군사위원회 정치부 소속이지만, "중국공산당 천당에 가는 것이 종래의 소원"이어서 "화북 적후공작"을 한다는 명분 하에 1941년 3월 중순부터 5월 하순 사이 조선의용대 3개 지대가 중공지구로 건너갔으며, 중국 당국을 기만하기 위해 충칭에서는 김원봉조선의용대 본부를 가짜로 설치하고 뤄양,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1구대 김준 구대장이 영도하는 라오하커우(老河口)에는 노약자 및 병자 3~5인이 사무소를 두어 연막 공성계를 쓰고 있다고 했다.

한국광복군 정식 성립 허락과 세부 사항의 결정 내용을 전달하는 편지(1941. 6. 3)1941년 6월 3일 주자화김구에게 한국광복군에 대한 지원을 군령부, 정치부, 중앙조사통계국 등 4개 기관에서 협의해서 참모, 정훈요원을 파견을 할 것이라고 알렸다. 문제는 한국광복군의 성격 및 지위에 관한 것이었다. 군사위원회 판공처 군사처장 허우청(候成)은 한국광복군은 외국지원군, 즉 중국군 내 외국적의 지위로 설정하면 중국 국군과 동일하기에 아무 문제가 없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 영도하의 동맹군적 성질을 한국광복군 측이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법상 여러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한국광복군 정식 성립에 관한 侯成의 담화내용(1941. 6. 19) 김구장제스에게 한국광복군은 "장래 한국 국군의 기간부대로 대내적으로 한국 임시정부의 지도"를 받고 있으며 소수의 이색분자만 제외하고 국내외 전 민중이 지지한다고 주장했다.金九가 蔣 위원장에게 보내는 節略(1941. 7. 28)

1941년 11월 쉐옌증은 주자화에게 민족혁명당의 몇 사람이 공산당과 관련을 맺고, "천년에도 얻기 어려운 이 복국의 기회"에 산시성(섬서성) 북쪽으로 가 중공과 연계된 반면 김구가 영도하는 한국독립당(1940년)은 전도에 희망이 있으며 "비교적 가장 타당"하기에 김구를 고무 격려하고 조선의용대 중 돌아올 분자를 흡수하는 동시에 조선의용대를 철저하게 개조하고, 사상이 난잡한 무리는 내버려두어야 한다고 보고했다. 쉐옌증은 조선의용대가 군사위원회 정치부에 예속되어 월 1만 6천원의 경비를 지급했는데, 오히려 "중공의 품속에 들어가니 근본을 망각했을 뿐 아니라 또 매우 지혜롭지 못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결국 장제스1941년 10월 20일 중국 군사위원회에 한국광복군과 조선의용대를 동시에 군사위원회에 예속케 하고 참모총장이 직접 통일 장악하여 운용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에 따라 마련된 것이 한국광복군행동준승 9개조였다. 중국 군사위원회는 1941년 11월 13일 자로 한국광복군 총사령 지청천에게 한국광복군 군사위원회에서 통할 지휘한다고 통보하면서 한국광복군행동준승 9개조와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잠행편제표를 보내왔다.광복군 활동 9개 준승의 내용을 알리는 代電 抄件(1941. 11. 13)

한국광복군 잠행편제표를 살펴보면 중국 측은 한국광복군을 중국 군사위원회가 직할하는 예하 부대로 상정하고 편제를 작성했음을 알 수 있다. 총사령부 예하에 참모처, 총무처, 정훈처를 두고 참모처에 3과, 정훈처에 2과, 총무처에 2과, 1실, 1반의 행정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국광복군측에서 제시한 총사령부 편제와는 전혀 다른 면모인 것이다.

조선의용대 초기 조직 구조와 비교해보면 훨씬 큰 규모의 사령부 조직으로 구성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조선의용대는 비서처, 참모실, 정치조, 총무조 등의 참모조직이 계통 없이 나열되었고, 실제로 이런 부서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데 비해,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조직 편제는 훨씬 큰 규모의 사령부를 상정하고, 참모조직 체계도 짜임새 있게 제시된 상태였다.

그럼에도 가장 상세하고 직원이 많은 조직이 총무처인 데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잠행편제는 군사조직보다는 행정조직에 가까운 형태였다. 또한 총사령 지청천을 제외하면 모든 간부는 중국군 군사위원회에서 파견하기로 되어 있었다. 때문에 1941년 12월 김구주자화에게 총사령부 참모장으로 리지에강(李搢剛)과 동모(董某) 두 사람이 군령부의 추천을 받았다고 하는데, 랴오닝성 출신인 리지에강이 한국 사정에 더 밝다며 그를 참모장에 임명해 달라고 요청했다.李振剛을 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에 圈定해달라고 청하는 函(1941. 12. 11)

한편 한국광복군행동준승 9개조의 핵심은 한국광복군 중국 군사위원회가 지휘하며 사실상 임시정부의 통수권을 박탈한다는 내용이었다. 나아가 한국광복군의 한국 영토 진입 시에도 중국군 군사위원회의 명령에 따른다고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한국광복군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대가 아니라 중국국민당군대의 지원군으로 규정한 것이다. 한국광복군의 지휘권, 활동지역, 통수권 등을 중국 군사위원회에 복속시킨 것이다. 1940년부터 지속된 한국광복군을 조선의용대와 동일하게 중국군 내 국제의용군, 지원군 형태로 할 것인가, 아니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구, 주장처럼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의 군대로서 동맹군의 지위로 설정할 것인가 하는 논란은 이렇게 일단락된 것이다.

1941년 11월 19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는 이를 접수함으로써, 중국 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는 한국광복군이 중국 내에서 합법적 활동의 근거를 확보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광복군행동준승 9개조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물론 한국독립운동 진영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왔으며, 이는 한중 간은 물론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부의 중요한 갈등 요인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국민당정부가 항일전쟁 와중에 한국 독립운동의 대표적 정치조직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후대하고 군사조직인 한국광복군을 창설하도록 지원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다. 외국 땅에서 외국 정부의 허가를 얻은 한국인 군사력 창설이 가능했던 것은 중국 측의 호의가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국민당은 전후 대한정책의 일환이자 영향력 관철을 위한 중심축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을 후원했다. 중국의 이해관계와 한국 독립운동가들의 요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위상이 결정되었던 것이다. 중국공산당도 항일전쟁과 국공 대결이라는 이중 압력 속에서 정치조직 화북조선독립동맹과 군사조직 조선의용군을 후원함으로써 전후 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다. 태평양 전쟁시기 독립전쟁을 향한 운동 세력의 투쟁이 고조되고, 한중/한미 간 국제연대가 본격화되는 시기였을 뿐 아니라 對한국 영향력 확보를 둘러싸고 중국국민당중국공산당이 한국 지지세력을 확보하고 쟁탈하려고 각축하던 시기였다.

3. 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광복군/편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편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편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복군 2지대 사열.jpg
사열하는 광복군

4. 활동

파일:external/8c6738073efa7e28edeceb71a26e8f0f5cb850786439624b9adcf294f307f894.jpg 파일:FB_IMG_1474736538575.jpg
임천에 위치했던 광복군 간부 훈련소 한광반 제 1기 사진: 1944년 9월
장준하, 김준엽 등이 속해있다.
1942년, 한국 광복군

4.1. 징모활동(초모공작)

광복군은 인원과 부대편제를 처음부터 갖추어 창설된 것이 아니었다. 원래는 1940년 9월 30여 명의 인원으로 광복군 총사령부만을 성립하여 창설하였고, 국무위원회의를 통하여 '창립 1개년 후 최소한 3개 사단을 편성한다.'는 것을 당면전략으로 하고 있었으나, 인원이 적은 관계로 우선 사단 대신 지대(支隊)를 편성하고, 각 지대 휘하에 구대와 분대를 편성하는 방식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31] 우선 가능한 인원으로 창군을 하고 이후 병력을 확보하여 부대 규모를 확대 강화해 간다는 기본 전략을 수립했던 것이다.

초모활동에 대하여 임정이 광복군을 창설에 대한 구체적 계획인 한국광복군편제계획대강에서는 징모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1. 동북방면으로부터 인관하여 화북 각지에 분포되어있는 한국독립군의 옛 군대 중에서 초모한다.
2. 윤함구(일본점령지역) 내에 흩어져 사는 한인장병을 초모한다.
3. 한국국내와 동북(만주/연해주)지방 각지에 있는 장병들에게 비밀리에 군령을 내려 그들로 하여금 징모하게 한다.
4. 적군내에 있는 한인무장대오에 대해 방법을 써서 무기를 가지고 귀순하게 한다.
5. 포로로 잡힌 한인을 수편(거두어서 편성)한다.

이와같은 초모계획이 수립될 수 있었던 배경은 중국대륙으로 이주해온 한국인들을 기반으로 한 적이다. 중일전쟁 이후, 중국대륙에는 한인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었다. 일본군이 점령한 지역에 한인들이 이주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주계기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일본군 군속 및 통역, 일본의 관공서 회사의 직원, 일본군 상대로 한 사업가들이었다.

당시 일제는 중국을 침략한 후, 그 점령지역에서 한인들을 이주시키는 이민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이에 화중일대에 이미 20여만 명에 달하는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반면 일본군 안에는 한인청년들도 많았다. 한인청년들이 일본군으로 징집된 것은 지원병제도로 1938년 2월 칙령 제 95호로 공포된 육군특별지원병령을 근거로 지원병제도는 4월부터 모집하여 6개월간 훈련 후 전선으로 투입하기 시작하였다.

1943년 8월 해군특별지원병령을 공포 실시하고 반도인학도특별지원병이라는 명목하에 전문학교와 대학교 재학생 졸업생들을 소집하여 1944년 2월 전선으로 내보냈고 1944년 9월부터는 소위 징병이라고 하여 전선에 투입되기 시작되었다.

징모분처의 설치는 지대가 겸임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각 지대의 지대장을 징모분처의 책임자로 임명하고 지대의 창설요원들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병력을 모집하여 지대의 규모를 확대 강화해 나가도록 했다.[32]

초모활동 전개되는 과정은 3단계이다.
1단계: 적점령지역에 잠입하여 공작지점을 마련하는 것
2단계: 공작거점을 기반으로 하여 그곳에 거주하는 한인청년들을 포섭
3단계: 포섭된 인원을 광복군 지역으로 데리고 나오는 것

김천성 동지의 초모공작
1940년 5월, 청년전지공작대 제 1분대의 김동수(金東洙) 분대장, 이재현, 김천성, 박영진, 김용주, 이월봉[33], 이삼녀 등은 중국군 제 34집단군 타이항산 유격대(太行山 遊擊隊)에 배속되어 본격적으로 적지공작(敵地工作)에 나섰다. 이들은 황허(黃河)를 건너 타이항산 주변에 공작 거점을 설치하였다. 이 중 이재현, 김천성 조는 일본군 제 36사단 주둔지인 산시(山西) 루안(潞安)에 박영진(朴永晋), 김용주(金容珠) 조는 신샹(新鄕)에 침투하였다.

김천성은 루안 성내에 찹쌀떡 가게를 차려 놓고 여기서 일본군 내의 한국 사병 및 한국 거류민단[34] 유지들과 접촉하였다. 먼저 일본군 군납업을 하던 김형철(金亨澈)을 포섭하고 다시 그를 통하여 일본군 제 36사단 통역관 이도순(李道淳)에게 접근하였다. 그는 패기 넘치고 통쾌한 사나이였다. 김천성의 신분과 사람됨을 간파하고는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적극적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 우선 자신이 속해있는 일본군 제 36사단의 각종 군사기밀을 제공하고 또 사단 산하 각 부대의 한국인 통역을 포섭하여 그들을 수차례에 걸쳐 시안(西安)으로 후송하였다. 1941년 6월, 이도순(李道淳) 자신도 신변의 위협을 느껴 긴 칼을 찬 채 일본군 점령 지구를 벗어났다.

이에 앞서, 1940년 9월 충칭에서는 광복군 총사령부가 설립되고 그 후 총사령부는 전략 요충인 시안으로 이전하였다. 전투부대로서 제 1, 2, 3지대를 창설한 외에, 한국청년전지공작대를 흡수하여 광복군 제 5지대로 편성하였다. 제 3전구에는 제 3징모분처를 두고 이어서 조선의용대를 흡수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광복군의 편제를 대폭 수정하여 새로 편입된 조선의용대를 제 1지대로 하고 종전의 제 1, 2, 5지대를 제 2지대로 통합하였다. 제 3지대는 그대로 존속시켰다.

한편, 루안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여 온 김천성은 점차 그 공작이 노출되기 시작하였으므로, 부득이 조장 이재현과 의논하여 공작 거점을 쟈오쭈어(焦作)로 옮겼다. 여기에서는 루안만큼 큰 수확을 거두지는 못하였으나 당지 사정에 익숙한 김용주, 이지홍, 이욱성 등의 도움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자오쭈어에서 포섭된 동지들 역시 시안으로 후송되어 광복군으로서의 정신적 군사적 훈련을 받았다.

이들 중 특히 적구 사정에 정통한 백정현은 김천성과 같이 전방공작을 하라는 지시를 받고 다시 산시(山西)로 떠났다. 둘은 서로 도와가며 장덕기(張德祺), 김용(金湧), 유덕량을 포섭 시안으로 후송하였다. 이어어 이해순(李海淳), 황삼룡(黃三龍), 이우성(李宇成) 등이 그들의 뒤를 따랐다. 이리하여 1940년 이래 이재현, 김천성 조를 중심으로 포섭된 동지는 김유신(金有信), 최철(崔鐵), 이원범(李元範), 정일명, 박영섭(朴永燮), 박영만(朴英晩) 등 50여명에 달하였다.

얼핏 생각하면 50여명 인원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당시 젊은이들이 금싸라기처럼 귀하던 우리 독립운동 진영에서는 이들의 입대가 백만대군을 얻은 것처럼 고무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1943년 제 2지대의 산시공작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서서히 그들에게 손짓하는 검은 그림자가 있었다. "희생의 신"이었다. 1943년 8월 이래 김성률(金聲律), 이한기, 문학준(文學俊)은 중국군 제 27 집단군 파견 공작 중, 김성률은 링촨(陵川)을 침범한 일본군과 교전하다가 장렬히 순국하였으며, 이한기, 문학준은 린센(林縣)전투에서 우세한 적에게 포위되어 적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고 전사하였다.

1943년 9월, 김유신, 김운백, 정상섭은 타이항산에서 활동 중 적의 기습을 받고 반격에 나섰으나 불행히 적탄에 맞아 순국하였다. 같은 시기에 산시 까오핑(高平) 전투에 참가한 안일용은 전투 중에 입은 상처가 도져 순사하였다.

1944년 3월 지난(濟南)일대에서 지하 공작을 벌여 온 백정현, 이해순은 적 헌병대의 감시를 눈치채고 텐진(天津)으로 이동하였으나 끝내 적 헌병대에 체포되어 타이위안(太原)헌병대에 압송되었다. 이 무렵, 한휘(韓輝)도 스좌장(石家莊)에서 적군 내 한적사병의 초모공작 중 적 헌병에 탐지 검거되어 재판없이 스쟈장 헌병대에서 총살당하였다.

이 무렵 타이위안 지구에서 유격활동을 하면서 애국청년의 규합에 전력을 다하던 김천성은 스쟈좡에서 이서룡, 정기주, 차영철, 권혁상, 정태희 등과 새로운 공작방향을 논의하였는데, 우군의 전우로 믿었던 왕모의 밀고로 적 헌병대에 포위되어 한 그물에 몽땅 잡히게 되었다. 용케도 김천성은 그 포위망에서 솟구쳐 나와 간신히 화를 면하였다. 다른 동지들은 타이위안 헌병대로 끌려가 가혹한 고문을 받고 그들은 소위 순회재판에서 이서룡 무기징역, 차영철 15년, 권혁상 10년, 정태희 5년, 정기주 2년의 유기징역을 선고 받았다. 이들은 그립던 고국으로 개선용사가 아닌 죄수인의 몸으로 압송되어 공주형무소에 복역 중 해방과 동시에 자유를 찾았다.

일시 적의 체포망으로부터 탈출한 김천성에게 사신(死神)은 짓궂게 쫒아 다녔다. 그러나 그는 생명을 거는 모험없이는 공작성과는 오르지 않는다는 신념 하에, 항상 칼날과 같은 생사의 경계를 밟고 다니며 결사적 활동을 감행하였다.

1944년 그는 자기가 포섭한 동지들을 안전한 후방으로 옮기기 위하여 이호길, 이동학, 김두환, 박수덕, 이지성, 신덕영, 최복련 등을 인솔 시안 지대본부로 귀대하였다. 휴식을 취하라는 지대장과 동지들의 권고를 뿌리치고 그는 다시 서북으로부터 휘몰아치는 몽고의 사진(砂塵:모래먼지)을 받으며 산시성 타이꾸(太谷)로 향하였다. 출발에 앞서 그를 포함한 적구 파견 공작원들의 엄숙한 선서식이 펄럭이는 태극기 아래 거행되었다.

이것이 김천성과 광복군 제 2지대 동지들의 영원한 이별이 될 줄이야..타이꾸에 도착한 김천성은 백정현, 전일묵, 김찬원, 정윤희와 연락하여 대단한 적군 침투 계획을 세우고 자금 조달을 위하여 따로 이길룡, 송병희, 정윤희, 정영순, 최송림과 빈번히 접촉하였다. 그러나 타이꾸 주둔 적 헌병대 정보원의 밀고로 계획이 실천에 옮겨지기 직전에 관련자 전원이 적 헌병대에게 체포되었다.

타이위안 헌병대로 압송되는 도중, 이미 죽음을 각오한 김천성은 함께 묶여가던 정영순에게 "정동지, 광명의 아침이 밝아오고 있소. 동지들은 조국 독립을 위하여 끝까지 싸워 주시오. 내가 죽으면 유골은 조국땅 의주군 송정면에 묻어주시오."라고 유언하였다.

김천성은 타이위안 헌병대의 조사를 받은 후, 일본 제 3001부대 임시군법회의에서 사형선고를 받았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 17일 타이위안 헌병대 광장에서 그에 대한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백정현, 전일묵, 김찬원도 같은 날 같은 자리에서 총살당하였다.

1944년 4월에 텐진 헌병대에 체포된 이해순, 정윤희는 이보다 조금 앞선 1945년 4월에 적 타이위안 헌병대에 의하여 처형되었다.

4.2. 선전/방송 활동

  • 제 3전구
김문호를 위시한 전복근(全福根)·강치명(姜治明)·조명(曹明)·조동걸(趙東傑) 등의 대원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광복군 징모처 제3분처’ ‘한국독립당’ ‘제3 전구 정치부’ 등의 명의로된 반전 삐라, 염전(厭戰) 사상 고취 전단, 일군 귀순 통행증 등을 화물차로 싣고 야전 방송기 등을 휴대하고 진화(金華)지구로 출동하여 선전물의 살포, 일선 방송을 하며, 한편으로는 선전물을 미군 비행대에 공급하여 적군 점령 지역에 공중 살포하게도 하였다.

이일범
1945년 3월 이후 중화민국 제 3전구 정치부 소속, 대일(對日) 광파(廣播)선전대에서 대일선전공작을 담당하고 있다가 조국광복을 맞았다. 국민혁명군 소교(少校) 대적 전단 작성, 방송 실시, 포로 심문 업무를 수행하여 일본군에게 염전 / 반전 사상을 고취했다.

박승유
1944년 11월 25일 신의철, 김권, 김영관과 함께 탈출하여 광복군 복무 중 음악 소양을 활용하여 정훈과 대일 심리전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제2지대 징모 제3분처 소속으로 우시(無錫)·우후(蕪湖)·난징(南京) 일대에서 염전(厭戰) 가요투항 권고 방송 등을 통한 대적 심리전에 참여하였다.

* 총사령부
1944년 말, 엄도해(嚴道海) 안원생(安原生) 안병무(安炳武), 진춘호(陳春浩) 안우생(安遇生) 송면수(宋冕秀) 등을 파견되어 주중 미 대사관 내에 한국인 공작반이 설치 되어 본격적인 정보공작활동이 전개하게 되었다. 임무는 일본 및 한국 본토에서 발간하는 신문, 잡지 등 출판물과 전파를 통하여 오는 방송, 그리고 광복군 진영으로 들어온 신입 대원으로부터 첩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평가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 쿤밍(昆明)지구
1944년 광복군 총사령부에서는 윈난셩 쿤밍(雲南省 昆明)에 있는 미 제 5공군 사령부 특파원으로 김유철(金裕哲), 조중철(趙重哲) 등을 파견하여 대적 선전 공작을 담당했다. 중국 공군부대에서 복무중인 장성철(張聖哲), 김좌경(金左卿) 등과 운남 비행장 복무 중인 염온동(廉溫東) 중국 중앙군에 복무하는 김철군(金鐵軍), 유재원(柳在元) 등이 합류 협조하여 미 공군의 지원을 받았다.

주로 적 점령 지구에 살포한 반전(反戰) 삐라를 작성하여 미 공군 비행기를 이용하여 중국 각 전선에 투하 살포하였는데, 김유철(金裕哲)이 직접 그린 그림과 한국어와 일본어로 된 반전 투항을 권유하는 내용의 선전물을 제 1차 50만 매를 작성하였으며 제 2차 역시 50만 매를 한국어, 월남어, 버마어, 일본어 등 4개 국어로 된 반전 사상 고취와 투항을 권고하는 내용의 전단을 작성하여 중국, 한국, 월남, 버마 지역에 살포하여 심리전을 하였다.

4.3. 유격전

조선의용대
제 1차 창사전투
“중국 창사(長沙)에서 일본군과의 첫 싸움을 앞두고 우리가 외쳤던 구호가 ‘3일 동안 굶고, 잠 안 자고, 안 씻는다’였어. 그만큼 우린 독하게 싸움을 준비했어. 중국군도 우리를 보고 ‘독종’이라고 불렀을 정도니까.”
육신은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노쇠했지만 광복군 활동에 대한 김옹의 기억만큼은 또렷하기만 했다. 김옹은 중국 후난(湖南)성 창사의 중국 제9전구지역에 도착해 제1차 창사대회전에 참전해 한·중 합작군 100여명과 함께 일본군 600명에 맞서 싸웠던 1939년 당시를 떠올렸다.
“일본군이 기관총 7정을 앞세워 난사를 했는데 우리는 후퇴하면서 추격하는 일본군을 정확한 사격으로 한놈 한놈 쓰러뜨리는 전법으로 대응했어. 내 개인적으로는 그게 첫 전투였지만 이미 죽기를 각오했기 때문인지 그리 무섭지 않았어.”
말하는 내내 숨이 차 여러 번 말을 중단하면서도 그는 혼신의 힘을 다해 옛 기억을 되살렸다. 전투 상황을 설명할 때는 병상 철골 지지대를 주먹으로 칠 정도로 독립투사의 기백은 아직도 그의 몸에 살아 있었다.
“일본군이 쏜 대포가 우리 머리 위에서 터져 머리가 멍해지고 천지가 진동하는 것 같았지만, 그 전투에서 우리는 일본군 100여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어. 우리가 싸우는 모습을 본 중국군들이 다들 놀라는 거야.”
이후 그는 구룡산과 오봉산 전투에서 유격전을 전개해 많은 전과를 올렸다.

한국광복군 제 1지대로 편입된 조선의용대가 1941년 12월 12일 후좌장(胡家莊)전투 교전내용이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권에 수록되어 있다. 전투는 1941년에 일어났으나 1942년에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되면서부터 수록했던 것으로 보인다. 교전 중 전사한 4명의 대원들만 공훈전자사료관 공훈록에 등재되어 있고 나머지 대원들은 수록이 되어 있지가 않다.#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제 2지대(현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3구대) 第二支隊(現 韓國光復軍 第1支隊 第3區隊) 대장 (隊長) 김세광(金世光) 이하(以下) 삼십여 동지(三十餘 同志)는 평한선(平漢線) 스좌장(石家莊) 이남(以南) 백여리(百餘里) 되는 위안쓰현(元氏縣)에서부터 싱타이(邢臺) 일대(一帶)에 무장선전공작(武裝宣傳工作)을 맡아(擔任)하고 작년 11월昨年 十一月[35]부터 공작(工作)을 전개(展開)하여 오는 바, 해당每黨에 공작工作은 순리順理로 개시展開되엿다. 그리하여 11월 4일十一月 四日부터는 적 敵과 약간 접촉이 있어 우리대대동지 我隊同志들도 전부全部 무장武裝하야 경계警戒하여 오던 다음 11일 정오次 十一日 正午에는 2백여명 적二百餘 敵과 조우 遭遇하야 맹렬猛烈한 실력實力으로 적敵을 격퇴出退하고 그날 밤同 夜적 보루敵堡壘를 포위包圍하고 김세광 대장 동지金隊長 世光同志가 20분간二十分間 중국어中語로 국제정세國際情勢에 관關한 대적연설對敵演說을 하고, 김학철 동지金學鐵同志가 다시 일본어日語로 15분간十五分間 반전연설反戰演說을 하엿다. 그래도 적진영敵營에서는 아모(아무) 반응反應이 없음으로 조소경 동지趙少卿同志가 반전노래反戰唱歌를 하엿으나, 역시亦是 하등下等의 반응反應이 無없해서 도라오고 말엇다. 다음 날 翌日은 그곳을 떠나 잔황현贊皇縣으로 가기로 약속約束허고 그날 밤의 경계警戒는 지방地方 자위대自衛隊에게 일임一任하고 연일連日 전투戰鬪의 지친疫困한 몸을 휴식休息하기 위爲하야 하로 밤 잘-자기로 하엿다.

전투 개시戰鬪의 開始

12일十二日 날이 밝을 무렵拂曉, 밤 사이夜間 우리 부대我隊를 포위包圍하여 노코, 날이 밝이를 기다리던 적 敵은 먼동이 틀때 지붕위 屋頂上에서 보초放哨하고 있는 우리군我隊 조관 동지 曺寬同志를 향向하야 발사射出하엿다. 이리하야 깊은 안개 속에서 고요히 잠자든 깊은 안개充凉한 산촌山村은 갑자기 격렬激烈한 전장戰場으로 변變하엿다.

조관 동지曺寬同志는 적敵의 총銃소리를 듯고, 급急히 김대장金隊長에게 보고報告할 때 지방자위대 대장地方自衛隊隊長도 와서 보고報告하기를 "적敵이 2리二里(약 800m)밖에서 아군我軍을 포위包圍 진공進攻하고 있으니 속速히 준비準備하라"고 하엿다.

우리 부대我隊 동지同志들은 익숙習慣된 준비공작準備工作을 재빨리瞬間에 맟이고, 대문大門을 나가랴 할때 적 기관총敵 機關槍의 화력火力은 우리 대문大門에 집중集中하엿다. 그럼으로 대문大門으로 나갈 수 없는 우리 부대我隊 동지同志들은 집지붕屋頂에다 기관총機關槍을 걸고 환격(반격)還擊하였다 적敵의 화력火力은 다시 집옥상屋頂으로 집중集中하엿다. 이틈을 탄 우리 부대我隊 동지同志들은 속速히 대문大門을 나가 서쪽 산골짜리西便山끝로 퇴각退하랴 할때 적敵의 화력火力은 또 사면에서 우리 부대我隊를 향向하야 집중集中 공격攻擊하엿다.

그때마참 적敵은 「敵は何處に居るか?(敵은 어데 있느냐?)」하고 소리첫다. 이것을 들은 우리我 김대장金隊長은 조용從容 침착沈着하게 「敵は南の方へ逃がたぞ(적敵은 남南쪽으로 도망逃亡쳣다)」 하고 답答하엿다. 적 敵은 이 소리를 듯고 남쪽방향南方으로 병력兵力과 화력火力을 집중集中하엿다. 이 틈을 탄 우리我 동지同志들은 급속急速히 서부고지西部高地를 점령占領하고 「이리 오시요!」 「이리 오시요!」 소리 찔너 혼란混亂한 우리 동지同志들을 집중集中식히며 일면一面 전투戰鬪를 계속繼續하엿다.

적敵은 아군我軍을 향向하야 난사亂射, 김대장金隊長은 지휘 중指揮 中 처음으로 「다리」를 맞엇다. 이여서 복부腹部를 또 마젓다. 탄을 맞은中彈한 대장隊長은 벌서 신기神氣를 상실喪失하고 지휘指揮 소리는 점점漸漸 약弱하야지엿다.

이것을 본 곁에 있든 조관 동지(신참 동지)曺寬同志(新同志)는 「대장 隊長 동무 고려정신高麗精神을 발휘發揮하시요!」하고 외쳣다. 대장隊長은 이에 감동感動되여 다시 정신精神을 차리고 기관총機關銃을 손에 잡고 쏘랴할 때 적敵의 탄환彈丸은 또 김세광 동지金世光同志의 왼편 손목을 명중命中하엿다. 하는 수 없이 총銃을 두고 다른 동지同志의 구원救援을 받게 되엿다.

조열광 동지趙烈光同志는 다시 그 기관총機關槍을 가지고 사격射擊하야 할때 역시亦是 두발二發을 맞게 되엿다. 탄에 맞은中彈한 조열광 동지趙烈光同志는 10보十步를 다닐行할 수 없어 최후最後의 결심決心을 하고 적敵 오기를 기다리든 차次 김흠동지 金鑫同志가 지나며 그 광경光景을 보고 조열광 동지趙烈光同志를 등에 없고 안전지대眼前地帶에 탈출退出하랴 하엿다. 「기관총機關槍은 우리 부대대全隊의 생명生命이다, 나를 신경쓰지關心 말고 속速히 기관총機關槍을 가지고 가라」하고 조동지趙同志는 소리쳣다. 김흠 동지金鑫同志는 그래도 동지同志를 구救하라고 하엿으나 조열광 동지趙光烈同志는 두번 세번 거절再三拒絶함으로 하는 수 없이 총槍을 메고 가랴할 때 조관 동지曺寬同志가 지나게 되여 김흠 동지金鑫同志는 기관총機關槍을 조관 동지曺寬同志게 맡기고 조열광 동지趙烈光同志를 등에 업고 하루 사이一日間을 적敵의 포위包圍를 피避하여 안전지대安全地帶에 도착倒着하엿다. 신도 버선도 없이 山길을 달린 까닭에 「발껌지」와 「살」은 모도다 떠러지고 뼈밧게 남지 않엇다.

그 후後 3개월간三個月間 치료治療하고 처음 것게 되엿다. 그리하야 대부 동지大部 同志는 안전지대安全地帶로 퇴출退出하 격전激戰하고 미처 퇴출退出하지 못하고 적敵에게 포위당包圍當하야 희생犧牲한 4 동지四同志의 전투戰鬪는 특特히 비장悲壯하엿다. 점령佔領한 고지高地에서 우리 동지我同志가 적敵에게 포위包圍되여 단독 분전單獨奮戰하며, 육肉박하는 것을 반히 보면서 구救할 수 없이 그대로 희생犧牲싴이는 우리 부대我隊 동지同志들의 심정心情이 어찌如何하엿을가?

손일봉 동지孫一峯同志는 처음 적敵과 보총步槍으로 싸우다 다시 접근接近된 적敵에게 수류탄手榴彈을 던저 많은 적敵을 죽이엿다. 수류탄手榴彈까지 다 쓰게 되여 탄환彈丸이 다 떨어져盡함에 손 동지孫同志를 사로 잡으라는 적敵과 육肉박이 시작始作되엿다. 이 육肉박 격투格鬪를 목도目睹하는 우리부대 동지我隊同志는 하는 수 없이 그를 향向하야 기관총機關槍을 소사掃射하엿다. 도저到底히 사로 잡어갈 수 없음을 안 적敵은 최후最後의 방법方法으로 각도刻刀로 손 동지孫同志의 왼편 가삼을 찔너 죽엿다.

왕현순 동지王現淳同志는 대문大門을 나와서 뒤담에다 은신隱身을 하고 적敵과 격전激戰하다가 가지고 있는所有의 탄환彈丸을 다 써버리고便用하고 부당不幸히 적敵의 탄환彈丸이 데징大腦에 명중命中하야 소장小腦를 둘고 나가게 되여 즉사卽死하엿다.

최철호 동지崔鐵鎬同志는 집 지붕屋頂에서 격전激戰하다 하는 수 없이 뒤담을 뛰여서 넘어 가다 국부局部를 명중命中 당當하야 신음呻吟하다 죽엇다.

박철동동지朴喆東同志는 탄환彈丸을 다 써버리用盡하고 사로잡으려는 2명 적二敵과 잡히여 가지 않으려고 육박격투肉博格鬪하여 언덕에서 골창으로 굴너가며 악전고투惡戰苦鬪하다가 적敵은 하는 수 없음을 알고 속력刺力로 왼편 가삼을 찔너 죽엿다. 사체死體를 발견發見할때 동지同志는 두 눈을 드고 이를 악물고 두 손으로 자기自己 옷 가슴을 혓치고 꿀어 안즌 채로 죽엇다. 동지同志의 장렬壯烈한 죽엄을 전 화북全華北 방방곡곡坊坊谷谷에 가장 영英용한 고차故事로 전傳해지고 있다.

적과 아군敵我의 격렬激烈한 전투戰鬪가 두 시간時間 반半을 경經한 후後 우방군友軍의 지원군援軍이 도착到着되자 적敵은 허겁지겁慌하야 격퇴擊退하엿다. 이 다음此後에 백여명百餘 적敵을 격폐擊斃고 무수無數한 전리품戰利品을 확취獲取하엿다. 우리 군我軍은 손일봉孫一峰 · 왕현순王現淳 · 최철호崔鐵鎬 · 박철동朴喆東 4 동지四同志가 비장悲壯히 희생犧牲되고 김세광金世光 · 조열광趙烈光 · 황통삼黃通三 동지同志가 부상을 입음受傷하엿다. -끝-[36]

김승곤 지사는 구룡산, 오동산전투에서 일본군과 수십차의 전투와 유격전 수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일전 경험, 일본군의 실정과 의용대의 형편, 그리고 전투의 실상과 유격전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였다.[37]
면담자 | 김행복(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사부장)
면담일시·장소 | 2001년 12월 1일, 12월3일·서울보훈병원
Q: 구룡산, 오동산전투 싸워보셨습니까?
김승곤: 우리 전지가 거기야, 전지가. 거기서 많이 싸웠죠.

Q: 주로 싸우는 방법이라든가 상황이 어떠 했습니까?
김승곤: 조우전이요, 조우전. 우리가 공격을 먼저 못해요. 야간에 우연히 일본놈을 만나서 (싸워요.) 중국군은 원체 궁해서 밤에 야습을 많이 나가요. 일본놈 군복이 3원이야 3원.

Q: 그럼 아까 말씀하신 경찰 봉급과 같으네요.
김승곤: 털이 있거든. 그 다음에 군에 있는 담요, 그거는 5원이고. 상당히 고급품이지요.

Q: 그렇군요.
김승곤: 그래서 어떻게 하는고 하니, 중국 사람들은 밤에는 야습을 나가.

Q: 그럼 주로 일본놈들 보급품을 훔치려고 야습을 가는 것이란 말입니까?
김승곤: 그렇지요. 중국 군대는 숫자가 많으니까, 저녁마다 야습을 가요. 또 가기를 원하고. 잘 먹으니까. 그놈 팔아서 저의 욕구를 채우지. 그러면 야습 습격조를 구성해요. 3개 조로 편성하는데, 제일 앞에 가는 조는 사람 둘이 가요. 칼만 들고 가서 입초를 칼로 찔러 죽여요. 한밤 중에. 그래야 아무도모르잖아요. 그 다음은 공격조.

Q: 두 번째 조군요.
김승곤: 첫 번 째 조가 지나가면 두 번째 조는 수류탄을 던져요.

Q: 수류탄을 던지면 소리가 크게 날 것이 아닙니까?
김승곤: 소리가 나죠. 그 때 일본놈들이 다 도망가죠.

Q: 일본놈들이 도망을 가요?
김승곤: 도망을 가죠, 어떻게 해? 그러면 이제 추격대. 중국 사람들은 당가대라고, 중국 사람들이 메고 다니는. 담요, 군복 벗어 놓은 것을 몽땅 싣고 가서 골라서 팔아먹어요. 잘 팔리거든. 담요는 더 잘팔려. 오죽 하면 그렇게 하겠어요? 중국군은 서로 가려고 그래요. 그렇지만 부대장은 안 시켜요. 부대장은 안 시키지요. 아니요. 큰 사건 나면 어떻게 해요. 그래서 부대장이 안 시켜. 졸병들이 가자면 할 수 없이 가고. 그만치 부패했어요.

Q: 그렇다면 일본군도 중국군이 야습을 올거라고, 그만큼 많이 당해받으니까, 조심을 하고 대비를 하지 않았을까요? 야습을 올거라고 경계를 하지 않았겠습니까?
김승곤: 일본군은 아니 낮에 보초를 서고 있다가 밤에는 거둬들여요.

Q: 밤에는 거둬들여요?
김승곤: 그럼요, 무서워서. 밤에는 꼼짝 못해요.

Q: 그래도 밤에 꼼짝을 못한다면 철조망을 쳐 놓는다든가 그래도 대비를 해 놓지 않았겠습니까?
김승곤: 그래서 낮에 가서 다 조사를 해요. 일본군이 자리를 옮겨 놓기도 해요. 어떤 때는 허탕을 칠 때가 있어요. 중국 군대가 그런 데는 용감해요. 먹고 살기 위해서. 생존본능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Q: 그렇게 들어가다가 일본군들과 맞붙어서 죽고 다치고 이런 일도 있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김승곤: 앞에 두 사람이 있지요. 들어가다가 일본군의 총에 맞아 죽든지 해도 말도 못해요. 정말 보초는무서워 해요. 새벽 한 시, 두 시, 세 시에 고단합니다. 밤 중에 들어갔다가 많이 죽어.

Q: 잘 못 들어가다 보면 총에 맞아 죽는 수도 생기겠지요?
김승곤: 찔러 죽이든가. 인정사정 볼 것 없으니까. 이쪽에서는 수류탄 가지고 가서 던지지요. 그러면 팡팡 소리가 나고, 그 다음에는 추격대, 당가대가 싸가지고 돌아오죠.

Q: 그러면 성공이네요?
김승곤: 그렇지 성공이지요.

Q: 지사님께서도 습격조에 가 보신 적 있으십니까?
김승곤: 중국 사람들이 못 가게 해요.

Q: 못 가게 해요? 한국 사람들을 못 가게 해요?
김승곤: 절대. 우리는 한 사람 희생되면 보충할 수도 없고. 중국 군대에서 아껴주기도 해요. 사람들은 아껴줘요. 중국 사람들은 한자를 쓰잖아요? 중국에는 만 명 중에 글 아는 사람이 한 두 사람이라구요.

Q: 한국 사람들은 글 아는 사람이 많겠…
김승곤: 그렇지요. 학교는 다 나왔으니까.

Q: 그 대신에 중국 사람이 가져온 물건을 달라고 한다든가 그러지는 못하겠지요?
김승곤: 그렇지요. 달라고 못해. 달라고 못해.

제 3 징모분처 한교전지공작대원으로 활동한 정영호 지사의 회고[38]
정영호: 안후이성(安徽省) 마오린(茂林)에 본거를 둔 광복군 제3 징모처의 한교전지공작대원(韓僑戰地工作隊員)으로 활동했습니다. 또한, 중화민국 제 3전구 제1유격종대사령부 대일책반 공작대원(中華民國 第三戰區 第一珽進遊擊從隊 對日策班)으로도 활동했지요. 3년 여 동안 태평천국의 무대였던 저장(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의 그 넓은 벌판을 누비고 다녔어요.

A: 구제척으로는 어떤 공작을 했습니까?
정영호: 우리의 공작지구는 혼전지대였어요. 일본군과 장제스(蔣介石)의 중앙군(中央軍)[39]이 있으며 마오쩌둥(毛澤東)의 씬쓰준(新四軍)이 있었지요. 광복군도 중앙군과 신쓰준[40] 두 갈래로 속해있었죠. 우리는 중앙군 산하의 50명 한국인으로 구성된 부대였습니다. 일본군의 괴뢰군[41]도 있고 민병대격인 대도회(大刀會)도 있었습니다. 여기에다 미 제 5공군(5th Air Force)산하 공수단이 절간 같은 걸 점령하여 활동하고 있었죠. 우리 부대는 일본군의 동향을 파악하여 미군부대에 정보를 주면 미 제 5공군이 타전하여 폭격하게 하는 임무가 많았어요. 병참루트를 끊으라는 지령을 받고 교량폭파공작도 했죠. 중국인을 사서 폭약을 주고 우리는 먼 발치서 보고 있다 폭파되는 것을 보고 사라지지요. 또한 일본군에 있는 한국인을 중국 사람을 시켜 빼내거나 탈출해 숨어있는 사람을 구출하여 광복군 부대에 보내는 일도 했어요. 저도 지금 천안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분을 비롯하여 6~7명을 구했어요.

1945년 6월, 일본군 최후 발악으로 제 3전구 유격지구에 대한 소탕작전을 전개한다. 작전 지구에서 공작 중이던 박승학(朴承鶴)을 방문한 김해일(金海一), 유익배(柳益培)는 안후이성(安徽省) 지에시현(結溪縣) 부근에서 일본군에게 포위당했으나 중국군 유격대의 도움으로 포위망을 탈출하여 후이저우현(徽州縣)으로 돌아왔다.

4.4. 공군 활동

파일:독립운동가 김원영.jpg
<colbgcolor=#0047a0><colcolor=#fff> 김원영

공군 활동을 한 인물에는 김원영이 있다. 중화민국 항공위원회에서 군관학생을 모집할 때 공군군관학교 15기 군관학생으로 발탁되어 쿤밍, 영국령 인도에서 항공 군사 훈련을 거쳐 미국 항공학교에 들어가 높은 성적으로 단기 훈련을 마치고 1945년 1월 중화민국으로 돌아왔다.

1945년 1월 즈장공군기지의 혼합단에서 공군 준위 견습관으로 배속된 김원영은 2월 7일에 명령을 받고 출격하여 웨양, 헝양 등지에서 일본군 수송대에 폭격을 퍼부어 많은 일본군을 사살하였다. 기지로 귀환 도중 일본군 점령지 상공에서 비행기가 기능 고장을 일으키자 인근 지역에 비상 착륙한 김원영은 부상을 무릅쓰고 비행기를 파괴시킨 다음에 밤을 틈타서 주변에 있던 민가에 숨기도 하는 등 고생을 겪었다. 본대 복귀 이후 20여 일 동안 휴식을 취한 김원영은 다른 공군 부대로 전근한 뒤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 출격하여 많은 전과를 쌓으며 활약하고 있었으나 1945년 3월 24일 경계 임무를 받은 김원영은 즈강공군기지에서 이륙한지 얼마 되지 않아 비행기가 추락하며 향년 27세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4.5. 독수리 작전(Eagle Project)

한국광복군과 공동으로 진행된 이글 프로젝트로, 시안을 기지로 한 최초의 주요 프로젝트였다. 새로 단장한 OSS 북동사령부(OSS Northeastern Command)가 시안 남동쪽 15마일 지점인 두취(杜曲)에서 창설되었는데, 이 조직의 유일한 목적은 한국침투였다. 프로젝트의 암호명은 독수리(Eagle)이었으며 임정 휘하의 중국 내 100명의 망명 한국인들이 이글프로젝트의 야전지휘관인 클라이드 싸전트(Clyde B. Sargent)의 지휘하에 훈련받기 위해 두취으로 이동했다.

한국광복군과 관련있는 것이 바로 이글 프로젝트(1944년 10월~1945년 10월 1일)였다.

1944년 10월 광복군 제2지대장 이범석이 광복군과 OSS의 합작을 제의했고, 미군이 훈련한 한국인 요원들을 한반도와 일본에 침투시켜 첩보활동을 벌이자고 제안했다. 이로부터 광복군을 인적자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 성립했고, 독수리작전의 직접적 실현가능성이 제기되었다.

1945년 1월 싸전트(Clyde B. Sargent)는 한국계 미군 정운수와 함께 시안 2지대 본부를 방문한 후 광복군의 활용적합성, 2지대 주둔지(시안 두취)의 적합성, 이범석의 군사적 능력을 높게 평가했다.

1945년 3월 1일 독수리 작전이 공식 승인된다.
파일:독수리 작전 승인과 관련된 전문.png

1945년 4월 3일임정·광복군과 OSS관계자·주중미군사령부와의 접촉을 했다.
비밀보고 1945년 4월 3일
1945년 4월 3일 아침, 본인은 충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 주석과 약 30분간 면담했습니다. 이 면담은 본인이 전혀 요청하지 않았고 기대하지도 않았습니다.
얼마 전 본인이 군사 관련 업무로 임시정부 본부를 방문했을 때 제의를 했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면담은 응접실에서 진행되었는데, 그 방은 전혀 쾌적하지만 검소했고 벽 한 쪽에는 태극기가 걸려 있었습니다.그 옆 면에는 중국기가 걸려 있었으며 또 다른 면에는 프랑스기가 걸려 있었습니다. 그 이유를 묻자 최근 프랑스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해준 것에 대한 감사의 뜻이라 설명했습니다.
김구 주석과 대단하는 동안 한국광복군 이청천 총사령관 광복군 제 2지대장 이범석 장국, 최근 조직되어 안후이성 푸양에서 주둔 중인 광복군 제 3지대장 김학규 소장 그리고 통역 정한범이 배석했습니다. 김구 주석은 평범한 중국 옷을 단정하게 차려입고 응접실에 들어왔으며 몸이 불편해 잠시 쉬고 있었다고 양해를 구했습니다. 7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김구 주석은 외모나 몸가짐에서 건강하고 당당해보였습니다. 품격있어 보였고 절제와 점잖음을 갖춘 가운데 평정심을 유지하고 있어서 그가 25년 동안 애국적 자객이자 테러리스트였다는 사실과 전혀 부합되지 않아 보였습니다.
대담은 대부분 덕담을 나누는 수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김 주석은 미국의 관심에 감사한다고 말하고 이어 전면적인 협력을 할 의향이 있으며 최근 안후이성 푸양에서 막 도착한 37명의 한국인을 포함해 광복군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생각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본인은 일반적인 동맹국 간 공유하는 가치와는 다르게 한국과의 사이에서는 보다 각별한 가치를 공유해야만 한국-미국 공조를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대담하는 가운데 김구 주석은 두개의 주목할 발언을 했습니다.

1. 김구 주석은 이범석 장군과 본인 사이에 발전되어온 관계에 대해 기쁨을 나타냈습니다. 그리고 양인과의 관계에서 싹튼 모든 것을 승인했다고 말했습니다.

2. 그는 맥아더 장군이 필리핀섬에 진격할 때 필리핀 대통령 그리고 고위 관료들과 동행했는데 이는 필리핀 국민들로 하여금 마음에서 솟아나는 협력 정신으로 일본이 점령한 필리핀을 공격하는 미군을 돕게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연합국이 한국에 진격할 때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원들과 동행한다면 한국 민중들에게도 같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조치는 한국 민중들로 하여금 기꺼이 일본에 저항해 일어서게 하여 한국 내 미국의 작전을 지원하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김구 주석을 만나뵌 것은 제게 큰 기쁨이었으며 앞으로 자주 뵙기를 또 결국에는 한국에서 뵙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그에게 말하며 작별 인사를 마쳤습니다.

보고자: 클라이드 싸전트 대위, 1945년 4월 3일
보고처: OSS본부, 중국전구사령부

싸전트 대위는 김구 주석과의 면담을 마친 뒤 이범석 장군과 다시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대화를 나누었다. 대화 내용은 문건으로 작성되어 상부에 보고되었다. 다음은 이범석과 나눈 내용에 관한 보고서이다.
비밀보고, 한국관련, 1945년 4월 3일

오늘 이범석 장군과 대화를 가졌습니다. 다음은 이 장군의 발언 내용입니다.

1. 예상되는 작전(이글프로젝트)은 김구 주석과 이청천 장군으로부터 전적인 승인을 받았습니다.

2. 광복군 제 3지대장 김학규 소장 역시 그가 통솔하는 안후이성 기지의 광복군도 이글 프로젝트의 작전에 포함되기를 강력하게 바라고 있습니다. 이 장군은 본인이 나서서 김학규와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김학규와 미 공군 중국 사령부의 윌프레드 스미스 중령과 버치 대위 사이에 논의되던 작전 계획과 향후 진행할 OSS작전 계획에 대해 보다 명확한 경계를 지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본인은 내일 열릴 회의에서 더 명확하게 선을 긋도록 노력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

3. 김약산은 이글작전의 대략적인 계획에 대해 아직 찬성도 반대도 밝히지 않고 있으며 앨버트 C. 웨드메이어 장군과 면담 허락과 한국 내에 있는 미군 동조자들이 포함된 작전 계획을 제시할 것을 김구 주석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구 주석은 웨드마이어 장군과 면담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본인의 판단으로는 김약산이 웨드마이어 장군과의 면담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 때문입니다. 김약산은 김구, 이청천, 이범석, 김학규 그리고 그 밖의 독립당 인사들이 자신보다 한발 앞서서 미군 관계자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데 불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자신과 그가 이끄는 민족혁명당이 미군과의 관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하는 바람을 갖고 있습니다.

1945년 5월부터 한국광복군 2지대와 OSS의 합작훈련, 즉 독수리작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파일:1-020347-000-0000.jpg

원래의 계획안에 따르면 최초에 60명의 요원을 선발해 3개월 동안 정보수집 · 보고 · 통신훈련을 실시한 후 그중 45명의 적격자를 선별해 1945년 초여름쯤 5개의 전략지점(서울, 부산, 평양, 신의주, 청진)에 침투시킬 계획이었다.
한반도의 공격 목표물과 관련한 서신

1944년 7월 11일
존경하는 柱 장군에게

1. 본인은 한국에 설치한 일본의 군사시설을 나타내는 몇개의 목표 대상 목록을 이미 송부하였습니다.

2. 평양, 진남포, 경성, 인천, 다사도, 수풍, 부전호반, 나진, 청진, 흥남, 무산, 길주 그리고 진해만은 모두 중요한 산업지역으로 한국에 있는 연합군의 폭격 목표물입니다. 안동, 청주, 대동, 그리고 한강에 있는 철교 역시 중요 목표물입니다.

3. 여기에는 한반도의 군사시설과 지리적 특성에 정통한 대원들이 있습니다. 한반도에 대한 연합군의 폭격임무가 있을 경우, 그들은 목표지역을 인도하고 목표물을 찾는데 도움을 주는데 그들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위의 제안들과 권고 사항들을 중국 국민당정부에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우리의 바람을 이룰 수 있는 조치가 취해지길 바랍니다.

안부 전해주십시오.

한국광복군 징모분처 주임  김학규

이들은 지역별로 해군기지, 병참선, 비행장을 비롯한 군사시설, 산업시설, 교통망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침투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임무가 부여되었고, 첩보망이 정착되고 연합군(미해병대)이 한반도나 일본에 상륙할 경우에는 정보수집 외에도 지하운동의 규모와 활동, 한국인의 의식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나아가 한국인들의 봉기를 지원하도록 계획되었다. 침투 후 150일 이내에 첩보가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훈련주관부서는 OSS 중국지부 비밀첩보과(SI)였고, 조사분석과(R&A)와 교육훈련과(S&T)의 협력을 받도록 되었다. 훈련의 핵심은 무전기 송수신 등 통신훈련이 중점을 이루었다. 교관 및 지원병력으로 OSS 소속 장교 및 하사관 7명이 동원되며, 향후 작전 확대시 장교 10명과 하사관 12명의 추가지원이 계획되었다.
한국에 대한 비밀첩보침투를 위한 독수리 작전 보고서

발신일 1945년 3월 1일
발신자 포병 대령, 작전장교 윌리암 P. 데이비스
수신자 중국전구 전략첩보국 책임자

5개조로 구성된 이글팀이 한국에 침투할 때 활용가능한 장비가 무엇인가에 따라 침투수단이 결정될 것이지만, 선호하는 순서대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안) 잠수함 또는 수상비행정[42]으로 해안 가까운 바다에 야간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고무보트, 장비와 함께 3명의 요원이 동시에 낙하함. 목포에서 신의주까지 30마일(48km) 간격으로 낙하하게 됨
2안) 산둥반도에서 비행기로 도착한 후, 소형선박으로 서해를 거쳐 같은 방법으로 침투.
3안) 북중국과 만주를 육상으로 통과해 침투하는 방법. 장비는 별도로 공중 및 해상으로 투하.

광복군이 사용할 무전장비는 SCR-284로 한 세트 가격이 200kg육박하며 이걸 3인이 짊어지고 숨겨야 한다. 팀별로 1세트씩 총 5세트를 배정하며, 예비무선통신 장비는 5세트는 한국으로 수송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본부에 비치하고 필요시 추후 조치를 하기로 했다.
파일:2011.065.1765_1.jpg
SCR-284 무전기 세트

광복군과 OSS는 두취(杜曲) 광복군 제2지대 본부에 한미합동지휘본부(Korean-American Joint Command)를 설치하고, 이범석과 싸전트대위가 한미 지휘관으로 긴밀한 공조체제 하에 훈련을 진행하였다. 싸전트는 5월 11일 독수리야전지휘관으로 두취(杜曲에 도착했다. 제 2지대원 125명 중 우선 50명이 선발되어 제1기 훈련에 돌입했다. 훈련은 첩보공작에 중점이 두어졌으며, ‘첩보훈련반’‘통신반’으로 구분되었다.

또, 이글 작전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시안에서부터 항속거리가 짧은 한계를 보안하기 위하여 산둥반도에 보조기지를 둬야 했다.
산둥반도(山東半島)에 독수리작전 보조기지를 둘 것을 제안

싸전트 대위
조지아 (참조) 스웬센 소령

1945년 7월 8일

1. 최근의 협의에 따라, 본인은 한국에서 중국 陝西省 杜曲에 있는 독수리기지까지 무선중계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2. 상호 거리는 다음과 같다.
두취(杜曲)에서 보조기지 산둥반도(山東半島)까지 대략 600비행항로(AL) 마일
보조기지에서 최근 거리 야전지점(한국 경성京城)까지 대략 260 비행항로(AL) 마일
보조기지에서 최고 원격 야전지점(한국 나진羅津)까지 대략 500 비행항로(Al) 마일
상기의 거리는 다음과 같은 설비로 야전지점부터 독수리기지의 보조기지까지 손쉽게 수행될 수 있는데, 그 설비는 아마도 공중투하가 되어야 할 것이다.

3. 15개의 야전지점과 연락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장비
SX-28 또는 AR-88 기종 수신기 3대
SST-103 또는 TR-104 송신기 3대(대개 전자 송신기(SST-103)로)
750 또는 1000 W 발전기 2대 또는 Kohler 1.5 KVA 발전기 1대(만일 하역이 가능하다면)
여러 종류의 검파기 40개(개수는 추후에 결정됨)
(독수리)기지-보조기지간의 전신을 위한 4자리 숫자의 1회용 암호표
상기 물품을 위한 예비 부품 및 도구

4. 요원
15개의 무전지점의 운용을 위해 본인이 그 계획을 전체적으로 통일할 수 없다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추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미국 장교 1명, 가나 암호로 훈련받는다.
4명의 미국 사병, 가나 암호를 훈련받는다.
5명의 한국인, 독수리기지 중계소에서 훈련을 받으며, 가나 암호로 훈련받는다(이들 병사는 작전 능력이 증명되었을 때 파견될 것이다).

5. 작전의 진전에 따라, 보조기지도 확장될 것이다. 그러나 초창기에 있어 만일 요원이(특히 미국인 요원) 최고의 수준이라고 한다. 본인은 작전 운영 계획이 만족스러울 것으로 확신한다.

1945년 8월 3일 이글 작전 실무책임자 싸전트 대위와 직속 상관인 헬리웰 대령 간 비밀 교신이 바쁘게 오갔다.
우리 사업은 진행 중이며 시안은 준비 완료되었습니다. 이글 팀은 하루 이틀 내 준비를 마쳤고, 관련 장비와 지도를 조속히 보내줄 것을 요청합니다. 워싱턴에도 한국과 만주에 관한 첩보를 조속히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바입니다.

1945년 8월 4일 광복군 이글팀의 훈련이 종료된다.
이들 38명은 2기 훈련을 대기하던 11명과 함께 OSS 평가단의 평가를 받았다.
총 지휘 이범석
1지구대장 안춘생
2지구대장 노태준
3지구대장 노복선
본부요원 이재현, 민영수, 김석동, 이윤장, 강일성, 오건, 최철, 한경수, 김동걸

제1지구
평안도 반장 강정선
1조 장덕기, 계의성, 장철
2조 김용, 이지홍, 이우경
3조 김중호, 전성윤, 선우기
4조 김영호, 박명광, 안국보

황해도 반장 송민수
1조 노성환, 황삼룡, 이동환
2조 홍기화, 신덕영, 석호문
3조 이우성, 허봉석, 송수일

경기도 반장 장준하
1조 이준승, 이명, 박수덕
2조 송창석, 정정산, 최문식
3조 김유길, 오서희, 이순승

제2지구
충청도 반장 정일명
1조 이덕산, 박영섭, 김욱배
2조 장재민, 박재화, 송석형
3조 윤치원, 윤태현, 김세용

전라도 반장 박훈
1조 노능서, 신국빈, 김상을
2조 이정선, 장두성, 백준기
3조 임재남, 한종원, 박금동

제3지구
함경도 반장 김용주
1조 석근영, 태윤기, 이욱승
2조 최봉상, 김덕원, 김선옥

강원도 반장 김준엽
1조 이계현, 임정근, 이준명
2조 고철호, 홍재원, 김성갑
3조 김춘정, 동방석, 이호길

경상도 반장 허영일
1조 김성환, 구자민, 이동학
2조 유덕량, 이지성, 윤재현
3조 이종무, 이건림, 이운학

1945년 8월 5일 임정 주석 김구지청천 총사령관, 엄항섭, 이시영 등 10여명의 임정 시찰단이 시안에 도착했다.

싸전트 대위는 다시 헬리웰에게 비밀전문을 보낸다.
잠정 일정에 따르면 첫 팀이 9월 5일 경 출발 예정이며 이것은 산둥반도까지 항공편이 가능한 상황을 고려한 것입니다. 항공수송이 불가능하다면 곧바로 몇 개 팀을 보낼 것이며 오늘 귀대한 이범석 장군과 협의한 뒤 확정된 일정을 보고 하겠습니다.

1945년 8월 6일 헬리웰이 싸전트에게 보낸 비밀 전문이다.
워싱턴의 OSS 사령부[43]와 쿤밍지부에 한국 어선에 관한 모든 자료와 사진을 요청했다. 보고서는 필요 없고 1차 자료 필요하며 9월 7일이 데드라인이다.

이들의 교신 내용을 들어보면 광복군 이글팀은 아직도 침투 방법을 결정하지 못했다. 시안에서 산둥까지 항공편, 이어 산둥에서 한국 서해안까지 소형선박을 이용한 침투를 검토하는 방안과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루트이지만 중국 북부와 만주를 통과하여 한국을 침투하는 마지막 방안도 검토하고 있었다. 잠수함 또는 수상비행정을 이용한 야간 침투는 제외되었다는 사실이다.

싸전트 대위는 이글작전 참여를 앞두고 김구 주석과 이청천 총사령관, 김원봉 부사령관 그리고 이범석 제 2지대장이 참석한 회의에서 "김원봉은 한국 내에 미국인에게 협조하는 한국인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작전의 전모와 계획을 밝히라고 미국 측에 강력하게 요구하며 웨드마이어 장군과 면담을 요청했다."라고 보고했다. 이 회의에서 김구 주석은 김원봉의 요구를 거부했다.

이글작전의 무모함에 대하여 OSS 내부에서도 우려가 깊었다. 이글 작전이 확정되고 한 달 후인 3월 28일, OSS첩보 공작처 담당관이었던 던컨(Duncan C. Lee)소령은 독수리작전에 대한 첨언(1급 비밀)에서 이글계획을 날카롭게 비판했다. 이글팀의 침투작전은 구상부터 엉성하고 마치 아군에 우호적인 게릴라들이 장악한 지역에 도착하려는 것처럼 안이하다고 비판했다.
3. 그 계획은 첩보원의 다양한 그룹에 의해 행해질 침투가 어떤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명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과거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모든 침투 과정은 자세하게 다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침투계획은 우리를 다소 염려스럽게 만듭니다. 요원들에 대한 다양한 상황에 따라 각 장소마다 발생하는 문제들은 매우 다릅니다.

침투활동 전문기관이었던 OSS 검토보고서는 또 첩보요원들의 은신처 등 장소에 따라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각각 다른데도 불구하고 침투 계획이 지나치게 단조롭다고 지적했다. 첩보 공작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을 서슴없이 지적했다.
“30마일의 간격을 두고, 매번 부대별 3명의 요원과 장비를 배치 시킨다”는 문구는 비밀 계획을 너무 도식적인 것으로 보이게 하며, 마치 우호적인 게릴라 점령지역에 요원들을 배치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만약 이러한 침투부대에 대한 우호적인 조건이 주어진 곳이어야만 그러한 배치는 가능할 것입니다.

이 지적은 김원봉 부사령관이 침투요원을 맞아줄 OSS협력자가 한국에 있는지[44] 물었던 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SCR-284세트 200Kg이 넘는데 이 무거운 통신장비를 고무보트에 싣고 노를 저어 낮선 해안에 접근한 다음 끌어내려서 메고 끌면서 옮길 수 있었을까? 게다가 서해안의 갯벌은 상당히 넓다. 일본군은 물론 민간인의 눈을 피해 은신처는 또 어떻게 찾을 것인가 부분에서는 회의적인 작전이다. 무선장비는 고장도 잦은데 그에 대한 대비 또한 허술하다.
5. 귀하도 알다시피, 지난 야전에서의 경험으로 우리는 무전 고장이 빈번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상황이 더 나아질 것 같지 않기 때문에 각 팀의 규모를 줄이거나 좀 더 많은 무전기와 무전병을 제공하여 고장이나 사고의 경우에도 소리가 나지 않거나 지연되지 않게 하십시오. 각 팀은 적어도 한 개의 비상용 무전기가 있어야 합니다.

1945년 8월 7일, 김구는 시안에 도착한 도노반국장 및 OSS 중국지부 책임자 헬리웰, 독수리야전사령부 책임자 싸전트 등과 회담했다. 도노반은 3번째 중국방문이었고, 독수리작전에 OSS의 운명을 걸 정도로 깊은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OSS의 연대는 양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는데 김구는 도노반과의 회담으로, 미국과 임정의 항일비밀공작이 시작되었다고 쓸 정도로 고무되었다. 그러나 OSS가 임정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은 것처럼 비춰진 것은 OSS와 임정의 진로에 영향을 끼쳤다. 도노반과 만난 자리에서 김구는 ‘한미간의 공동협력’을 강조하는 임정 주석명의의 편지를 트루만대통령에게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 편지를 전달받은 트루만은 “미국정부가 승인하지 않는 자칭 정부 대표들의 메시지”를 OSS가 전달했다며 격노했다.

한편 독수리작전 계획에 따르면 한반도 침투는 잠수함을 이용하여 야간에 한반도 해안에 침투, 항공기를 이용해 낙하산으로 침투, 화북 · 만주를 경유해 육로로 침투하는 3가지 경우가 상정되었다. 그렇지만 훈련이 종결된 7월말까지 침투방법에 대한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

1945년 여름에 이르러 한반도 침투를 위한 2가지 주요 프로젝트가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OSS 중국은 이글프로젝트를, OSS 워싱턴은 냅코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이의 성공여부는 생사를 불문한 한국인들의 애국심에 달려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 여름 OSS 중국과 OSS 워싱턴은 자신들의 작전이 우선권을 점하길 희망했다. OSS 중국은 한국선점의 공을 냅코가 빼앗아갈까봐 내심 불안해 했고, 특히 냅코의 실패로 인해 독수리작전에 차질을 빚을까 우려했다.

또한 전구별, 군별 관할권을 둘러싼 이견대립도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중국전구 사령과 웨드마이어, 태평양함대사령관 니미츠, OSS 국장 도노반 간의 의견대립은 일본의 항복직전인 1945년 8월 11~12일에야 해소되었다. 이는 소련의 참전 직후, 미국이 한반도와 만주에 발붙일 겨를도 없이 소련의 독식을 허용할 것이라는 도노반의 협박이 있은 후에야 가능했다.

한편 증언과 일부 자료에는 1945년 1월 이래 김학규가 지휘하는 광복군 3지대는 OSS와 미14공군의 합작기구인 공지자원기술단(空地資源技術團 | AGFRTS)의 존 버치대위와 연계를 맺고 22명에 대한 합작훈련을 추진했다고 되어 있다.

1945년 8월 8일, 독수리작전은 일본의 포츠담선언 수락 통보 이후 본래의 목적이 변경되었다. 먼저 광복군측은 8월 11일 제 2지대장이었던 이범석 장군을 지휘관으로 하는 국내정진군을 편성하였고, OSS측은 동북야전사령부(North Eastern Field Headquarters)를 편성해 한반도 진입을 통한 정보 수집, 일본문서 압수, 연합군 포로 구호 및 송환을 새로운 임무로 부과했다. 협의 결과 광복군측의 이범석, 김준엽, 장준하, 노능서 4명이 OSS의 책임자 버드(Willis Bird) 대령의 지휘하에 국내 진공작전에 투입되었다. 이들은8월 18일 여의도비행장에 착륙했지만, 본국의 지시를 받지 못한 일본군의 위협 속에 다음날 중국으로 귀환해야 했다.[45]
파일:1-020353-000-0000.jpg
여의도비행장에서 산둥반도 웨이하이비행장(威海机場)으로 도착한 후 이범석 장군과 국민혁명군 일행

결국 독수리작전팀은 1945년 10월 1일 공식으로 해체되었다. 이날은 OSS가 트루먼의 명령으로 공식 해체된 날이기도 했다. 이로써 임정 · 광복군과 OSS의 공식적인 합작은 종결되었다.
파일:1-020355-000-0000.jpg
대한민국 27년(1945년) 9월 30일 이글 프로젝트가 공식으로 해체되기 하루 전에 촬영된 사진이다.
1줄 좌부터: 노태준 제2지대 제2구대장, 싸전트 대위, 이범석 장군, 안춘생 제2지대 제1구대장, 노복선 제2지대 제3구대장
3줄 좌부터: 이재현[46] 공작조장, 김성근[47]

5. 광복 이후

미 전략사무국 중국전구에서는 1945년 8월 8일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용한 것을 계기로 알게 되었으며 백범 김구와 제 2지대 본부 그리고 임시정부와 총사령부에서는 8월 9일날 그리고 중국 정보기관과 함께 공작하는 부대들은 8월 10일에 일본제국주의가 항복할 것을 알았다고 한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았을 때는 중국전역에 불꽃놀이를 쏘아 올리는 등 축제 분위기라 당시 광복군 대원들이 해방됨을 알았다고 한다.

김승곤 지사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회상한다.
갑자기 일본놈들이 투항해 왔습니까?
김승곤: 일본놈들이 중경서 해악 8월 9일 밤에 알았어요. 8월 15일에 해방이 됐지만. 그런데 8월 9일날 알았는데, 참 허망합디다. 일본놈들 우리 힘으로 같이 한 번 싸워보다가 투항해야 힘이나 있는데, 그래 가지고 14년이 되었지만, 생활을 위해서는 내가 안 나왔죠. 중경에서 본부중대 중대장을 해서우리는 훈련시키는 도중에 일본놈들이 갑자기 투항을 해 와서 전쟁이 끝났거든요.

8월 9일날 일본놈들이 투항하면서 일본이 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셨단 말씀이지요?
김승곤: 그렇지요. 8월 9일 투항한 것만이 아니라 이미 그 때 말이 중경 사회에는 퍼졌다구요. 일본놈이 투항한다. 중국에서 오래 기다렸다구요. 그래갖고 광복군의 후속조치가 있잖아요? 그 처리하고 오느라고 그 다음해 6월달에 한국을 나왔거든요.
1945년 8월 15일 나는 환남(晥南)의 휘주(徽州)에서 도보 중에 일본 침략자가 투항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서 펄쩍 뛰었다. 40세까지 살면서 이렇게 속이 시원한 경사를 만난 적이 없었다. 평생의 소원이 이미 미루어져 홀가분한 느낌이었다. (중략) '망국민'의 굴레를 빠져나와 진정으로 인생의 맛을 보는 것 같았다. 이후로 더 이상 누군가 우리를 가리켜 망국민이라고 멸시하지 않을 것이다. "망국민이 되고 싶지 않으면 반드시 자신의 조국과 민족을 열렬히 사랑하고 국가의 독립과 자유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48]

반면 많은 한인교민들이 중국 상해와 남경일대로 강제이주를 당했었는데, 광복 후, 재산처리 문제에 관하여 적산처리위원회를 설치해서 중국정부와 같이 정리에 힘쓴 모습이 보여진다.
이소민이나 김문호는 광복군의 제복을 입고 그야말로 의기양양한 개선장군의 기풍으로 우리 교포들은 물론 중국인들로부터도 굉장한 환영을 받았다.[49] 그러나 그들은 상해에 도착한 후에 몇가지 실수를 범했다.
자기들이 임정의 근위사절이라고 자칭하면서 교포사회의 치안과 질서를 바로잡겠다고 노력한 것 까지는 좋았으나, 일제에 협력했던 교포들의 가옥이나 재물에 딱지를 붙이고 함부로 처분했던 것이 실수였다. 그 중에는 중국인의 재산도 포함되어있어 돌이킬 수 없는 과오를 저지른 것이다. (중략)
어떤 사람들은 우리의 독립운동을 비웃고 방해하기도 했다. 해방이 되자 이제는 자기들이 애국자였고 또 독립운동가였던 것처럼 날뛰는 걸 볼 때, 피가 꺼꾸로 솟구쳐 올라왔다.
이소민이나 김문호가 그런 행위를 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다. 더구나 자칭 급조 애국자들은 우리가 헐벗고 쫒기고 끌려갔을때 일본에 빌붙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긁어 모으다가 이제는 그 돈으로 세상을 요리하려 들고 있으니 그것을 보고 흥분하지 않을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
그러는 사이에 중국정부로부터 행정관이 임명되어 오고 군대가 들어왔다. 상해에 모든 기관이 그들의 지시에 따라 운영되었다. 일본인이 소유하였던 재산을 처리하기 위하여 적산처리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우리 한국인의 소유재산은 우리 교민단의 의견을 들어 처리했다. 교민단에서 몇 사람의 직원을 적산처리위원회에서 파견하여 우리 교포재산의 처리업무를 담당하게 했다.
중국정부는 일본인과 한국인 그 외의 외국인의 귀국에 따른 선박 등 모든 편의를 제공해주었다. 중국 내지로 피난갔던 우리 교포들이 귀국하려고 상해로 몰려들었다.[50]

5.1. 트루먼의 부정

OSS 수장인 윌리엄 도노반(Willian J. Donovan) 국장은 중국 내 공작활동 점검을 마치고 1945년 8월 13일에 워싱턴으로 돌아왔다. 그때는 서거한 루즈벨트 대통령 후임으로 트루먼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대통령이 되어 있었다. 워싱턴에 도착한지 불과 2일 뒤 일본이 항복했다.

1945년 8월 18일, 도노반 국장은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보냈다. 도노반 국장이 보고서 형식의 서한과 함께 하나 더 전달하려는 것이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 주석이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내는 전문이었다. 도노반 국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가 보내온 전문"이라고 명시하면서 OSS는 그 동안 김구 주석과 긴밀하게 협력하여 한국에 첩보 거점을 구축하기 위한 군사작전을 진행해왔다는 보고도 빼놓지 않았다.관련기사
미합중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대통령 각하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김구 주석이 드립니다.

우리는 한국의 독립에 대한 미국의 보증을 신뢰하며 한국의 독립이 동아시아 평화의 열쇠라고 믿는 바입니다. 우리가 자주독립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함에 있어서 미국정부와 국민의 이해와 협조적인 지원에 크게 의존하게 될 것입니다.

지난 수 개월 동안 중국에서 대일항정을 전개하면서 진행된 한국-미국 간 긍정적인 협력관계가 지속되고 발전되기를 우리는 희망합니다. 자유를 희구하던 사람들이 이를 쟁취하기 위해 희생해 온 민주 세계의 평화가 자리 잡도록 미국과 함국의 국민들이 함께 노력하여 영원히 보장하기를 희망합니다. 우리나라는 되찾는 노력을 성심껏 지원해준 데 대해 3000만 한국인을 대신하여 미국 정부와 미국 국민에게 감사드립니다.

우리는 미국과 미국 국민이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영속적인 평화를 유지하려는 물심양면의 노력에 동참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대통령 각하, 따뜻한 개인적인 인사를 보내는 바입니다.

이 서한은 도노반 국장이 트루먼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이었다. 김구 주석은 일본의 항복 선언 직후 서둘러 도노반 국장에게 재차 전문을 보냈다. 트루먼 대통령에게 전하기 위한 전문 서한을 함께 건넸다. 한국이 참전국 지위를 인정받기는 쉽지 않겠지만 이글 작전에 참여한 사실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와 역할을 트루먼 대통령에게 뚜렷하게 인식시키고 싶었다.

죽음을 무릅쓰고 적진에 뛰어들기 위해 힘든 훈련을 받던 광복군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과 열흘 전 중국에서 나눈 김구 주석과의 약속을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던 그로서는 그만큼 책임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김구 주석의 서한은 백악관 비서실 콘웨이 부인의 도움으로 트루먼 대통령 책상에 놓였고 트루먼은 보고서를 읽었다.

그러나 대통령의 반응은 뜻밖이었다. 냉담을 넘어 격노했다.

1945년 8월 22일, 제임스 번스(James F. Byrnes) 국무장관에게 보낸 대통령의 비망록에는 경멸의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비밀로 분류된 이 비망록에서 트루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라고 서명한 김구라는 인물이 보내온 전문"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라고 서명한 김구라는 인물이 보내오고 도노반 소장이 전달한 첨부 문건에 관해 언급하건데 본인이 미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는 것을 미 국무부의 관계자 볼렌(Mr. Bohlen)씨에게 질의한 끝에 알게 되었습니다. 도노반 장군은 그의 편지에서 김구 씨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라고 명시하고 있고, 도노반 자신이 그와 함께 한국에 첩보 거점을 구축하기 위해 작업해왔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김구 씨의 편지에 대해 내가 대통령으로서 답장을 보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국무장관은 도노반 장군에게 보낼 답신의 초안을 검토하기 바랍니다
국무장관은 도노반 소속 기관의 어떤 요원도 미국의 인정을 받지 않은 자칭 정부라고 내세우는 조직의 관계자가 보내온 서한을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것은 매우 적절치 않다는 점을 도노반 장군에게 알려주기 바랍니다.

미 국무부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검토 문건을 작성했고 사흘 뒤인 8월 25일 번스 국무장관이 서면으로 보고했다.
대통령께 드리는 비망록
8월 18일 이른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이라는 김구씨의 서한을 전달하여 보내온 도노반 장군에게 보내는 답신의 초안을 첨부해 보고드립니다.

별첨:
1. 도노반 장군에게 보내는 대통령 답신 초안
2. 1945년 8월 22일 리히 제독이 보낸 비망록(반송)
3. 콘웨이 부인에게 보낸 1945년 8월 18알 도노반 장군의 서한(반송)
4. 1945년 8월 18일 도노반 장군이 대통령에게 보낸 비망록(반송)
제임스 번스(미 국무장관)

친애하는 도노반 장군
본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라고 자신을 내세우는 김구씨가 보내오고 귀관이 전달한 1945년 8월 18일 서한에 대한 답신이 불가피하게 해야 할 거 같습니다.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은 자칭 정부의 대표가 우리에게 보내오는 서한을 전달하는 통로로 귀관 휘하의 요원들이 처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을 그들에게 지시해주면 고맙겠습니다.
건승을 빕니다
해리 트루먼

트루먼 대통령의 회신은 충칭 임시정부와 김구 주석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할 수 없다는 명백한 입장과 함께 경멸의 뜻까지 담고 있다. 서한을 전달한 도노반 국장 역시 대통령으로부터 심한 질책과 모욕을 받은 것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 · 지원 등에 관련한 비망록(3급비밀)

1942년 7월 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과 지원에 따라 대일항전에 대한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어떻게 달성될지에 관한 비망록이다.

1. 1919년의 한국혁명[51]이래, 한국 임시정부는 전 세계의 자유 한국인들의 기부금을 지원받아왔다. 임시정부는 1919년 이래 지속적으로 존속되어오고 있으며, 한국 및 인접지역에서 태업, 게릴라전, 그리고 온갖 종류의 파괴활동과 같은 혁명활동을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 세계 다른 어떤 나라에서도 혁명적인 활동과 파괴활동에 있어 한국임시정부와 같은 조직은 존재할 것 같지 않다.

도노반 국장이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건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일항전공조는 미 국무성과 전쟁성의 지원 하에 진행되고 있음을 관련 문건을 통해 알 수 있다. 1942년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보낸 이 보고서는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향후 공조 계획을 보고하기에 앞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이미 상당부분 공조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노반 국장은 마샬 육군 참모총장으로부터 한국인 대상으로 한 게릴라 양성소 설립을 위해 미국인 가운데 요원을 선발해 교육하는 계획을 허락받았으며, 미 국무성, 전쟁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공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나아가 "계획이 확정되는 즉시 중국 군 당국 그리고 중국 내 미군 지휘부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일항전에 공조하는 방안을 진행할 것"이라고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설명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3년 뒤 일본이 항복한 직후, 미국 정부는 그 동안 OSS의 주도로 미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간에 실제로 진행된 공조에 대해서 조차 철저히 외면하고 부인했다.

트루먼 대통령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정은 물론이고 접촉까지 금지한 후, 한 달 뒤인 9월 25일에 OSS를 해체해버렸다. 동시에 도노반 국장도 해임된다. OSS는 해체령에게 불구하고 이름만 사라졌을 뿐, 제 각기 별도 부서로 이동하다가 2년 뒤 설립된 중앙정보국(CIA)에 포함된다. OSS는 CIA의 모체였다.

5.2. 확군

확군이란 중국 내에 있는 한인청년(교민, 한적사병)들을 광복군으로 편입하여 광복군의 세력과 조직을 확대하는 것을 말하며 일제가 패망한 이후에 광복군에서 추진되었다. 초모공작의 연장선상으로 미군정으로부터 광복군이 대한민국 국군의 지위를 받는 것을 목표로 했었다.

1945년 5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한-중간의 군사협정에서
중국의 각 포로수용소가 있는 한적포로는 감화를 거쳐 한국광복군에 넘긴다.
고 하여 중국군의 포로가 된 한인청년들을 중국측으로 인계받아 광복군으로 편입하고 있었다.

확군에 대한 방침은 광복 직후 결정된다. 제 3지대장 김학규 장군이 1945년 8월 17일 충칭(重慶)으로 와서 김구 주석과 이청천 총사령에게 확군에 대한 제의를 했다고 한다. 확군은 한국독립당과 임시정부의 주요한 정책이다 활동방향으로 설정되었다.
확군의 의도
① 중국에 있는 한인 교포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무사히 귀국
② 임시정부의 국군으로서 향후 건국군대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

임시정부는 중국축에 광복군 확군문제를 교섭한다. 김구 주석은 8월 24일 임시정부의 조속한 귀국을 요청하는 비망록을 장제스에게 제출하면서 "적군 중의 한적사병을 우대하여 줄 것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무기를 광복군에 이교(이첩한다는 뜻)하여 임시정부의 기반대오를 편성하여 줄 것"을 요청한 것이다. 장제스는 이러한 김구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인다. 중국 국민당의 우티청(吳鐵城)이 이러한 김구의 요구를 그대로 정리하여 장제스 총통에게 재가를 올렸고 장제스가 이를 결재한 것이다.

일본 도쿄만(東京灣)에서 군국주의 일본의 항복 문서 조인식이 있던 1945년 9월 2일에 임시정부는 대변인의 성명을 통하여 중·미·영·소 등 연합국의 협조로 한국 해방을 가져온데 대하여 감사의 뜻을 표하는 동시에 아래와 같은 임시정부의 3대 임무를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3대 임무
① 즉시 고국으로 돌아가서 동맹국과 협력, 일본인을 몰아낸다.
② 한국 임시정부의 권한을 국민에게 반환하고, 자유 선거를 실행하여 정식 정부를 조직한다.
③ 한국 인민과 동심 육력(同心戮力)하여 한국으로 종속(從屬) 독립하게 한다.

또, 뒤이어 9월 3일에는 김구주석의 명의로 아래와 같은 국내외 동포에게 고하는 성명서와 함께 전문 14개 항목의 임시정부 당면 정책을 발표하여 해방을 맞이한 임시정부와 국내외 동포의 갈 길을 명시하였다.

고(告) 국내외 동포 서
친애하는 국내외 동포들 !

최후의 벽루(壁壘)를 고수하며 완강히 저항하던 일본 제국주의자 파시스트 강도는 9월 2일에 마침내 항서(降書)에 서명하게 되었다.

이번 일구(日寇)의 패망은 온 세상이 환호하는 일이며, 더구나 우리 3천만 한국 민족의 눈으로 조국의 해방을 보게 되니 그 흔희작약(欣喜雀躍)의 정서가 어떠할 것인가.

본 정부가 지금 30년래로 오매불망하던 조국을 향하여 전진하는 전야에 있어서 본 주석은, 특히 본 정부의 광복 사업을 위하여 애호 독려하여 주던 수만 동포와 본 정부가 중국 대륙에 유리 전전함을 따라 공동 분투하던 다수 동지들에게 본 정부의 부하한 바 사명을 피력하려 하니, 충심으로의 감격 흥분을 무엇이라 말하기 어렵다.

한 국가의 흥망과 한민족의 성쇠는 결코 우연히 되는 것이 아니다. 전일 우리나라 국운이 단절되는 데에도 반드시 허다한 수치스러운 요인이 있었으며, 금일 우리 조국의 해방도 반드시 각고 장렬한 노력의 결과이리라는 것은 3척 동자라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만일 허다한 선열의 보귀한 열혈의 댓가와 중·미·소·영 등 동맹군의 영용 혁혁한 전적이 없었다면 어찌 이런 불세(不世)의 공이 있을 수 있었으랴. 그러므로, 우리가 조국의 독립을 눈 앞에 바라보고 있는 이 때에 있어서 마땅히 먼저 우리 선열의 공적을 상기하고 맹군(盟軍)의 위업을 선양하면서 열렬한 사의를 표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가 처한 현 단계는, 본 정부에서 제정한 건국 강령에서 말한 바와 같이 건국 시기로 들어가는 과도적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아직 복국(報國)의 임무를 완성하지 못 하고 뒤따라 건국 초기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해서, 우리의 임무는 지극히 번잡하고 우리의 책임은 배나 더 중대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우리 동포는 반드시 우리의 일언일자(一言一字)와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이 모두 조국 독립 완성에 영향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인식하고 매사에 먼저 치밀하게 분석하고 명확하게 판단하며 그 명확한 판단으로 매진하여 성공에 도달하기를 깊이 바라는 바이다.

본 정부는 여기서 당면 정책을 아래와 같이 의정하였다. 이것으로써 본 정부가 현단계에서 맡은 바 사명을 중외에 천명하려는 것이며, 또한 이것으로써 본 정부의 전진 노선과 제위 동포의 당면 진로의 지침으로 삼으려 하는 것이다.

친애하는 동포들! 우리 조국의 자유와 민주 단결을 위하고 국제간의 안전과 인류의 평화를 증진하기 위하여 공동 노력으로 본 정부의 당면 정책을 실시하자. 공동 흥기(興起)하여 휘황 찬란한 전도를 개척하는 데 힘쓰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임시정부 당면정책
① 본 임시정부는 최단 기간내에 곧 환국한다.
② 우리 민족의 해방 독립을 위하여 혈전(血戰)한 중·미·소·영 등 우방 및 그 민족과 절실히 친목하여, 맹방을 협조하고 연합국 헌장에 의거하여 세계 일가(一家)의 안전 평화를 실현한다.
③ 연합국 중의 주요 국가인 중·미·영·소·불 5개 강국과 더불어 먼저 우호협정을 체결하고 따로이 외교의 길을 연다.
④ 맹군(盟軍)이 한국에 주재하는 기관 중에는 일체 필요한 일을 적극 협조한다.
⑤ 장차 열리는 평화 회의 각 국제회의에 참가하여 한국으로서 가져야 할 발언권을 행사한다.
⑥ 국외 임무의 결속과 국내 임무의 전개 등이 서로 접속 교체되는 기간내에는 과도 조치가 필요하다. 장차 전국적 보통 선거에 의거하여 정식 민주 정권이 수립되기 전에는 임시로 국내의 과도 정권을 수립하여야 하므로 국내외 각 계층 각 혁명 당파, 각 종교 집단, 각 지방 대표 및 저명한 각 민주 영수 회의를 열어 임시 정권을 조직하도록 적극 노력한다.
⑦ 국내에서 과도 정권이 성립되는 대로 본 임시정부는 임무가 완성된 것을 인정하고, 곧 일체의 직권 및 소유 문서·물품을 과도 정권에 교환(交還)한다.
⑧ 국내에 건립된 정식 정권은 반드시 독립 국가·민주 정부·균등 사회를 원칙으로 하는 새 헌장에 의거하여 조직되어야 한다.
⑨ 국내에서 과도 정권이 아직 성립되기 전의 국내의 일체 질서 및 대외 일체 관계는 본 임시정부가 임시로 책임지고 유지한다.
⑩ 교포의 안전 및 귀국하는 일과 국내외 거주 동포를 구제하는 일을 신속히 처리한다.
⑪ 적인이 시행하던 일체 법령의 무효와 새 법령의 유효를 선포하는 동시에 적의 통치 하에서 발생된 일체의 범죄를 사면한다.
⑫ 맹군과 협상하여 적산을 몰수하고 적교(敵僑)를 처리하는 일을 진행한다.
⑬ 맹국과 협상하여 적군 중에 강제 출전하였던 동포 군인을 수합, 국군으로 편성한다.
⑭ 독립 운동을 방해한 자와 매국자 등은 공개적으로 엄중 처벌한다.

대한민국 27년(1945년) 9월 3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 김구

광복군의 확군활동은 중국 각지에서 전개되었다. 1지대 2지대 3지대에서 각 중국의 주요도시로 대원들을 파견하여 확군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이다. 확군활동은 그것이 전개된 지역이 광대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전개된다.

각 지대에서 일본군 점령지역에 대원을 파견하여 그곳에 있는 일본군 소속의 한국장병들을 접수, 광복군으로 편입시켜 잠편지대를 편성하였다. 1945년 10월 말까지 7개 도시에 잠편지대가 편성되었다.
한커우(漢口) 지대장 권준
난징(南京) 지대장 안춘생, 부지대장 지달수
항저우(抗州) 지대장 김관오
상하이(上海) 지대장 박시창, 부지대장 이하유
베이핑(北平) 지대장 최용덕
광둥(廣東) 지대장 최덕신[52]
국내(國內) 지대장 오광선
총사령부(總司令部) 주상해판사처 처장 김학규
파일:SSI_20210228222902_O2.jpg
김구 주석 사열 기다리는 광복군
1945년 11월 5일 중국 상하이 장완비행장(上海江灣機場)에 태극기를 든 한국광복군 대원들이 김구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의 사열을 받기 위해 정렬해 있다.[53]

그러나 광복군의 확군활동은 중국측의 제재를 받게 된다. 중국측은 광복군의 확군에 우호적이었지만, 국내 정세가 변화하면서 광복군의 확군 방침이 달라졌다. 중국공산당이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현실에서 대규모 한인무장단체를 불안요소로 본 것이다.

1945년 12월 22일 한적포로처리변법(韓籍捕虜處理辨法)을 발표하여
각지 한국광복군의 지대, 구대, 분대는 본 군사위원회의 조사를 거쳐 원상태로 유지하며 허락없는 활동을 금지한다.
라고 한 것이다.

미국의 對한반도 정책도 크게 작용한다.
미군정 사령관 하지는 임시정부를 환국시켜 이들을 이용하려는 생각도 가지고 있었지만, 태평양전쟁 기간 동안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던 미국은 끝내 임시정부를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군정은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입국을 거부하였고 임시정부와 광복군은 전부 개인자격으로 환국해야만 했다.
김국주: 우리 광복군 생활은 오직 일본을 타고하고 조국을 광복하는 것이 전체 목표였는데 타력에 의해서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니 무한한 허탈감이 들었습니다. 백범 선생은 일제의 무조건 항복 소식을 듣고 하늘이 무너지는 느낌이었다고 술회했지만 어디 그 분만의 심정이었겠습니까? 광복군에 몸담고 있던 모든 동지들의 공통된 심정이라고 보겠습니다. 그 때 우리의 당면 문제는 중국에 있는 교포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나아가서 광복군을 국군으로 편성해서 국내에 들어갈 준비를 갖추는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베이징에는 김광언, 텐진에는 신홍균, 난징에는 장호강, 카이펑에는 박영준, 쉬저우에는 변영근, 차약도, 벙뿌에는 제가 장이 되어 현지로 나가서 교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광복군의 증편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이현희: 그 때 몇 명이나 같이 나갔습니까?

김국주: 여러 분이 고인이 되었죠. 김영일, 문수열 동지를 비롯해서 몇 명은 생존해 계시고 김용관, 김병학, 조대균, 정우진 그 외 몇 동지는 이미 고인이 되었습니다. 광복 이후 광복군의 임시 편성 지대를 만들고, 일본 군대 내에 있는 한적 사병을 흡수하여 해외 건군을 해서 국내로 들어오기로 했었는데, 결국 임시정부 자체가 개인 자격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는 국제 정치의 냉혹성은 오늘 날 우리 민족을 분단의 아픔으로 묶어두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습니다. 요는 광복군이 맞이하는 조국의 광복은 중국땅이 아니고 한국땅이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일제의 조기 항복은 이 민족을 분단의 비극으로 몰아넣고 말았습니다. 일제에 항거한 전후 50년 동안 60만의 선열이 희생되었는데도 우리 민족은 타력에 의해 광복이 되었다고 해서 자기 민족의 업적을 부정하는 지난 날의 사회 지도 계층의 사고 개념이 수치스러울 뿐입니다. 여하튼 우리 자랑스러운 독립운동을 했는데 귀국할 때 피난민을 수용하는 LST를 타고 나오면서, 광복군 중에는 한적 사병들한테 집단 구타를 당하는 일까지 있었습니다.[54]

5.2.1. 한국광복군 예비대

파일:광복군예비대 금고발견.png
1972년 1월 13일, 서울시청 본관 4층 복도 북쪽의 12호 창고내 벽에 위치한 한 금고는 일제시대에 설치된 이후 열쇠가 없어 잠겨둔 채 방치되어 있었다. 이 금고는 1971년 12월부터 개시된 청내 창고에 대한 일제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개방이 결정되었으며 금고의 크기는 가로 2m, 세로 1m, 높이 2.2m였다.관련기사
파일:00500883_20180304.jpg
우리가 알고 있는 광복군 군복은 광복 이후 국내 일본 학도병 군복을 이용해서 만든 것이다.
발견 당시 기록사진[55]

1월 12일 서울시 당국은 금고제조 전문기술자에 의뢰하여 오후 4시부터 개문 작업을 시작, 13일 오전 10시 반 문을 용접기로 절단하는데 성공하였다. 금고 안에는 서류, 책자 등과 함께 폭발성 물질이 담긴 것으로 보이는 깡통 등이 발견되어 경찰관 및 관계자들을 입회 시킨 후 물품 정리를 계속하였으나 혹시 사고가 날 것을 우려하여 일단 봉인한 후 같은 날 밤 11시 반부터 작업을 속행하여 14일 새벽 4시까지 물품 정리를 완료하였다.

서울시는 발견 물품의 목록을 정리하여 문화공보부[56]에 조사를 의뢰하였으며 문화재 관계관들을 통한 면밀한 조사가 이루어 진 후 발견 물품들은 문화공보부 및 군 기관에 이관되었다.
발견된주요물건
▲대한민국 개선·환영대회 약도
▲각 정당 단체 해설 1권(45년 여론사출판)
김구 선생 친필 족자 1개
▲임시정부 환국·환영대회 계획서 1장
▲군무부장 김원봉 보고서
▲수표책 2권 (조선식산은행 1945년 12월)
▲대한 국군 준비 총사령부 공고문(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주석 김구)
▲우리 정부 27년 약사1권
▲신 조선보(신문 2장)
리청천(백산)광복군총사령이 김승학씨에게보내는 명함메모
▲한국 광복군 개성원호회의 경리관계서류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용(책 1권)
▲김윤식씨 서류 8장
▲한국 광복 예비군대 발행 증명서 및 금전 출납부
▲북경 사진첩
▲소화(昭和) 7년(=1932년) 경성 지도 37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예비대 사령장 5장
▲광복군 제 2지대 편성관계문건
▲군복 상의 2개, 하의 1개
▲전투모 5개, 정모 1개
▲인물사진 57장
▲조선은행권 2천7백4원·만주은행권 81원
▲일본은행권 6만5천9백76원5전

1945년 12월 16일 조선일보 광복군 예비대 이전에 대하여 보도된 적이 있다.
파일:광복군예비대 이전.png
광복군 예비대 본부 이전
7년 전(1938년)에 임시정부 특명을 받고 입국한 유진식씨를 중심으로 사방 동지를 규합하여 광복군 정신으로 편의대를 조직하여 왜적의 가혹한 법망 속에서 지하공작을 계속하여 오다가 1945년 8월 15일 이강차 체계를 한층 강화하여 건전한 지상운동으로써 국가의 가장 견실한 간성 인재를 양성, 9월 6일 대전시에서 한국 광복군 예비대 훈련소를 설치하는 동시에 절대후원기관인 본 협찬회도 조직된 것으로 금반 임시정부 환국을 일으켜서 예비대 본부는 서울 역전으로 협회는 서울시 고시정 19번지로 각각 이전하고 가장 질서정연히 오직 국방공작에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중인데 그 부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문
조성환 회장
조소앙 부회장
서창휘 간사장
임지수 총무부장
한인구 재무부장
림지수 사업부장
홍종오 선전부장
이재호 실천부장
조두환 외사부장
이범용 조사부장
정길수 참의원
의장 정재하
부의장 이종영
참의 서창준, 이상준, 이병기, 송태식, 권태훈

한국광복군 제2지대 대원이었던 장준하(張俊河)는
1945년 11월 23일에 오광선(吳光鮮)이 김구(金九)의 지시에 따라 귀국하여 국내지대를 만들었고 대원들은 모두 국내 청년이었다고 증언하였다. 당시 광복군 국내지대, 기타 국군준비대 등 각종 단체들이 많았는데, 광복군예비대는 김구(金九)와 가깝게 지내던 김승학(金承學)를 배경으로 하여 조직된 것 같으며 당시 국내지대 요원은 100명 정도로 환국한 임정요인들의 경호역할을 맡았다.
고 언급하였다.

광복군예비대의 창설과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김용훈(金容勳), 김여산(金如山)의 증언이다. 당시의 보도 기사 간 증언 내용이 다소 차이가 있어 각각을 분리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파일:예비대부사령관 김용훈씨.png

김용훈(金容勳, 1972년 당시 그의 나이 64세) 증언

『동아일보』에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57]
광복군예비대는 1945년 9월 유진식의 주동으로 대전에서 창설, 공식 명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예비대였다. 유진식은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 암살[58] 등의 활동을 했던 김구(金九) 휘하의 한인애국단 동지회원이었으며 광복군예비대 창설 당시 총사령은 김형동이었다. 이 광복군예비대는 창설 후 두 달 뒤 서울로 옮겨 후암동 병무청 자리[59]를 본부로 사용하다가 다시 남대문 경찰서 부근으로 위치를 옮겨 임시정부 환국 환영 준비와 국내 치안유지를 위해 힘썼다.

『조선일보』에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60][61]
당시 서울의 치안 확보를 위해 서울시청에 (광복군예비대의) 파견대가 주둔, 별관 일부와 본관 2층 회의실을 사용하였는데 1947년 광복군예비대 협찬회에서 횡령사건이 일어나 관계 서류를 압수 시청파견대에 보관시킨 것이 금고 안에서 발견된 서류들인 것 같다.
고 증언하였다.

『경향신문』에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62]
금고 안에서 발견된 물건들은 광복군예비대 파견대와 광복군(예비대)협찬회에서 맡긴 물건들로 1947년 1월 광복군예비대협찬회에서 문제가 생겨 협찬금 관계 서류를 서울시청 파견대에 가져다 보관시켰는데, 당시 보관책임자인 송재흥(宋在興)으로부터 서울시에서 가장 안전한 금고에 보관했다는 보고를 받았다.

광복군예비대는 유진식(일명 유진만)을 중심으로 김용훈(金容勳)과 권오훈(權五勳), 한강현(韓康鉉) 등이 1945년 9월 1일 귀국하지 않은 광복군과 임정요인들의 환국 준비 등을 위해 대전에서 결성되었다. 광복군예비대 창설의 주역인 유진식은 윤봉길(尹奉吉), 이봉창(李奉昌)등 의사 등을 낸 한국애국단 회원으로 조선총독[63]을 암살하려다 무기형을 선고 받고 대전 형무소에서 복역 중 해방과 더불어 출감한 독립투사였으며 유진식이 창설한 공식명은 재중대한민국임시정부 광복군 예비대(在中大韓民國臨時政府 光復軍豫備隊)였다.

광복군예비대는 1945년 11월 대전에서 서울 용산구 후암동 당시 병무청사로 임시본부를 옮겼으며 예비대를 위한 협찬회가 결성되었다. 그 후 1946년 5월 본부를 다시 서울역 앞 남대문서 자리에 있던 일신빌딩으로 옮겼고 지방조직 확대와 김구金九 주석 등 상하이(上海) 임정요인 환국준비에 앞장섰다.

광복군예비대의 대원 숫자는 8,500명 가량으로 총사령은 중국바오딩군관학교 출신 김형동이었고 부사령은 김용훈(金容勳) 본인이 맡았다. 그러던 중 좌·우익 세력이 서로 충돌, 서울의 치안이 불안해지자 예비대는 시청 2층 회의실을 빌어 사용했으며 이 장소에 광복군예비대의 관계 문건과 예비대협찬회의 장부 등을 보관하였다.
고 한다.

김여산(金如山, 1972년 당시 58세)의 증언

『동아일보』에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64]
광복군예비대는 전위대에서 3개 중대 규모로 1946년 2월 서울시 창신동 강문중학교 자리에 본부를 두고 발족되었다. 당시 서울운동장에서 신탁통치 환영대회가 열리려 하자 이를 분산시키기 위해 총격전까지 벌어지고 관련 인물들이 체포, 투옥되었는데, 그때 예비대에서 쓰던 비품과 문서들이 압수되어 서울시청으로 옮겨 졌을지도 모른다고 김여산(金如山)은 증언하였다. 또한 금고에서 발견된 토지대장, 헌금 문서 등은 일제시대 자작(子爵)을 지낸 이예한(李豊漢, 1885~1950)등이 기증한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

『조선일보』에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고 안의 물품들은 1945년 9월~1946년 2월까지 서울에 있었던 광복군 국내지대(國內支隊)인 광복군예비대의 것으로, 김여산(金如山) 본인은 1945년 9월 만주 허투알라(興京)에서 광복군 총사령 이청천의 명에 따라 ‘대한건국군 전위대사령부 부사령’이란 비밀 직책을 받고 귀국하여 서울 창신동 현 용문중학교 자리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건국군 창설활동을 벌였다. 당시 존 하지(John Reed Hodge, 1893~1963)가 사령관으로 있었던 미군정이 국방경비대 창설을 반대하는 자신을 투옥하였고 1948년 출소해 보니(실제는 1947년 7월 출소) 사령부에 있던 서류·장비·재산 일체가 없어졌으며, 어떻게 서울 시청 금고 안에 보관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하였다

광복군예비대의 대원수는 1972년 서울시청 금고 개방 당시 김용훈(金容勳)의 증언에 따르면 8,500명 가량이었다고 한다. 다만, 오광선(吳光鮮)휘하의 광복군 국내지대의 요원이 100명 정도였다는 장준하(張俊河)의 증언과 환국한 임시정부 요원들의 경비를 담당한 광복군예비대의 규모가 약 100명이었다는 언론보도 등을 고려하면 이는 과장된 숫자로 보인다.

광복군예비대는 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을 지지하는 세력으로서 해방정국기에 국내에 창설, 운영된 군사조직이다. 광복군 예비대는 1972년 서울시청 12호 창 고내 금고에서 관련 유물이 대거 발견됨으로써 그 실체가 공개되었으며 이 때의 발견 자료 중 일부가 군기관으로 이관되어 현재까지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과의 연관성

중국에서의 한국광복군 활동에 직접 참여한 이범석, 장준하 등의언급으로 볼 때 광복군예비대의 설립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또는 중국의 한국광복군 지휘부 등으로부터 직접적인 지시로 이루어진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 국내의 창설된 공식적 성격을 지니는 광복군 지부는 오광선(吳光鮮)을 지대장으로 하는 광복군 국내지대였다.[65]

다만, 육군박물관 등 현재 기관 소장품 중에서는 확인되지 않지만 당시 서울시청에서 발견되어 신문기사에 언급된 광복군예비대 관련자료 중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한국광복군 국내지대와 관련한 문서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은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임시정부환국 환영대회 관련 문건, 군무부장 김원봉 보고서: 김구 임시정부 주석으로 보내는 광복군 국내 제 2지대 설치에 관한 공문, 제2지대[66] 편성 관계 문건, 김구 명의의 대한국군 준비 총사령부 공고문,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이청천이 광복군 국내지대 사령부의 고문 및 국내 광복군 제2지대장 역임한 김승학(金承學)에게 보내는 명함메모, 한국광복군 개성 원호회의 경리관계 서류철이 그것으로, 광복군예비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광복군 국내지대의 설치, 편성과 관련하여 일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67]

또한 당시 임시정부가 해방 후 국내에 들어갈 광복군의 조직과 세력을 확대하고자 적극적인 확군활동(擴軍活動)을 펼쳤다는 점, 광복군예비대 주요 간부에 독립군·광복군 활동을 직접 수행했던 인물들이 포함된 점, 광복군예비대가 임시정부의 주요 요인이 머물렀던 장소를 경비했다는 사실 등을 고려하면 국내 임시정부 지지 세력을 중심으로 결성된 광복군 예비대가 임시정부 및 광복군 국내지대와 교류 혹은 그 이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앞서 언급한 자료들은 현재 실물로서 확인되지는 않으므로 추가적인 자료 발굴과 확인이 필요하다.

5.2.2. 가짜 광복군 논란

서훈 잡음은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① 친일파 서훈
② 5단계로 나뉜 건국훈장 등급
③ ‘가짜’ 또는 ‘자격 미달’ 광복군이다.[68]
여기서 '자격 미달' 광복군이란 일제의 항복 이후 광복군은 대대적인 확군을 통해 훗날 건군의 기반이 될 거대한 군대를 건설하려 했었는데, 이 당시 일본군 출신들이 많이 광복군으로 들어왔었다. 지청천 같은 인물도 원래 일본군 출신이었다가 독립군으로 귀순한 케이스인지라 광복군은 일본군 출신도 받아주었는데, 문제는 이들이 과연 광복군 소속이었다는 그 이유 하나 만으로 독립운동을 했다 말해줄 수 있는가였다. 그래서 독립유공자를 서훈 할 때는 일제의 항복 이후 광복군에 편입된 약 2만 ~ 9만 정도의 광복군 병력들과 독립유공자는 구분해야 했다.

1960년 7월 29일 열린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화암 선생은 사회대중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 갑 선거구에 출마했다. 이때 정화암은 곽상훈으로부터 사상공세를 당하게 된다. 곽상훈은 당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던 조한백을 지원하는 연설을 했다. 이때 곽상훈은 상대방 후보인 정화암을 사상으로 공격하였다.
"정화암은 무정부주의자입니다. 공산주의의 사촌쯤인 무정부주의자에게 이나라 정치를 어떻게 맡기겠습니까"
정화암 선생은 거물급 독립운동가였지만, 그의 수기가 만들어진 것은 그가 사망한 1981년이 지난 1년 후나 되어서야 나오게 된다. 독립운동에 대한 이해도 없고 독립운동에 대한 사상조차도 반공이념 논리에 뭍히고 사람들이 따라주니 말이다. 독립운동의 거물급도 이런데, 그 밑에서 일했던 대원들의 수기는 말할 것도 없이 역사 속에 뭍히는 경우가 많다.

광복군 숫자에 과장이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 이유는 기존의 광복군에 '해방 후 광복군'이 대거 포함됐기 때문이다. 2005년 SBS 삼일절 특집 뉴스추적 취재에 의하면, 1945년 4월에 작성된 대한민국임시정부 문서에는 광복군의 인원이 339명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로 선정된 광복군은 560명이다. 이들 중 해방 후인 8월 19일에 입대한 사람도 있다.

광복군 군무부장을 지낸 약산 김원봉이 작성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문서> ‘광복군 현세’를 보면, 1945년 3월 현재 광복군의 수는 총사령부 108명, 1지대 89명, 2지대 185명, 3지대 119명, 기타 13명 등을 합쳐 514명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 가운데 중국인의 수는 65명으로 이를 뺀 광복군의 실제 인원은 449명이다.#

특히 광복군의 확군 정책에 의하여 일본군포로로 중국군 포로수용소에 잡혀있던 한인출신 포로들이 광복 직후 임시정부에 무더기로 승계되고 이들이 광복군으로 편입돼 임시정부과 같이 귀국하면서 인원이 부정확해졌다는 분석이 많다. 가짜광복군 논란은 토교대(土橋隊)을 비롯, 비호대(飛虎隊)와 3지대 등에서 주로 불거지고 있다.[69]
그 무렵 상하이에는 항전지구에서 독립운동하다 왔다는 사람과 윤함지구(일본군 점령지)에서 지하공작을 하다 왔다는 하는 정체불명의 투사들이 하나둘씩 나타나서 "동포여, 나를 따르라"고 소리치고 떠돌아다니면서 임시정부를 팔아대고 있었다. 누구를 알고 누구와 같이 독립운동 했다고 약장수 고약 팔듯 말하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들에게 놀아나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이 부지기수 늘어나고 있었다. 그 정체불명의 투사들이 임시정부의 누구를 알고 누구와 같이 독립운동을 했다고 하는 그 명사의 이름은 우리는 물론 오래된 상하이 교민들도 아는 사람이 없는 걸로 보아 사기꾼들임이 분명했다. 체포하려고 수배하자 36계(도망) 하는 바람에 놓치고 말았다. 이 모두가 홍커우 쪽에 사는 신 상하이 교포들을 상대로 사기치고 다니는 자들이었다.
일제 치하 교관 하나만 잘 사귀면 일확천금하던 때를 잊지 못하고 있는 일부 신 상하이 교포들 중에는 아직도 일확천금을 꿈꾸도 있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런 사람들 때문에 속이고 속고 이용하려다 이용당하는 사람들이 빈번히 일어났다.

일제의 패색이 짙어지면서 해방 직전 혹은 직후 일제가 패망하였으니 광복군으로 사칭해도 전투할 일은 없고 주로 광복군 지위를 이용하여 귀국할 때, 한 자리 해볼 생각으로 달려드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번에는 광복군 제 1지대 2구대장 이소민 상교의 저장성 공작대장이라고 하는 전○○이란 사람이 나타났다. 이소민 상교가 아니고 장군이라고 하며 우리가 광복군 제 1지대 2구대 이소민 장군의 소속이라면 자기 직속상관의 계급은 알고 있어야 할 것 아니냐며 상하이는 저장성 공작대 산하에 있는 만큼 공작대장인 자기에게 허락받지 않는 상해판사처는 인정할 수 없다는 얼토당토 않은 모략을 하고 다닌다는 말이 있었다.
그 정체를 수소문해 보았더니 1945년 4월 하순경 17명이 난징을 탈출하여 동년 5월 제 3전구 꽝더쎈마오린(廣德縣茂林)[70]에 와서 반일공작을 구상 중일 때 일본이 1945년 8월 15일 무조건 항복함에 따라 빈손 들고 돌아가게 된 신세를 어디다 하소연 할 데가 없어 전○○은 동대 저장셩 특파원이라는 직함을 얻어 가지고 돌아갔다고 한다. 전○○은 저장썽 어디에 연고를 둘만한 곳이 없어 상하이에 와서 상하이에 자기 관할이라고 행정구역조차 구별할 줄 몰라 망발하고 다니다 상하이 교포들에게 호되게 욕을 보고 난징으로 도망쳤다.
그 외에도 항일지구에서 해방 후, 상하이에 와서 남의 일에 훼방이나 하고 흑색선전을 하고 다니는 사람들 때문에 독립운동을 한 사람들의 위신이 땅에 떨어져 말이 아니었다. 이러한 현상을 일찍이 독립운동에 투신한 일부 독립투사들이 상하이임시정부를 찾아와서 자기 개인 중심의 세력을 구축하기 위해 열을 내서 남을 헐뜯고 욕하던 때와 심지어는 왜놈의 스파이로 몰아붙이던 시절도 있었다고 하며 세상의 온갖 추잡한 소문을 내서 모함하고 망신을 주던 일들이 꼬리를 물고 일어나 판사처에 모여 앉아 한창일 때 오래된 상하이 교민들은 옛날부터 항상 듣던 말들이라고 흥미를 두지 않고 있었지만, 새로 온 상하이 교민들에게는 처음 듣는 말들이라 흥미를 느끼고 귀담아 듣느라 점심때를 잊고 판사처 한쪽의 자리를 비워줄 줄 모르고 있었다.[71]

1963년에 대통령 표창을 받고 서훈 이후에도 죽을 때까지 자신의 회고록을 출판하지 않고 가지고 있다가 사후 또는 2010년 넘어서 유가족들이 출판하는 경우가 종종있는데, 살아생전에 자세하게 이야기를 하면 누군가 그걸 이용해서 개명하면서까지 사기꾼들이 달려들기 때문이다. 위의 경우 유기석의 한교전지공작대를 사칭한 절강성 공작대였고 이소민 상교(대령)의 계급도 모른 채 자기 상상으로만 사칭한 케이스이다.

5.2.3. 루머 "박정희 비밀광복군설"

박정희 비밀광복군설은 일제말기 박정희가 독립군인 광복군의 일원으로 비밀공작원이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사실은 앞서 말했던 광복군의 확군(擴軍) 과정 즉, 일제가 패망 후에 만주군, 일본군 소속 한국인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해방 후 광복군'에 잠시 있었을 뿐이었다.[72]

이 비밀광복군설의 근거는 196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광복군 출신의 박영만이 출판한 '소설' 광복군에서 출발한다.
파일:소설 광복군.jpg
박영만, 소설 광복군, 협동출판사, 1967

상.하 2권짜리 책으로 상권은 광복군 3지대장이자 확군(擴軍)과정에서 총사령부 주상해판사처장을 맡았던 백파 김학규 장군을 주인공으로 한 것이고, 하권은 박정희[73]가 주인공이다. 이 책이 박정희가 광복군의 비밀요원이었다는 잘못된 내용을 담아 보수 일각에서 박정희의 친일논란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

당시 정황을 비교적 잘 아는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은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줄 알고 소설 광복군을 썼는데, 내용을 훑어본 박 대통령은 "내가 어디 광복군이냐. 누가 이 따위 책을 쓰라고 했냐?"며 화를 냈고, 결국 박영만은 돈 한 푼 못 받고 거창하게 준비한 출판기념회도 치르지 못했다.
고 증언한다.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한 책은 더 있다. 박정희 정권에서 합참의장, 국회의원을 지낸 장창국[74]은 1984년 출간한 ‘육사 졸업생’에서 박정희가 비밀 광복군에 가담한 경위를 이렇게 기록하는데, 광복군 출신 박영만의 논 픽션의 소설 광복군이 계속 와전되면서 진실로 믿어버리게 된다.
파일:장창국 육사.png
장창국, 육사졸업생, 중앙일보사, 1984.
“신태양악극단이 1945년 2월 9일 (만주군) 7연대에 들어가 공연을 했다. 광복군은 이 악극단에 잡역부를 가장한 공작원 이용기를 투입했다. 이씨는 부대 간부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박정희 중위, 신현준 대위와 만나는 데 성공했다. 이씨는 광복군 총사령관 이청천 장군의 직인이 찍힌 광복군 임명장을 박 중위와 신 대위에게 줬다. 이래서 그들은 광복군 비밀요원이 됐다.”[75]

파일:박정희 만주일보.jpg

물론 1942년 박정희는 만주군관학교 예과를 수석으로 졸업하며. 다카키 마사오(高木正雄)로 창씨개명을 했고 수석 졸업생으로 "대동아 공영권 이룩하기 위한 성전에서 나는 목숨을 바쳐 사쿠라와 같이 훌륭하게 죽겠습니다"라고 선서하며 일본에 충성을 맹세한건 사실이다. 그럼에도 박정희 자신도 광복군을 부인하고 만주국군 동료들도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5·16 쿠데타 동지인 박창암 전 혁명검찰부장도 박 전 대통령의 비밀광복군설을 부인하는 증언을 한 것이 정운현이 쓴 <실록 군인 박정희>에 나온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당시 1945년 7월 중위로 진급한다.
1945년 8월 보병 8단 예하 각 부대는 둬룬(多倫)으로 진출해 소련군의 진격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받고 8월 10일에 출발하여 17일 집결했으나 일본이 패망 소식을 접하고, 8단의 중국인 군인들에 의해 신현준 등과 함께 직위에서 해임되고 무장해제당했다.

1945년 9월 팔로군의 지휘를 받는 6단과 함께 미윤으로 이동한 후, 9월 21일 도망치기 위해 소속 부대가 없어진 박정희는 신현준, 이주일 동료들과 함께 베이징 쪽으로 건너가, 일본군과 만주군에 소속되어 있던 장교 경험자를 찾고 있던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가 지휘하는 제1대대(평진대) 제2중대장에 임명되어 광복군 장교로 활동하였으나 광복 이후에 편입이 된 것이기 때문에 독립운동과는 무관하다.

1946년 4월 평진대(제1대대)가 해산한 후, 1946년 5월 8일 미군정의 방침에 의해 미군 수송선을 타고 부산항으로 귀국하였다.[76]

5.3. 귀국

중국정부와 연합군 총사령부 사이에 한인 송환문제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고 1946년 1월부터 미군정 당국 주도하에 한인들의 송환이 이루어졌다. 1차로 2월 하순 칭따오(靑島)항에서 광복군 대원들이 교포들과 함께 귀국하였고 이후, 중국의 여러 항구에서 미해군측이 제공한 LST함정으로 광복군의 귀국이 계속된다.
1946년 3월 4일, 오후 2시부터 승선을 허락한다고 해서 그날 점심은 셋째 형과 천더썽, 박시준 두 형과 나 4인이 합석을 했다. ...(중략) ...나 자신은 임정요인들이 개인 자격으로 고국으로 돌아간 마당에 내가 피난민의 신세가 된 것이 부끄러울 것이 없었으나 후세 사람들이 볼 때 나라를 찾아 독립운동을 하겠다고 나서 줄 사람이 있겠는가 하는 것이 걱정이면 걱정이었다. ....(중략)... 우리가 승선할 배는 L.S.T.미해군 함정 3척이 나란히 있는 중에 맨 앞쪽이었다. ...(중략)...오후 6시쯤 되자 배는 기관소음이 커지고 고동소리를 내면서 움직이기 시작했다, 황포강을 빠져나올때는 밤이었고 파고에 밀려서 배는 요동치기 시작했다. (중략) 3월 10일에 부산항에 기항한 배는 방역검사와 허열병 예방소독으로 인하여 13일 상륙이 허락되었다.[77]

광복군 총사령부 수뇌부는 광복군 전 대원들과 교포들의 수송이 완료된 후 최종 선편으로 귀국한다.
1946년 5월 16일 총사령부 이청천 장군은 광복군 복원선언을 발표하여 광복군의 공식적인 해체를 선언하고 1946년 5월 26일 국내로 귀국하게 된다.

하지만, 광복군의 지위와 편제를 유지하며 귀국하는 길은 미국과 미군정에 의해 거부되고 차단된다. 대부분 민간인 난민[78]과 함께 귀국 행렬에 끼어 인천항, 부산항을 통해 귀국했고 일부는 만주와 북한 지역을 거쳐 개성으로 귀국했다. 이들의 귀국 후 활동은 미군정에 의하여 철저한 감시를 받았고 결국 해체된다.
1946년 2월 20일, 중국에서 인천으로 귀국한 광복군 2명이 간첩혐의로 체포되었습니다. 미군 첩보부대에 체포된 사람은 광복군 백순보 소령과 강공희입니다. 미군 수사 당국은 강공희라는 이름이 가명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강공희는 첫 심문에서 자신은 한국에서 첩보 활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선발되었다고 진술했습니다. 또 다른 1명인 백순보는 광복군 소령이며 강공희의 직속상관이라고 밝혔습니다. 첩보부대는 광복군 2명에 대한 수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1946년 2월 12일, 미군정 G-2보고[79]는 광복군 간부가 미 군복을 입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수모를 겪은 사실을 전하고 있다.
광복군에 관한 보고입니다. 광복군은 김구와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조직입니다. 최근 군정은 이 단체의 해체를 명령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 2월 12일 중국에서 중대장이었던 허상신[80]이 미군 당국에 체포되었습니다. 그가 미 군복을 입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어 진행된 취조에서 허상신은 중국에서 한국으로 귀환하는 광복군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언젠가 서울에서 다시 규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최근 김구 주석을 방문한 바 있으며 그는 곧 임시정부에서 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자신이 입고 있는 미 군복은 중국에서 미군과 함께 일할 때 지급받은 것이며 한국 귀국 시 소지할 수 있다록 허용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허상신은 구금상태에서 풀려났습니다.

1946년 2월, 미군정 정보 보고에 따르면 광복군은 미국과 미군정의 적대 조직으로 간주되어 국내에서는 물론 중국에서도 미군이 파악하고 있었다. 1946년 2월, 주한미군사령부 상하이 주재 연락 사무소 요원들은 OSS와 함께 이글작전을 준비했던 광복군 이범석 장군의 동향을 보고했다. 미군 측은 이범석 장군이 중국에서 임시정부의 김구 주석을 대리하는 직책을 내세우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중국 정부 당국은 이범석 광복군 중장이 그 자신과 광복군 전 장병들의 본국 귀환을 위해 도움을 받으려고 애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범석 장군은 자신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총참모장이며 김구 주석의 중국 대표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 보고에는 중국 내 한국 거류민 협회가 광복군의 지원 업무를 주도하고 있는데, 과거 김구 주석이 설립해 현재는 장흥 대령이 이끌고 있다며 매우 정치 지향적인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또 그들의 정치적 이득을 위해 중국 내 한국인 군인[81]들을 휘하에 두려고 애쓰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군정 상하이 주재 연락 요원들은 장흥 대령이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시에 따라 중국 국민당 군대에 소속된 한국인 장병들에 대한 군사훈련을 시작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를 위해 중국 키왕완(Kiangwan) 기지[82]에 일본군 출신 한국인 병사들로 구성된 조선청년협회를 설립했다는 것이다. 또 국민당 정부는 일본군 출신 한국인 장병 전원에 대하여는 향후 한국 귀환을 별도로 진행하기 위하여 별개의 조직 아래 두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보고 있다.

미군정 상하이 사무소는 중국군이 1945년 1월 10일,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 내 한국인 출신 군 병력은 1만 1,622명, 민간인은 4만 5천 명이라고 보고했다.

1946년 2월 15일, 미군정 정보처는 중국 텐진에서 출발해 인천에 도착한 광복군이라고 주장하는 60명을 심문한 결과, 국민당 정부와 임시정부의 조선전재민구제회가 함께 한국인들의 귀국을 돕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중국과 광복군 간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드러났다고 보고했다. 또 광복군 교화 교육을 마친 광복군 병사들로 하여금 김구 주석을 국가수반으로 하는 한국 정부에 대한 충성 맹세를 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심문을 받은 60명 가운데 57명은 구제회로부터 난민지원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광복군에 입대해 1~3개월 과정을 밟으면서 의식화 교육을 마쳤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들은 자격을 완전히 갖춘 광복군 병사로서 현역 소집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는 언질을 받았다고 진술했습니다. 이들은 모두 한국의 공식 국가수반인 김구주석에게 충성을 서약했습니다. 심문을 계속한 결과 중국에 체류 중인 광복군은 날로 증원되고 있으며 한국이 완전 독립이 될때까지 중국에 있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현재 한국에 귀국 중인 광복군 인원은 아주 적은 수에 불과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미 정보 보고는 광복 직후 김구 주석을 도와 광복군의 세력 확장을 주도한 인물로 장흥 대령을 지목하고 있었다. 장흥 대령은 1903년 경기도 고양 출생으로 1927년 8월 여운형(呂運亨)의 추천으로 황푸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를 입학하여 마친 뒤 중국군에 입대했다. 1935년 5월 중국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의열단을 조직한 약산 김원봉[83]의 권유로 의열단에 가입했다. 난징헌병사령부에 소속되어 독립운동가의 신변을 보호했고 조선민족혁명당에 가입한 후에는 일본 첩차들이 수집한 정보를 탐지해 조선혁명당 고위층에 전달, 장애 요인을 제거하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또 중국에 있는 일본군 내 한국인 학병 수십명을 집단탈출시켜 광복군에 편입시키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광복군 참모로 전임되어 교포의 안전한 귀국을 지원한다.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1949년 초대 헌병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 김구 암살 사건이 벌어진 직후 사령관직에서 해임된다. 임명 4일만의 일이다. 이후 제 6사단장을 지냈고 예비역 소장을 전역해 원호위원장[84]을 거쳐 광복회 부회장을 역임한다.

장흥 대령의 발자취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과 미군정이 향후 한반도를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간의 충돌가능성을 예견하고 친중국 성향의 광복군에 대하여 적대 및 차단 정책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승만 정부 수립이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가 친일파를 기용하면서 김구파 광복군은 군과 경찰 내에서 숙청이 된다.

5.4. 한국광복군 복원선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광복군 복원선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 복원선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 복원선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46년 5월, 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 선전과장으로 있던 나는 총사령 이청천 장군으로부터 「광복군 복원선언(光復軍 復員宣言)」을 기초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조일문: "복원선언이 무엇입니까?
이청천: "대학까지 나온 사람이 그것도 몰라?"

나는 어리둥절했다. 그러나 아무리 명령이 지엄해도 모르는 건 모른다고 할 수밖에...

이청천: "동원한 군대를 제자리로 돌려보내는 거야."
조일문: "그러면 「해산 선언」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이청천: "아니야!"

총사령의 불호령이 떨어졌다. 그러나, 나는 별로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의 강직한 표정 되에 숨어 있는 부드러운 인간성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윽고, 나는 그로부터 선언에 담고자 하는 내용을 자세히 들었다. 특히, 그게 "필요할 때에는 언제든지 다시 총을 들고 싸우겠다."라는 부분을 강조하신 말씀에 가슴이 뿌듯했다. 나는 초고를 쓰고는 고치고, 고치고는 또 쓰며 밤을 새웠다.

초안을 받아 본 정훈처장은 좋다고 했으나, 총사령은 읽어보자마자 휙 던져 버렸다.

이청천: "이게 「선전 포고」지, 「복원 선언」이야?"

나는 울화가 치밀었다. 기껏 애를 쓰고도 이런 모욕을 당하다니..... 나는 마루 바닥에 떨어진 원고를 줍지도 않고, 그대로 내 자리에 돌아가 버렸다. 정훈처장이 그것을 들고 와서 나에게 좋은 말로 위로했다. 분을 가라 앉히고 나서 다시 읽어보니, 과연 평화 복귀 선언으로는 너무 생경(生硬)하고 도발적이었다.

'좀 더 원숙하고 무게 있는 글을 써야 하겠구나.'

나는 밤새 쓴 원고를 갈기갈기 찢어 버렸다. 그리고는 찬물로 머리를 감고 다시 붓을 들었다. 붓의 흐름은, 어떤 데에서는 대하처럼 거침없이 내려갔으나, 어떤 데에서는 암벽에 부딪쳐 산산 조각이 났다. 간신히 돌을 치우고 길을 파서 흩어진 물줄기를 모으니, 또 한 밤이 지났다.

원고지는 온통 빨간 글씨로 물들었다. 그 위로 꼬불꼬불 모세관같은 혈맥이 통했다.

"본 군은 국내외 무력 혁명의 대통(大統)을 계승하여...."로 시작된 이 선언은 "이제 숙적 일본의 항복으로...본군은 복원을 선포, 전 대원이 귀국하여 조국 건설사업에 참가할 것을 명한다."로 한 단락을 지었다. 그러나, 이 글의 주안점은 "만일, 우리의 자유와 독립을 침범하는 제 2의 적이 나타날 때에는, 본군은 다시 놓았던 총을 잡고 전장에서 그들을 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는 대목을 이었다. 끝은 전사한 동지들의 명복과 연합군에 대한 감사의 표시를 맺었다.

나는 최종적으로 다듬은 원고를 붓으로 깨끗이 정서했다. 먹물에 찍어서 썼다기보다는 폐부에 붓을 담궈서 쓰는 심정이었다. 처장 - 참모장 - 총사령이 일사천리로 재가했다. 참모장은 곧 중국인 연락 장교를 불러서 중국어로 번역케 했다. 다시 중국어 번역문을 검토한 다음, 이를 인쇄하여 군 내외에 배포했다.

지금으로부터 38년전의 일이다. 나는 그때의 일들이 강물에 띄워 보낸 지 이미 오래이다. 어느 날, 대학 도서관에서 헌 책을 뒤적거리는데, 「이청천 장군전(李靑天將軍傳)」이 손에 잡혔다. 주마간산으로 훑어 보다가, 맨 끝에 붙어 있는 접은 종이 한 장이 눈에 띄었다. 「광복군 복원선언(光復軍 復員宣言)」, 그것은 분명 내 글씨였다. 내가 중국어 번역문을 정서하여 석판에 인쇄한 것을, 이 장군이 문서 보따리 속에 넣어 가지고 돌아오신 것이다.

나는 지금 눈을 감고도 그 선언의 원문이나 번역문을 줄줄 외울만큼 극명히 머리에 아로새겨져 있다. 그러나, 광복군 복원선언(光復軍 復員宣言)은 내 개인의 기억 속에 담아 둘 것이 아니라, 우리 광복운동사의 한 자료로 남겨야 할 문헌이다. 나는 기초자일 뿐, 그 문헌의 주인이 아니다. 나는 정서하였을 뿐, 서명자는 아니다. 그러나, 나는 이 문서와 더불어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추억을 간직하고 있다. (1983. 11. 19)[85]

파일:광복군 복원선언.png

이 선언은 조일문 지사가 광복군 총사령부 정훈처 선전과장 재직시, 광복군 복원(사실상 해산) 결정에 따라 기초한 것이다. 초안은 정훈처장, 참모장을 거쳐 총사령의 재가를 얻은 다음, 중국어로 번역하여 한국 광복군총사령 명의로 공포되었다. 중화민국 남경(1946년 5월 16일)에서 공표되었다.
본군(本軍)[86]은 30여 년의 줄기찬 항적(抗敵) 복국정신(復國精神)을 받들고, 국내외 무력혁명(武力革命)의 대통(大統)[87]을 계승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1907년의 의병봉기(義兵蜂起) 이래, 우리는 만주(滿州)의 밀림(密林)[88] 광야(曠野)[89]를 전전하며 적구와 싸우는 동안, 막중한 출혈과 희생 속애서 분전고투하였으나, 정의는 반드시 이기고 진리는 반드시 빛을 보리라는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1940년, 중국(中國)의 대일항전(對日抗戰)이 더욱 치열해지고 태평양(太平洋)의 전운(戰雲)이 감도는 가운데, 본군(本軍)은 중국조야(中國朝野)의 뜨거운 성원(聲援) 속에 성립되어, 중국 각지의 애국청년(愛國靑年)을 망라하니, 그 기(氣) 드높고 그 세(勢) 울연하였다. 광복군(光復軍) 성립 후 7개 성상(星霜)[90]에 걸쳐, 북(北)으로는 만리장성(萬里長城)으로부터 남(南)으로는 갠지스강(江)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제 1, 2, 3, 5, 10전구(戰區)의 중국군과 미얀마, 인도(印度)의 연합군 배합(配合) 병미(倂眉)하여, 적(敵)과 더불어 혈전(血戰)을 벌여왔다. 30여년간 대적투쟁(對敵鬪爭)에서 피아(彼我)의 전역은 대소 640여 차에 이르렀으며, 적(敵)에게 희생된 동지(同志)는 만 명을 헤아린다.

이제, 숙적(宿敵) 일본(日本)이 항복하여 연합군(聯合軍)은 승리를 획득하고, 우리 국토(國土)는 광명(光明)을 되찾았으니, 본군(本軍)의 중국경내(中國境內)에서의 작전임무(作戰任務)는 이로써 끝났다. 춘풍추우(春風秋雨)[91] 수십 년 망명(亡命)과 항전(抗戰) 과정에서, 우리는 이 날이 오기를 얼마나 고대하였던가!

이에, 본군(本軍)은 복원을 선포, 전 대원(全 隊員)이 귀국하여 조국(祖國)을 건설 대업에 참가할 것을 명한다.

일본(日本)의 유린(蹂躪)을 받은 1910년 이래, 한국(韓國)의 민생(民生)은 도탄(塗炭)에 빠져 헤어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목하[92] 국내정국(國內政局)은 혼란하여 그 정돈(整頓)에는 상당한 시련이 예상된다. 본군(本軍) 복원대원(復員隊員)들은 모두 정성(精誠)과 노력(努力)을 다하여, 안으로 민주(民主) 단결(團結)을 실현하고, 밖으로 독립 평화를 달성하도록 힘쓸지어다. 한민족(韓民族)으로 하여금 영원이 식민지(植民地)의 굴레, 봉건(封建)의 질곡(桎梏)[93]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自由) · 행복(幸福) · 존엄(尊嚴)을 향수(享受)[94]하도록 할 것이며, 결코 불행하였던 역사(歷史)의 전철(前轍)[95]을 밟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만일, 우리의 자유(自由)와 독립(獨立)을 침범하는 제 2의 적(敵)이 나타날 때에는, 본군(本軍)이 놓았던 총(銃)을 다시 잡고 전장(戰場)에서 그들을 대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본군(本軍)은 그 동안 항일전선(抗日戰線)에서 고귀한 희생을 당한 동지(同志)들의 명목(冥福)을 빌며, 본군(本軍)을 적극 지원(支援)하여 준 중국(中國)을 비롯한 미(美) · 영(英) · 소(蘇) 제국에 대하여 깊은 사의(謝意)를 표명한다.

​대한민국 28년[96]
중화민국 35년 5월 16일

광복군총사령 이 청 천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드디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연합국에게 항복하였다. 그것이 곧 반세기에 걸친 일본제국주의의 억압으로부터 한민족을 해방하고 삼천리 강토의 광복을 뜻함은 두말 할 것도 없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광복군이 본토 해방작전에 참가하기 전에 일본이 항복하였다는 사실과 38선을 분계선으로 하여 미 · 소 양군이 진주함으로써 국토가 분단된 사실에 대하여 울분과 비통을 금할 수 없었다.

해방과 더불어 임시의정원에서는 임시정부 즉각해체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선열의 피로써 세우고 많은 혁명 동지들이 생명을 다하여 수호한 임시정부를 삼천만 국민에게 바치기 전에는 결코 해산할 수 없다는 단호한 주장을 하였으며, 광복군도 또한 그 정통을 대한민국 국군에게 계승하기까지에는 해산할 수 없다고 하였다.

「복원」이란 전시 하에 동원된 군인을 돌려 보낼 뿐, 군 자체가 해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이 광복군 「복원선언」은 실질적으로는 광복군 「해산선언」이었다. 임시정부의 전기(전에 기록한)한 방침에도 불구하고 총사령 이청천이 「복원」이라는 이름의 「해산」을 명하게 된 것은 한국 주둔 미군사령부(미군정)가 해외의 어떤 기관이나 단체도 해체하지 않고서는 입국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집하였기 때문이다.

광복군 복원선언의 내용은

① 광복군의 성립과 사명
② 광복군의 중요전력(重要戰歷)
③ 희생된 전우에 대한 명복과 연합국에 대한 감사
④ 장래에 대한 경계
등 4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의병봉기 이래 적과의 전투는 대소 640여회 걸쳐 일어났으며 중국에서의 광복군 창설 이후에는 북으로는 만리장성으로부터 남으로는 갠지스강에 이르기까지 연합군과 어깨를 나란히 하여 대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광복군은 임시정부의 유일한 합법적 무장대오였으며, 그로 인하여 혁명진영과 국내외 동포를 크게 고무하고 결속한 공적 또한 높이 평가되지 않을 수 없다.

6. 의의 및 평가

6.1. 의의

광복군은 1910년대 의병 항쟁과 대한독립군,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 등 1930년대 한중 연합부대의 항일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임시정부의 통솔 아래 재조직되었다는 점에서 독립운동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97] 광복군의 창설은 민족해방운동이 지방적·분산적 유격투쟁을 넘어 근대적 군사조직의 형태를 갖추고, 국가 건설을 염두에 둔 체계적 군대였다.

단순히 우리 독립사적 의의를 넘어서 연합국의 일원으로 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중일 전쟁 대일(對日) 전선에 참여한 한국인 무장세력이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임시정부는 광복군을 통해 한국이 일본과 전쟁을 벌인 교전국임을 국제사회에 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전후 처리에서 한국의 독립과 주권 회복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간주되었다.[98]
광복군은 중국국민당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1942년 이후 연합군과의 협력을 통해 일본군 포로 심문, 첩보·정보 수집, 선전·심리전 등 후방 활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에는 [미국 전략사무국]과 협력하여 한반도 국내에 투입될 특수공작대를 편성하며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99] 비록 일본의 조기 항복으로 실전에 완전히 나아가지는 못했지만, 한국이 국제연합 전선에 참여하고자 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100]

광복군은 한국 독립운동이 민족 내부의 분열을 넘어 국제전선과 결합하여 국가적 군사력을 확보하려 한 시도로 해석된다. 광복군은 임시정부 산하의 공식 군대라는 점에서 정치·군사적으로 통일된 항일투쟁의 상징이 되었으며, 이는 해방 이후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선언하는 데 중요한 역사적 근거가 되었다.[101] 또한 광복군의 존재는 대한민국 국군 창설과 전통 형성의 기원으로 널리 언급되며, 현대 한국군의 역사 서술에서도 그 계승성을 강조한다.[102]

전반적으로 역사학계는 광복군을 실질적 전투 성과보다는 상징적·정치적 의미가 더 큰 조직으로 평가한다. 이는 자원과 장비 부족, 연합군의 전략적 우선순위, 국내 진공 작전의 좌절 등으로 인해 본격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103] 그러나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은 한국이 식민지 피지배민이 아니라 일본과 맞서 싸운 교전 세력이자 독립을 추구한 주체였음을 국제사회에 각인시켰으며, 무장투쟁의 역사를 이어 국가적 군사조직으로 발전한 전환점으로 인정된다.[104]

6.2. 평가

광복군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정치적·상징적 의미’는 높이 인정되는 반면, ‘군사적 실질 성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남아 있다.

해방 직후 대한민국에서는 광복군이 임시정부의 정규군으로서 항일무장투쟁의 계보를 잇고, 국제연합 전선에 참여한 점이 강조되었다. 이는 건국 초기 이승만 정부가 임시정부의 법통을 헌법 전문에서 천명하고, 대한민국 국군의 기원을 광복군에 두면서 더욱 부각되었다.[105] 다만 임시정부 계열을 배제하고 독립운동의 다른 흐름을 강조했던 일부 정치세력이나, 1950~1960년대의 반공체제 속에서는 중국국민당과의 연계가 지나치게 강조되었다.

이에 반해 북한에서는 주로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무장투쟁사를 독립운동의 주류로 서술하고, 광복군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축소되거나 부정적으로 묘사되었다.[106]

해외 학계에서는 광복군이 연합국의 대일 전선에서 차지한 비중을 주목하기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민족운동이 국제전의 틀 안에서 국가적 주체성을 표현한 사례로 평가한다.[107] 특히 미국 전략사무국과의 합동작전 계획은 실행에는 이르지 못했으나, 한국이 단순한 해방의 수혜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교전 세력으로 전쟁에 참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상징성을 인정받는다.[108]

오늘날 한국의 다수 역사학자는 광복군을 ‘임시정부가 주도한 항일무장투쟁의 정점이자 국제연합 전선과의 연결 고리’로 평가하면서도, 조직 규모와 전투 참여의 한계 때문에 ‘전쟁의 결과에 미친 군사적 효과는 제한적’이었다고 본다.[109] 이와 같은 양면적 평가는 광복군이 ‘정치·외교적 상징’과 ‘군사적 실천’ 사이의 간극을 보여주는 사례로 인식되는 배경이 되고 있다.

7. 대한민국 국군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한국광복군과의 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국군/한국광복군과의 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국군/한국광복군과의 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출신 인물

나무위키에 수록된 광복군 출신은 분류:한국광복군/군인 을 참고할 수 있다.

8.1. 국가서훈자 명단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순서 || 성명 || 한자 || 훈격 || 출신지 ||
1 강기준 康基俊 대통령표창 평북 창성
2 강명호 姜明鎬 애족장 경북 성주
3 강문길 姜文吉 대통령표창 평북 철산
4 강병익 姜炳益 애족장 평북 창성
5 강신국 姜信國 애족장 평북 구성
6 강익진 康翊鎭 애족장 함남 신흥
7 강인호 姜仁浩 대통령표창 평북 정주
8 강재식 姜在植 애족장 함남 원산
9 강정상 康挺祥 대통령표창 평북 벽동
10 강정선 康貞善 애족장 미상
11 강치명 姜治明 애족장 평북 창성
12 강홍모 姜弘模 애족장 황해 벽성
13 계의성 桂義成 애족장 평북 선천
14 계지풍 桂枝豊 대통령표창 황해 해주
15 고시복 高時福 애국장 황해 안악
16 고여순 高如順 애족장 미상
17 고운기 高雲起 독립장 함남 문천
18 구자민 具滋民 애국장 황해 연백
19 권구원 權九瑗 애족장 경북 안동
20 권영익 權榮翼 대통령표창 평북 강계
21 권오복 權五福 애족장 경북 안동
22 권준 權晙 독립장 경북 상주
23 권혁무 權赫武 애족장 경북 예천
24 길창일 吉昌一 대통령표창 평북 선천
25 김경윤 金景潤 애족장 평북 신의주
26 김경화 金慶華 애국장 경북 문경
27 김관오 金冠五 독립장 서울
28 김광석 金光石 애족장 평남 강서
29 김광수 金光洙 애족장 전남 무안
30 김광언 金光彦 애국장 평북 선천
31 김국주 金國柱 애국장 함남 원산
32 김군남 金君南 애족장 평북 박천
33 김권 金權 애족장 경기 고양
34 김근수 金根洙 애국장 경남 진주
35 김기도 金基燾 애족장 경북 경주
36 김기주 金基周 애족장 경기 이천
37 김길상 金吉相 애족장 경북 상주
38 김덕목 金德穆 애국장 평남 용강
39 김동수 金東洙 독립장 경기 인천
40 김동필 金東弼 애족장 황해 연백
41 김동후 ⾦東厚 대통령표창 평북 영변
42 김득명 ⾦得鳴 애족장 황해 봉산
43 김만득 ⾦萬得 애족장 경북 월성
44 김만식 ⾦萬植 애족장 경북 의성
45 김만진 ⾦晩鎭 애족장 경기 평택
46 김명천 ⾦明天 애국장 함북 회령
47 김명탁 ⾦明鐸 애족장 미상
48 김문택 ⾦⽂澤 애국장 평남 진남포
49 김문호 ⾦⽂鎬 애국장 황해 해주
50 김배길 ⾦倍吉 애족장 전남 무안
51 김병학 ⾦炳學 애국장 평남 용강
52 김병환 ⾦秉煥 애족장 평남 진남포
53 김봉섭 ⾦鳳燮 애족장 미상
54 김봉식 ⾦鳳植 애족장 경북 경주
55 김봉영 ⾦鳳永 애족장 황해 은율
56 김봉현 ⾦鳳賢 애족장 평북 용천
57 김상을 ⾦商⼄ 애국장 충남 서천
58 김상준 ⾦尙俊 애국장 경북 김천
59 김상학 ⾦相鶴 애족장 함남 함주
60 김상호 ⾦相浩 대통령표창 미상
61 김상후 ⾦尙厚 애족장 평북 철산
62 김석동 ⾦奭東 애국장 서울
63 김성갑 ⾦成甲 애족장 강원 강릉
64 김성근 ⾦成根 애족장 평북
65 김성도 ⾦成道 대통령표창 평북 용천
66 김성룡 ⾦成⿓ 애족장 평북 철산
67 김성률 ⾦聲律 애족장 황해 연백
68 김성철 ⾦成哲 애족장 평북 용천
69 김성환 ⾦聖煥 애국장 평남 강서
70 김세용 ⾦世⽤ 애국장 평북 용천
71 김세조 ⾦世祚 애국장 평북 의주
72 김소 ⾦沼 애족장 평북 선천
73 김숙영 ⾦淑英 애족장 평남 평원
74 김순근 ⾦順根 애족장 평북 선천
75 김승곤 ⾦勝坤 독립장 전남 담양
76 김승조 ⾦承祚 애족장 평북 용천
77 김신 金信 애족장 황해 벽성
78 김여재 ⾦汝載 오류[110] 황해 황주
79 김영관 ⾦榮觀 애족장 경기 포천
80 김영남 ⾦映男 애족장 전남 완도
81 김영록 ⾦永祿 애국장 평남 평양
82 김영실 ⾦英實 애족장 평남 평양
83 김영오 ⾦永五 애족장 경기 평택
84 김영옥 ⾦永⽟ 대통령표창 경북 군위
85 김영이 ⾦榮伊 애족장 경북 상주
86 김영일 ⾦永逸 애국장 평북 정주
87 김영종 ⾦永鍾 애족장 평북 삭주
88 김영준 ⾦永俊 애족장 평남 대동
89 김영진 ⾦永鎭 애국장 경북 봉화
90 김영춘 ⾦永椿 애족장 경북 안동
91 김영호 ⾦榮鎬 애국장 평남평양
92 김옥선 ⾦⽟仙 애족장 평남 평양
93 김용 ⾦湧 애국장 평남 평원
94 김용 ⾦⿓ 애족장 황해 황주
95 김용관 ⾦容寬 애족장 전남 장흥
96 김용재 ⾦容宰 독립장 전남 담양
97 김용주 ⾦容珠 애국장 황해 신천
98 김용희 ⾦⿓熙 애족장 평북선천
99 김우전 ⾦祐銓 애국장 평북 정주
100 김욱배 ⾦旭培 애국장 충남 논산
101 김운경 ⾦雲慶 애국장 평북 의주
102 김운백 ⾦雲⽩ 애족장 평북 의주
103 김유경 ⾦裕卿 애족장 평남 안주
104 김유길 ⾦柔吉 애국장 평남 평원
105 김유신 ⾦有信 애국장 서울
106 김유철 ⾦裕哲 애국장 황해 안악
107 김유환 ⾦裕煥 애족장 황해 봉산
108 김은석 ⾦銀錫 애족장 평북 의주
109 김은섭 金殷燮 애족장 전남 강진
110 김응삼 ⾦應三 애국장 평북 선천
111 김응주 ⾦應柱 애족장 평남
112 김의명 ⾦義明 애족장 경북 청도
113 김의한 金毅漢 독립장 서울
114 김인 金仁 애족장 황해 해주
115 김일옥 ⾦⼀⽟ 대통령표창 미상
116 김일환 ⾦⼀煥 애국장 평북 의주
117 김재은 ⾦在殷 애족장 강원 통천
118 김정숙 ⾦貞淑 애국장 평남 용강
119 김정옥 ⾦貞⽟ 애족장 서울
120 김정훈 ⾦貞勳 대통령표창 평남 평원
121 김종철 ⾦鍾哲 애족장 경북 선산
122 김종호 ⾦鍾浩 애국장 전남 나주
123 김준경 ⾦駿卿 애족장 강원 횡성
124 김준근 ⾦俊根 대통령표창 황해 장연
125 김준엽 ⾦俊燁 애국장 평북 강계
126 김중섭 ⾦仲涉 애족장 평북 철산
127 김중호 ⾦仲浩 애족장 평북 철산
128 김지옥 ⾦址⽟ 애국장 평남 안주
129 김진동 ⾦鎭東 애족장 경기 개풍
130 김찬식 ⾦燦植 애족장 평남 안주
131 김찬원 ⾦贊元 애국장 평북 정주
132 김창갑 ⾦昌甲 애족장 평북 창성
133 김창석 ⾦昌錫 애족장 평남 평양
134 김천성 ⾦天成 독립장 평북 의주
135 김철 ⾦哲 애족장 평북 의주
136 김철수 ⾦哲洙 대통령표창 미상
137 김충홍 ⾦忠弘 애족장 전남 완도
138 김태한 ⾦台漢 애족장 미상
139 김택기 ⾦宅基 애족장 경북 군위
140 김택주 ⾦澤周 애국장 평북 용천
141 김필환 ⾦弼煥 애족장 경북 영양
142 김하진 ⾦夏鎭 애족장 경기 평택
143 김학규 ⾦學奎 독립장 평남 평원
144 김학선 ⾦學善 애족장 평북 의주
145 김해득 ⾦海得 애족장 경북 청도
146 김해성 ⾦海星 애국장 평북 정주
147 김해일 ⾦海⼀ 애국장 평북 강계
148 김현 ⾦鉉 애족장 평북 정주
149 김형석 ⾦亨⽯ 애국장 평북 철산
150 김홍일 ⾦弘壹 독립장 평북 용천
151 김화남 ⾦化南 애족장 전남 해남
152 김효숙 ⾦孝淑 애국장 평남 용강
153 나동규 羅東奎 애족장 전남 나주
154 나성돈 羅盛頓 애족장 평남 용강
155 나월환 羅⽉煥 독립장 전남 나주
156 나응환 羅應煥 애족장 평북 의주
157 나태섭 羅泰燮 독립장 황해 안악
158 남상규 南相奎 애국장 서울 종로
159 남상철 南相喆 애족장 경기 양평
160 남정욱 南廷昱 애족장 경북 영양
161 노능서 魯能瑞 애족장 평남 용강
162 노복선 盧福善 독립장 평남 진남포
163 노성환 盧星煥 애국장 황해 송화
164 노재섭 盧在燮 애족장 경북 의성
165 노태준 盧泰俊 독립장 황해 송화
166 독고준 獨孤俊 애족장 평북 의주
167 동방석 董邦⽯ 애족장 함북 청진
168 류기준 柳基俊 애족장 경북 안동
169 류재영 柳在榮 애족장 충남 금산
170 목연욱 睦然旭 애족장 경기 양주
171 문덕홍 ⽂德洪 애국장 제주
172 문상명 ⽂相明 대통령표창 경북 영양
173 문석부 ⽂錫富 애족장 함남 함흥
174 문성근 ⽂誠根 애족장 평북 용천
175 문수열 ⽂洙烈 애족장 경남 사천
176 문응국 ⽂應國 애국장 황해 안악
177 문정진 ⽂靖珍 애족장 평남 강서
178 문채호 ⽂采浩 애족장 전남 구례
179 문학준 ⽂學俊 애족장 평남 평양
180 문흥빈 ⽂興彬 애족장 평북 강계
181 민영구 閔泳玖 독립장 서울 종로
182 민영수 閔泳秀 애국장 서울
183 민영숙 閔泳淑 애국장 서울
184 민영주 閔泳珠 애국장 서울
185 박건배 朴健培 대통령표창 경기 안성
186 박규채 朴圭彩 애국장 경기 개성
187 박금녀 朴⾦⼥ 애족장 경기 양주
188 박금룡 朴⾦⿓ 애국장 전남 강진
189 박기성 朴基成 독립장 충북 진천
190 박기은 朴基恩 애족장 평북 선천
191 박남현 朴南炫 애족장 전남 광주
192 박노일 朴魯⼀ 애족장 충남 연기
193 박동환 朴東煥 애족장 전북 남원
194 박명찬 朴明贊 애족장 경남 창녕
195 박병두 朴炳⽃ 애족장 전남 완도
196 박병훈 朴炳勛 대통령표창 전남 화순
197 박상기 朴相基 애국장 전남 광주
198 박석권 朴錫權 애족장 전북 고창
199 박성관 朴成官 애족장 평북 용천
200 박성일 朴性⼀ 애족장 평북 운산
201 박성화 朴成和 애족장 전남 나주
202 박승유 朴勝裕 애족장 서울
203 박승학 朴承鶴 애국장 평북 정주
204 박승헌 朴承憲 애국장 평남 평양
205 박시창 朴始昌 독립장 경기 시흥
206 박영 朴英 애족장 경남 울산
207 박영만 朴英晩 애국장 평남 안주
208 박영섭 朴永燮 애국장 황해 서흥
209 박영일 朴英⼀ 애족장 평북 의주
210 박영준 朴英俊 독립장 경기 파주
211 박영진 朴永晋 애국장 경북 고령
212 박용운 朴⿓雲 애족장 평북 태천
213 박재곤 朴載坤 애족장 평북 의주
214 박재봉 朴在奉 대통령표창 전남 영암
215 박재화 朴載華 애족장 미상
216 박재희 朴載喜 애족장 충남 청양
217 박정렬 朴貞烈 애족장 강원 원주
218 박정수 朴貞守 대통령표창 경남 김해
219 박정환 朴廷煥 애족장 경북 경산
220 박종길 朴鍾吉 애족장 경북 영양
221 박종선 朴鍾善 애족장 전남 완도
222 박주대 朴周⼤ 애족장 경북 예천
223 박지호 朴芝鎬 애국장 평북 정주
224 박찬규 朴贊圭 애족장 충북 청주
225 박하규 朴夏圭 애족장 경북 상주
226 박해근 朴海根 애국장 경남 남해
227 박해옥 朴海⽟ 애족장 경북 안동
228 박효근 朴孝根 애족장 평북 정주
229 방봉순 ⽅鳳淳 대통령표창 황해 안악
230 배상갑 裵相甲 애족장 경북 칠곡
231 배선두 裵善⽃ 애족장 경북 의성
232 백문기 ⽩⽂基 애족장 경북 예천
233 백순보 ⽩淳甫 애족장 평북 운산
234 백옥순 ⽩⽟順 애족장 평북 정주
235 백운룡 ⽩雲⿓ 애족장 경남 하동
236 백정갑 ⽩正甲 애국장 평북 용천
237 백정현 ⽩正鉉 애국장 평북 용천
238 백준기 ⽩俊基 애국장 충남 대전
239 백창섭 ⽩昌燮 애국장 평북 영변
240 백학천 ⽩鶴天 애국장 평북 의주
241 변영근 邊榮根 애족장 미상
242 서상렬 徐相烈 애국장 전남 무안
243 서상복 徐祥福 건국포장 충남 서천
244 서정천 徐廷天 애족장 전북 김제
245 석근영 ⽯根永 애국장 평남 평양
246 석만금 ⽯萬⾦ 애국장 평남 안주
247 석호문 ⽯鎬⽂ 애족장 경북 성주
248 선우기 鮮于基 애국장 평북 정주
249 선우완 鮮于琓 애족장 평북 태천
250 선우진 鮮于鎭 애국장 평북 정주
251 성동준 成東準 애족장 전남 순천
252 손기달 孫基達 대통령표창 경북 청도
253 손치형 孫致亨 대통령표창 평북 의주
254 송면수 宋冕秀 애국장 강원 회양
255 송병철 宋炳喆 애족장 평북 의주
256 송병하 宋炳河 애국장 평북 의주
257 송복덕 宋福德 애국장 평북 의주
258 송서룡 宋瑞⿓ 대통령표창 평북
259 송석형 宋錫亨 애국장 충남 대전
260 송영집 宋永潗 애국장 평남 용강
261 송욱동 宋旭東 애국장 전남 화순
262 송윤화 宋潤和 애족장 경남 부산
263 송창석 宋昌錫 애국장 경기 인천
264 송쾌철 宋快喆 애족장 전북 완주
265 승영호 承永祜 애국장 평북 정주
266 신국빈 申國彬 애족장 경남 마산
267 신길우 申吉⾬ 애족장 경북 고령
268 신덕영 申悳泳 애국장 경기 양평
269 신동렬 申東烈 애국장 평북 의주
270 신선재 申善才 애국장 평남 안주
271 신송식 申松植 독립장 평남 안주
272 신순우 申淳⾬ 애국장 경기 평택
273 신순호 申順浩 애국장 충북 청원
274 신악 申岳 애국장 평남 평원
275 신영묵 申榮默 애국장 평남 평원
276 신의철 申義澈 애족장 경기 강화
277 신인식 申仁植 애족장 충북 청원
278 신정숙 申貞淑 애국장 평북 의주
279 신조일 申朝⽇ 애족장 평북 정주
280 신현창 申鉉昌 애족장 충남 서천
281 신흥균 申興均 애족장 경기 개성
282 심광식 沈光植 애국장 경기 안성
283 심용철 沈容徹 애족장 함북 길주
284 안미생 安美生 건국포장 황해 신천
285 안병무 安炳武 독립장 평남 안주
286 안봉순 安奉舜 애국장 전남 순천
287 안성근 安成根 애족장 충남 천원
288 안영희 安英姬 애국장 평남 진남포
289 안원생 安原生 애족장 황해 신천
290 안일용 安⼀勇 애족장 평북 선천
291 안중달 安重達 애족장 경북 성주
292 안춘생 安椿⽣ 독립장 황해 벽성
293 양회상 梁會相 애족장 전남 완도
294 엄익근 嚴益根 애국장 평남 용강
295 엄일우 嚴⼀友 애족장 평북 의주
296 염재항 廉宰恒 애국장 경기 광주
297 오광선 吳光鮮 건국공로훈장 경기 용인
298 오광심 吳光⼼ 독립장 평북 선천
299 오상근 吳相根 애족장 충북 진천
300 오서희 吳庶熙 애국장 경북 의성
301 오성규 吳成奎 애족장 평북 선천
302 오성행 吳成⾏ 애국장 평남 평양
303 오연근 吳連根 애족장 경북 예천
304 오정석 吳正⽯ 대통령표창 충남 서산
305 오학선 吳學善 애족장 경북 달성
306 오희영 吳姬英 애족장 경기 용인
307 오희옥 吳姬玉 애족장 경기 용인
308 옥인찬 ⽟仁讚 애족장 평남 평양
309 왕태일 王泰⽇ 애국장 강원 회양
310 용택서 ⿓澤瑞 애족장 평북 신의주
311 유기석 柳基石 독립장 서울
312 유기현 柳基⽞ 애족장 경기 수원
313 유동열 柳東說 건국훈장 대통령장 평북 희천
314 유소우 柳炤佑 애국장 경북 안동
315 유순희 劉順姬 애족장 황해 황주
316 유승한 柳承翰 애족장 평북 영변
317 유시보 柳時保 애국장 경북 안동
318 유시훈 柳時薰 애국장 경북 안동
319 유영중 柳英中 애족장 충남 보령
320 유익배 柳益培 애국장 황해 안악
321 유재복 柳在福 애족장 충북 진천
322 유진동 劉振東 애국장 평남 강서
323 유창근 劉昌巹 애족장 평북 의주
324 유창옥 柳昌⽟ 애족장 전북 완주
325 유충성 柳忠成 애족장 강원 통천
326 유한휘 劉漢輝 애족장 전남 고흥
327 유해준 兪海濬 독립장 충남 당진
328 윤경빈 尹慶彬 애국장 평남 중화
329 윤경열 尹敬烈 대통령표창 평남 안주
330 윤광빈 尹廣彬 대통령표창 평남 중화
331 윤국선 尹國善 애족장 미상
332 윤봉갑 尹奉甲 애족장 경북 청도
333 윤석진 尹錫珍 애족장 전북 김제
334 윤영무 尹永茂 애족장 평남 중화
335 윤용호 尹⿓虎 애족장 미상
336 윤우현 尹禹鉉 애족장 전북 남원
337 윤재현 尹在賢 애국장 함북 회령
338 윤종록 尹鍾祿 애족장 경북 예천
339 윤창호 尹昌浩 애국장 평남 진남포
340 윤치원 尹致源 애족장 평북 의주
341 윤태현 尹泰鉉 애국장 충남 공주
342 윤태훈 尹泰勳 애족장 충북 청원
343 윤학준 尹學俊 애족장 평북 용천
344 이건국 李建國 애족장 경북 대구
345 이경도 李敬燾 애국장 경북 대구
346 이경훈 李慶勳 애족장 경기 인천
347 이규학 李圭鶴 애국장 경기 여주
348 이금열 李今烈 대통령표창 함북 회령
349 이길영 李吉永 애족장 충남 아산
350 이덕산 李德⼭ 애국장 충남 서산
351 이도순 李道淳 애족장 평북 의주
352 이동진 李東鎭 애족장 경북
353 이동학 李東學 애족장 경북 안동
354 이두천 李⽃千 애족장 평남 평원
355 이득우 李得⾬ 애족장 평북 박천
356 이명 李明 애국장 충남 천원
357 이명식 李明植 애족장 황해도
358 이무중 李茂重 애족장 평남 평양
359 이문화 李⽂華 애국장 평북 정주
360 이범석 李範奭 대통령장 서울
361 이병곤 李炳坤 애국장 평북 용천
362 이복원 李復源 애국장 함남 함흥
363 이봉묵 李鳳默 대통령표창 서울
364 이봉훈 李奉勳 애족장 평남 평양
365 이사섭 李⼠燮 애족장 전남 광주
366 이서룡 李瑞⿓ 애국장 황해 서흥
367 이석린 李⽯隣 애족장 충북 단양
368 이성구 李晟九 애족장 충북 제천
369 이성근 李成根 애국장 평남 평양
370 이순승 李淳承 애국장 경기 강화
371 이승주 李承柱 애족장 평북 신의주
372 이신성 李信成 애족장 황해 신천
373 이언권 李彦權 애족장 경남 밀양
374 이영근 李榮根 대통령표창 평북 정주
375 이영길 李永吉 애족장 평북 신의주
376 이영길 李永吉 애국장 평북 구성
377 이영수 李英守 애족장 경북 고령
378 이영순 李英淳 애족장 평남 강동
379 이옥진 李⽟珍 대통령표창 평북 용천
380 이완규 李完圭 대통령표창 평북 정주
381 이용득 李⿓得 애족장 경북 의성
382 이우성 李宇成 애국장 평북 용천
383 이원규 李元奎 애족장 평북 선천
384 이원범 李元範 애국장 충남 서산
385 이원하 李元河 애족장 평북 선천
386 이월봉 李⽉峰 애족장 황해 황주
387 이윤장 李允章 애국장 충북 청주
388 이윤철 李允哲 애족장 충북 청주
389 이윤하 李允夏 애족장 경기 개성
390 이응락 李應洛 애족장 경북 영주
391 이의신 李義⾂ 애족장 전북 고창
392 이인곤 李仁坤 애족장 황해 신천
393 이일범 李⼀凡 애국장 평남 평양
394 이재현 李在賢 독립장 경기 시흥
395 이정득 李廷得 애족장 전북 완주
396 이정선 李正善 애국장 평북 의주
397 이정수 李廷秀 애국장 경기 광주
398 이정헌 李廷憲 애족장 충남 대전
399 이종건 李鍾乾 독립장 충남 천안
400 이종구 李鍾九 애족장 경북 의성
401 이종금 李鍾⾦ 애족장 평북 정주
402 이종열 李鍾烈 애족장 경북 예천
403 이종완 李鍾玩 애족장 평북 정주
404 이종희 李鍾熙 독립장 전북 김제
405 이준수 李俊⽔ 애족장 전남 나주
406 이준승 李濬承 애국장 경기 강화
407 이준식 李俊植 독립장 평남 순천
408 이지성 李志成 애국장 평북 박천
409 이진영 李進榮 독립장 경북 영천
410 이차녕 李次寧 애족장 경기 파주
411 이찬영 李燦英 애족장 평북 철산
412 이창도 李昌道 애족장 평북 의주
413 이창배 李昌培 애족장 평남 중화
414 이창범 李昌範 대통령표창 강원 횡성
415 이창석 李昌碩 애족장 평북 의주
416 이창재 李昌宰 애족장 경북 상주
417 이천의 李川義 애족장 충북 충주
418 이철민 李鐵民 애족장 평북 선천
419 이철수 李喆洙 애국장 함남 신흥
420 이태순 李泰順 대통령표창 충북 보은
421 이하유 李何有 애족장 경기 양주
422 이한기 李漢基 애족장 평북
423 이해순 李海淳 애국장 평남 강서
424 이헌일 李憲⼀ 애족장 경북 대구
425 이호길 李浩吉 애족장 강원 원주
426 이홍근 李弘根 애족장 평북 선천
427 이희화 李熙和 애족장 경기 개풍
428 인순창 印淳昌 애족장 평남 진남포
429 임기열 林基烈 애족장 전남 해남
430 임소녀 林少⼥ 애족장 전남 나주
431 임재남 林栽南 애국장 평남 평양
432 임정근 林正根 애국장 평북 용천
433 장경숙 張京淑 애족장 평남 대동
434 장기문 張基⽂ 애족장 전남 곡성
435 장덕기 張德祺 애국장 평북 의주
436 장동식 張東植 애족장 경북 칠곡
437 장두성 張⽃星 애족장 강원 통천
438 장붕기 張鵬起 애족장 평북 후창
439 장석창 張錫昌 애족장 경북 영주
440 장성천 張聖天 대통령표창 평북 용천
441 장성표 張星杓 애족장 경북 의성
442 장세국 張世國 애족장 평북 용천
443 장언조 張彦祚 애족장 경북 대구
444 장용담 張⿓淡 애족장 평북 구성
445 장이호 張利浩[111] 애국장 평북 신의주
446 장이호 張利鎬[112] 국가보훈부 착오로 조사 중
447 장재민 張在敏 애국장 평북 선천
448 장조민 張朝民 애국장 평북 선천
449 장준하 張俊河 애국장 평북 삭주
450 장철 張鐵 애국장 평북 의주
451 장철부 張哲夫 애족장 평북 용천
452 장호강 張虎崗 애족장 평북 철산
453 장흥 張興 독립장 경기 고양
454 장희수 張熙洙 애족장 전남 화순
456 전병림 全炳林 애족장 경북 예천
457 전옥 全⽟ 대통령표창 미상
458 전월성 全⽉星 애족장 강원
459 전월순 全⽉順 애족장 경북 상주
460 전이호 全履鎬 애국장 평남 평양
461 전일묵 ⽥⼀默 애족장 평북 용천
462 전재덕 全在德 애족장 경북 선산
463 전태산 全泰⼭ 애국장 미상
464 전호인 全湖⼈ 애국장 평남 평양
465 전흥순 ⽥興順 대통령표창 황해 신천
466 정건수 丁建壽 애족장 전남 보성
467 정관호 鄭觀鎬 애족장 평남 평양
468 정기엽 鄭基燁 애족장 평북 용천
469 정기주 鄭起周 애국장 평북 철산
470 정대윤 丁⼤允 애족장 경북 대구
471 정동흡 鄭東洽 대통령표창 평남 평양
472 정명 鄭明 애족장 평남 안주
473 정민태 鄭民泰 애족장 평북 정주
474 정봉주 鄭奉周 애족장 평북 선천
475 정상섭 鄭相燮 애족장 평남 강서
476 정영 鄭瑛 애족장 평북 선천
477 정영순 鄭英淳 애족장 황해 서흥
478 정영호 鄭英昊 애족장 평북 선천
479 정옥모 鄭⽟模 애족장 충북 보은
480 정우진 鄭宇鎭 애족장 경기 평택
481 정원택 鄭元澤 애족장 충북 영동
482 정윤관 鄭允官 대통령표창 평북 선천
483 정윤성 鄭允成 애족장 함남 원산
484 정윤희 鄭允熙 애국장 경북 고령
485 정의경 鄭義京 대통령표창 미상
486 정이세 鄭利世 애족장 평북 용천
487 정일수 鄭⼀洙 애족장 경북 대구
488 정재덕 鄭在德 대통령표창 평남 용강
489 정정산 鄭正⼭ 애국장 경기 수원
490 정태훈 鄭泰勳 애족장 강원 통천
491 정태희 鄭泰熙 애국장 경북 고령
492 정회일 鄭會⼀ 애족장 전북 완주
493 정훈 鄭薰 애족장 강원 고성
494 정희섭 鄭熙燮 애족장 평남 평원
495 조광선 趙光善 애국장 평북 의주
496 조대균 趙⼤均 애족장 평북
497 조동걸 趙東傑 애족장 함북 청진
498 조동린 趙東麟 애국장 평북 정주
499 조동빈 趙東斌 애족장 평남 평양
500 조동성 趙東聖 대통령표창 평북 정주
501 조동현 趙東鉉 애족장 전북 순창
502 조병걸 趙炳傑 애국장 함남 북청
503 조병팔 趙炳⼋ 애족장 함남 북청
504 조순옥 趙順⽟ 애국장 경기 연천
505 조시원 趙時元 독립장 경기 연천
506 조시제 趙時濟 애국장 경기 연천
507 조인제 趙仁濟 독립장 경기 연천
508 조일문 趙⼀⽂ 애국장 함남 영흥
509 조청래 趙淸來 애족장 경북 예천
510 지달수 池達洙 독립장 서울
511 지득성 智得成 애국장 평북 의주
512 지복영 池復榮 애국장 서울
513 지인중 智仁仲 애족장 평북 의주
514 지청천 池⾭天 대통령장 서울
515 진병길 陳炳佶 애족장 함남 원산
516 차봉헌 ⾞鳳軒 대통령표창 평북 선천
517 차성훈 ⾞聖勳 애족장 평북 선천
518 차약도 ⾞若島 애족장 평북 선천
519 차영철 ⾞永澈 애국장 경남 울주
520 차창선 ⾞昌善 대통령표창 황해 송화
521 채원개 蔡元凱 독립장 평남 영원
522 최광성 崔光星 애족장 경기 인천
523 최군삼 崔君三 애족장 평남
524 최규련 崔奎連 애족장 평북 정주
525 최기옥 崔基⽟ 애족장 평남 순천
526 최덕신 崔德新 대통령표창 평북 의주
527 최덕휴 崔德休 애족장 충남 홍성
528 최동균 崔東均 애국장 경기 개성
529 최동인 崔東仁 애국장 경북 울진
530 최명선 崔明善 애족장 함남 문천
531 최문식 崔⽂植 애국장 충남 논산
532 최문용 崔文鏞 애국장 경기 개성
533 최봉상 崔鳳祥 애국장 평남 대동
534 최봉진 崔俸鎭 애국장 전남 보성
535 최상제 崔相⿑ 애족장 경북 경주
536 최석해 崔⽯海 대통령표창 미상
537 최성학 崔成學 애족장 평북 의주
538 최세득 崔世得 건국포장 평남 대동
539 최시화 崔時華 애족장 황해 황주
540 최영철 崔英喆 애족장 경기 용인
541 최용덕 崔⿓德 애족장 경남 남해
542 최용덕 崔⽤德 독립장 서울
543 최용선 崔⽤善 애족장 전남 영광
544 최윤경 崔允慶 애족장 황해 신천
545 최응세 崔應歲 애족장 평북 철산
546 최이옥 崔伊⽟ 애족장 평북 용천
547 최일영 崔日英 애족장 경기도
548 최장윤 崔⾧潤 애족장 전북 익산
549 최장학 崔章學 애국장 경남 동래
550 최종오 崔鍾五 애족장 전남 장흥
551 최진동 崔鎭棟 애국장 서울
552 최창범 崔昌範 애족장 서울 망원
553 최창희 崔昌熙 애족장 전남 나주
554 최철 崔鐵 애국장 경기 개성
555 최춘선 崔春鮮 대통령표창 평북 용천
556 탁영의 卓英儀 애족장 강원 횡성
557 태윤기 太倫基 애족장 함남 풍산
558 피문성 ⽪⽂成 건국포장 평남 평양
559 한금원 韓錦源 애국장 평북 의주
560 한면필 韓冕必 애족장 함남 함흥
561 한상열 韓相烈 애족장 경북 상주
562 한성도 韓聖島 애국장 평북 의주
563 한성수 韓聖洙 독립장 평북 용천
564 한영애 韓永愛 애족장 평남 평양
565 한응규 韓應奎 애족장 평남 평양
566 한이윤 韓伊尹 애족장 평북 구성
567 한재갑 韓載甲 애국장 평북 의주
568 한진원 韓鎭源 애족장 서울
569 한필동 韓弼東 애족장 충남 홍성
570 한형석 韓亨錫 애국장 경남 동래
571 함세만 咸世萬 애족장 황해 옹진
572 함종현 咸宗顯 대통령표창 평북 신의주
573 허봉석 許鳳錫 애족장 미상
574 허영일 許永⼀ 애족장 황해 신천
575 허윤송 許潤松 애족장 경남 김해
576 현기주 ⽞起周 대통령표창 평북 정주
577 현준석 ⽞準錫 애족장 경북 문경
578 홍구표 洪嶇杓 애족장 충남 논산
579 홍기화 洪基華 애국장 평남 강동
580 홍동옥 洪東⽟ 애족장 경북 칠곡
581 홍석훈 洪錫勳 애국장 평남 평양
582 홍순명 洪淳明 애족장 경기 개성
583 홍재원 洪在源 애족장 강원 화천
584 홍종석 洪鍾⽯ 애족장 강원 강릉
585 홍종윤 洪鍾允 애족장 경기 안성
586 황갑수 ⿈甲秀 애족장 충남 연기
587 황삼룡 ⿈三⿓ 애국장 황해 신천
588 황영식 ⿈永式 애국장 경북 영천
589 황의선 ⿈義善 애족장 전남 무안
590 황하규 ⿈河奎 애족장 전북 익산
591 황학수 黃學秀 독립장 서울

서훈되지 못한 사례를 들자면 이범석 제2지대장을 암살하려든 배아민 대원은 미서훈되었으나 나월환 제5지대장을 암살하려든 박동운은 서훈이 되어 있다. 서훈 기준은 지극히 정치적이다.

1946년 5월 16일 한국광복군 복원선언이후, 일부 대원은 중국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못들어오거나 중국인 배우자와 결혼했거나 중국에 경제적인 기반이 정착된 대원들은 귀국하지 못하고 중국국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혼란한 해방정국에서 다양한 정치 세력[113]의 무력충돌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정치공작으로 인하여 월북하였거나 6.25 전쟁 초기, 서울에 잔류하는 바람에 납북된 사람들을 합하면 실제로 더 많은 대원들이 있었다.

8.2. 광복군 출신 대한민국 군·정부 인사

한국광복군 출신들은 미군정의 창군작업에 소극적이었다. 귀국한 광복군 출신들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인 한국광복군이 해방된 조국의 국군 창설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미군정이 주도하는 군대 창설이나 군사기관에 참여하는 것을 마땅치 않게 여겼다. 더욱이 미군정의 현상유지정책과 일본육사출신과 만주군관출신 등 친일경력자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던 상황에서 한국광복군 출신들이 창군작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이유였다.[114]

미국의 반대로 한국광복군이 임시정부의 국군이 아니라 개인자격으로 귀환하였고, 항공편으로는 1945년 12월, 배편으로는 1946년 2월부터 입국하기 시작했고 지청천 총사령관 명의로 한국광복군 복원선언1946년 5월 16일에 발표하여 한국광복군의 공식적인 해산을 선언하고 6월에 귀국한다. 이때는 이미 군사영어학교가 운영되다가 해체되고 조선경비사관학교가 개교하여 제 1기 생도를 모집한 뒤였다. 한국광복군출신들이 미군정의 창군작업 초기에 참여하여 물리적인 시기가 늦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은 드디어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연합국에게 항복하였다. 그것이 곧 반세기에 걸친 일본제국주의의 억압으로부터 한민족을 해방하고 삼천리 강토의 광복을 뜻함은 두말 할 것도 없다. 그러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이 본토 해방작전에 참가하기 전에 일본이 항복하였다는 사실과 38선을 분계선으로 하여 미 · 소 양군이 진주함으로써 국토가 분단된 사실을 인지했다.

김원봉민족혁명당에서는 임시정부 즉각해체론이 나오기도 했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선열의 피로써 세우고 많은 혁명 동지들이 생명을 다하여 수호한 임시정부를 삼천만 국민에게 바치기 전에는 결코 해산할 수 없다는 단호한 주장을 하였으며, 한국광복군도 또한 그 정통을 대한민국 국군에게 계승하기까지에는 해산할 수 없다고 하였다.

「복원」이란 전시 하에 동원된 군인을 돌려 보낼 뿐, 군 자체가 해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나, 이 한국광복군 「복원선언」은 실질적으로는 「해산선언」이었다. 총사령 지청천이 「복원」이라는 이름의 「해산」을 명하게 된 것은 한국 주둔 미군정이 해외의 어떤 기관이나 단체도 해체하지 않고서는 입국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집하였기 때문이다.

1946년 9월 한국광복군 참모총장 출신 유동열이 통위부장에 취임하고, 이어 12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고급참모 출신 송호성이 조선경비대 총사령관에 부임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에 한국광복군 출신들이 조선경비사관학교에 입학하기 시작하였는데 1946년 9월 23일 선발한 제 2기부터이다. 물론 이전에도 1945년 12월 개설된 군사영어학교에 광복군 출신 두 사람이 입교한 사실이 있다. 유해준과 중국 친일괴뢰 왕징웨이 정권화평건국군에 복무한 이성가이다.

1946년 9월 육군사관학교 2기부터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직전인 1948년 7월 임관한 제 6기까지 적지 않은 광복군 출신들이 조선경비사관학교에 입교하여 창군작업에 동참했다.
성명 출신지 광복이전 광복 이후
유동열 평북 박천 일본 육사 15기, 대한제국군 참령, 신민회 참여, 한인사회당 군사부장, 조선혁명당 중앙집행위원, 민족혁명당 군사부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모부장, 한국광복군 참모총장 미군정 통위부장(국방부장관)
유해준 충남 당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5기, 국민혁명군 상위(대위),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전속부관, 제 2징모분처에서 초모활동 중 체포됨. 군사영어학교, 육군 제 25연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보병학교장, 육군대학 총장, 육군 제 1군사령부 부사령관(소장)
고시복 황해 안악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김붕준의 사위, 김정숙의 남편,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특파단원, 한국광복군 제 2징모분처 대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심리작전연구실 주임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 6사단 참모장, 서울지구병사구사령관, 6.25 전쟁 중 사망(준장)
박영일 평북 의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 1948년 8월 예편(중위)
송호성 함남 함주 신흥무관학교 중국 바오딩군관학교, 국민혁명군 상교(대령),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편련처장, 고급참모, 한국광복군 제 5지대장/제 1지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 조선경비대 사령관(육군참모총장에 해당) 육군 제 1여단장, 제 5사단장, 6.25 전쟁 중 서울에 남겨져 납북(소장)
이명 충남 천안 독립운동가 이장년의 아들, 이의명이란 이명,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분교,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한청반 수료),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 수도사단 제 1연대 제 2대대장, 6.25 전쟁 중 전사(중령)
이무중 평양 중국 제 5전구 전시간부훈련반 2기,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1구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 육군 제 1사단 11연대 제 3대대장, 6.25 전쟁 중 전사(소령)
박기성 충북 진천 남화한인청년연맹(아나키즘),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11기, 국민혁명군 상위(대위), 충칭 훈련총감부 통신감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 간부, 한국광복군 제 5지대 2구대장,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정보참모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생, 대위임관, 제 5연대 대대장, 제 2보병사단 제 5연대 연대장, 대구 제1훈련소 부소장, 101노무사단장, 병사구사령관, 육군 준장 전역
박승헌 평양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훈련반,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부관처 부관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6.25 전쟁 참전, 육군헌병학교장, 육군헌병차감(대령)
박시창 경기 시흥 박은식의 아들,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5기, 조선의용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고급참모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제 16연대장, 6.25 전쟁 참가, 흥남철수작전 참여, 제 102여단장, 제 3군단 부군단장(소장)
전이호 평양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6.25 전쟁 참전, 육군보병학교장, 국방부 제 3대 조사본부장(대령)
채원개 평남 영원 뤄양강무당,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처장, 고급참모, 한국광복군 제 1지대장(참장)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제 7연대장, 제 2여단장, 6.25 전쟁 참전, 2사단장(준장)
최덕신 평북 의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최동오의 아들 유동열의 사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선전과장, 인면전구공작대 2기 대기 중 광복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육군사관학교장, 제 3사단장, 6.25 전쟁 참전, 제 11사단장, 제 2사단장
최봉진 전남 보성 한국광복군 제 5지대 대원, 한국청년훈련반 수료,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6.25 전쟁 참전, 육군병참기지청장(대령)
한성도 평북 의주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분교, 한국광복군 토교대 대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 3여단 연대장(중령), 6.25 전쟁 중 실종
강홍모 황해 벽성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청두분교 조선경비사관학교 4기,제 2사단 제 32연대장, 6.25 전쟁 참전, 제 5관구사령부 참모장(대령)
이건국 경북 대구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청두분교 조선경비사관학교 4기, 육군사관학교 교관, 2사단 부연대장, 6.25 전쟁 중 횡성전투에서 전사(대령)
김명탁 전남 무안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 한국청년훈련반,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시안분교,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2구대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6.25 전쟁 중 전사(중령)
김소 평북 선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지원활동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1사단 11연대 1대대장, 6.25 전쟁 참전(대령)
김용관 전남 장흥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독수리 작전 훈련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6.25 전쟁 참전, 제 38사단장(소장)
문응국 황해 안악 루안(潞安)애국시계점 운영하다 김천성에게 초모됨.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2지대(=5지대) 대원, 인면전구공작대 부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로 졸업, 육군대학 교수부원, 1사단 부사단장, 육군 대령 예편
박영준 경기 파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박찬익의 아들, 신순호의 남편,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7기,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장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제 12연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초대 정훈감, 29사단장, 6군단 부군단장(소장)
박용운 평북 태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6.25 전쟁 참전, 복무 중 사망(대령)
박재곤 평북 의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6.25 전쟁 참전, 중부지구경비사령부 참모장(중령)
유영중 충남 보령 학병 징집, 중국 제 9전구 공작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3구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1사단 중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장철부 평북 용천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1구대 김준 구대장 휘하 대원,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20기 기병과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육군사관학교 교관, 독립기갑연대 제 2기마수색대대장, 6.25 전쟁 청송 전투 중 전사(중령)
차약도 평북 선천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육군사관학교 구대장, 서울지구헌병대장, 6.25 전쟁 중 전사(중령)
최규련 평북 정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최세득 평남 대동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 육군본부 정보국,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미군정은 대한민국 정부로 행정권, 군통수권과 군사조직도 이양되었다.

군사권의 이양은 1948년 8월 24일, 대한민국과 미국 간에 체결관 「잠정적 군사안전에 관한 협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미군정 통위부장 유동열은 대한민국 정부 초대 국방부장관 이범석에게 군사권을 이양하였다.[115] 유동열은 8월 31일 이범석과 「통위부 사무이양식」을 갖고 모든 군 사무와 지휘 명령권을 이양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미군정 통위부의 모든 업무와 기능이 대한민국 정부 국방부로 이관되었고, 국방부는 정부 조직으로 군정을 관장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116]

미군정 남조선국방경비대1948년 9월 1일 국군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에 9월 5일 남조선국방경비대는 육군으로, 조선해안경비대는 해군으로 개편되었다. 조선경비사관학교도 육군사관학교로 개편되었다. [117] 제도적으로는 1948년 11월 30일 법률 제 9호로 공포된 「국군조직법」과 12월 7일 대통령령 제 37호로 공포된 「국방부직제령」에 따라 12월 15일 통위부는 국방부로, 남조선국방경비대와 조선해안경비대는 육군과 해군으로 정식 편제가 된다.[118]
성명 출신지 광복이전 광복 이후
이범석 서울 중국 윈난강무당, 신흥무관학교 교관, 북로군정서 연성대장, 청산리 대첩 참여, 중국 뤄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학생대장,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 한국광복군 제 2지대장 초대 국무총리 겸 국방장관
김홍일 평북 용천 뀌저우 강무당, 중국군 상하이병기창 주임, 국민혁명군 제 19집단군 참모처장(중장),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 한교사무처장 육군 준장으로 특별임관, 육군사관학교장, 6.25 전쟁 참전, 시흥전투지구사령관, 육군 초대 제 1군단장(중장)
송면수 강원 회양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김붕준의 사위, 김효숙의 남편, 중국 중산대학,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정훈조장, 독수리 작전 훈련 국방부 초대 정훈국장, 6.25 전쟁 중 전사
김국주 함남 원산 학병징집, 한광반,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제 6사단 제 15연대 제 6중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36사단장, 제 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소장)
김관오 서울 독립운동가 방순희의 남편, 윈난강무당, 중국군 장교,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초대 경위대장, 광복군 총사령부 고급부관(정령)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육군 제 21연대장, 6.25 전쟁 참전, 제 105노무사단장(소장)
김명천 함북 회령 중국 신강군관학교, 중국포병 장교, 한국광복군 제 2지대 3구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육군 제 21연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중령 예편(중령)
박영섭 황해도 서흥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시안분교 한광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독수리 훈련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육군 제 21연대 제 2대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29연대장, 준장 예편
박영진 경북 고령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인면전구공작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중 전사(대위)
윤태현 충남 공주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독수리 작전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육군 제 21연대 제 1대대장, 6.25 전쟁 중 풍기, 영주전투에서 무단철수로 즉결처분 사망(소령)
이신성 황해도 신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중령 예편(중령)
이진영 경북 영천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뤄양분교 한인특별반,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성자분교,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처(부령)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중 전사(소령)
장철 평북 의주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독수리 훈련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39사단 참모장(대령)
태윤기 함남 풍산 학병 징집,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대령)
황영식 경북 영천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경리처 육군사관학교 7기, 6.25 전쟁 참전, 육군 중령 예편(중령)
황의선 전남 무안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 육군사관학교 7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3사단 제 22연대장, 제 35사단 참모장(대령)
구자민 황해 연백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군수기지사령부 시설대장(중령)
권준 경북 상주 신흥무관학교, 의열단, 중국 황포군관학교 제 4기, 조선의용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위대장, 내무차장, 한국광복군 한커우잠편지대장, 우한 한교선무단장(참장)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초대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6.25 전쟁 참전, 제 3관구사령관, 제 50사단장(소장)
김동수 경기 인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부대장, 한국광복군 제 5지대 부지대장, 한국광복군총사령부 토교대장(정령)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육군 제 8사단 제 16연대장, 제 1기갑연대장, 6.25 전쟁 참전, 제 27사단장(준장)
김병학 평남 용강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8기, 6.25 전쟁 참전, 육군 중령 예편
김영오 경기 평택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중령 예편
김영일 평북 정주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제 1군사령부 군수참모, 제 25사단장, 육군대학 총장(소장)
나태섭 황해 안악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특파단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모,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총무과장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대령 예편
노복선 평남 진남포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2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특파단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부관,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3구대장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육군 제 8사단 정보참모, 6.25 전쟁 참전, 101사단 118연대장(대령)
승영호 평북 정주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한국광복군훈련반, 한국광복군총사령부 군법무실 근무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안춘생 황해 벽성 안중근의 조카로 여성광복군 조순옥의 남편,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0기,상하이 전투 참전 교전 중 부상,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1구대장(정령) 육군사관학교 8기, 6.25 전쟁 참전, 진해 4년제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 8삳간장, 국방차관보(중장)
오광선 경기 용인 중국 바오딩군관학교, 신흥무관학교, 청산리 대첩 참전, 뤄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교관, 한국광복군 국내잠편지대장(참장)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서울지구병사구사령관, 대전지구위수사령관(준장)
이금렬 함북 회령 한국광복군 지하공작 대원 육군사관학교 8기,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3사단 부사단장, 육군 대령 예편
이준식 평남 순천 중국 윈난강무당, 정의부 군사위원장,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특파단 주임, 한국광복군 제 1징모분처장,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고급참모(정령)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육군 제 7사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6.25 전쟁 참전,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중장)
이홍근 평북 선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8기, 6.25 전쟁 참전, 제 28사단 제 81연대장, 제 32사단 부사단장(준장)
장호강 평북 철산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부관주임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21연대장, 경북병사구사령관, 제 38사단장, 제 25사단장(준장)
장흥 경기 고양 중국 황포군관학교 5기, 의열단, 한국광복군 한커우잠편지대 부지대장 육군사관학교 8기 특별반, 6.25 전쟁 참전, 전남병사구사령관, 제 5관구사령부 부사령관(소장)
전재덕 경북 선산 일본군 탈출, 중국군 유격대, 한국광복군 9전구공작대 공작반장 육군사관학교 8기, 6.25 전쟁 참전]], 5.16 군사정변 참여, 육군 대령 예편
함세만 황해 웅진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사관학교 8기, 육군 202병기단 제 80대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병기지창장(대령)
김문택 평남 진남포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분대장(참령)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육군 중위 전역(중위)
김승조 평북 용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육군 대위 전역(대위)
김문호 황해 해주 와세다대학, 중국 제 3전구 닝보방수사령부 헌병소교(소령)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장 겸 선전조장 미군정 CIC요원[119], 육군 헌병총사령부 조사과장(소령)
김영관 경기 포천 학병징집,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2구대 대원 육군헌병학교 졸업, 6.25 전쟁 참전, 육군종합학교 26기, 육군 대위 예편(대위)
김영남 전남 완도 학병징집,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2구대 대원 육군헌병학교 졸업, 6.25 전쟁 참전, 안동전투에서 전사(소령)
김은석 평북 의주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낙동강 방어전투 참전
김일환 평북 의주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평남 덕천전투에서 전사(소령)
김중섭 평북 철산 한국광복군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3지대, 한국광복군총사령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육군 중령 예편
김현 평북 정주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중 전사
문상명 경북 영양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6.25 전쟁 중 입대/참전, 육군 제 2연대장, 육군대학 참모장(대령)
박금룡 전남 강진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6.25 전쟁 참전, 육군 헌병 장교
박동환 전북 임실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국방경비대 입대, 여수·순천 10.19 사건 전사
박석권 전북 고창 징병 입대,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6.25 전쟁 참전, 제 8사단 제 10연대 제 1대대 9중대장, 강릉전투에서 부상, 육군 중령 예편
박재화 평북 의주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청년훈련반,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18기,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제 1사단 제 13연대 중대장, 6.25 전쟁 중 전사(대위)
박효근 평북 정주 한국광복군 9전구공작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경북대 학생군사교육단장(대령)
백창섭 평북 영변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대원 6.25 전쟁 중 제 1사단 입대, 평양전투 참가
선우기 평북 정주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수도사단 배속, 1949년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 중 전사(대위)
오성행 평양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부관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이득우 평북 박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육군 헌병 장교
이영길 평북 구성 학병징집, 한국광복군훈련반,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제 26사단 제 73연대장, 제 9사단 부사단장(대령)
이종렬 경북 예천 한국광복군 9전구공작대 대원 6.25 전쟁 중 입대, 제주도 포로수용소/미군부대 근무
이찬영 평북 철산 한국광복군 9전구공작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2군 사령부 헌병부장, 국방부 합동조사본부장(대령)
장철부 평북 용천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1구대 김준 구대장 휘하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20기 기병과 육군사관학교 5기, 독립기갑연대 휘하 제2기마수색대대장, 6.25 전쟁 청송 전투 중 전사
이창도 평북 의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육군 제 2훈련소 연대장(대령)
장덕기 평북 의주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제 8사단 포병연대장, 육군 대령 예편
정희섭 평남 평원 중국 카이펑에서 허난의원 의사로 근무 한국광복군 한교전지공작대 입대 육군 의무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제 3육군병원장, 국군군의학교장, 육군본부 의무감(준장)
차성훈 평북 선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중 전사
최덕휴 충남 홍성 한국광복군 9전구공작대 대원 6.25 전쟁 중 입대, 육군 장교 임관, 경남병사구사령관, 육군 대령 전역
최장학 경남 부산 독립운동가 권준의 사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성자분교,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경남병사구사령관, 육군 대령 예편
한필동 충남 홍성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총사령부 토교대 대원 육군 장교 임관, 제 1연대 헌병대장, 6.25 전쟁 참전, 육군 대령 예편
허영일 황해 신천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국청년훈련반,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중 전사
홍구표 충남 논산 학병 징집,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한국은행 금괴호송 책임자, 육군 대령 예편
홍재원 강원 화천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독수리 작전 훈련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영덕 전투에서 전사
황하규 전북 익산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제 1구대 대원, 민족혁명당 육군 장교 임관, 6.25 전쟁 참전, 영덕 전투에서 전사(대위)
박찬규 충북 청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지원활동 육군 사병 입대, 6.25 전쟁 참전, 육군 하사 제대
이영수 경북 고령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사병 입대, 6.25 전쟁 참전, 육군 장교 임관, 대위 전역
장세국 평북 용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육군 사병 입대, 6.25 전쟁 참전, 육군 상사 전역
최시화 황해 황주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대원, 광복군 유순희의 남편 6.25 전쟁 중 전사
  • 출전 :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공적조서」, 「공훈록」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편,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 한용원, 『창군』, 박영사, 1984, ;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 일조각, 1993 ; 조승옥, 『육군사관학교-그 역사의 뿌리를 찾아서』, 글씨앗, 2024 ; 김민호, 「한국광복군 출신의 대한민국 국군 참여와 역할」, 『군사』 125, 군사편찬연구소, 2022 참조 작성함

한국광복군은 투철한 역사의식과 남다른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하나는 구한말 민병대로 일어난 의병정신과 대한제국 관군으로 의병전쟁을 참전한 해산군인의 군인정신을 계승한다는 역사인식이 강했다. 다른 하나는 만주 독립군 항일 무장투쟁의 경험을 중시하고, 국민주권주의에 입각해 민주공화제로 성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광복군 출신들은 이같은 역사의식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해방된 조국의 군대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해방된 조국의 현실은 이들의 생각과는 달랐다. 미국과 소련이 38도선을 경계로 남북한을 분할 점령한 뒤 각기 군정을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현상유지정책」을 펴면서 「미군정 유일정부론」을 공포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한국광복군은 공식적으로 1946년 6월에 되어서여 개인자격으로 입국할 수 있었다.

더군다나 한국광복군이 환국할 즈음에는 미군정을 중심으로 창군작업이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그래서 한국광복군 출신들은 미군정의 주도의 창군작업에 참여에 주저하거나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위기를 전환하는 계기가 생겼다. 하나는 한국광복군 참모총장 출신의 유동열미군정 국방부장관인 통위부장에 취임하고 이어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고급참모 출신 송호성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관에 임명된 것이다.

이를 계기로 한국광복군 출신의 창군작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조선경비사관학교에 광복군 출신 29명이 잇달아 입교하여 군사간부로 진출했다. 이들은 조선경비대 각 여단의 일선 지휘관으로 활동하면서 미군정 시기 창군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국군이 정식으로 발족하고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출신 이범석과 광복군총사령부 총무처장 최용덕이 초대 국방부장관과 차관에 취임하면서 한국광복군 출신의 국군 참여는 눈부시게 늘어났다. 연달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거나 여러 경로(보통 고위 인사의 추천)를 통해 70여명의 한국광복군 출신들이 국군 간부로 대거 임관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육군은 물론 해군과 공군 창설과정에서도 주역으로 활동하였다. 이와같이 한국광복군 출신들은 주체적인 국군 창설과 육성은 물론 6.25 전쟁에 참전하여 조국을 수호하는데 앞장섰다. 민족독립과 조국광복을 위해 싸웠던 한국광복군의 독립정신이 광복 이후 국가 수호의 호국정신으로 발현된다.

국군에 참여한 103명의 한국광복군 출신자 가운데 101명이 대통령장을 비롯하여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등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대한민국 국군 창군시기 한국광복군이 견지한 민족군사의 전통을 잇고 있다는 역사의식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군이라는 긍지와 자부심의 결과였다.

8.3. 광복군 출신 경찰

이름 생몰년도 광복군 소속 경찰경력
권구원 1924. 2. 1.~2017.12.17. 광복군 9전구공작대 1946년 7월 제 5관구경찰청(경북)순경공채, 1949년 5월 경위(간후 3기) 영주경찰서 풍기지서 발령
김기도 1922. 8. 8.~1989.8.16. 광복군 제 2지대 상위(대위) 경위 입직(간후 2기), 1949년 경감승진(용인경찰서장) 1950년 경기 양평경찰서장, 1952년 경남 부산경찰서장, 1953년 경남 진해경찰서장, 퇴직
김길상 1924. 6. 12.~1985.9.18. 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토교대) 1945년 순경입직, 1969년 경사 임용, 1974년 퇴직
김영진 1927. 7. 10.~2020.12.30. 광복군 제 3지대 1949년 순경 임용, 1968년 경사 임용, 1976년 퇴직
김영춘 1924.3.11.~1991.4.16. 광복군 9전구공작대 1948년 순경 임용, 1948년 퇴직
김용 1918.3.7.~2001.3.23. 광복군 제 1지대 제 2구대(이소민) 1947년 미군정 CIC요원, 1948년 대통령실 관찰부 특무실 부실장, 1949년 체신부 감리국 감사과장, 1951년 내무부 치안국 정보수사과장, 1951년 12월 대남간첩단 사건으로 퇴직(무죄)
김준경 1924.4.22.~1973.5.5. 광복군 9전구공작대 1946년 순경 임용, 1948년 경사 임용, 1952년 경위 임용, 1961년 경감 임용, 1969년 경정 입용, 강원 장성(현 태백)경찰서장, 1971년 강원 횡성 경찰서장, 1973년 퇴직
김학선 1921.3.3.~2009.6.9. 1938년 조선의용대 대본부, 1942년 광복군 제 1지대 1949년 순경 임용, 1953년 경사 임용, 1954년 퇴직
백문기 1924.4.29~1991.5.18. 광복군 9전구공작대 1948년 순경 임용, 1951년 경사 임용, 1964년 퇴직
백준기 1920. 3.2.~1950.7.27. 1943년 광복군 제 2지대 1구대(OSS) 연도미상 순경 임용, 6.25 전쟁 중 순직
백학천 1912. 3.11.~1995.3.29. 제 3지대 지하공작원 1949년 경위 임용, 1954년 퇴직
변영근 1918.9.20.~1950.7.9. 제 3지대, 한광반 수료, 특무조조장 1946년 순경 임용, 1949년 경사 임용, 경위 임용, 6.25 전쟁 중 순직(경감 특진)
송병철 1919.12.9.~1989.5.3 1943년 광복군 제 3지대 입대, 총사령부 근무 1946년 순경 임용, 1955년 퇴직
송병하 1926.12.12.~2010.8.28. 1943년 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제 2소대장/훈련교관 1947년 순경 임용, 1951년 경사 임용, 1956년 퇴직
송쾌철 1923.12.6.~1999.12.19 1944년 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토교대) 1947년 순경 임용, 1952년 경위 임용, 1957년 퇴직
신영묵 1922.9.5.~1979.10.6. 1943년 한족동맹원, 1943년 광복군 제 2지대 입대 OSS 수료 1951년 내무부 치안국 교육과
이일범 1917.8.2.~1973.5.9. 1943년 한족동맹, 한교전지공작대 1947년 미군정 CIC요원, 1949년 중앙우체국장, 국제전신전화국장, 1951년 내무부장관 비서실장, 치안국 교육과장, 1951년 12월 대남간첩단 사건으로 퇴직(무죄)
장기문 1924.10.17~1994.3.2. 1945년 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토교대) 1953년 순경 임용, 1955년 퇴직
장언조 1924.9.5.~1998.9.29. 1945년 광복군총사령부 경위대 1950년 순경 임용, 1959년 퇴직
전호인 1919.10.12~1986.5.18. 광복군 한교전지공작대 1945년 광복군총사령부 주상해판사처 비서 1948년 경감 임용, 1950년 총경 임용, 강릉경찰서장, 충주경찰서장 1960년 퇴직
정이세 1911.11.11.~1997.7.16. 1945년 광복군 제3지대 입대, 서주지구특파원 활동 1949년 순경 임용, 연도미상 퇴직
홍구표 1923.1.10~2000.11.16. 1944년 광복군 제 2지대 1949년 육사 8기, 6.25 전쟁 후 대령 예편, 1946년 경위 임용, 1949년 퇴직

8.4. 여성 대원

한국광복군은 한국임시정부에 직할된 한국의 국군이다. 한국 임시정부 본신이 이천만 대중의 공유한 혁명기관인 만큼 광복군도 당연히 이천만 대중의 공유한 군사기구가 되는 것이다. 범한국혁명 남녀는 누구를 막론하고 그의 역사적 혁명을 완성하기 위하여 광복군 참여할 권리와 의무를 똑같이 소유한 것이다.
1941년 지청천 광복군 총사령관
성명 생년월일 본적 포상여부 공적내용 자료출처, 인적사항
강명숙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사진첩,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강접 1923년생 전남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2지대(시안)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강영숙 1919년생 전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강영파 1913년생 경기도 애족장 1930.8. 상해여자청년회 창립 주비위원 및 임시위원 총무부장(1932.4) 1943.2 충칭 한국애국부인회 재건, 재무부 주임, 1944.3. 한독당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8)
흥사단원동위원, 민족혁명당 당원, 임시의정원 의원 유진동의 처
권기옥 1903.1.11.~1988.4.19. 평양 독립장(1977) 1920.5. 평양 청년회 여자전도대장, 1920.9. 상하이 임시정부로 망명, 1925 윈난육군항공학교 제 1기 졸업 대한민국 임시정부소개로 펑위샹 휘하의 공군에 복무, 1927 동로항공사령부 장제스 북벌시 가담, 1936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원 이상정의 처
권채옥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발대식 기념식 사진에 앞 줄 왼쪽 여성 창립대원 권채옥, 의열단, 조선의용대 비서장,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을 지낸 권준의 딸
권혁(데라모토 아사코) 1924년생 일본인 미포상 조선의용대 제 2지대원, 조선의용대부녀복무단,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조선의용군 충칭 제 2구 기관 조사표(충칭시, 경찰국, 1946.8.22), 김학철, 『최후의 분대장』, 보리출판사, 2022, 275쪽, 이달(1907~1942)의 처, 광복 후 평양시에 정착
권혜경 1918년생 경북 미포상 조선의용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충칭제2구기관조사표(충칭시, 경찰국, 1946.8.22), 외무부 과장 김유철의 처
김건옥 1925년생 미상 애족장(2022) 조선의용대 대원 김홍서의 딸
김광영 1926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김근두 1912년생 황해도 미포상 쿤밍시 거주,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광동군관학교와 레닌그라드 항공학교를 졸업하고 광동군관학교 항저우항공학교 교관, 민족혁명당 당원 장성철(1900)의 처
김기완 1908년생 미상 미포상 강필대왕 점원 충칭제2구기관조사표(충칭시, 경찰국, 1946.8.22)
김대혜 1921년생 평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박성렬의 처
김명진 1928년생 평북 미포상 청두시 거주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김문숙 1890년생 경성 미포상 이화학당 졸업, 애국부인회 회장, 민족혁명당 간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김병인 1915.6.2.~2012 평남 용강 애족장(2017) 1938.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입대, 1940.6.한국혁명여성동맹 창설, 1943.한국독립당(1940년) 제 2구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한국광복군참모처장 이준식의 처
김원진 1920년생 충청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김원희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사원명책(1942.11)
김위 1918년생 경성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유동선전대 간사, 조선의용대 북경방면 적후공작대 조선의용대 발대식 사진 앞줄 오른쪽 여성, 김필순 딸, 조선의용대간부 김창만의 애인
김은주 1912년생 평북 건국포장(2021)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임시의정원 의원 신영삼의 처
김인애 1918년생 평남 미포상 민족혁명당 감찰위원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민유식의 처
김재순 1900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의원 최석순의 처
김정숙 1916.1.25.~2012.7.4. 평남 용강 대통령 표창(1968)/애국장(1990) 상하이 인성학교 및 중산대학 졸업, 1937.7. 학생전시복무단 결성, 1940.6. 한국혁명여성동맹 결성, 상임위원/선전부장, 1940.9.17.한국광복군 창설 참여, 한국광복군 대원으로 대적심리전 종사, 1942.4.~1944.6. 임시정부 교통부/법무부, 의정원 비서, 법무부 총무과장, 임시정부 한국회계검사, 임시의정원 속기사, 민족혁명당한국광복군 고시복의 처, 김붕준, 노영재 부부의 딸, 언니 김효숙, 오빠 김덕목
김정숙 1898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정옥 1920.5.2.~1997.6.7. 경성 애족장(1995) 1945년 초에 베이징시에서 묵연욱을 도와 쉬저우 지구 특파단에서 연락원으로 활동, 1945.6.7.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전방 구호대원으로 입대, 전방구호 활동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하)
김정자 1918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 서무국 과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의원 최석순의 처
김칠원 1914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태숙 1924년생 충청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태은 1908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한칠 187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참모총장 김철남의 모친
김효숙 1915.2.11.~2003.3.24. 평남 용강 대통령 표창(1963)/애국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8), 한국독립당(1940년) 입당(1939), 한국혁명여성동맹 훈련부장, 창사, 쓰촨, 충칭 등지에서 아동교육 담당, 임시의정부 의원(1941), 민족혁명당 감찰위원(1944), 한국광복군 제 2지대에서 대일심리전 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송면수의 처, 김붕준 노영재 부부의 딸, 오빠 김덕목, 동생 김정숙
김효정 1918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나수진 1918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비서장 최석용의 둘째 부인
나영옥 미상 미상 미포상 기생 생활 중 언약한 약혼자를 찾아서 중국으로 와서 독립운동가들과 연결됨
노영재 1895.7.10~1991.11.10 평남 용강 애국장(1990)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임시정부 국무위원 김붕준의 처, 김효숙, 김정숙, 김덕목의 모친
단영청 1918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본부구대장 이진영(우자강, 조병식)의 처
두쥔후이(杜君慧) 1904~1981 광둥성 광저우시 애족장(2016)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부원, 한국구제총회 이사(1945.5)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정부 국무위원 김성숙의 처
멍자오허(孟兆和)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문관우 미상 평안도 미포상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추헌수, 자료한국독립운동사, 임정 의정원, 각당파명단
문말경 1925년생 전남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문정원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군
민영숙 1920.12.27~1989.3.17. 경북 상주 건국포장(1977)/애국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입대(1938), 임시정부 법무부 과원(1942) 임시정부 법무부 총무과 과원, 외무부 정보과원,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권태걸(장의)의 처, 민재호와 신숙영 부부의 딸, 오빠 민영구, 민영완, 외조부 신규식
민영애 1927.2.21.~2013.7,16. 경성 미포상 한국청년전지공작대원 선전활동, 청년공작대 아동부 공연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이윤철의 처, 민필호와 신명호 부부의 딸, 오빠 민영수, 언니 민영주
민영의 1924년생 경성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민필호와 신명호(신창희) 부부의 딸, 오빠 민영구, 언니 민영숙, 민영애
민영주 1923.8.15.~2021.4.30. 경성 건국포장(1977)/애국장(1990) 한국광복군 창설 당시 입대, 제 2지대,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2지대장 부관 김준엽의 처, 민필호, 신명호 부부의 딸
문정원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원 왕지연의 처
박경애 1918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금녀 1926.10.21~1992.7.28. 경기도 양주 대통령표창(1982), 애족장(1990) 만보산 사건 당시 부모기 일본군에게 참살당함.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본부 전방구호대원, 쉬저우 지구 특파단 한국광복군 제 3지대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하) 318쪽
박금순 1926년생 함경도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광복군 제 1지대 사원명책(1942.11)
박금주 1916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의원 안봉순의 처
박기은 1925.6.15.~2017.1.7 평북 선천 애족장(1990) 구이더지구 특파단(1944),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본부 전방구호반, 제 3지대 본부 전방구호대원, 쉬저우지구 특파단 구호분대장 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하) 318면, 광복군 구이더 지구 공작원 이원하의 처
박문자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2구대 쉬저우지구특파단,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하) 318면
박봉주 1920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신숙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박영심 1923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용봉 1917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이성 1917년생 경성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정부 생활위원 회장 윤기섭의 처
박인숙 1920년생 경북 미포상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박지영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항일혼의 선봉
박판귀 1920년생 전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현숙 1883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의원 유진동의 모친
방순이(방순희) 1904.1.30~1979.5.4. 함경도 독립장(1963) 한국혁명여성동맹 창설, 위원장/서무부장,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부회장,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장/한국광복군총사령부 참모 김관오의 처
방의진 1922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백옥순 1913.7.30.~2008.5.24. 평북 정주 애족장(1990)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입대(1942)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해성의 처
사중득(史中得) 1920년생 전남 미포상 부산중학 졸업, 이소민 부대 편입,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 대원 한국광복군 점검결과에 관한 답전(1943.7)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료집 11권
서광옥 1917년생 평남 진남포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서삼례 1919.3.5. 평북 선천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서상석 1926년생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충칭시 제 2구 제 4보 기관 외교조사표
서선옥 1923년생 함경도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손진협 1926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손김씨 1886년생 미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상임위원 손일민의 처
송문휘 1921년생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충칭시 제 2구 제 4보 기관외교조사표
송영순(송다녀) 1914.8.29~불명 전북 미포상 한국노병회통상회원, 조선의용대제 1지대사원명책(1942.11),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총무조장, 임시의정원 의원 이종희의 처, 귀국 후 아들 이창화는 본부인 호적에 오름
송영집 1910.4.1.~1984.5.14 평남 용강 대통령표창(1963)/애국장(1990) 한국청년전지공작대(1939), 전간단 제 4단 한청반 수료, 의료 및 지하공작 활동,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본부 요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광복군 제 2지대 군의관 엄익근의 처
송자청 1913년생 평남 미포상 시안시 거주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안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이석화(미포상)의 처
송정헌(劉女史) 1919.1.28.~2010.3.22 평남 강서 애족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입대(1938), 적후방 공작 및 첩보 모집활동,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 한국독립당(1940년)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유평파(본명 유병무, 유진동의 형)의 처
송정화 1892년생 충청도 미포상 쿤밍시 거주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정화(시덕화) 1914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신창희 1906.2.22~1990.6.21 충북 청원 건국포장(2018)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당, 한국애국부인회, 한국독립당(1940년)원, 대한민국 임시정부주화대표단 보필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민필호의 처, 신규식과 조정완 부부의 딸, 시모 이헌경, 아들 민영수, 딸 민영주
신봉순 1920년생 충청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신순호 1922.1.22.~2009.7.30. 충북 청원 건국포장(1977)/애국장(1990) 한국광복진신청년공작대(1938) 항일 선전공작 활동,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근무(1940), 대한민국 임시정부 생계위원회 회계부 근무(1942), 외무부 정보과 근무(1945)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장 박영준의 처, 신건식의 딸, 시부 박찬익
신응녀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쉬저우지구 특파원,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로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하), 한국광복군 조병권(조병팔)의 처
신정숙(신봉빈) 1910.5.12~1997.7.8 평북 의주 대통령표창(1963)/애국장(1990) 여성광복군 제 1호, 일본군 포로로 잡힌 후, 조선의용대 입대,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 위원/회계조장, 첸산현 허커우진(鉛山縣河口鎭)으로 옮겨 전선과 후방 중국 유격대와 합동 공작으로 정보활동, 미군 조종사 구출 장현근의 처, 제 3징모분처장 김문호의 내연녀
신정완(왕령) 1916.4.8~2001.4.29 전남 나주 건국포장(1980)/애국장(1990) 민족혁명당 가입(1937), 산둥성 제 2전구 사령부 공작원 파견, 지하공작 첩보활동(1939~194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1943~1945)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재호의 처, 신익희의 딸
아취(阿翠) 1914년생 경성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안금생 1920년생 황해도 신천 미포상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전부 총무과 과원, 한국독립당(1940년)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인면전구공작대 한지성 대장의 처, 임시정부 주석 공판실 비서 안우생의 둘째 딸
안미생 1914~2007 베이징 출생 건국포장(2022) 주충칭 영국대사관 직원(1938~1939), 한영군사합작에 의한 인면전구공작대, 한국관련 첩보 분석, 평가하는 정보업무 담당, 영어와 중국어에 능통, 권일중, 안원생과 함께 영국대사관 정보처에 파견되어 활동(1943.9하순) 남편 김인의 사망 후, 시아버지 김구 비서관으로 활동 안정근과 이정서 부부의 딸, 김구의 장남 김인의 처, 숙부 안공근, 오빠 안원생, 동생 안진생
안연생 1918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공판실 비서 안우생과 이인숙 부부의 큰 딸
안영희 1925.1.4~1999.8.27 평남 진남포 대통령표창(1963)/애국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입대,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5지대, (나월환암살 이후) 제 2지대 의무실 간호장교, 숙명여자대학교 졸업/교수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안옥생 1922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쿤밍지구특파공작원 조중철(미포상)의 처
안은생 1925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안정근과 이정서 부부의 딸
안정숙 1918년생 황해도 미포상 1925년 중국 입국,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직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2구대장 노태준의 처, 시부 노백린
양춘심 1911년생 전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송수창의 처
엄기선 1929.1.21~2002.12.9. 중국 상하이시 출생 건국포장(1993)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원 : 공연, 연극을 통해 한국인 병사 한국광복군 합류 초모공작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전부장 엄항섭연미당의 맏딸
여상현(呂相賢) 1923년생 경북 미포상 청푸 거주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역소군(易素君) 1911년생 미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한칠의 처
연미당 1908.7.15~1981.1.1. 북간도 용정 출생 애국장(1990) 상하이 한인여자청년동맹 가입, 교민조사 및 교민여성단합 활동(193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9), 한국혁명여자동맹 창설, 한국애국부인회 조직부장(1940)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적선전 위원회 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정부 내무부 선전부장 엄항섭의 처, 부친 연병환
오건해 1894.2.29~1963.12.25 붕북 애족장(2017)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신건식의 처, 딸 신순호, 사위 박영준, 신오씨(申吳氏)라 불림.
오광심 1910.3.15~1976.4.7 평북 선천 대통령표창(1963)/독립장(1977) 조선혁명군, 민족혁명당부녀부 차장(1935),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5지대 입대, 한국혁명여성동맹 재무부장(1940), 한국광복군총사령부,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의무실 간호장교, 기밀비서직,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숙명여대 교수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3지대장 김학규의 처
오순자 1922.10.12~1970.9.20 평북 선천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한국광복군 제 3지대 화북지대 특파원 김광언의 처
오영선(오복순) 1887.4.29~1961.2.8. 경기도 양주 애족장(2016)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1940)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1944)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조소앙의 처
오환덕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제 3지대 중국에 있는 불령선인단체조직계통표(在支不逞鮮人團體組織系統表, 일본 내무성 경보국, 외사월보, 1944.3월분)
오희영 1924.4.23~1969.2.17 경기도 용인 대통령표창(1963)/애족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8), 한국광복군 제 3지대(1940), 제 3지대원 푸양에서 활동(1942), 한국독립당(1940년)(1944) 입당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참령 참모, 쉬저우 유격대 사령 신송식의 처, 오광선과 정현숙 부부의 큰 딸
오희옥 1926.5.7~2024.11.17 지린성 자오허시 출생 애족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1939), 한국광복군 제 5지대(1941),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오광선과 정현숙 부부의 둘째딸, 조부 오인수 의병장
왕미령 1909년생 평북 미포상 중국입국(1919),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직원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왕운금 1909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왕이씨 미상 미상 미포상 왕준성의 처
왕현옥 미상 미상 미포상
요운향 미상 미상 미포상 김응만의 부인
유미영 1921.1.7.~2016.11.23 중국 충칭 미포상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무부장 최동오의 며느리, 최덕신의 처, 유동열의 딸
유상현 1917년생 황해도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징모분처 대원 한국광복군 제2지대 제3구대 제3분대 공작인원 명단(1943년 7월), 옥산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교사
유송숙 1919년생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유순희 1926.7.15~2020.8.29 황해도 해주 애족장(1995)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전방구호대원, 허난성 루이에서 지하공작원과 접선, 활동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하) 318면, 쉬저우지구 특파원 광복군 최시화의 부인
유원 1911년생 평남 미포상 조선의용대제 1지대 의무주임 한금원의 처
지복영 1920.4.11~2007.4.18 충청도 대통령표창(1963)/애국장(199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대원,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총무처 선전과원, 기관지 『광복』발행, 한국광복군 제 6징모분처 초모위원회 위원/비서, 중국방송국에서 한국인 학병탈출 권유방송, 대적방송 원고 작성,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비서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지청천과 윤용자 부부의 딸, 오빠 지달수
이봉선 1925년생 충청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부매 1918년생 전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삼녀 1911년생 경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2지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선영 1916년생 경성 미포상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선출 1913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소원 1910년생 경남 진주 미포상 근우회 진주지부 간사, 민족혁명당 당원, 조선의용대 편집 통신조원 충칭시저류한교조사표(1942.4.9)
이수영 1907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수은 1927년생 경북 미포상 조선의용대부녀복무단 충칭시 제 2구 제 4보 기관외교조사표
이숙방 1895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1지대장 권준의 처
이숙영 1908년생 미상 미상 조선의용대 대원 가속
이숙정 1890년생 경성 미포상 시안시 거주 한국광복군 제 2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용의 부인
리슈젠(李淑珍) 1900년생 중국인 애족장(2017) 한국국민당(1935년) 당원(1939),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1944)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국무위원 조성환의 처
이순길 1918년생 경성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중국 포로수용소에서 한적포로로 한국광복군에 이관(1944)
이순승 1902.11.12~1994.1.15 경기도 양주 애족장(1990) 상하이 망명(1923) 국내에서 군자금 모집하다가 인천 일경에게 피체 20일 구류(1930),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충칭 강북구당 집행위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선무단원 조시원의 처, 딸 조순옥. 사위 안춘생
이신길 1900.1.26~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생활위원회 위원 김영재의 처
이옥령 미상 미상 미포상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이옥진 1923.10.18~2003.9.4. 평북 용천 대통령표창(1968) 조선의용대 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상하이, 난징, 충칭 등지에서 초모 및 선전공작 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운선 1915년생 황해도 미서훈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 한국광복군 제 5지대, 제 2지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판공실 비서 안우생의 둘째 부인
이월봉 1915.2.15~1977.10.28 황해도 해주 대통령표창(1963)/애족장(1990) 한국청년전지공작대원(1939), 한국광복군 제 5지대, 한청반 수료, 제 2지대 편입, 여군반장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제 5부지대장 김동수의 처
이은수 미상 미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송복덕의 처
이은영 190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의방 1926년생 평남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광복군 제 1지대부 관좌대원사병기권속성명책(1944.12), 이동화와 진숙정 부부의 딸
이인숙 1884년생 황해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판공실 비서 안우생의 처
이정서 1884년생 황해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안정근의 처
이정숙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직원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이정애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원, 한국광복군 제 1지대원
이처오 1913년생 경성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은충의 처
이축조 1925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해영 1893년생 경성 미포상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장 신익희의 처
이헌경 1870~1956 경성 애족장(2017)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민필호모친, 민이씨(閔李氏)로 불림
이화 1919년생 황해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규광의 딸
이화림 1905~1999 평남 평양 미포상 중산대학 간호과 과정 수학, 한인애국단 가입(1930), 민족혁명당(1935), 조선의용대 여자복무단 부대장(1939), 한국광복군 제 1지대 편입(1942) 조선의용군 조선의용대 이종희와 재혼했으나 이혼
이홍녀 1926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희영 1916년생 미상 미상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임세원 1921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소녀 1908.9.24~1971.7.9. 전남 나주 대통령표창(1977)/애족장(1990) 만주국에서 허난성영하현 노대 모범농촌 실천리 2호로 이주, 부부가 시안으로 탈출(1940) 한국광복군 제 5지대 입대, 제 2지대 취사반 활동 불굴의 민족혼(1944), 전시군사간부학교훈련 제 4단 한청반 졸업후 한국광복군 제 2지대 3분대에서 취사반장, 군수처 박상화의 처
박차정 1910.5.7.~1944.5.27 경남 부산 독립장(1995) 조선소년동맹 동래지부(1924), 동래청년동맹 집행위원, 동래 노동조합원/근우회 중앙집행위원, 조사연구부장(1929), 난징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제 1기 여자부교관(1932), 난징 조선부녀회(1936), 민족혁명당 당원(1935), 기관지 『조선민족전선』기고(1938),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장 민족혁명당집행위원(1938), 쿤룬산(崑崙山) 전투에서 총상(1939) 후유증으로 사망.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제 1지대장 김원봉의 두번째 처
임혜란 192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두수봉의 부인
장경숙 1903.5.13~1994.12.31 평남 대동 애족장(1990)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1분대, 간호, 정보수집, 초모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제 2지대원 김영준의 처
장광미 1925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성호의 가속(家屬)
장김씨 1918년생 미상 미포상
장수연 1921년생 미상 미포상 민족혁명당 당원,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조선의용군, 충칭에서 장제스 부인 쑹메이링 주도 하에 개최된 3.8국제부녀절 기념회에서 조선부녀를 대표로 연설 조선의용대 통신, 조선의용대 제 1구대장 박효삼(미포상)의 처
장약가 1919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처 주세민의 처
장위근 1920년생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조선의용군 조선의용대 간부 양민산(김대륙, 미포상)의 처
장혜평 1901년생 경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장희수 1901년셍 경북 미포상 민족혁명당 당원(1935), 조선의용대 대원, 선전부 총무과 과원.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1938),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경상도 의원, 민족혁명당 중앙상무 감찰위원/회계 검사부장, 임정 문화부 과원 충칭시 제 2구 제 4보 기관외교조사표(조선의용대)
재태혈 1923년생 평북 미포상 조선의용대 중앙당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전흥순 1919.12.10~2005.6.19 황해 신천 대통령표창(1963) 상하이시립상과대학 졸업, 상하이, 난징, 지난 일대에 지하공작 활동,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입대, 이복원 부지대장과 자금조달 활동
전월순 1923.2.6~2009.5.25 경북 상주 애족장(1990) 조선의용대 입대(1939), 한국광복군 제 1지대 편입, 라오하커우에서 지하활동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근수의 처
점교결 1910년생 충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정귀숙 1923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인면전구공작대 대원 나동규의 처
정나주 미상 경남 부산 미포상
정수정 1887.9.27~1968 황해 안악 미포상 황해도 3.1운동참가(1919), 만주 망명(1924),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입대, 전방구호대, 카이펑 지구 특파단 광복군 김문택 수기(하) 314면
정수화 1927년생 경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박용덕의 처
정순옥 1916년생 충남 청양 미포상 중국 입국(1937). 시안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직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정영 1922.10.11~2009.5.24 평북 선천 애족장(1990) 한국광복군 한교전지공작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 한교전지공작대부대장 정봉주의 장녀, 정영호의 누나, 이일범의 처
정영숙 1898년생경성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비서장 최석영의 큰 부인
정영순 1921.9.5~2002.12.9 경성 대통령표창(1977)/애족장(1990) 만주국 도서주식회사 직공 이서룡과 결혼, 산시성 타이구 여관에서 종업원으로 취업, 한국광복군 제 2지대원 입대, 대적공작활동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사집앨범, 이서룡의 처
정예순 189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비서장 최석용의 처
정인덕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본부 전방구호대원, 쉬저우지구특파단 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
정의진 1904년생 경북 미포상 중국항공대에서 활약하다 광복군 비행대 창설을 추진한 이영무(월북)의 처
정정화 1900.8.3.~1991.11.2 충남 연기 애족장(1990) 한국혁명여성동맹 조직부장, 충칭 3.1유치원 교사(1940), 대한애국부인회 훈련부장(1943), 한국독립당(1940년)당원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주계, 광복군 조직 훈련과장, 정훈처 선전과장 김의한의 처, 시부 김가진
이무라 요시코(井村芳子) 미상 미상 미포상 일본인 여성으로 중국군 포로수용소에서 해방되어 조선의용대 제 2구대원으로 활약
정현숙 1900.3.13~1992.8.3 경기도 용인 애족장(1995) 만주 망명(1918),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1944) 한국광복군 국내지대장 오광선의 처
조계림 1925.10.10~1965.7.14 경기도 개성 애족장(1996)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과장,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한국광복군총사령부 최문용의 처, 조소앙의 딸
조계씨 미상 미상 미포상
조명숙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청년전위동맹, 조선의용대 제 2지대 제 5전구 사령부 화북지대원 조선의용대 이철의 처
조순옥 1923.10.7~1973.4.23 경기 연천 대통령표창(1963)/애국장(1990)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 직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제 1구대장 안춘생의 처, 조시원과 이순승의 딸
조여연 미상 경남 미포상
조용제 1898.9.14~1948.3.10 경기도 양주 애족장(1990) 민족혁명당 당원(1935),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충칭 강북구당 요원(1941), 한국애국부인회 재건(1943), 한국독립당(1940년)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조소앙의 여동생, 남동생 조시원
조필제 1926년생 경기도 양주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조소앙의 딸
주수화 미상 미상 미포상 이평산의 처
주숙정 1910년생 평남 미서훈 조선의용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충칭거류한인조사표(민국 28년 7월 31일)
주정현 미상 미상 미포상
지경희 1909년생 함북 애족장(2020)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함경도 의원(1943.10~1945.8)
지창순 1923년생 전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진씨 1894년생 평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진덕심 1915년생 경북 미포상 광둥성 순릉(順農)중학 졸업, 조선의용대총무조 회계주임 조선의용대 본부 편집위원회 주임/한국광복군 정훈처장 이두산의 처
진숙정 1908년생 평남 미포상 민족혁명당 당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이동화의 처
진창유 1907년생 평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윤원장의 처
첨방민 1896년생 충북 미포상
최가란 1918년생 경북 미포상 시안시거주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계화 1918년생 미상 미포상조선청년전위동맹,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원, 조선의용대 제 2지대
최금주 1922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동선 1924년생 평남 미포상 조선의용대 3.1소년단 단장, 한국광복군 제 1지대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김원봉의 3번째 처, 최석순과 김재순의 딸
최동엽 189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동오의 처, 성씨 미상
최산옥 1921년생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서경 1902.3.20~1955.7.16 평북 운산 애족장(1995) 대한애국부인회 집사 김홍일의 처
최선화(최소정) 1911.6.20~2003.4.19 경기 연천 애국장(1991) 한국혁명여성동맹(1940),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한국애국부인회 서무부 주임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양우조의 처
최연화 1915년생 경북 미포상
최영숙 1921년생 전남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윤신 1926.6.16~1990.7.12 황해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국광복군상하이지대장 박시창의 처
최은실 1914년생 미상 미포상 바이허(白河)바에서 근무 중에 한국광복군 윤창호에게 초모 포섭되어 지하운동에 협력함. 일본군 위문단인 한국인악극단 내의 한인청년들에 대한 포섭 전개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하) 91면
최이옥 1926.6.16~1990.7.12 평북 용천 대통령표창(1982)/애족장(1990) 지난에서 광복군 초모위원회 지하공작원 활동(1944),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전방구호대 입대 활동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문택 수기(하) 318면, 박성관의 처
최정 1909년생 경북 고령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문화부장 김상덕의 처
최종숙 1926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동오와 최동엽 부부의 큰 딸
최종화 1929년생 평북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최동오와 최동엽 부부의 둘째 딸
최창례 1895년생 평북 미포상
최창은 미상 평남 미포상 민족혁명당 감찰위원
최형록 1895.2.20~1968.2.18 평양 애족장(1996) 한국혁명여성동맹 감찰부장(1940), 한국애국부인회(1943),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1943),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 과원 조소앙의 둘째 부인
추수덕 1922년생 충북 미포상 중국 교포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탁금옥 1923년생 전북 미포상
하민장 미상 충북 미포상 한국광복군 남상규의 처
허쉰치(何尙祺) 1921년생 중국인 건국포장(2020)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원, 한국청년전지공작대한국광복군 제 5지대장 나월환의 내연녀
한소은 미상 미상 미포상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한숙 미상 함경도 미포상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한정임 미상 경북 미포상 중국 입국(1937), 한국광복군 제 2지대 직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한태은 1920.9.23~2006.2.27 대구 애족장(2020)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단원(1941),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임시의정원 의원 이정호의 처
허정숙 1902.7.16~1991.6.5 경성 미포상 경성여자청년동맹(1925), 근우회 상무위원(1926), 근우회중앙집행위원(1928), 민족혁명당 가입(1936), 조선청년전위동맹(1938), 조선의용대 부녀국/진나기변구 지회대원, 조선의용대 화북지대(1938), 중국공산당 산하 항일군정대학 정치군사과 졸업, 팔로군 120사단 정치지도원(1940), 조선혁명군정학교 교육과장/독립동맹 집행위원(1942) 임원근(첫째 남편), 송봉우(둘째 남편), 신일룡(3번째 남편), 최창식(4번째 남편)의 처, 부친 허헌, 광복 후 북한 정부에 참여, 북조선 인민위원회 선전부장, 문화선전상, 사법상, 최고 재판소장,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조선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서기장 등 역임
호요동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홍매영 1913.5.15~1979.5.6 평북 박천 건국포장(2018) 한국독립당(1940년)당원, 유한책임한국광복군 관병소비합작사 사원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차리석의 처
홍매범 1923년생 전북 미포상
홍순애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1지대사원명책(1942.11)
홍혁숙 1911년생 함경도 미포상 시안시 거주 한교조사표, 1938년 중국 입국, 한국광복군 직원
황관잉(黃冠英) 1912.7.23~1992 상하이 출생 미포상 한국광복군 경위대장 한성도의 중국인 처
황남숙 1911년생 함경도 미포상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군의처장 유진동의 둘째 부인
황수방 1920년생 경성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광복군 김의명의 부인
황숙미 미상 미상 미포상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제 1구대 전방구호대원 한국광복군 제 3지대 앨범 항일혼의 선봉
황애숙 1890년생 경성 미포상 한국독립당(1940년) 당원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의 둘째 부인
  • 『한국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韓國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8)의 명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원 및 권속, 교민의 명단으로 충칭, 시안, 쿤밍, 청두에 거주하는 남자 250명, 여자 285명의 합계 535명의 명단인데, 이 중 16세 이상의 여성을 추출하였고 여러 자료들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더하여 총 278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였다. 본 표는 아직 정리가 미진한 부분이 있으니 참고할 것
  • 충칭에 머무르는 한국교민명책(旅渝韓橋名冊)(1945.11.4)
  • 충칭시거류한교조사표(重慶市居留韓僑調査表)(1942.4.9)
  • 유한책임한국광복군총사령부 관병소비합작사 사원명부(1942. 11. 28)
  • 한국광복군 제 1지대 대원사병 및 가족성명책(1944.12)
  • 임시정부직원기권속교민명책(臨時政府職員暨眷屬僑民名冊)(1945.12. 8)
  • 귀국임시정부인원급가족 명단
  • 민석린, 임정 의정원 각 당파 명단(1944.3.15)
  • 광복군 김문택 수기

9. 계급

형식상 계급 체계가 존재했던 것과는 별개로, 계급호칭과 군복에 패용[120]을 하지 않았으며 계급은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최전방 부대는 거의 달지 않았으며 일부 사진 자료에서 계급장을 달는 것은 후방에 있는 부대로 추정된다.
문응국: 그래요. 안원생씨를 퇴원해라 해서 다시 캘커타로 와서 귀국 준비를 했는데, 내가 1945년 9월 6일 아침에 떠났어요. 한 3일 전부터 준비를 하는데 있어야 별 것 없지. 그 군복 다 가지고 올 수도 없고, 영국 군복인데 뭐, 계급장만 우리가 다르게 달았어요. 영국 계급장을 달려는 사람도 있었어요. 그래서 나는 싫다. 그래 우리가 임시로 만들어 단 겁니다. 광복군은 계급장이 없거든 그때까지.

이현희: 광복군은 계급장이 없었어요?

문응국: 없었어요. 그 때 우리가 편지를 해서 빨리 계급장을 만들자 해서 무궁화로 만든 것이 그겁니다. 그래서 영국식을 많이 닮았어요. 좋은 점은 받아들여야 할 것 같아요.[121]
김행복: 그때 지사님은 무슨 계급을 달고 있었습니까?
장호강[122]: 그때 우리 광복군은 계급 안 달고. 내용은 부관참모니까 중령급입니다. 부령급이지요. 부령. 그러나 그때는 계급은 안 달고. 중국군대도 계급은 안 답디다. 왠고 하니 전쟁 때는 달면 도리어 사병과 (사령부) 안에는 달고 있었는데 최전방 나온 부대는 안 답디다. 왜 안다느냐 했더니 전쟁시에는 안 단다고 그래요. 광복군도 속으로 난 무슨 계급이라는 거 알고는 있었지만 표시를 하지 않고 동지, 같은 동지다 이거죠. 부를 때도 ○○동지.. 절대 무슨 저 계급을 부르지 않았습니다. 지대장 동지지, 구대장 동지고, 장호강 동지라 그러지, 절대 계급은 안 불렀어요.

김행복: 우리 같은 경우에는 박소령, 김소령 그렇게 부르지 않습니까? 그것이 보편화되어 있는데, 저희들 입장에서는 좀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군요.
장호강: 중국의 혁명 전통이 옛날부터 동지, 동지 했지 계급을 안 불렀습니다. 그 자체가.

김행복: 그것은 저도 역사적으로 좀 알고 있습니다. 인민들은 전부 평등하고, 계급사회가 아니다. 하고 계급을 회피하는, 실제로는 게급이 있으면서도 그런 면이 있지요.
장호강: 광복군은 계급을 안 달았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가서, 해방 거의 가까이 가서 총사령부에 있는 분들이 계급을 붙이더만요. 허허허. 해방되어 갈 때.

(중략)

김행복: 그때 지대장이 누구였지요?
장호강: 지대장은 김학규 장군. 3지대장.

김행복: 그러면, 김학규 장군이 그 일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책임을 지고 지시도 내리고 하셨군요.,
장호강: 부지대장에 이복원(李復源) 장군이라고 있었고.

김행복: 그때 장군으로 부르셨습니까?
장호강: 그땐 장군이 아니고 대령 계급이지요. 지대장은 우리 준장과 같은 계급이고, 또 부지대장은 대령과 같은 계급이었습니다. 그러나 절대 계급장은 붙이지 않고.

김행복: 계급장은 붙이지 않구요?
장호강: 예. 예. (설명 도중에 서재에서 사진첩을 꺼내와서 손가락으로 짚어가며 설명을 한다) 구대장이, 제1구대장이 박영준. OSS특별 …… 이 사람은 정령, 대령과 같은. 이 분도 정령, 그래도 계급장은 안 달았습니다. 이 분은 부령, 중령과 같은 계급이지요. (이 분은) 참장

김행복: 준장과 같은 계급이지요?
장호강: 예, 그렇습니다.

김행복: 그런데 계급을 공식적으로 명령 상으로는 부여를 해 줍니까?
장호강: 그러니까 서류 상으로는 알고 있죠 자기들이. 중경서 파견할 때 계급을 알려 줍니다. 총사령부 거기에는 (계급이) 나옵니다. 나옵니다. 그러나 본인들이 현지에 왔을 때는 절대 계급장을 달지를 않고.[123]

한국광복군은 광복군 행동 준승 9개조항으로 인하여 중국군 지휘체계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1945년 초까지는 중국군 체계를 따랐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3. 본회는 해군(한국광복군)이 한국의 내지(內地) 혹은 한국 변경에 접근한 지역을 향한 활동을 원조하되 아국의 항전 공작과 배합함을 원칙으로 하며, 한국 국경 내로 추진하기 전에는 마땅히 한인을 끌어들일 수 있는 윤함구(淪陷區: 중국 내 일본군 점령지역)를 주요 활동 구역으로 삼는다. 군대를 편련기간(편성하고 훈련하는 기간)에는 아국(我國, 중국) 전구(戰區) 제1선 부근에서 조직 훈련하되 다만 우리의 현지 최고군사장관(지휘관)의 통제(當地 最高軍事長官의 節制)를 받아야 한다.[124]

한국광복군은 부대단위가 아닌 중국군에 예속되어 있는 상태로 대원제를 운영하게 된다. 중국 국민당 군사위원회에는 1942년 7월 <지도초안>을 제정하였다. 그 초안은 총 3항 15조였다. 총강에서는 이 방안의 제정이 쑨원 선생의 "약자를 건지고 쓰러지는 자를 부추기라"는 유지와 장제스 위원장의 항전방략에 맞추어 한국인들의 복국 역량을 배양하고 그들로 하여금 태평양 전쟁에 공헌하기 위한 것이었다.
군비: 이 경비는 주로 조선의용대와 그 뒤에 나타난 한국광복군에게 제공되었다.
1938년~1941년 사이의 조선의용대는 명의상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정치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따라서 그들에게 지급된 봉급은 국민당 부대와 동등한 대우였다. (1941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가 이탈한 이후부턴 중단)
1940년 한국광복군이 성립된 뒤, 한 차례 미주의 한국 교민들과 쑹메이링(宋美齡)이 이끌던 중국 부녀단체로부터 경비 원조를 받은 적이 있으나, 1941년 겨울에 이르러 국민당 군사위원회 참모총장이 한국광복군을 지휘하도록 한 뒤부터 광복군의 무기와 식량 봉급도 국민당 군정부가 직접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조선의용대와 한국광복군은 부대 단위가 아닌 대원제(隊員制)를 채용하고 있었다. 각 대원은 모두 중국 장교(소위 이상) 봉급을 받았다.
1945년 5월, 한국인의 요구에 의하여, 한국광복군은 임시정부의 직접 관할하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그 뒤에도 그들에 대한 보급은 여전히 군정부 군수서(軍需署)가 직접 담당하고 있었다. 다만, 차이가 있었다면 그것은 임시정부가 차관 형식으로 한데 묶어서 장부에 적는 수속상의 문제뿐이었다.[125]

게다가 1944년 10월 22일 학도병 출신 33명, 일반인 출신 11명 등 모두 48명의 교육생들은 한광반 제1기를 졸업하였다. 입교생 전원은 졸업과 더불어 중국군 소위의 임명장을 받았다[126] 왜냐하면 한광반이 제 10전구 린취안 소재의 중국중앙군관학교 안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편입되는 정화암이 이끄는 한중합동유격대(1939~1945년)와 유기석[127] 한교전지공작대(1943~1945)에는 계급이 없었다. 정화암 선생과 유기석 선생은 1920년대부터 재중국 무정부주의 활동을 하게 되면서 많은 중국인 동지들이 있었고 아나키즘 조직이 1937년 12월 조선혁명자연맹은 조선민족혁명당,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과 협의하여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하였다. 조선민족전선연맹은 한/중 연대와 함께 항일 투쟁을 위한 군대를 조직하였고 본인들이 아나키스트들이었기 때문에 원칙은 군대를 부정하는 게 아나키즘의 원칙이라 필요악으로 공작대를 조직한 것인데, 어떤 자료에도 대원들에게 계급을 부여하진 않았다.

따라서 광복군의 지대장, 구대장, 분대장을 이끄는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독립운동하게 되면서 중국군 각 전구의 군벌과 오래전부터 아는 사이인 경우가 많았거나 약산 김원봉, 나월환처럼 중국의 군관학교 출신이기 때문에 중국군 계급을 달고 있었다. 총기지급도 중국군관학교 임관 후, 2년 정도 중국군으로 복무해야 권총이라도 지급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광복군이 창설된 후, 초모공작하면서 그 총을 쓸 일이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등의 자료에 의하면 한국광복군은 창설 당시에는 대한제국군의 계급[128]을 사용하였다고 하나,[출처1]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에 등록되어 있는 광복군 출신 중, 임시정부, 총사령부, 제 2지대의 경우 현재 중위에 해당되는 부위(副尉)라는 계급을 많이 달고 있는데, 한광반 1기가 중국군 소위(小尉)계급장을 달고 각 부대에 배치가 되었으니 중위에 해당되는 부위(副尉)을 일괄적으로 달아주었다. 사병이나 부사관 계급장도 있으나 이는 훗날 초모공작으로 인하여 부대원 수가 많아졌을 때 대비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장교의 비율만 너무 높다.

원래 군대에서 계급이란, 많은 병력을 지휘통솔할 때 사용되는 것인데, 결국 광복군에게 있어서는 초모된 병력이 5천명에서 만여명 이상 많아야 통솔 의미가 있다. 하지만, 광복군의 병력이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될때까지 540명 수준이었고 광범위한 중국대륙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계급을 부여받았다 하더라도 의미가 없는 수준이다. 구대장, 부구대장 정도 되는 사람은 계급을 받았을 수도 있으나 실제 생활은 현대 대한민국 국군의 분위기랑 전혀 달랐을 것이고 작은 조직이니만큼 유연적/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였을 것이다.

김준엽, 장정-나의 광복군 시절에 이범석 장군에게서 계급받는 경험을 전해주고 있다.
그런데 다행스럽계도 1945년 5월 1일에 이범석 장군이 대원들에게 승진 발령을 내렸다. 충칭에서 새로 도착한 우리 일행 19명도 일제히 중위로 승진하였다. 다행이라는 것은 모두 승진의 기쁨 덕에 나의 부관 취임에는 그리 신경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범석 장군은 모든 것을 이미 사전에 준비하고 있었다. 광복군을 창설할 때 전 대원을 위관급 이상으로 임명한 것은 장차 확대될 광복군의 기간요원으로 삼으려는 것이고 또한 중국측으로부터 지원을 많이 받기 위해서였다. 우리는 리촨분교를 졸업할 때 중국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므로 중위로 승진할 때는 큰 어려움이 없었다.[130]
중국군 계급과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다 한국식 계급도 총사령부나 제 2지대 서안본부로 가야 받을 수 있었다. 총사령부 본부와 멀리 떨어져 최전방있는 제 3지대나 제 3징모분처는 계급을 임명받으려면 특파원이 가서 임명장을 받아야 가능했는데, 현지 중국군하고 같이 공작활동을 하니까 당연히 중국군 계급을 따르는 수밖에 없다.
이범석 장군을 '광복군 국내정진군 총사령관'에 임명하였다.
이리하여 나는 자동으로 정진군 총사령관의 부관이 되었는데 철기는 그와 동시에 내 계급을 소령으로 진급 발령하였다. 그것은 국내로 진입하여 일본군 사령부나 국내 지도자급 인사들과 접촉할 때 사령관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을 것을 예견한 것이었다.[131]

9.1. 1941 ~ 1944

한국광복군 9개안 행동준승을 적용받는 1941~1944년 동안의 한국광복군은 중국 국민혁명군 육군 군사계급을 부여받았다. 이 시기 한국광복군의 최고 계급은 중장으로, 총사령관 지청천의 계급이었다.[132] 중장은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준으로는 소장에 해당한다.[133]
구분 계급
장관(将官) 파일:국민혁명군 중장 계급장.svg
중장(中將)
파일:국민혁명군 소장 계급장.svg
소장(少將)
교관(校官) 파일:국민혁명군 상교 계급장.svg
상교(上校)
파일:국민혁명군 중교 계급장.svg
중교(中校)
파일:국민혁명군 소교 계급장.svg
소교(少校)
위관(尉官) 파일:국민혁명군 상위 계급장.svg
상위(上尉)
파일:국민혁명군 중위 계급장.svg
중위(中尉)
파일:국민혁명군 소위 계급장.svg
소위(少尉)
준군관
(准軍官)
파일:국민혁명군 준위 계급장.svg
준위(准尉)
사관
(士官)
파일:국민혁명군 상사 계급장.svg
상사(上士)
파일:국민혁명군 중사 계급장.svg
중사(中士)
파일:국민혁명군 하사 계급장.svg
하사(下士)
사병(士兵) 파일:국민혁명군 상등병 계급장.svg
상등병(上等兵)
파일:국민혁명군 일등병 계급장.svg
일등병(一等兵)
파일:국민혁명군 이등병 계급장.svg
이등병(二等兵)

9.2. 1945 ~ 1946

1944년 8월 28일 임시정부는 중국군사위원회 참모총장으로부터 ‘종금 이후로는 한국광복군이 의당히 한국정부에 직속할 것인바, 전자에 중국군사위원회에서 정한 한국광복군 행동 준승 9항은 지금 수요되지 않으므로 이를 곧 취소한다’ 라는 공문을 접수하였고, 뒤이어 1944년 10월 23일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회의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잠행(暫行) 조직 조례’ 및 ‘지대·구대 잠정 편제표’를 통과 시행하였다.[출처3]

이후 1944년 11월 6일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는 광복군 총사령부와 각 지대의 조직조례 및 직원의 관급조정안을 제정 공포하고 군인들에게 계급을 부여하면서 한국광복군은 광복군 고유의 계급체계를 사용하게 되었다.[출처4][136]

조례의 공포와 함께 군인의 등급은 직급(職級)과 관급(官級)으로 구분하고, 관급은 직급에 따라 규정하기로 결의하였다. 이 시기의 광복군 고유의 계급체계는 상당 부분 대한제국군의 계급체계와[137] 1919년 발표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임시군제의 계급체계로부터 유래하였다.

1919년 이미 제정된 바 있었던 대한민국 육군임시군제 중 군인의 등급을 무관(武官)[138]과 병원(兵員)[139]의 두 종류로 나눈 다음, 무관에는 장관(將官)·영관(領官)·교관(校官)·사관(士官)으로 하여 각기 정(正)·부(副)·참(參)의 세 가지 등급이 있게 하고, 병원에는 1·2·3등이 있게 하였는데, 1944년 10월 23일 부로는 다시 교관(校官)을 위관(尉官)으로, 병원(兵員)은 상등병·1등병·2등병으로 개정하기로 결의를 보게 되었다. 이후 1944년 11월 6일 국무 회의에서는 다시 총사령부 및 각 지대 직원의 관급 조정안을 제정 통과하였다. .[출처3]

한국광복군의 계급장 도안은 1944년 12월 2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군사과 과장 조지영이 고안하였고, 이듬해인 1945년 2월 20일 임시정부 국무위원회에서 공포시행되었다.

다만, 이 계급장들은 광복군 내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현지 일선 및 최전방에 파견된 군인들은 서류상으로는 계급을 부여받았으나, 그것을 표기하는 계급장은 패용하지 않았고, 해방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 총사령부에서 근무하는 군인들, 또는 각 부서의 주임급 직책을 맡는 군인들만 정복을 착용할 때에 한하여 패용하였다.[출처2][142]

밑에 나와 있는 계급장 중 장관, 영관, 위관은 견장 형식의 계급장이고, 사관, 병원은 오른팔에 부착하는 형식의 계급장이다.
구분 계급[143]
장관(將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0%95%EC%9E%A5_%EA%B3%84%EA%B8%89%EC%9E%A5.png
정장(正將)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B%B6%80%EC%9E%A5_%EA%B3%84%EA%B8%89%EC%9E%A5.png
부장(副將)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B0%B8%EC%9E%A5_%EA%B3%84%EA%B8%89%EC%9E%A5.png
참장(參將)
영관(領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0%95%EB%A0%B9_%EA%B3%84%EA%B8%89%EC%9E%A5.png
정령(正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B%B6%80%EB%A0%B9_%EA%B3%84%EA%B8%89%EC%9E%A5_%EC%A4%91%EB%A0%B9.png
부령(副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B0%B8%EC%A0%95_%EA%B3%84%EA%B8%89%EC%9E%A5.png
참령(參領)
위관(尉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0%95%EC%9C%84_%EA%B3%84%EA%B8%89%EC%9E%A5.png
정위(正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B%B6%80%EC%9C%84_%EA%B3%84%EA%B8%89%EC%9E%A5.png
부위(副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B%B6%80%EC%82%AC_%EA%B3%84%EA%B8%89%EC%9E%A5.png
참위(參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4%80%EC%9C%84_%EA%B3%84%EA%B8%89%EC%9E%A5.png
준위(准尉)
사관
(士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B%B3%B5%EB%AC%B4%EC%A0%95%EC%82%AC_%EA%B3%84%EA%B8%89%EC%9E%A5.png
특무정사(特務正士)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0%95%EC%82%AC_%EA%B3%84%EA%B8%89%EC%9E%A5.png
정사(正士)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A4%91%EC%82%AC_%EA%B3%84%EA%B8%89%EC%9E%A5.png
중사(中士)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B0%B8%EC%82%AC_%EA%B3%84%EA%B8%89%EC%9E%A5.png
참사(參士)
병원(兵員)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83%81%EB%93%B1%EB%B3%91_%EA%B3%84%EA%B8%89%EC%9E%A5.png
상등병(上等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9D%BC%EB%93%B1%EB%B3%91_%EA%B3%84%EA%B8%89%EC%9E%A5.png
일등병(一等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D%95%9C%EA%B5%AD_%EA%B4%91%EB%B3%B5%EA%B5%B0_%EC%9D%B4%EB%93%B1%EB%B3%91_%EA%B3%84%EA%B8%89%EC%9E%A5.png
이등병(二等兵)

10. 호칭

한국광복군에는 계급 외에도 직책 역시 존재하였는데 실제로는 '동지(同志)'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 아나키즘(무정부주의) 계열의 독립단체로 시작하여 만들어진 조선의용대, 한국청년전지공작대는 "(이름 또는 성) 동지(同志)"[144]라는 호칭을 많이 썼다. 제 1지대 제 2구대의 경우 이소민 구대장과 귀국 전까지 의형제를 맺으면서 '형(兄)'이라는 표현도 많이 썼다.[145]

'동지(同志)'라는 표현이 없어진 배경
일제강점기 당시, 친구(親舊)라는 표현은 친고(親故)라도 쓰였고 '친척'과 '벗'인 사람을 뜻한다. 원래는 Friends라는 뜻이 아니다. 그보다는 대중적으로 동무[146], 벗[147], 중국에서는 동지(同志)를 많이 사용했었다.

동무, 동지(同志)라는 표현은 본래 한국 전역에서 쓰이던 말이었다. 1950년 6.25 전쟁이 터지면서 숙군(肅軍) 및 무자비한 양민학살 과정을 거치면서 이 표현들은 친구(親舊)라는 표현으로 대체가 되었고 '동무' '동지(同志)'는 북한 사람들이 쓰면서 남한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된다. 광복군 출신들이 '동지(同志)'라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이 표현을 썼다고 빨갱이로 몰아가는 사람도 있을 정도이다.
현철군이 그저께 아리랑고개[148]에서 불심검문[149]을 만나 "어디 갔다 오느냐" 하기에 "동무 집에 놀러 갔다 온다" 하였더니 "동무란 말을 쓰는 걸 보니 너 빨갱이 아니냐?" 하더라고. 우리 연배면 '친구(親舊)'라는 좋은 말이 있지만 현철이 나이 또래에는 '동무'라야 격에 맞을 터인데, 무슨 알맞은 대용어라도 찾아내어야겠다.
한 사학자의 6.25 일기 "역사앞에서" p252 1950년 10월 17일자 김성칠 지음.

'혁명을 위하여 함께 싸우는 사람'이라는 Comrade라는 의미를 동무, 동지(同志)라고 번역하면서 북한 김일성 주석체제를 신격화하면서 아바이 동무, 수령 동무, 수령 동지 등등의 표현을 사용하게 된다. 강한 반공 이데올로기가 있었던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동무라는 단어가 거의 죽은 말이 되다시피 하였고 1990년대까지도 금지하는 분위기였으며 흔적은 '어깨동무', '길동무', '말동무' 같은 합성어에만 흔적이 남아있다.[150]

11. 직책

지대장[151], 구대장[152], 분대장[153], 대원 등의 직책이 존재하였다.[154]

같은 광복군 부대라도 조선의용대 출신이냐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따라서 제대로 군관학교 출신에 따라 분위기와 직책이 다 달랐다. 오히려 계급과 직책에 군대처럼 엄격하게 따져대는 곳은 지청천 장군이 있는 총사령부와 이범석 장군이 지휘하는 부대에서는 직책, 계급을 부여하는데 신경을 많이 썼음을 볼 수 있다. 참모, 부관, 정훈, 경리, 군의, 군법, 부지대장, 정치지도원, 서기, (군사)특파원, 대원 등등의 여러 직책들도 존재하였지만, 각 부대에 일괄적으로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대장 자리도 5차례 바뀌는 곳도 있었고 또한 임시정부나 광복군 총사령부에서 발족식을 할 때 독립군, 의열투쟁, 군관학교 졸업생, 중국군 복무 등등으로 이미 서로서로 아는 사람들이다.

각 조직의 총책임자에게는 '대장' 또는 '주임'이란 명칭이 쓰였다.

나월환과 함께 동경에서 유학 생활을 보냈고 항일 투쟁을 같이한 박기성은 훗날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나월환은 머리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장점이 많은데 반해, 단점도 많았다. 아무튼 대원들 간의 여론이 좋지 않아서 제일 가깝고 그를 잘 알고 있는 나는 틈만 있으면 그에게 충고를 해주었다.
"나 대장, 지금 현재 나 대장에 대한 대원들 간의 여론이 좋지 않으니 매사에 조심해주게."
그러나 나월환은 조금도 수그러들지 않았다.
"아니, 내가 뭐 어쨌다는 거요. 도대체 어떤 놈이 나더러 뭐라고 합디까! 뭣을 조심하라고 합니까."
이렇게 응수하며 여전히 그의 태도는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나는 진심으로 이렇게 말해 주었다.
"뭐라고 딱 집어서 얘기하기는 곤란하네만, 내 생각에 자네는 한동안 어디 가서 쉬었다 왔으면 싶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나는 굵고 짧게 갈 생각이오. 내가 어떻게 되든 박형은 나에게 개의치 말아주시오."
이때부터 나는 그의 말대로 일체 그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심지어 신문에서 동지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인도공작대(印度工作隊) 대장 한지성(韓志成) 업무보고차 충칭(重慶)에
한국광복군 인도공작대는 1943년 가을 인도 전선에 파견된 이래 대적선전공작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둬 영국군으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아왔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공작대 대장 한지성 동지가 지난 12월 말 임시정부당국에 보고차 인도로부터 중경에 도착하였다 한다. 다음은 임시정부 주회(週會)에서 한지성 동지가 보고한 인도에서의 활동 상황의 대강이다.

“인도 전선에서 공작대가 활동에 나선 이래, 각 대원들은 민족의 영광을 위해 빗발치는 탄환도 두려워하지 않고 온갖 고초를 겪으며 영국군의 작전에 협조를 다하였다. 공작대는 적을 향한 육성(肉聲) 선전, 방송, 전단 살포, 포로 심문, 적정 정찰, 포로 훈련 등 여러 부분에서 이미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영국군 당국은 우리 인도공작대를 깊이 신임하고 있으며, 한국독립에 대해서도 동정을 아끼지 않고 있다. 중경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청년동지들이 인도에서의 공작에 다수 참여하기를 희망한다.”[155]

면담자 | 김행복(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사부장)
면담일시·장소 | 2001년 12월 1일, 12월3일·서울보훈병원[156]
이제 거의 다 끝난 것 같습니다. 공산주의 이야기는 별로 중요한 것은 아닌데 지금 다 지나가버린 이야기죠 …
김승곤: 내가 광복회 회장 할 때, 광복회 회장 할 때, 광복회 회장으로 있을 때…

예.
김승곤: 우리 밑에 직원이 와서 회장님 일본 아가하타 신문 기자가 인터뷰를 하자고 그런다고 해요. 일본 아가하타 신문, 일본의 공산주의 기관지죠. 제멋대로 쓰는 놈이라 한번 더 다시 왔죠.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공보실에서 부탁한거. 공보실에서. 그래 올라오라고. 그래 통역하고 둘이 왔어요.

통역하고 둘이 왔습니까?
김승곤: 그래 이야기 하다가, 내가 전에 중국 들어갈 때, 목포 수상경찰서에서 차표에다가 도장 하나 콱 찍어 주면서 ‘샹하이데 힌데고이’, 상해에 가서 죽고 오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했지. 내 이제부터는 한국말로 하마. 한국말로 해야겠어. 기자들에게 그렇게 말하니, 기자들도 웃더구만. 그런 놈이 어디 있어. 내선일체라고 하면서, 아 상해에 가서 죽고 오라니. 그런 일이 어디 있나. 전시에는 중국에서 다 동집니다. 동지. 동지, 다 동지야. 어저께 죽일 놈, 살릴 놈 해도 다 동지가 되고. 중국에서 공산당은 다 동지라고 한다. 상황이 그랬으니까. 중국 공산주의자인 아오야마[157]라는 사람이 와 있었어요.

아오야마(靑山和夫)라고 하는 사람이 왔단 말이죠.
김승곤: 중국에서 해방되었지요. 공산주의자이죠. 중국에 많이 협조했죠. 그래 그 신문이 나왔어. 중국공산당은 나 동지 다 됐다고. 다른 사람들이 신문을 들고 가서, 보라고 광복군 회장이 공산주의자다. 그래서 무슨 그따위 소리 하느냐고. 중국 대륙에서는 다 동지야. 중국 대륙에서 어떻게 싸웠는지도 모르고. 중국 대륙에서는 따로 살았지만 다 동지거든.

공산주의자도, 뭐, 공산주의 아닌 사람도 …
김승곤: 다 동지야. 그래서 공산주의자와는 철저히 싸웠어요. 중국 형편도 모르고, 제대로 독립운동 하지도 않은 놈이 그 따위 소리하고 다녀. 그랬죠

이 동지(同志)라는 표현은 해방 후에도 광복군 출신들이 쓰였다. #

광복회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듯이 동지(同志)라는 표현을 후손들이 이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

12. 복제

12.1. 국민혁명군의 상황

국민혁명군의 복식과 동일하였다.[158]

다만,
파일:이렇게 좋은 옷은 없었다.jpg
"이렇게 좋은 옷은 그 당시 없었단다."

1937년에 중일전쟁이 발발하여 군복을 생산할 물자를 조달하고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군복 관련 규정이 제정된 후, 군복 제작 경비가 군비(軍費)[159]의 형식으로 각 지구(地區)에 할당되었고, 지역 책임자는 피복 공장에 제작을 위임하였다. 그런데 이 경비가 중간에서 착복되기도 했고, 공장마다 제작 수준이 달라 군복의 완성도에도 차이가 생긴 것이다. 현지 염색 공장에서 원단을 염색하였기에 그 색이 규정된초록색에 근접하지 못하였다고 한다.[160]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중국의 주요산업시설이 있는 대도시와 철로를 점령하였던 여건 상 피복 공장마다 완성되는 군복의 품질이 불안정하였기 때문에 양질의 군복이 광복군에게 지급되기는 어려웠다.

파일:v2-687e287bec9a4f004dc8c5b1d1c414f4_1440w.jpg

위 사진처런 대부분의 경우 광목[161]으로 만들어진 조잡한 군복[162]을 착용하였는데, 추운 겨울철에도 3~4벽 명의 군인들이 얇은 옷으로 버텨야 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았다.[163] 이마저도 군복 염색물이 빠지는 건 쉽게 볼 수 있는 광경이었다.

파일:1-000788-030-0000.jpg

국민혁명군에게 받은 군복 색깔도 옅은 황토색, 황토색, 청색, 진청색, 하얀색[164], 검은색 등등 다 달랐었고 모직이냐 면이냐 광목이냐 따라서 재질도 많이 달랐다. 같은 색이어도 나염기술[165]이 좋지 않아 군복의 색상 역시 앞의 이유 때문에 짙고 옅은 정도가 제각각이었다. 상하이[166]나 난징[167] 정도 되는 대도시에 가야 미싱 500기를 돌려가면서 공장처럼 군복을 찍어낼 수 있지. 이마저도 1937년에 중국의 도시들 절반이 일본군 수중에 들어간 상황에서 군복을 구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런 와중에 부대표식이나 계급장은 생략되는 경우도 많았다. 출신마다 중국군관학교 출신, 중국내 한인교민, 일본군 한적사병 출신 등등 많았지만 다양한 중국 군벌내에서도 옷이 다 다르니 그 옷들이 다 같을리는 없었다.

파일:1940 중국.png

충칭(광복군 총사령부와 1지대)과 쿤밍(OSS 중국전구 본부)[168] 일부분 제외하고는 광저우와 홍콩등 해안에 있던 대도시들이 전부 일본군에게 점령되는 바람에 양질의 좋은 전투복을 구할 수 없었다.[169] 해로가 다 차단된 상황에서 후난성 챵샤대회전처럼 철도 길목 요충지를 막아내려고 필사적으로 전투했었다.[170] 폭격기 공습으로 대도시도 파괴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양복옷감을 구하기는 더 힘들었고 설령 옷감이 있다하더라도 양복을 맞춤으로 입었던 시절이라서 양복만드는 테일러들이 일하는 곳이 대도시들이었다. 가죽 군화도 전부 맞춤 수제화였고 1990년대까진 양복과 구두는 전부 맞춤으로 입고 다녔다.

1990년도 이후, 현재 우리가 군대에서 대량으로 군복이나 전투화 받는 경우는 공장에서 대량으로 찍다시피해서 나오는 거지 중일전쟁,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엔 하나하나 다 맞춰 입어야 했다.

12.2. 광복군 군복 : 청색 국민혁명군 군복

파일:1000054417.png
오은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결성과 항일공연예술 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김자동 회고에도 광복군의 시초가 되는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가 착용한 군복은 청색으로 증언했었다.
파일:1000054415.jpg
광복군안영희선양사업위원회, 『광복군 갔다고 말 전해 주소, 여성광복군 안영희의 삶』, 나녹, 2019
시안 광복군 제 2지대, 간호장교인 안영희 지사의 기억에도 청색 군복이었다고 한다.

한국광복군 장준하김준엽의 회고록에 따르면, 한국광복군은 청색(靑色)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들은 중국에 주둔했던 일본군 부대를 1944년에 탈출한 학도병이었으며, 1945년 1월말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도착하여 한국광복군에 합류하였다. 한국광복군이 된 그들은 아래와 같이 총사령부로부터 청색의 중국 군복을 보급받았다. 재질은 무명이었다.
파일:1000054373.png
장준하, 『돌베개』, 세계사, 1992
파일:1000054374.png
장준하, 『돌베개』, 세계사, 1992
파일:1000054375.png
장준하, 『돌베개』, 세계사, 1992
파일:1000054376.png
장준하, 『돌베개』, 세계사, 1992
파일:1000054377.png
장준하, 『돌베개』, 세계사, 1992

김준엽은 그의 회고록에 일본군을 탈출하여 충칭에 도착하기 전, 그가 잠시 몸담았던 중앙군 소속 유격대(遊擊隊)가 푸른빛의 심회색 군복을 착용한 것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그러다가 마을 어귀를 얼핏 보니 노랑 군복을 입은 중국 군인이 총에 기대어 졸고 있는 것이 아닌가! 당시 국민정부군은 파란 군복을 입었고 친일 왕징웨이군(汪精衛軍)은 노란 군복을 입었다. 신병인 나도 이 정도는 알고 있었고, 따라서 마을 어귀에 노랑 군복을 입은 군인이 있는 것을 발견했을 때는 하늘이 무너지는 느낌이었다.
쑨 동지가 무엇을 안고 들어왔다. 그는 웃으면서 "김 동지의 군복이니 갈아입으라"는 것이었다. 정말 고마웠다. 어서 일본군복을 내동댕이치고 싶었지만, 말하지 못하고 있던 처지였다. 국부군의 청색 군복에 청천백일 휘장이 붙은 군모를 쓰게 되었다. 우리 독립군의 복장은 아니지만 우선 연합군의 일원인 중국군 군복을 입게 된 것이 여간 자랑스럽지가 않았다. 외양만 보고는 내가 한국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없게 되었다.[171]
김준엽 지사가 1944년 3월 30일 중국 장쑤성 서북부에서 중국인 한즈룽 사령관 환영연을 맞이하기 전에 중국군복을 받았을 당시의 회고
파일:1000054414.jpg
선우진, 『백범 선생과 함께 한 나날들』, 푸른역사, 2009
선우진 지사의 증언엔 오디물을 들인 회색빛 중국군복을 받았다고 한다.
파일:1000054625.png
정영호, 『아름다운 마음』, 운초서사, 1995, 550쪽
민간인 복장 착용 사례

반면에 황색 군복은 친일 괴뢰 정부인 왕징웨이 정권의 부대인 화평건국군의 군복임을 알 수 있다.[172]
파일:1000054416.png
유기석, 『삼십년방랑기-유기석 회고록, 국가보훈부, 2010, p.294

초혜(草鞋)[173]
파일:1000054629.jpg
짚신, 초혜(草鞋)를 만드는 국민혁명군 병사들
파일:1000054624.jpg
이현희 대담, 『한국독립운동증언자료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307쪽
파일:1000054631.png
정영호, 『아름다운 마음』, 운초서사, 1995, 520쪽

포혜(布鞋)[174]
파일:1000054630.jpg
중국의 전통 신발 포혜(布鞋)
파일:1000054627.png
윤경빈,『독립유공자 증언자료집1』, 국가보훈부, 2002, 109쪽

12.3. 광복 이후

일본이 패전하고 나서야 상하이에서 군복을 맞춰 입었다.
파일:1000054626.png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 2012, 203쪽

1945년 8월 28일, 김용 지사의 회고에 따르면 전쟁 깐에는 민간복장으로 다니다가 일본이 패망한 뒤 상하이시에서 군복을 맞춰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건이 될 경우 짚신이 아닌 가죽장화를 지급받는 경우도 있었다.
한 번 총사령부 갔는데, 뭣 때문에 갔냐면 거기 파견된 사람들은 가죽장화를 해줬는데 우리는 그걸 안 해줘서 데모하러 갔어요. 그때 거기 있던 사람들 다 갔죠. 아, 거기 앞에 가서 쭉 대열에 서서 우리는 왜 안주고 저기만 주느냐 우리도 달라, 해준다면 가고 안 해준다면 여기서 끝까지 데모하겠다, 그래서 나중에 해줬어요.[175]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경위대(토교대 근무) 유재창 지사의 구술

인면전구공작대는 영국군복을 입었었고 제 2지대 제 3지대 OSS 국내진공반은 미군복을 입었었다.

13. 무기

13.1. 총기류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 독립군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권총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지원화기 기관총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13.1.1. 총기제한 사례

광복군 9개 준승에 의거하여 광복군 대원은 중국군 장교의 통제를 받았었고 중국군 입장에선 일본군과 싸우는 건 중국군이 할 일이었다.

중국사회에 전해 내려오는 속담 중에 좋은 인재는 병사가 되지 않고, 좋은 쇠는 못이 되지 않는다(好男不當兵 好鐵不打釘 | Hǎo nán bùdāng bīng hǎo tiě bù dǎ dīng)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중국의 좋은 인재.. 달리 말하면 고학력자와 유산자들은 군대에 들어가지 않았고 대부분은 농민이나 노동자였다.
국민당군 제 17군단 감사결과(1945.2.)
부대에 병력이 18000명 있는데 소총은 겨우 5337정이었다.[176]
중국군 병사 3명 당 1명만이 소총을 들고 있었던 것이다. 총이 없는 다른 병사들은 따다오(大刀)라는 큰 대검을 들고 싸우게 된다.
대도는 현지 대장간에서 쉽게 제작할 수 있었는데다가 가격도 상당히 저렴했었다. 중국 국민혁명군의 무기부족을 따다오로 대체하게 되다보니 일본군의 기관총에 몰살 당하는 건 순식간이었다.

특히 현대전을 치르는데 있어서 포병이 되려면 수학이라도 잘해야 하고 공병은 토목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군 90%는 문맹이라 글을 읽고 쓸 줄 몰랐다. 병사들은 대부분 농민공 출신으로 학력이 많이 낮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등학교나 전문대학 졸업 이상인 학병출신인 한국인들을 우대했었다. 대졸출신인 독립운동가들이 국민혁명군 소교나 상교 계급장을 받고 부대를 맡은 적이 있다거나 하는 일들도 있었다.
파일:mo106xth0nj71.jpg
총을 지급받더라도 총알이 없거나 관리용품이 없어서 총이 망가지기라도 하면 우산대용으로 쓰였다.

국민당 군대의 소총은 각기 다른 원산지로 채워졌다. 산둥반도에 독일식민지였던때가 있어서 독일 Kar98소총, 그리고 장제스 총통이 소련으로부터 군수지원받은 모신나강 1891, 체코 ZH-29, 적에게 탈취한 일본 38식, 체코 VZ.98/22소총 등 장비가 많아지니 만큼 필요한 보급 탄약이나 부품도 많아지다보니 소총을 받았어도 발사할 탄환이 없다면 막대기가 되는 경우도 많았다. 그런 군수공장들도 타이위안 조병창, 난징 조병창, 상하이조병창 등이 있었으나 1937년 12월까지 수도 난징까지 다 먹히면서 1938년부터는 이 조잡한 권총들 조차 만들어서 지급하지도 못했다.

총을 수입을 했으면 탄약이나 관리용품도 수입했어야 했는데, 독일제나 체코제는 그러지 못했다. 모신나강 말고도 미국이 소련에 대여해준 미군 무기도 소량 중국에 풀렸으나 이마저도 탄약이나 관리용품이 없으면 있으나 마나였다.

제해권조차 일본군이 장악하면서 미국과 캐나다에서 무기대여법을 통과하여 태평양을 통해서 총기를 보낼려고 했으나 그때 만들어진 미국에서 만들어진 대부분 무기들은 1945년 8월 15일 이후에 돼서야 보내졌고 그 무기들은 1946년 이후, 국공내전과 한국전쟁때 쓰인다.

장준하의 회고록에도 린촨 한광반에 제식하는데도 총이 없었다고 한다.
조국이 없는 군대에는 목총 한 자루도 없었다. 집총훈련은 고사하고 이곳에선 총을 한 번 만져보지도 못하였다. 그러니 군사훈련이라는 것이 기껏해야 오와 열을 맞춰 대열을 정리하고 "앞으로 갓", "뒤로 돌앗" "구보" 등의 구령에 따라 질서 정연히 연병장 안을 맴도는 것 뿐이었다. 이것이 한 달 이상이나 계속 되었다.

중국 중앙군 군관후보생들의 훈련광경은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는 훈련이 아닐 수 없었다. 집총 훈련의 그 늠름한 모습이 부러웠고 사격훈련은 우리의 선말이었다.

이따금씩 야외 교장에서 들려오는 실탄사격 훈련의 총성이나 박격포 훈련의 포성은 우리에게 충격을 주었다.
'우리는 총없는 군대다. 우리는 조국없는 군대다. 아니, 조국은 있었으나 잠시 빼앗겼을 뿐.'

물론 이 임천군관학교 당국으로서는 동등한 대우를 해준다고 말하고 있으나 그것은 나라없는 설움을 받는 대우였다.
총없는 군대.
구태여 이렇게 생각하지 않으려 해도 날개 없는 새처럼 무기 없는 군대는 의붓자식 대접 속에 있었다. 내 눈으로 보아도 우리 한광반은 어색하기 짝이 없는 보기 싫어지는 군대였다.[177]
이현희: 그 밖에 장비의 지원은 어떠했습니까?

김국주: 장비 지원을 받은 일은 없습니다. 지하 공작을 나갈 때 무기를 가진 동지도 있었습니다만, 사실 그 때 우리 광복군은 소총이나 기관총을 메고 일본군하고 싸우는 것보다는 연합국 측에게 우리 한국 민족은 독립 의지가 굳세고 독립할 수 있는 민족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시켜주는 것이 더 중요했습니다. 예를 들면 윤봉길 의사와 의거는 세계 사람들로 하여금 우리 민족을 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달라지게 했고 그 때부터 중국 정부에서도 본격적인 지원을 한 것입니다.
광복군 제 3지대에서 끝까지 남아있었던 김국주 지사의 증언.[178]

제 9전구 공작대에서 제 1지대 제 1구대 김승곤 지사의 면담 기록에서도 총기 지급되진 않았다.
면담자 | 김행복(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사부장) 면담일시·장소 | 2001년 12월 1일[179]
Q: 그런데, 지사님께서 1구대를 인솔해서 그 장사 중국 제9전구 지역으로 가셨다고 되어 있네요. 지금 그말씀 하실려고 그러십니까?
김승곤: 그래요. 외국에서 우리가 실제 일본놈하고 마주 싸웠으니까. 전투는 거칠었어요. 광복군은 무장도 못했어. 광복군은 무장도 못했어.

Q: 무기가 없어서 그랬습니까.
김승곤: 무장도 변변찮았지.

Q: 무장을 하려고 노력을 하지 않았습니까?
김승곤:했겠지요.

중국 제 3전구 한교전지공작대를 꾸린 유기석 회고록에서도 제한과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한다.
"우리들이 경현에 가서 작업하는 것은 사전에 전쟁 지역의 사령장관부의 비준과 소개를 받은 것이기 때문에 주둔군 측은 우리들의 작업을 책임지고 협조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 부대는 국민당의 완전한 정규부대가 아니기 때문에 그들의 임무와 방향은 우리들 공작대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연고때문에 우리들 공작대의 작업과 활동은 모두 일정한 제한과 영향을 받았다."[180]

1942년 12월 약산 김원봉이 광복군 부사령직에 취임한다는 소식을 접한 에서는 약산 김원봉 부사령관이 9개 행동 준승에 대한 개정을 요구했다.
광복군 제1 지대장 겸 부사령 직에 취임한 김약산은 부대의 재정비와 아울러 대원의 교육 훈련에 힘을 경주하는 한편, 중국군 당국이 제정하여 실시되고 있는 소위 9개 행동 준승에 대한 개정을 촉구하기 위하여 총사령을 보좌하면서 광복군 지위 향상과 발전을 위하여 중국 군사위원회 당국에 교섭을 추진하였다.[181]

일본군 탈영한 한인 학병도 예외는 아니었다. 김준엽의 회고록에 따르면
"나는 류 참모장에서 진심으로 고맙다는 뜻을 여러번 표시했다. 그리고 야간행군 중에 일본군의 기습을 받아 포로가 되는 일이 생긴다면 나는 자살할 생각이니 권총 하나 달라고 부탁했다. ···(중략)··· 이 말을 듣고 참모장은 한 사령관과 의논해서 선처하겠지만, 나의 안전은 절대로 지킬터이니 안심하라고 위로하였다."[182]

13.1.2. 총기지급 및 소지사례

광복군 제 3지대에 소총을 지급받은 때는 1945년 6월 11~12일 경이고 기종은 한양조 88식으로 추정된다. 총기 100자루는 어떻게 받았으나 탄약은 받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김행복: 지사님, 그 앞 부분 이야기는 이미 하셨고, 가서 작전처의 중령을 만나니까 내 소관이 아니다 그래서 대령을 만났다고 그러지 않았습니까? 대령을 만나고 난 그 뒤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장호강: 예. 리황에 가서, 그때 갈 때 윤창호 동지와 둘이 갔습니다. 처음에 저는 지리를 잘 몰랐기 때문에 거기 있던 고참을 안내를 받아가지고, 공문을 받아가지고 갔죠. 윤창호라고 우리보다 선뱁니다. 먼저 들어간 동진데, 지리를 알더만요. 그 사람하고 같이 갔습니다. 도보로. 사흘을 걸려서 리황에 가서 그 다음에 총사령부에 밤에 가서 사흘만에 리황에 도착해서 그 날은 밤이 되었길래 그 날은 자고 그 다음날 들어 갔어요. 6월 11일인가, 12일 경인데, 아이구 참 ……

김행복: 됐습니다. 날짜를 모르시면 그냥 넘어가시죠.
장호강: 들어가서 작전처 갔더니 중령이 안내를 하더만. 작전처의 주임하고, 대령이죠. 우리가 광복군에서 왔다. 쭉 브리핑을 현황을 보고드리고 ……

김행복: 그렇게 하셨다고 했죠. 현황 보고 드린 내용이, 우리 부대에 병력이 들어오고 있다. 우리가 일본군과 같이 싸워야 되지 않겠느냐. 도와 달라, 그렇게 말씀하셨다고 그러셨죠.
장호강: 그런 말을 하고. 그 다음에 우리가 왜적과 싸울려면 무기가 필요하지 않겠느냐. 그런데 지금은 하나도 없다. 사람은 계속해서 들어오는데 약 300명이 들어와 있다. 그런데 무기를 좀 빌려줄 수 없겠느냐? 했더니, 에, 처음에 저희가 200정을 요구했습니다. 처음에는, 그렇게 했는데 그것도 많다는 거죠. 이거 그렇게 안 된다. 100정 정도는 할 수 있다. 그래서 내일 아침에 오너라. 내일 또 오너라 그래서 여러 가지 브리핑하고 공문을 갖다 바치고, 그 다음에 다른 얘기 쭉 하다가, 그 다음에 이제 다음날 갔죠. 갔더니 100정 밖에 못주겠다. 상부에서 지시가 내려왔고, 또 전방에 연락을 했더니, 전방에 리황 총사령부에는 무기가 없고, 전방부대에 가야만 있다. 임천에 가면, 전방지휘소에 가서 산하 부대 어느 사단에서 타도록 해라.

김행복: 아마도 무기고가 그 쪽에 있고, 사령부에는 없었기 때문이겠죠.
장호강: 그래서 공문을 써다오. 그래서 공문을 받아 가지고, 또 그 다음날 떠나서 임천으로 걸어서, 그것도 사흘 걸려서 갔습니다. 가서 200자루 달라고 이야기 하니까 안 된다고 그래, 하하. 그래 갔더니 또 사단사령부로 가라. 자기네 전방지휘소에는 무기가 없다. 가까이 있는 사단에 가라. 사단에 갔더니, 사단장이 부양에 우리 광복군에 왔다 간, 좀 얼굴이 익은 사람이었어요.

김행복: 안면이 있는 사람이었군요.
장호강: 안면이 있는 분이었어요, 류 준장이라고. 갔더니 아주 대우를 잘 해줘요. 점심을 먹이고 지시해서 좋은 총을 골라서 100정 골라서 주라고. 골라 줄테니까 내일 와서 받아 가라. 그리고 자기네 사단사령부 안에서 자라. 그래서 우리 둘이서 거기서 대접을 받고, 밤에 또 좋은 음식 주어서 먹고, 그 다음날 총을 타가지고 갔죠. 그런데 둘이서 가져 올 수 없잖아요.

김행복: 그렇죠. 100정이나 되는 총이니……
장호강: 마침 거기가 강이 흘러내려 가고 있어요. 황하의 지륜데, 지류가 흘러서 우리 부양으로 가는 조그마한 강이 있습니다. 마침 그 부대에서 배를 구해주고, 중국 배를, 거기서 자기들이 사병을 시켜서 (총을) 다 실어주고 부양까지 싣고 왔습니다. 부양에 와서, 부양에 우리 광복군 연락처가 있거든요. 연락처에서 연락을 해가지고, 우리 동지들이 나와 가지고 총 100자루를 인수해 가지고, 마차를 구해가지고, 싣고 리오자이(劉寨), 그때는 우리 3지대가 이동을 해서 리오자이라는 데 이동해 있었어요. 여기에 우리 3지대 본부가 위치했습니다. 거기에 우리 3지대 본부가 이동해 갔습니다. 처음에 여러 곳에 이동하다가 인원이 점점 불어지니까 이거 안되겠다 넓은 지방 지역을 달라 해가지고. 그것도 중국 현정부와 교섭해가지고 여기에 갔더니 넓어요. 큰 부락, 큰 마당이 있더만요. 광장이. 훈련장으로 겸해서, 거기서 3지대 본부가 훈련을 하게 되었죠.

김행복: 그때 총의 종류가 무엇이었습니까? 총의 종류가.
장호강: 종류가 보병 소총이었습니다. 중국제 보병총이라고.

김행복: 저는 실물을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장호강: 일본 99식은 아주 깨끗하고 가볍고, 그런데 이 중국 것은 좀 무겁습니다. 쇠도 좀 둔해 보이고. 그런 총이에요.

김행복: 그 무게는 우리 M-1총 만 합니까?
장호강: 우리 M-1총보다야 가볍지요. 일본총보다는 약간 무겁고, 미제 총보다는 가볍고.

김행복: M-1총은 서양 사람들 체격에 맞도록 만들어서 우리들한테는 좀 무겁죠.
장호강: 그러니까 일본 사람들의 99총 비슷하죠. 동양 사람 체격에 맞게 해야 되니까.

김행복: 실탄은 구해 오셨습니까?
장호강: 실탄은 안 주더만요.

김행복: 안 줘요?
장호강: 예, 안 줘요. 제가 전방의 사단장을 아니까 좀 어떻게 줄 수 없느냐 하니까, 절대 안 된대요. 그때까지는 (중국측에서 한국 광복군을) 믿지를 못했죠. 우리 광복군을 확실한 전우라고 믿지를 못했죠.[183]

김준엽 지사가 리볼버 권총, 카빈 소총 등 총기를 추가로 받은 것은 1945년 5월 1일, 이범석 장군 부관으로 임명되고 난 일이었다. 심지어 중국군 유격대에 있을 때 총기 못받은 서러움을 표출하기도 했다.국내진공대 빼고는 이 시기쯤에 제대로된 총기가 지급되었고 중국군에서 군관학교를 나와야 중국총을 지급받을 수 있었다.
한편 나는 부관으로서 이 장군을 호위해야 할 임무도 있다고 하여 6연발 권총도 차게 되었다. ...(중략)... 특히 권총을 찬다는 것은 굉장한 특권이기도 했다. 그날로 전 대원에게 미제 카빈총이 지급되었다. 그러니까 전부터 쓰던 중국군 보병총 이외에 새로 카빈총까지 소유하게 된 셈이다. 새 무기의 지급은 또 한 번 대원들을 기쁨으로 떠들석하였다. 노태준, 안춘생, 노복선 등 3 구대장에게도 같은 권총이 지급되었다.
(중략)
점심식사 후에 나는 장준하 동지 노능서 동지와 함께 카빈총을 들고 들판으로 나갔다. 어서 이 카빈총을 한 번 쏘아보고 싶었다. 그것은 유격대에 참가한 이후로 무기없는 독립군으로서 서러움을 한꺼번에 씻어버리려는 충동이었던 듯하다.[184]

반면 개인적으로 구매해서 소지하고 있는 건 가능했다.
찐화(金華)시내 야간 통행은 일본군의 철통같은 경계망 때문에 특별한 용무가 아니면 통행할 수 없었다. 우리는 1944년 7월 15일 밤 12시 약속 시간에 맞추어 김 씨네 가족이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행장을 위장했다. 옷 보따리를 챙겨들고 김 씨와 박시준과 나는 전송 차역에 가는 것처럼 간단한 옷차림을 했다. 밤 11시 사무실 대문을 나와 박시준 형이 앞장을 서서 인도하고 그 뒤 김 씨네 가족이 따르도록 하였다. 내가 맨 뒤를 따라 나섰다. 일본영사관 앞을 지나 찐화역(金華驛)으로 가는 도중 만에 하나 일이 잘못될 경우를 대비하여 나는 회사에 비치해 두었던 모젤 2호 권총[185]을 휴대하고 따라 나섰다.[186]

개인적으로 구입해서 구비해둔 권총이다. 김용 지사가 당시 일본군 점령지였던 찐화에서 탈출하는 수기 내용으로 회사에 비치해두었던 자기 권총을 가지고 나왔었다.

당시 마우저뿐만 아니라 브라우닝, FN M1900, FN M1910, 콜트M1911등 보기에도 조잡하나 발사는 가능한 데드카피류 권총들이 시중에 유통이 되었다고 한다. 회고록의 내용만 보면 어떤 기종인지는 알 수는 없다.
파일:luger type1.png
파일:luger type2.png
심지어 루거 짭퉁에 와우저(Wauser)라고 표기된 마우저 짭퉁 각인이 박혀져 있는 정체모를 권총들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조심히 추론해볼 수는 있는데, Pistols of the Warlords에 따르면 당시 중국 대륙에서는 C96 Mauser/FN 1900 복제품이 제일 많았고 이 두 기종이 인기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주로 상하이 조병창, 진링(난징)조병창, 싼시 조병창, 타이위안 조병창 권총들 위주로 소개하고 있다.

김용 지사가 활약하던 곳은 상하이, 난징, 찐화 일대였기 때문에 아마도 난징 조병창이나 상하이 조병창에서 나온 FN M1900일 가능성이 높고 실제 FN M1900에 짭퉁 마우저 각인이 박혀있는 권총이지 않을지 조심히 추측해보는 것이다. 정확하게는 어떤 기종인지는 모르고 다른 분들 회고록에서도 이런 방식의 표기를 많이 보여진다.

미국 OSS와의 국내진공작전 훈련사진(1945년 5월~ 1945년 8월)
파일:1-020349-000-0000.jpg
1945년 여름, 국내진공을 앞둔 광복군 대원들 일부는 M1903스프링필드 소총, M1A1톰슨, M1941 존슨 소총( M1941 Johnson Rifle)[187]을 들고 훈련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직, 미군복을 지급받지 않은 상태로 보이며 붕대형태의 각반에 군화가 아닌 짚신을 신고 있다. 저런 국민당 군복이 일반적인 형태였다.
파일:1-020346-000-0000.jpg
또 다른 훈련 사진에서는 톰슨 기관단총을 들고 훈련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3194302
광복군 시절의 노능서, 김준엽, 장준하의 사진. 셋 다 카빈소총을 들고 있다. 김준엽의 수기에는 기관단총으로 언급되어 있다.

13.2. 기갑부대(미실행)

중국 윈난(雲南) 한·미 합동 기갑 전차훈련반 3개월 교육받은 후, 전차부대를 꾸릴 계획이었다.
"이보다 1945년 6월에 중경의 제1지대장 명령에 의거, 구대장 김준은 전방 공작원을 제외한 장철부(張哲夫) 등 30여 명을 운남성(雲南省)에서 실시하게 된 한·미 합동 기갑부대(機甲部隊) 전차훈련반(戰車訓鍊班)에 입교시키려고 중경 지대 본부로 후송하였으나, 8·15 해방으로 전차 교육 계획은 부득이 중단되었으며...[188]"
1945년 8월, 안중달 지사는 중국 윈난(雲南)의 한·미 합동 기갑부대(機甲部隊) 전차훈련반(戰車訓鍊班)에서 받을 3개월 과정의 교육 훈련 계획에 따라 충칭(重慶)에 갔다가, 8.15 광복으로 교육 훈련 계획이 중단되었다.[189]

버마 임팔 작전에서 일본이 패퇴한 후. 버마로드(滇緬公路)를 통해 미군장비와 무기들이 중국 운남성으로 집결하고 있었는데다 전략사무국 중국전구(OSS China Theatre)가 곤명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190] 만약 일본의 패전이 늦춰졌더라면 광복군에게 M3 스튜어트[191] 혹은 M4A4 셔먼 부대에 배속받을 가능성이 크다.
파일:Dapf7tIXkAAknYx.jpg
사진은 버마로드(滇緬公路)를 타고 진격 중인 국민혁명군의 M4A4 전차. 1945년 10월 즈음 광복군 제1지대(前 조선의용대)에 배속받을 예정이었다.

13.3. 항공 병기(미실행)

방침
1. 왜적의 무력 세력을 근본 박멸하고 조국의 완전 독립과 세계의 영구 평화를 쟁취하기 위하여 아국 작전 행동을 반드시 미국과 절실히 합작하는 중, 무력 일부인 공군 인원의 훈련 편대와 기계, 기름, 탄환 등 여러 가지 보급도 공동 협상 진행하여 최단 기간 내에 공군 작전을 개시하고 나아가 건군, 건국 중 공군 기초를 확립할 것.
지도요령
2. 한국 공군 인원과 미국 공군 인원이 공동으로 조직한 한국 공군 훈련도를 상당한 지점에 설립할 것.
3. 맹군(盟軍) 작전 계획에 의하여 한국 공군 인원이 단시간내에 능히 훈련하여 공헌이 있게 하는 데 주력할 것
4. 공군 공작의 초보인 연락 및 통신 공작을 착수하여 미국 공군 인원과 혼합 편대를 개시할 것
5. 한국 항공대를 편성하여 미국 공군과 연합 작전하며, 한국 광복군의 작전 행동을 협조할 것.
6. 공군 건설의 제반 인재를 미국 협조로 양성하여 공군 건설의 기초를 확립할 것[192]

13.4. 해상 병기

광복군에는 해군이 없었으나, 4,500톤급 군수지원함계림호 1척이 존재했다.

14. 군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립군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독립군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독립군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복군 제 2지대가[193]
이해평 작사 · 한유한 작곡

총 어깨메고 피 가슴에 뛴다.
우리는 큰 뜻을 품은 한국의 혁명청년들
민족과 자유를 쟁취하려고 원수 왜놈
때려 부쉬려

희생적 결심을 굳게 먹은 한국 광복군 제 2지대
앞으로 끝까지 전진 앞으로 끝까지 전진
조국 독립을 위하여 우리 민족의 해방을 위해
광복군 제 2지대가
광복군 제 3지대가
작사·작곡 장호강(張虎崗)

1. 조국의 영예를 어깨에 메고 태극기 밑에서 뭉쳐진 우리
독립의 만세를 높이 부르며 나아가자 광복군 제3지대

2. 굳세게 싸워라 피를 흘리며 총칼이 부러져도 열과 힘으로
무엇에 굴할 소냐 열과 힘으로 나아가자 광복군 제3지대

3. 첩첩한 산악이 앞을 가리고 망망한 대양이 길을 막아도
독립의 만세를 높이 부르며 나아가자 광복군 제3지대
광복군 제 3지대가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조국의 부르심을 네가 아느냐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 동포들
건질이 너와 나로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원수이 강하다고 겁을 낼 건가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건가
정의의 날쌘 칼이 비끼는 곳에
이 길이 너와 나로다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나가 나가 싸우러 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 독립군가 -
위에 곡은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쓰인 조지아 행진곡(Marching Through Georgia)라는 곡을 썼다.
삼천만 대중 부르는 소리에
젊은 가슴 붉은 피는 펄펄뛰고
반만년 역사 씩씩한 정기에
광복군의 깃발 높이 휘날린다
칼집고 일어서니 원수 치 떨고
피 뿌려 물든 골 영생탑 세워지네
광복군의 정신 쇠같이 굳세고
광복군의 사명 무겁고 크도다
굳게 뭉쳐 원수 때려라 부셔라
한 맘 한 뜻 용감히 앞서서 가세
독립 독립 조국 광복
민주 국가 세워보자

-광복군 행진곡-
요동만주 넓은뜰을 쳐서파하고
여진국을 토멸하고 개국하옵신
동명왕과 이지란의 용진법대로
우리들도 그와같이 원수쳐보세

나가세 전쟁장으로 나가세 전쟁장으로
검수도산 무릅쓰고 나아갈 때에
광복군아 용감력을 더욱 분발해
삼천만번 죽더라도 나아갑시다
-용진가-

15. 광복군 훈련 담당 군관학교

||전구 ||사령관 ||관할지역 ||관할 중국군 부대 ||사관학교 ||광복군 부대 ||책임부대장 ||
1 후쭝난 (호종남) 허난성, 안휘성 북부 → 산시성 남부, 시안 국민혁명군 제 34 집단군 타이항산 유격대 정훈부 중앙군전시간부훈련단 제 4단 광복군 제 5지대(1942년 4월 이후) 광복군 제 2지대 나월환송호성이범석
2 옌시산[194] (염석산) 산서성 남부, 섬서성 북부 → 옌안 일본군 점령지구인 화북지대 조선의용군[195] 주둔 및 이동지역, 광복군 2, 3, 5지대 초모공작지역 김무정[196]
3 구주퉁 (고축동) 저장성, 푸젠성, 장쑤성, 안후이성 남부(상라오, 젠양, 난핑) 국민혁명군 군사위원회 제 3전구 사령부 전시간부훈련단(상라오 소재) 광복군 제 1지대 제 2구대 이소민[197]
3 구주퉁 (고축동) 저장성, 푸젠성, 장쑤성, 안후이성 남부(상라오, 젠양, 난핑) 국민혁명군 중앙군 제 3전구 사령부 정치부 제 3전구 사령부 전시간부훈련단(상라오 소재)김형석교관 광복군 제 3징모분처[198] 김문호[199]
5 리쭝런 (이종인) 안후이성 서부, 후베이성 북부, 허난성 남부(라오하커우) 국민혁명군 제 5전구 사령부 제 5전구 간부훈련단 특설 정공간부훈련반 광복군 제 1지대 1구대 김준[200]
9 쉐웨 (설악) 후베이성 남부, 후난성, 장시성(창사, 이창) 국민혁명군 제 31집단군 제 92군 제 21사단 121연대/122연대 조선의용대 제 1구대(창사 2차 전투참가)[201] → 일부 광복군 제 1지대 편입/일부 옌안으로 이동 박효삼[202]
9 쉐웨 (설악) 후베이성 남부, 후난성, 장시성(창사, 이창) 국민혁명군 제 9전구사령부 정치부 주임 쉬종웨(徐中嶽) 중장 광복군 제 1지대 3구대(창사 3차, 4차 전투참가) 이병곤[203], 최문용, 김귀선
10 탕언보 (당은백) 안후이성(푸양) 국민혁명군 제51군 위쒜중(우학충, 舊 동북군 제 1군단으로 만주에서 김학규와 구면) 중앙군관학교(린촨) 제 10분교 한국광복군훈련반 광복군 제 3지대 백파 김학규

16. 여담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0091800405330003010-001.jpg 파일:FlD0r68X.jpg
  • 2010년에 있었던 광복군 창설 70주년 정부에서 주최한 행사에서 광복군을 재현했다.(좌) 광복군 복식을 훌륭하게 재현한 한국 개인 재현자들. 모두 사비를 들였다고 한다.(우)
  • 한국사 교육 과정과 국가시험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수능 한국사 영역에서는 독립운동 단원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되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며, 공무원 한국사 시험에서도 임시정부의 활동 및 무장 독립운동 관련 문제에서 높은 출제 빈도를 보인다. 주요 출제 내용은 창설 배경, 태평양 전쟁 참여, 국내 진공 작전 계획 등이 있다.

17. 관련 문서

18. 관련 현충시설

효창공원 백범 김구 묘소
파일:KakaoTalk_20230914_150032517_04.jpg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255 효창공원 안에 모셔져 있다.

효창공원 임시정부 요인 묘역
파일:KakaoTalk_20230914_150032517_13.jpg

조성환
임시정부 국무위원 군무부장(국방부 장관)

이동녕
독립협회 활동, 을사늑약 반대운동, 신민회 조직,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당수, 임시정부 의정원 의장, 국무위원, 주석 등 역임

차리석
105인 사건으로 3년간 옥고를 치르고 3.1운동 만세시위때 주도적으로 참여, 상하이 망명 후, 독립신문 창간에 참여하고 편집국장을 하게 된다.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조직, 비서장에 선출된다.

효창공원 3의사 묘역
파일:KakaoTalk_20231006_093554685_08.jpg

좌측부터 안중근,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묘소가 모셔져 있다. 안중근 묘소는 가묘로 유해를 찾을 경우 송환돼서 안장될 예정이다. 원래는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묘소만 있어서 3의사묘라고 불렀다.

광복군 합동묘소
파일:11-1-42_20201106_001.jpg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산 127-1 광복군합동묘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 순국한 애국선열 17위 합동묘서로 1967년 광복군동지회에서 조성 후, 국가보훈부에서 단장하고 2017년 강북구청에서 추모조형을 건립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 순국한 애국선열 17위의 합동묘소로 1967년 광복군동지회에서 조성 후 1985년 국가보훈처에서 단장하였고 2017년 강북구청에서 이 추모조형물을 건립하였다.

현재 묘소는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되어 국가보훈처에서 현충원에 준하는 예우로 관리하고 있다.

김성률: 1943년 9월 산서성 능천 전투에서 순국
김순근: 1945년 초모공작 중 체포되어 자결 순국
김운백: 1943년 9월 태행산 전투에서 순국
김유신: 1943년 태행산 전투에서 순국
김찬원: 1945년 8월 태원에서 순국
문학준: 1943년 8월 하남성 수무현에서 순국
백정현: 1944년 4월 태원에서 순국
안일용: 1943년 5월 하남성 수무현에서 순국
이한기: 1943년 7월 전방공작요원으로 활동
이해순: 1945년 8월 하북성 석가장에서 순국
전일묵: 1945년 8월 산서성 태원에서 순국
정상섭: 1943년 9월 태행산 전투에서 순국
현이평: 1941년 3월 서안에서 순국
한 휘: 1943년 7월 태행산 전투에서 순국
동방석: 1971년 사망, 태행산지구 공작요원으로 활동
이도순: 평북 의주(義州) 사람이다.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입대하였다.1940년 9월에 광복군이 편성됨에 따라 제5지대에 편입되었으며, 중국 전시군사간부훈련 제4단 한광반(韓光班)에서 군사 훈련을 받았다.1941년 12월에는 산서지구(山西地區)에서 적후방 공작요원으로 활동하다가 부대원간의 내분이 일어나 대장 나월환(羅月煥)을 암살하게 되었다.이로 인하여 그는 15년 역형(役刑)에 처해졌다가, 후에 사면되어 광복군 제2지대로 편입되어 항일활동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조대균: 미상, 특수공작훈련단으로 활동

<이장자>
김천성: 1945년 7월 산서성 태원에서 순국, 1975.8.8.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장
한성수: 1945년 5월 광복군 모집 및 정보공작 중 순국, 1991.6.19.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

파일:조계사_광복군 8용사.png

광복 직후에는 선열들을 모실 국립묘지가 없었고, 1963년 이전까지만해도 광복군 선열들이 독립유공자가 아니었다. 1990년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선열들이 20·30대에 순국해 후손이 없어 지난 77년간 국립묘지로 이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봉창 의사 역사울림관
파일:KakaoTalk_20231006_093554685.jpg
서울 용산구 백범로 281-9

용산에서 나고 자란 독립운동가 이봉창 의사를 기리기 위한 공간이다. 이봉창 의사는 용산문창소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인 상점에서 점원으로 일하다가 19살 때 용산 철도국에 임시 인부로 들어가 역부로 일하였다. 이후, 금정청년회 간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24년 철도국을 사직하고 이듬해 일본으로 건너가 철공소 직공 등을 하며 오사카, 도쿄를 전전하였다. 1930년 상하이로 건너가 1931년 김구 선생이 조직한 한인애국단 1호 단원이 되었고 1932년 1월 8일 도쿄 요요키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가던 히로힡토에게 폭탄을 던졌다. 비록 거사는 실패하였으나 이 사건으로 인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이봉창 의사는 거사 현장에서 체포되며, 그 해 교토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용산구는 이봉창 의사를 기리기 위해 2020년 10월 이봉창 의사 역사 울림관을 개관하였다.

이봉창 의사의 집터는 그 옆에 재개발되어서 용산 KCC 스위첸 아파트(서울 용산구 백범로 275)이며 아파트 단지 안에 이봉창 의사 집터 표지석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
파일:20220302111556572_JFXAVWV4.jpg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279-24
국가보훈부 직영으로 운영하는 임정기념관은 서울시 서대문구 옛 서대문구의회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4층, 전체면적 9703㎡(약 2935평) 규모로 건립됐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독립운동가가 투옥돼 고문을 당했던 서대문형무소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이다. 3개의 상설전시실과 1개의 특별전시실에서 1919년 3∙1운동부터 지금까지 임시정부와 관련된 자료 1000여 점이 전시돼 있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료는 무료이고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독립기념관
파일:6d5624cc758574bb8c40645cc534cbed.jpg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은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이자 역사박물관으로,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 1에 있다.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며, 국민모금을 통하여 1987년 8월 15일 개관했다.
광복군 제2지대 제1구대장 안춘생 독립기념관 건립위원회 위원장 겸 초대 독립기념관장이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관람 시간은 하절기(3월~10월) 9:30~18:00, 동절기(11월~2월) 9:30~17:00로 관람 마감 1시간 전까지는 입장해야 한다. 또한 정기 휴무일은 매주 월요일이다.

의열기념관
파일:K2019071713585240.jpg
주소: 경남 밀양시 노상하1길 25-12
연락처: 055)351-0815
∎ 관람시간: 09:00 ~ 18:00
∎ 입장시간: 09:00 ~ 17:30
∎ 휴관: 1월 1일, 설날, 추석, 매주 월요일
∎ 입장료: 무료
∎ 주말(토,일요일) 문화해설사 신청 가능

2018년 3월 7일 약산 김원봉 생가지에 전국 최초로 건립된 의열기념관은 “자신의 목숨을 돌보지 않고 충의(忠義)에 앞장선 사람”을 일컫는 의열지사(義烈志士)들의 항일독립투쟁사를 소개하고 있다. 의열투쟁사 주요연표, 동영상, 의열단 창립단원 소개, 최수봉 의사 밀양 경찰서 투탄내용을 다룬 웹툰 영상 등이 있다.

19. 매체 속에서의 광복군

19.1. 815(게임)

1998년에 발매되었다. 광복군 3지대의 활약상을 그린다. 플레이어는 광복군의 지휘관으로서 아즈마 마사히코(東正彦) 육군 소장이 이끄는 일본 육군 제13사단 78연대를 상대한다.

게임 속 광복군 단원들의 이름은 실존 인물의 성함을 따왔다.

광복군의 엔딩은 미국의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8.15 광복이다. 일본군은 엔딩에서 고위층을 일본으로 보내고 최후의 돌격을 감행한다.

치트는 Ctrl + ↓ + F9로, 스테이지를 클리어시킨다.

19.2. 영화

1. 아! 백범 김구 선생(1960)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전창근 감독의 1960년 영화이다. 작품의 감독을 담당키도 한 전창근을 비롯하여 조미령 등이 주연으로도 출연하였고, 성동호 등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독립운동가 김구 선생의 여러 행적에 관련 기반을 두고 있다. 영화는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2. 아나키스트(2000)
의열단 단원들의 도움으로 공개처형장에서 목숨을 건진 상구는 그들과 함께 생활한다. 어느 날, 상하이의 일본군들을 상대로 대담한 테러작전을 감행하던 단원들에게 독립자금을 착복한 러시아인을 암살하고 돈을 되찾아오라는 명령이 하달된다.

파일:UfxDs8bMCmCvAG3bjTXpwg.jpg

영화는 흥행하지 못했지만 작품성에 있어서는 매우 훌륭한 명작으로, 이 영화는 일제시대 독립운동가들의 현실적인 모습을 아무 가감없이 보여주는 국내의 거의 유일한 영화다.

1933년 3월 17일 중국 주재 일본 공사, 아리요시 아키라(有吉明) 살해하려 했다가 미수에 그친 육삼정 의거 사건 주역인 백정기 의사를 그리며 이강훈이 했던 회고와 아주 닮아있다. 이 영화 이후 영화 "암살"과 영화 "유령"도 계속 육삼정 사건 재탕 삼탕한 클리셰가 되어버렸다. 영화 암살과 영화 유령은 배경이 조선 경성인데, 당시 경성으로 무기를 운반해온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했다.

대개 한국의 독립운동 관련 영화들은 대중성을 중시한 화려한 액션 영화나 애국심을 고양할 목적에서 만든 감성팔이 영화, 혹은 단순한 오락거리 영화들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고증도 형편없고 후세의 미화나 어설프게 현대적인 해석을 집어넣어 실제 독립운동가들의 모습과는 한참 떨어진 영화들뿐이지만

이 영화는 당시 독립운동의 과정에서 있었던 사상적 충돌과 내부 갈등, 횡령, 배신, 숙청, 암투, 이중첩자 등의 실제 모습을 아무런 치장이나 연출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3. 고지전(2011)

양효삼 (고창석役) 계급은 상사. 악어중대의 최연장자로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 출신이다. 고향이 평안도라 북한 말을 쓴다. 악어중대의 원년 멤버 중 하나로 부사관 중 최고참임에도 항상 능글 맞고 살가운 태도라 중대원들에게 큰형 같은 이미지이다

파일:고지전_광복군총사령부뱃지.png
파일:고지전_광복군총사령부고창석.png

영화 초반부에서 광복군 뱃지를 볼 수 있다.
양효삼 상사: 내래 일정때는 광복군이었시오

강은표 중위: 어?! 독립운동?

양효삼 상사: 만주에 있었디요 (뱃지를 보여주며)
때는 바야흐로 1941년 화백산 전투 요거이 임정에서 받은 광복군 뱃지라요
칠흑같은 어둠속에서 일본 관동군 아새끼들이 개떼같이 몰려오고 총알은 똑 떨어지고 아! 그냥 딱 죽자!

다만, 영화 고증상의 오류를 꼽자면광복군 총사령부 잠행편제표(總司令部 暫行編制表)에서 볼 수 있듯이 총사령부 인원 절반 이상은 중국군인데다가 제일 어린 나이인 조소앙 선생의 아들인 조인제 소위와 박찬익 선생 아들 박영준으로 이루어졌다. 장교비중이 많은 광복군 출신으로 국군으로 편제된다하더라도 최소 소장계급[205]으로 시작한 경우가 많았다.

강은표 중위의 소속은 국군 방첩대(CIC)[206]로 현실에서 김창룡 특무대장이 한국전쟁 전후로 간첩조작으로 독립운동가를 때려잡았던 걸 생각하면 역사를 아는 사람들은 웃을 수 없는 장면이다.

실제역사에서 김창룡 특무대장은 이범석 장군이 이끄는 조선민족청년단(족청)과 대립 관계에 있었고, 김창룡은 이러한 족청을 밀어내기 위해 1953년 8월 31일 정국은을 간첩 혐의로 체포했다. 정국은이 체포된 지 10일 만에 내각에서 족청 계열 장관 3명이 동시에 파면되고, 곧 자유당에서 족청 계열 거물인사 8명이 제명됐다. 김창룡의 반대 세력이었던 족청은 순식간에 권력에서 이탈했다.

4. 암살(2015)

육삼정 의거는 1933년 3월 17일 상하이 훙커우(虹口)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원심창 등은 고급 요정인 육삼정에서 주중일본공사인 아리요시 아키(有吉明)가 만찬을 한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그를 암살하려 했다. 그러나 일본 밀정의 신고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일본 경찰에 붙잡히고 말았다.

거사는 실패했으나 이후 중국과 한국 등지의 신문들이 아리요시 암살 계획을 대서특필하면서 침체기에 있던 국내 항일운동에 새바람을 불어넣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의거는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의거, 이봉창 의사의 일왕 폭살 시도 의거와 함께 일제강점기 해외 3대 독립 의거로 꼽힌다.

영화 상에서는 상하이가 아닌 경성에 총기와 폭약을 반입하고 약산 김원봉과 합작한 것으로 나와있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당시 백범 김구는 정화암, 유기석, 유자명과 같은 무정부주의 남화한인청년연맹과 합작해서 친일부역자(밀정)들의 처단을 위해 투쟁했었다.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의 김좌진은 1930년 1월에 피살되었고, 상하이로 옮겨온 남화한인청년연맹에는 장도선, 정화암, 정해리, 안공근 등이 참여했다.

그리고 실제 역사에서 의열단장 김원봉(조승우 役)은 1924년 김지섭이 도쿄 황궁에 폭탄을 던지는 일을 끝으로 의열단이 이런 소규모 테러적인 항쟁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다른 방향으로 재정립해야 함을 느꼈고 황푸군관학교에 가입하여 의열단의 세력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1927년 난창 폭동에 일부 의열단이 참여하자 이에 의열단에서 마르크스주의자와 아나키스트, 좌파 민족주의자 등이 여러 투쟁의 방향성은 물론 사상적으로 많은 다툼을 겪었고 결국 의열단은 와해된다. 이후의 테러는 의열단의 체계적 조직을 통한 테러가 아닌 개별적인 투쟁으로 성격이 변했다.

영화적 고증을 따지자면 실존인물은 정화암이나 유기석 정도 넣어야 고증에 맞다고 볼 수 있다.

감독의 말에 따르면 이정재가 연기한 염석진의 모델은 염동진[207]이라는 실존인물이다. 염동진은 중국에서 남의사[208] 일원으로 활동 중 1937년 일제 관동군에 체포되었다. 1940년 풀려났고, 이후 전향했다는 설이 파다했으나 본인은 끝까지 극구부인하였다. 김구와 애증이 교차하는 관계였다는 점도 극중 염석진과 유사하다. 한국전쟁 중 납북.

전지현의 극중 이름 '안옥윤'은 안중근, 김상옥, 윤봉길 3명의 독립의사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만든 것이다. 원래는 이름을 '윤옥'이라고 지으려 했으나 전 영부인 김윤옥과 이름이 겹치는 관계로 '옥윤'으로 변경했다고 한다. 김상옥은 극중 안옥윤처럼 (중국이 아닌) 경성에서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수벽 명의 경찰들과 총격전을 벌이다 자결 순국했다.

5. 귀향(2016)
파일:귀향_독립군.png
파일:귀향_독립군2.png

후반부에 위안부 소녀들을 집단 학살하려는 일본군들을 공격하는 독립군들이 나온다. 영화 귀향은 강일출 할머니의 기억을 참고하여 만든 영화이다. 문제의 발단은 대다수의 관객들, 그중에서도 역사를 어느 정도 아는 분들은
"광복군이 만주에 간 적이 없는데?"
"한국광복군이 그 시기에 만주에서 일본군과 싸운 적이 없다, 엉터리다!"

라는 혹평도 있었다.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데 1944년 9월에 만주지구 공작반에 정보요원 김근수, 유원해, 윤원장, 안원생, 안우생[209] 등이 파견되어 잔존 독립군들과 접선한 적이 있었다. 이들은 정보수집이 목적이지 만주군과 직접적인 교전을 목적을 두고 있지 않았다.

또한, 김학규 장군이 이끄는 광복군 제 3지대 중에서도 1945년 초, 만주 펑톈 소재 동광 중학(東光中學)을 중심으로 비밀 조직망을 형성하고 있던 이영순(辛英淳)·오성규(吳成奎)·조승희(趙昇熙)·김철수(金鐵壽)·이선규(李善奎)·김병익(金炳益)과 장춘(長春) 법정 대학(法政大學)의 한이윤(韓伊尹) 등이 만주를 탈출하여 베이핑 경유해서 광복군에 입대한 사례도 있기 때문에 당시 광복군이 만주국으로 갈 수 있는 신분증이 있다면 못가는 지역도 아니었다. [210]

반은 맞는 이유는 설령 광복군이 만주에 들어갔다하더라도 삼엄한 경계에 무기나 장비 반입이 쉽지 않았고 저런 형태의 전면전 전투는 큰 군대의 지원이 없으면 사실 상 불가능하다. 광복군 창설때부터 광복을 맞을 때까지 초모공작이 주된 업무였다.

강일출 할머니 증언
경북 상주 출신인 강 할머니는 열여섯살 때 일본 순사에게 끌려가 중국 선양과 창춘을 거쳐 무단장 위안소에서 일본군의 성노예 생활을 했다.

이후 강 할머니는 태평양 전쟁말기 장티푸스에 걸려 부대 밖으로 이송돼 불에 태워지려다 독립군에 의해 극적으로 구출, 중국 인민해방군 간호사를 거쳐 지린 병원에서 근무하다 지난 2000년 3월 귀국했다.

하지만, 1945년 5월 2일 소련군에 의해 독일의 수도 베를린 함락이후, 소련군이 극동으로 병력을 보내 1945년 8월에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수행했었고 만주군과 관동일본군이 박살나는 상황이었다. 강일출 할머니를 구출한 독립군의 실체는 아마도 '한인계 소련군'이거나 또는 당시 만주에 살고 있던 교민들에 의하여 구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광복군 대원이 위안부 여성을 접하게 되는 시기는 1945년 8월 15일 이후, 확군시기에 일본군 부대를 접수하면서 부터 일본군 부대 내에 한국인과 일본군을 분류하여 귀국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위안부 여성을 목격하고 슬퍼했다는 증언이 존재한다.

19.3. 드라마

1. MBC 특별기획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1991~1992)

파일:여명의 눈동자 장하림 1.png

12회: 장하림은 미군 측의 협박, 공갈, 감언이설 설득으로 중국 쿤밍으로 가서 OSS 요원이 되고 대일 특수 작전[211]에 참가하기 위해 제주도에 침투하여 방어계획을 훔쳐내는 임무를 하게 된다.

13회에서 OSS대원 훈련하는 장면이 나온다.

고증상의 오류가 있다면 OSS중국전구 본부는 중국 윈난성 쿤밍에 있던 것은 사실이나 광복군 이글프로젝트는 산시성 시안 두취에서 이뤄지고 있었다. 또한 101분견대(OSS Detachment 101)는 인도 아쌈주 나지라(Nazira)에 훈련캠프가 있어서 드라마 작가가 어느 정도 공부는 했지만 세세하게 공부를 하지 않은 것이 아쉬운 면이다.

장하림은 일본군 탈출해서 광복군에 입대한 장준하와 광복군의 군사교육을 담당하였던 정운수 미 공군 소위를 모티브 한 캐릭터로 극중에선 광복군이 아닌 OSS 한국인 요원으로 나온다.

이 드라마는 1987년 신군부 독재가 끝나고 민주정부로 들어서면서 '항일'운동을 했던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처우 문제와 위안부 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들을 배상해야 하는 사회적 이슈가 나왔었다. 1963년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 표창을 받았지만, 이는 박정희가 군부쿠데타 정통성을 위하여 광복군 출신들의 지지를 원했던 것이지 국가배상이 이뤄진 것이 아니었다.

독립유공자들과 그들의 후손이 가난하게 된 이유는 정치에 참여한 임시정부 고위직이나 광복군 장교 출신들은 특무대장 김창룡과 같은 친일군부에 의해서 가세가 망가진 사례들이 너무 많고 일부 후손들은 다시 미국이나 대만과 같이 해외로 이민가는 사례가 많다. 안중근 조차 안우생만해도 광복군때 미군과 같이 통역, 선전활동도 많이했지만, 백범 김구 선생님이 사망한 이후 생계가 어려워졌는데, 이건 김문호의 아내 신정숙 지사도 많이 힘들었다고 한다.

어쨋든 이 드라마는 대한민국 정통성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부각이 되었었다. 광복군 출신들의 회고록이 잘 안나오는 이유도 1990년대까지만해도 이념가지고 싸움을 하는데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는 좌익으로 몰릴 수 있으니 회고록이 안나오는 이유이기도하다.

현재 독립유공자의 후손은 손자/녀까지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독립운동 여부를 증명하는 것 자체가 쉬운 일이 아닐뿐더러, 독립 후 70년이란 세월이 지나며 현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후손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다.

19.4. 웹툰

1. 끝나지 않은 이야기: 전월선

파일:끝나지 않은 이야기_전월선.png

카카오 페이지 웹툰에서 전월순지사를 모티브로 해서 웹툰을 창작했다. 전월순 지사는 실제 조선의용대와 광복군 제 1지대 여군이었으며 같은 부대에 있던 김근수지사와 부부의 연을 맺었다.

1942년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에 통합되자 광복군 제1지대에 배속되어 산시(山西)·화베이(華北) 지구 등지에서 지하공작 등에 가담하였다. 이 무렵 같은 대원인 전월순(全月順, 일명 전월선)과 결혼하였다. 전월순은 경북 상주(尙州) 출신으로 1939년 조선의용대에 입대하였고 1942년한국광복군 제1지대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두 사람은 동지로서 함께 항일운동에 매진하였다.#

20. 관련 자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광복군/관련 자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관련 자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광복군/관련 자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letter-spacing:-0.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병 및 민중기반 단체
갑오의병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포수단 동의단지회 중광단 보합단
정규 군사조직 및 준정부
13도 창의군 대조선국민군단 대한광복군정부 대한광복회
대한독립군 대한독립군비단 군무도독부 광한단
대한독립군결사대 광복군사령부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국민부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정부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 한국광복군
비밀결사 및 혁명단체
대한독립의군부 광복단 광복회 대한독립공명단
철혈광복단 대한국민회군 의열단 흑색공포단
해외 및 민족적 단체
한인애국단 재만한족연합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조선독립동맹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교전지공작대 고려독립청년당
}}}}}}}}} ||
[1] 영어권에 주로 사용하는 명칭이며, 임시정부에서는 한국독립군이라는 뜻의 'Korean Independence Army'을 공식 영문 표기로 사용했다.[2]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가 발표한 '한국 광복군 복원 선언'에 따라 실질적으로 광복군의 활동이 종료되었다. 공식적인 해산은 6월에 이루어졌다. 복원(復員)은 군인의 소집해제를 뜻하며, 동원(動員)의 반대.[3] 광복 이후 확군(擴軍)을 통해 10만 병력을 미리 확보하고 국내에 들어가 광복군을 근간으로 삼아 국군을 건군한다는 계획이 있었다. 한국인들을 끌어모아 10만 대군을 만들어 조국으로 진군하겠다는 것. 해방 직후 광복군은 1945년 8월 말부터 간부들과 대원들을 중국의 여러 지역으로 파견하여 주요 도시에 판사처를 설치하고 한인 청년들을 대대적으로 모집하였다. 또한 중국군으로 파견되어 일본군의 항복 접수를 도와주며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왔던 한적사병(韓籍士兵)들을 광복군에 편입시켰다고 한다. 적게는 2만 명, 많게는 9만 명까지 광복군을 늘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 때 만주국 육군 중위 출신 박정희도 광복군에 편입되어 광복군에서 복무했었다. 관련정보[4] 중국공산당 저우언라이(周恩來), 둥비우(董必武) 등 중공 충칭 주재 판사처 대표들과 임시정부의 왕래했다. 1940년 9월, 충칭으로 이전하여 1945년 11월 귀국할 때까지 5년 여 동안 늘 충칭에서 중공 주충칭 판사처(中共駐重慶辦事處) 대표로 「3.1절 기념식」, 「임시정부 건립 기념식」, 「경술국치 기념식」에 참석한 적이 있다. 중국공산당과 임시정부와 함께했다고 볼 수 있다. 광복군 성립전례 내빈 방명록. 위에서 2번째 열, 오른쪽에서 3번째에 저우언라이의 서명이 있다. 이 당시엔 오성홍기(1949년 10월 1일 공식 채택) 가 만들어지기 이전이며 중국공산당도 청천백일기를 사용했었고 동일한 중국군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백범일지에 따르면, 1945년 11월 초, 임시정부 요인들이 한국으로 귀국할 때, 저우언라이(周恩來)와 둥비우(董必武)는 중국공산당을 대표하여 충칭에서 환송회를 개최하여, 임시정부 국무위원 전원을 초청하였다.(출처 : 김구, ≪백범일지≫, 교문사, 1979, p276.)[5] 상하이 임시정부 시절부터 프랑스 조계지에 근거를 두면서 프랑스와 교류를 했으며 중화민국 정부가 충칭으로 이전할때 프랑스 대사관도 전부 다 따라가게 된다. 충칭에서 임시정부와 교류하며 일부 프랑스군 철모 등 장비를 받기도 했다.[6]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주둔했던 충칭국민정부에 소련대사관과 소통도 했으며 2차 세계대전 당시까지엔 연합국의 일원이었다.[7]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에 따르면 현 대한민국 국군의 전신은 '구한말 의병', '대한제국군', 독립군, 그리고 '광복군'이다. 실제로 지청천, 이범석, 최용덕, 김홍일, 유동열 등 수많은 광복군 인사들이 대한민국 국군 건군과정에 참여했으며 많은 기여를 했다. #[8] 이후 조선민족청년단으로 이어지고 이 중 상당수가 국군에 편입됨.[9]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의 여백에는 문수열과 70여 명 광복군들의 서명이 빼곡히 채워져 있다.[10] 지청천 광복군 총사령관에 따르면 광복군은 서로군정서, 북로군정서,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 조선의용대, 고려혁명군 등 여러 독립군의 통합으로 이루어진 단일군.[11] 만주국의 수도 신징(新京)의 개칭 이전 명칭이 창춘이다.[12] 중국 국민당의 요직을 역임했던 왕징웨이가 중일전쟁 후 1940년 일본의 도움으로 장제스의 국민정부와 별도로 난징에 세운 괴뢰 국가이다.[13] 굳세게[14] 대한민국 연호로 1941년을 말한다. 1919년 3월 1일부터 대한민국 연호 시작이다.[15] 한국광복군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연구성과에 기초한 것이다. 박성수, 1967, 「한국광복군에 대하여 : 소위 '9개준승'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3 ; 장세윤, 1988, 「중일전쟁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중국외교: 광복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 한시준, 1993, 『한국광복군 연구』, 일조각 ; 김광재, 2007, 『한국광복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16]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 62호(1937.7.16),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국회도서관,≪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 247쪽[17] 김광재, 2007, 『한국광복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3~34쪽[18] 김광재, 2007, 『한국광복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2~43쪽[19] 1940년 3월,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를 결성했던 세 당 한국국민당(김구)·한국독립당(조소앙)·조선혁명당(지청천)이 한국독립당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1940년 5월 8일 3당이 해체를 선언하면서 새로운 한국독립당이 3.1 운동의 정맥을 계승한 민족운동의 중심적 대표 정당임을 천명하였고, 그 다음부터는 자유민주주의의 정치 체제로 운영되는 국가 수립을 지향하는 활동을 벌였다.[20] 國史編纂委員會,≪韓國獨立運動史≫資料3(1968), 405쪽.[21] 염인호, 2021, 「중일전쟁기 한국광복군 창설에 관한 일 연구-창설 배경 및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6, 19~20쪽[22] 염인호, 2021, 위의 논문, 20~27쪽[23] 「부조조선혁명운동담회회기록(扶助朝鮮革命運動談話會記錄)」(1940.4.2.)(汪榮生→朱家驊) 국사편찬위원회, 1994, 위의 책 23~25쪽 ;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1988, 위의 책, 81쪽 ; 염인호, 2021, 위의 논문, 30~31쪽[24] 마이(馬義), ≪조선의용대 승리의 4년(朝鮮義勇隊勝利的四年)≫, 충칭(重慶);국제출판사, 1942, p28[25] 마이(馬義), ≪조선혁명사화(朝鮮革命史話)≫, 동방출판사, 1944, p. 81[26] 후춘후이(胡春惠), 위의 책, 233~235쪽[27] 염인호, 2021, 위의 논문, 33~37쪽[28]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1988, 위의책, 81쪽 ; 염인호, 2021, 위의 논문, 37~40쪽 ; 김광제, 2007, 위의 책 49~52쪽[29] 중앙연구원 근대사연구소, 1988, 위의 책, 246~247쪽 ; 김광재, 2007 위의 책 60~61쪽[30] 내무성 경보국 보안과, 『특고월보』 1월호, 95쪽 ; 김광재, 2007, 위의 책 60~61쪽[31] 지대의 편성은 총사령부 창설 시점보다 늦은 1940년 11월, 총사령부가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으로 이전한 후에 이루어졌다.[32]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1975, p.910: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독립군항쟁사, 1985, p.226[33] 여군[34] 한국교민[35] 12월 오타인듯하다.[36]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권, 임시의정원 Ⅱ, 우리 통신[37]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1권 광복군편[38] 정영호, 아름다운 마음, 운초서사, 1995, p520[39] 수도 난징과 상하이가 근처에 있는 3전구를 중앙군이라고 불림[40] 연안파 조선의용군을 말함. 제 3징모분처가 중국군 제 3전구내에서 활동하는데 공산화된 조선의용군이 중국 신사군(新四軍)과 관계를 가져 말썽을 일으켰다.[41] 왕징웨이 정부의 화평건국군(和平建國軍)[42] PBY Catalina 미해군에서 운용하던 기체로 잔잔한 바다를 노린다면 가능했을 수 있다. 서해안이 잔잔한 물때 시기가 언제인지를 모른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43] OSS중국전구사령부와는 별개의 조직이다[44] 왜냐면 중국내에 있는 한국인 교민들도 독립운동가들을 밀고해서 투옥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45] 관련 스토리는 김준엽, 장정과 장준하 돌베게 수기를 참조[46] 이해평[47] 다른 이름 안근(安勤), 제3지대로 초모됨. 한광반 1기를 거쳐 1944년 8월 제 2지대 제1구대로 편입된다. 1945년 한·미훈련반수료(2기생 추정) 1946년 6월 인천으로 환국하였고, 얼마 후 미국으로 이민하였다.[48] 유기석, 삼십년방랑기-유기석회고록, 국가보훈처, 2010, p. 334[49] 1945년 9월 말에 상해에서 퍼레이드했다고 한다.[50] 정화암, 어느 아나키스트의 몸으로 쓴 근세사, 자유문고, 1992, pp.229~231[51] 1919년 3·1운동[52] 독립운동가 최동오 선생의 아들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선전과 비서를 역임했다. 훗날 1950년 8월 27일 경북 영천에서 창설된 11사단장이 된다. 최덕신의 지휘 하에 1950 11월 남원군, 12월 함평군, 1월 광산군 이어서 2월에 산청→함양→거창 양민학살을 저지른다. 박정희가 5.16 쿠데타로 집권하면서 1961년 외무부장관에 임명되었고, 1963년 8월 서독 주재 대사로 부임하던 중. 동백림 사건의 수습이 실패하여 외교 문제로 인해 박정희는 최덕신을 해임. 1986년 북한으로 망명해버린다. 역사상 최고위급 인사의 월북이어서 북한 정권으로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았으며,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천도교청우당 중앙위원장, 조선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장, 조선종교인협의회 회장, 조선골프협회 회장 등을 맡았다.[53] 중국 상하이도서관 소장 잡지 ‘승리’[54] 이현희, 한국독립운동증언자료집, 일반자료총서 86-2, 1986, pp. 34~35[55] 서울기록원 소장[56] 현재의 문화체육관광부[57] 이시헌, “치안단체 서류 보관 해뒀다”, 『동아일보』(1972년 1월 15일);“시청 금고서 발견된 서류 국내 광복군 별동대의 것”[58] 당시 다수의 언론기사에서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 총독이라고 서술하고 있으나 유진만(유진식)이 암살을 기도한 조선 총독은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이다.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에 대한 암살 사건은 1911년 일제가 항일세력에 대한 통제를 목적으로 조선총독 암살사건을 조작, 105명의 애국지사를 투옥한 사건으로 ‘105인 사건’으로도 불린다.[59] 현재 서울 브라운스톤 남산아파트 자리[60] 광복군 예비군 창설멤버로 부사령을 역임한 것으로 소개되었다.[61] 金英鎔, “光復軍 國內支隊것”, 『조선일보』(1972년 1월 15일)[62] “光復軍文書 등 발견”, 『경향신문』(1972년 1월 14일).[63]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1932년 3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는 유진만 등 한인애국단원을 파견하여 우가키를 암살하려 했다.[64] 이시헌, “치안단체 서류 보관 해뒀다”, 『동아일보』(1972년 1월 15일);“시청 금고서 발견된 서류 국내 광복군 별동대의 것”[65] 위 문서, 한국광복군 확군, 잠편지대 편성표 참조.[66] 중국 시안(西安)에 본부를 두었던 한국광복군 제2지대인지, 혹은 광복군 국내지대의 제2지대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국내 제2지대 관련 자료 및 국내 제 2지대장이었던 김승학(金承學)에게 이청천(李靑天)이 보낸 명함메모 등이 함께 발견된 점을 고려했을 때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67] 장준하는 광복군예비대가 김승학을 배경으로 조직된 것 같다고 증언한 바 있다, 앞의 기사, 『동아일보』(1972년 1월 15일)[68] 1945년 8월 15일 이후로 들어온 일본군 한적사병, 교민이거나 1945년 8월 14일 이전에 들어왔어도 중국군 포로가 되어서 들어왔거나 하는 등의 광복군을 말한다.[69] 밀리터리 동호회 가면 토교대, 비호대, 제 3지대를 마치 광복군 중에서도 특수부대처럼 환상을 가지는 사람이 많을 정도이다.[70] 지명도 틀린 것이 징쎈 마오린(涇縣 茂林)이다.[71]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 2012년 pp. 213~214[72] 국가보훈부 공적심사 기관에서도 1945년 8월 15일 이후 입대한 한적사병 출신 광복군의 공적인정을 하지 않고 있다. 학병출신은 최소 1년 정도 복무할 것을 잡고 있다. 광복 이후에 그만큼 광복군을 사칭하고 다니는 한국인들이 많았는데다 이런 사람들에게 물으면 어느 부분에서 들통이 나기 때문이다. 많게는 200명에서 40명의 분대, 구대로 나뉘어 있는데, 서로서로 모를 것 같은가?[73] 심지어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공적인정에도 없다.[74] 장창국은 일본 육군사관학교(제59기) 출신이고 박정희도 일본 육군사관학교 (제 57기) 입학생, 1946년 9월 조선경비사관학교 2기생으로 입학한다.[75] 장창국, 육사졸업생, 중앙일보사, 1984. p. 26[76] 만주는 소련군이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팔로군에 있던 연안파 조선의용군은 육로 귀국할 수 있었고 나머지 자유진영에 속한 지역은 광복군과 함께 배를 타고 국내로 귀환하게 된다.[77]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출판사, 2012, pp. 249~252[78] 일본제국주의가 한국인들을 중국 화북지대 20만명 강제이주됨[79] 단순한 영인본의 차원을 넘어선 체계적인 자료집으로서 최초의 것은 미군 정보부서(G-2)의 보고서이다. 이는 일월서각과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에서 각각 1986년과 1988~90년에 간행되었다. 연합국 최고사령부는 부관부, G·1(인사), G·2(정보), G·3(작전), G·4(군수) 등 일반 참모부와 민정국, 경제과학국, 법무국, 천연자원국, 민간정보교육국, 민간운수국, 일반회계국 등 점령과 관련된 전문부서로 구성되었다. 군사문제에 관해서는 미 합동참모본부의 통제를, 일반 민정 문제에 관해서는 미 국무부의 지시를 받았다.[80] 홍기화(洪基華):OSS훈련 무전반 교육훈련을 받았으며, 국내정진군 황해도반 2조 배속[81] 일본제국육군에 있던 한적사병을 말함[82] 상하이장완비행장(上海江湾機場)으로 영문명은 Kiangwan Airfield이다.[83] 4기 동기생인 의열단장 김원봉(金元鳳)[84] 국가보훈부 전신[85] 조일문, 춘풍추우, 건국대출판부, 1997, pp. 45~47[86] 광복군[87] 임금의 계통[88] 나무들이 빽빽하게 들어선 깊은 숲.[89] 텅 비고 아득히 넓은 들.[90] 7년[91] 지나간 세월[92] 지금[93] 속박[94] 어떤 혜택을 받아 누림[95]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96] 1946년[97] 박찬승, 《한국 근현대사와 민족운동》, 창비, 2010[98] 정병준, 《한국광복군과 연합군의 대일전》, 나남, 2004[99] 김도형, 〈OSS와 한국광복군의 합동작전 준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1, 2015[100] Bruce Cumings, ‘‘Korea’s Place in the Sun’’, W.W. Norton & Co., 2005[101] 신용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광복군〉, 《한국사학보》 58, 2014[102] 김영명, 〈대한민국 국군의 기원과 광복군〉, 《군사》 제57호, 2007[103] 이원규, 〈광복군의 국내 진공작전과 한계〉, 《역사학보》 206, 2010[104] 서중석, 《한국현대사 1》, 역사비평사, 2019[105] 김영명, 〈대한민국 국군의 기원과 광복군〉, 《군사》 제57호, 2007[106] 서중석, 《한국현대사 1》, 역사비평사, 2019[107] Bruce Cumings, ‘‘Korea’s Place in the Sun’’, W. W. Norton & Co., 2005[108] 김도형, 〈OSS와 한국광복군의 합동작전 준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1, 2015[109] 박찬승, 《한국 근현대사와 민족운동》, 창비, 2010[110] 김용의 회고록, '나의 길의 찾아'에서 진화에서 같이 탈출하여 광복군 제 1지대 제 2구대 이소민 부대에서 같이 독립운동한 것으로 나옴. 공훈전자사료관에는 올라와있지 않음[111] 제 2지대[112] 제 3지대[113] 이는 단순히 이념적인 문제를 넘어서 경찰과 조선국방경비대간 충돌도 빈번히 있었다.[114] 김민호, 「한국광복군 출신의 대한민국 국군 참여와 역할」 90쪽[115] 한시준,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 어디서 찾아야 하나」, 357쪽[116] 김민호, 「한국광복군 출신의 대한민국 국군과 참여와 역할」, 89쪽[117] 백기인, 『건군사』, 162~163쪽, ; 한시준,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 어디서 찾아야 하나」, 357쪽[118] 김중기, 『한국군사사』, 경남대출판부, 2011, 219쪽[119] 이순용 추천[120] 군복에 부착물[121] 이현희, 한국독립운동증언자료집(일반자료총서 86-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집부, 1986. p. 118[122] 1943년 8월 광복군 제1지대 전방공작원 김석산과 접선(강흥모 등 10명 후송)1944년 3월 광복군 제3지대 전방공작원 조동린과 접선(문수열 등 8명 후송) 1945년 4월 광복군 제3지대 본부 부관주임[123] 장호강 증언,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2권,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공훈전자사료관[124] 한국 광복군의 행동 준승 9개항 제 3조[125] 무타오, 쑨지커 저서, 조일문 번역, 피어린 27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대학교 출판부, p.226[126] https://e-gonghun.mpva.go.kr/user/IndepCrusaderDetail.do?goTocode=20003&mngNo=8253[127] 김승학의 한국독립사에서는 유 소교로 현재 소령 계급을 명칭했었는데, 유기석 회고록을 읽어본 분은 아시겠지만, 중국군 유격대에 복무한 적이 있다.[128] 1898년 대한제국 무관학교를 졸업한 황학수(대한제국 육군 참위(參尉)에 임관후, 부위(副尉)로 승진함)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이 있었으니 그 영향도 있을 것이다.[출처1]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11권, 한국광복군 II[130] 김준엽, 장정-나의 광복군 시절, 아연출판사, 2023, p.462[131] 김준엽, 장정-나의광복군 시절, 아연출판사, 2023, p.497[132] 김홍일 장군도 중국 국민혁명군에서 별 두개의 중장을 달았다.[133] 이는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중국 국민혁명군 계급체계가 주중 독일 군사고문단이 가져온 독일 국가방위군의 계급제도에서 기원하기 때문이다. 당대 독일 육군 계급체계에는 소장 - 중장 - 병과대장 - 상급대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준장이 없었다. 중장보다 상위의 계급이자 독일 병과대장상급대장에 해당하는 이급상장이나 일급상장광복군에 도입되지 않았다.[출처3] 독립운동사 제6권, 독립군전투사 (하), 제2편 한국광복군 성립, 제2장 대일선전과 전열의 정비 강화, 제2절 전열의 정비 강화-1. 총사령부 기구 조정[출처4] 독립운동사 제6권, 독립군전투사 (하), 제3편 광복군의 후기 활동, 제1장 각 부대의 활동, 제1절, 전국의 진전-2. 연합군의 태도와 임시정부의 활동[136] 광복군 고유의 계급체계가 사용됨에 따라 총사령관의 계급도 중장(☆☆)에서 정장(☆☆☆)으로 승격되었다.[137]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136p,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138] 오늘날의 장교 및 부사관에 해당[139] 오늘날의 병에 해당[출처3] 독립운동사 제6권, 독립군전투사 (하), 제2편 한국광복군 성립, 제2장 대일선전과 전열의 정비 강화, 제2절 전열의 정비 강화-1. 총사령부 기구 조정[출처2] 공훈전자사료관 원문사료실-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2권, 광복군-장호강[142] 총사령관 지청천, 3지대 정훈주임 조성산 등이 정복에 견장을 패용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다만, 해방 이후에는 총사령부가 아닌 2지대의 평대원들이 사관 및 병원의 계급장을 부착한 사례 역시 존재한다. 출처: 한국광복군, 그 뿌리와 발자취 (2011, 독립기념관 출판)[143] 한국의 군복식 발달사I(479p), 국방군사연구소(1997)[144] 동지라는 표현은 중국군과도 같이 공작활동을 했기 때문에 많이 쓰였다.[145]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 2012[146] 한글표현이다. 어깨동무가 그 흔적으로 남아있다.[147] 한글표현이다.[148]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있다.[149] 불심검문(不審檢問)은 경찰 또는 군인이 거동이 수상한 사람을 대상으로 행동을 멈추게 하고 질문하는 것이다.[150] 비슷하게도 한자어 '인민(人民)'처럼 정치적 이유로 금기어가 되었는데, 임시정부 문서들보면 인민(人民)이란 표현은 People을 제대로 번역한 단어이다. 인민(人民)을 대체한 단어인 국민(國民)이 이 국민이란 단어표현도 일본 황국신민(皇國臣民)의 약자라는 이유로 1996년 김영삼 정부때 국민학교를 전부 초등학교로 바꾸었다.[151] 참장이 부임[152] 부령~참령이 부임하나 제 1지대 2구대장처럼 이소민은 국민혁명군 상교 계급이 있었다[153] 참령~부위가 부임.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제정한 관급조정안 상으로는 정위가 부임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참령이나 부위 계급으로 분대장 직책을 맡았다는 김문택 지사의 수기와 윤석진 지사의 구술자료집이 있는 것으로 보아 ±1개의 관급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54] 독립운동사 제6권-독립군전투사(하), 제2편-한국광복군 성립, 제2장-대일선전과 전열의 정비 강화, 제2절-전열의 정비 강화-2. 각 지대의 개편[155] 『독립신문』(중경판), 제5호, 1945. 1. 10.[156] 공훈전자사료관 원문사료실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1권 광복군 편[157] 아오야마 카즈오 靑山和夫 (본명: 구로다 젠지黑田善次): 장제스 총통에게 조선의용대를 창설 건의한 사람[158] 심지어 백일청천 뱃지가 달린 군모를 쓰고 촬영된 증명사진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159] 이 당시 광목, 비단, 모직 등의 원단은 현물자산으로 현금대용으로도 사용되었다.[160] 김정민, 한국광복군 군복과 군용장구 연구, 28p (2018)[161] 목화에서 실을 뽑아 베를 짠 후 삶는 작업을 반복하여 당시 베틀을 사용해서 만들어서 현재 만들어진 광목에 비하여 상당히 거칠었을 것이다. 자연가공한 원단이기 때문에 물세탁시 5~10%내외 수축률이 있는 원단이다. 중국대륙은 깨끗한 물을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가급적 안빨고 다녔을 것이다.[162] 한국전쟁 시기 국군 전투복도 경성방직, 조선방직에서 군복을 대량 제작한 적이 있다. 그 당시 전투복이 구하기 어려운 것은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이다.[163] 육군박물관 학예지 제24집, 광복군복 연구 (152p~153p)[164] 염색재료도 없으면 하얀색 그대로 입고 다니는 것이다.[165] 천연 쪽염색, 먹염색을 사용하거나 혼용하는 식으로 색을 냈을 것이다.[166] 당시 상하이는 동아시아에서 유일한 국제도시이자 항구였다.[167] 중화민국 수도였고 현재 베이징은 베이핑이라고 불렀다.[168] 장제스가 김구와 약산 김원봉을 좋아했기 때문에 당시 양복점에서 맞춤으로 모직으로 된 군복들이 있었고 장제스와 친하지 않은 군벌이거나 소수민족 공작대에겐 가혹하게 차별했다고 한다.[169] 심지어 무기대여법으로 캐나다에서 중국으로 총기를 해상로로 보내고 싶어도 못보내고 일본이 패망하고 나서야 국공내전때 미군무기가 중국대륙에서 많이 나오지 그 이전엔 상선도 못들어갔다.[170] 창샤가 뚫리면 구이저우성과 쓰촨성 충칭으로 가는 곳을 열어주는 것이니 필사적으로 막아냈던 것이다.[171] 김준엽, 장정 나의 광복군 시절, 아연출판부, 2023, p.116[172] 일본제국군복이 황색이었기 때문에 최소 구분을 하려면 중국군에서는 다른 군복색을 입었어야 했다.[173] 발음 "차오시에(Cǎoxié)"[174] 발음 "뿌시에(Bùxié)"[175] 우리는 광복군, 조국의 영원한 용사(독립운동가 구술자료집), 국가보훈처, 2016, p.231[176] Benjamin Lai, Chinese Soldier vs. Japanese Soldier: China 1937~38, Osprey Publishing, 2018, p. 105[177] 장준하, 장준하의 항일대장정 돌배개, 돌배개, 2015, P. 146[178] 이현희, 한국독립운동증언자료집, 일반자료총서 86-2, 1986, p. 37[179] 공훈전자사료관 원문사료실 독립유공자증언 1권 광복군 편[180] 유기석, 삼십년방랑기-유기석 회고록, 국가보훈처, 2010, p.306[181] 재미한교 ≪신한민보(新韓民報≫논설[182] 김준엽, 장정 나의 광복군 시절, 아연출판부, 2023, p.133[183] 장호강 증언,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2권, 독립유공자증언자료집, 공훈전자사료관[184] 김준엽, 장정 나의 광복군 시절, 아연출판부, 2023, p.463[185] 모젤은 일본어 표기 '모제루(モーゼル)'의 영향을 받은 발음법으로 마우저(Mauser)를 말하지만, 국민혁명군이 자주 사용했던 M712/C96은 개인이 소지하고 다니기엔 너무 크기 때문에 아닐 것 같고 Mauser 1912/14을 말하는 건지 아니면 Mauser HSc를 말하는 건지 알 수 없다. 그 당시 모든 권총류를 마우저라고 불렀는지 모른다. 이런 표기법은 유기석, 삼십년방랑기-유기석회고록, 국가보훈처, 2010에도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명칭되는데, 당시 중국이 만든 데드카피총기들이 중국시장에 유통되었던거 생각하면 어떤 것인지는 알 수 없다.[186] 김용, 나의 길을 찾아, 이화, 2012 p.113[187] 당시 미육군에 채택이 안된 소총으로 중일전쟁 당시 국민당군에 소량 유입되었다. Jowett, Philip (20 November 2013). China's Wars: Rousing the Dragon 1894-1949. General Military. Osprey Publishing. p. 347.[188] 독립운동사(국가보훈처) 6권 제3편 광복군의 후기 활동, 제1장 각 부대의 활동, 제2절 제1지대 p. 377[189] 디지털 성주 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seongju/toc/GC08400804[190] https://arsof-history.org/articles/v3n2_det_404_page_1.html[191] 일본제국육군 치하 중형전차를 상대할 수 있는 정도였다고 한다.[192] <<소양문서>> 제 52호, 여기에는 편성할 수 있는 우리의 공군 인원 중 중국군 출신 및 소속의 비행사, 기계사로 최용덕, 이영무, 김진일, 염은동 등 11명 명단이 있다.[193] 문응국 지사의 증언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최중천(김천성)이 우리는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제 5지대라 했거든요. 그래 나월환 대장이 찾아가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제 5지대로 해주십시오."해서 5지대가 되었지요. 산시성에는 그 후에 5지대로 통했지요. 산시성에는 그 후에 5지대로 통했지요. 최중천이 5지대라 했으니, 그 5지대로 간판이 붙었다가 광복군으로 전입하라더군요. 처음부터 제 2지대가 아닙니다. 그래도 내가 우겨서 5지대로 하자고 했지요. 그래서 광복군 제 5지대라 했는데 광복군 제 5지대가 제 2지대가 되었지요. 처음에 청년전지공작대가(歌)가 광복군 제 5지대가로 되었다가 우리가 떠난 후에 제 2지대가가 된 것입니다."[194]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손실이 컸던 탓인지 옌시산은 일반적인 진지전 방식의 방어를 포기하고 군대를 게릴라전이 가능하도록 개혁하였다. 이후 옌시산의 군대는 공산군이 그동안 벌였던 게릴라전 방식과 비슷하게 발전했고, 1938년 이후에는 옌시산의 측근들도 그의 정권을 '게릴라 정권'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공산당과 연합한 항일은 계속되었지만, 공산당이 옌시산 휘하의 부대들을 습격해 섬멸하는 일이 잦아지자 옌시산은 정말로 열받았고 일본군을 상대하는 것이 무리라고 판단, 미운 공산당도 잡을 겸 1940년부터 일본군과 협상을 시작했다. 옌시산은 적극적인 반공으로 돌변, 희생구국동맹회와 산서청년항적결사대를 습격해 몰살시키는 진시사변을 일으켜 공산당과 완전히 돌아섰다. 옌시산은 자신이 일본에 저항하지 않으며 공산당을 토벌하는 대가로 일본군의 산시 철군과 식량 및 철 지원을 요구했다.[195]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라고도 불림.[196] 일명 무정이라고 한다. 조선의용대 대장은 김원봉이었으나 1941년 장제스의 허가를 받아 황허를 건너 동북지역으로 진격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간에 팔로군과 연계를 맺고 의열단계에서 중국공산당계로 맞는 인물로 교체된 듯하다.(한마디로 부대가 중간에 가로채진 셈이다.) 이 부대는 동북삼성 지방에 도달해서 북한측으로 인계된 것으로 보인다. 무정 장군은 광복 후, 김일성의 독재에 협조적이지 않았고 김일성계로 볼 수 없다.[197] 구대장, 계급은 소교~상교[198] 광복군 제 2지대 제 3구대 제 3분대라고 하는데 이범석 장군 휘하 시안의 2지대에도 똑같은 이름의 분대가 있어서 제 3징모분처라고 불렀다. 일명 '강남분대'라고도 불린다.[199] 분대장, 계급 소교[200] 광복군 제 1지대 1구대장으로 장준하, 김준엽 회고록에서 라오하커우를 경유할 때 등장한다.[201] 김승곤 지사 증언[202] 조선의용군으로 합류하기 전이다.[203] 1945.2.구대장[204] 현재 국가보훈부 산하 공법단체는 총 17개(독립 관련 1개, 호국 관련 10개, 민주 관련 6개)다.유일한 독립관련 공법단체가 광복회[205] 안춘생[206] 現 기무사령부[207] 드라마 야인시대에도 나온다.[208] (중국어: 藍衣社, 영어: Blue Shirts Society, BSS)는 극우 정당 중국 국민당 산하의 파시즘 비밀조직으로 장제스의 지휘 아래 중화민국과 국민당을 군국주의 노선으로 이끌어간 일종의 정보기관이자 준군사조직이었다.[209] 안중근 의사의 조카들이다.[210] 다만, 소련군이 만주를 점령한 이후부터는 김원봉과 결별한 조선의용군도 당시 만주에 입국거부된 적이 있다.[211] 이글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