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03:19:57

북로군정서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864> 파일:김좌진 투명.svg김좌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64> 일생 <colbgcolor=#fff,#1f2023>생애
관련 인물 홍범도 · 이범석 · 안무
비판 지역주민에 대한 폭력 · 빈주 사건
대중매체 대중매체,(야인시대에서),
관련 단체 육군무관학교 · 북로군정서
기타 청산리 전투 · 자유시 참변 · 김좌진 장군묘 ·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 · 김좌진함(SS-076)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의 독립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color:#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병 및 민중기반 단체
갑오의병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포수단 동의단지회 중광단 보합단
정규 군사조직 및 준정부
13도 창의군 대조선국민군단 대한광복군정부 대한광복회
대한독립군 대한독립군비단 군무도독부 광한단
대한독립군결사대 광복군사령부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국민부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정부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 한국광복군
비밀결사 및 혁명단체
대한독립의군부 광복단 광복회 대한독립공명단
철혈광복단 대한국민회군 의열단 흑색공포단
해외 및 민족적 단체
한인애국단 재만한족연합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조선독립동맹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교전지공작대 고려독립청년당
}}}}}}}}}}}} ||
북로군정서
北路軍政署
<nopad> 파일:북로군정서.jpg
▲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사진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설립 1919년 (106주년)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중화민국}}}}}}]]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중화민국}}}}}}]]
#!if 기 == null && 깃발 == null
[[중화민국 국민정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화민국 국민정부}}}{{{#!if 출력 != null
중화민국}}}}}}]]
북간도
(現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중화인민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화인민공화국}}}{{{#!if 출력 != null
}}}}}}]]
지린성)
해체 1921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 임시정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 임시정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919 ~ 1945)
지휘체계 서일 (총재)
김좌진 (사령관)
이장녕 (참모장)
김규식 (사단장)
최해 (여단장)
정훈 (연대장)
이범석 (연성대장)
양현 (군기감독)
윤복영 (길림분서고문)
병력 500여 명 (1919년)
1600명 (1920년)
참전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
적대 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신 중광단
후신 신민부



1. 개요2. 결성3. 활동4. 와해

1. 개요

1919년 북간도에서 조직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

2. 결성

북로군정서는 1911년에 조직된 대종교 계통의 항일 운동 단체인 중광단이 전신이 되어 발족하였다. 1919년 3.1 운동 이후 북간도에서 대종교 계열의 중광단을 모체로 공교회[1] 등의 단체가 참여하여 대한정의단이 결성되었고, 대한정의단 산하에 무장 투쟁을 위한 조직인 대한군정회를 조직하였다. 대한군정회는 군사 지도자로 서일, 김좌진 등을 초빙하여 군사 훈련에 주력하였다.

대한군정회에 참여했던 김좌진은 신민회 회원들과 교류하고 공화주의 성향이었기 때문에 복벽주의 성향을 띤 공교회 계열 회원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이후 대한정의단 내부에서 공교회 계열 회원들이 이탈하였고, 1919년 10월에 대한정의단과 대한군정회 조직을 통합하여, 서일을 총재로 하고 김좌진을 사령관으로 하는 대한군정부가 조직되었다. 이후 대한군정부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시로 조직을 북로군정서로 개편하였다.[2]

3. 활동

북로군정서는 서로군정서, 대한독립군과 연합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이때 북로군정서는 1920년 봉오동 전투청산리 전투에서 일제에 대승하였다.

4. 와해

봉오동, 청산리 전투에서 패배한 일제는 간도 참변을 일으켜 간도의 양민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였다. 이때 북로군정서는 다른 만주의 항일 독립군들과 함께 일제의 감시를 피해 만주와 소련의 경계 지대인 밀산에 집결하였다. 여기서 다른 독립군들과 함께 소련의 자유시로 향했다. 여기서 서일은 자유시로, 김좌진은 회군하여 만주로 향했는데 그뒤 1921년에 자유시 참변이 발생하여 대한독립군단은 와해되었고, 북로군정서도 큰 타격을 입었다.

김좌진은 이후 자유시 참변으로 흩어진 대원들을 모아 다시 독립군을 조직했지만, 전과 같은 독립군단은 편성되지 못했고, 1930년 암살자 박상실이 쏜 총탄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1] 孔敎會. 유교 계열의 단체이다. 공교회는 구 조선 왕조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며 복벽주의 성향을 띤다.[2] 다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에 있었고, 북로군정서는 만주에 있었기 때문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직접적 지휘는 불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