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16:05:33

광한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letter-spacing:-0.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병 및 민중기반 단체
갑오의병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포수단 동의단지회 중광단 보합단
정규 군사조직 및 준정부
13도 창의군 대조선국민군단 대한광복군정부 대한광복회
대한독립군 대한독립군비단 군무도독부 광한단
대한독립군결사대 광복군사령부 대한통의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국민부 한국독립군
조선혁명군정부 조선의용대 조선의용군 한국광복군
비밀결사 및 혁명단체
대한독립의군부 광복단 광복회 대한독립공명단
철혈광복단 대한국민회군 의열단 흑색공포단
해외 및 민족적 단체
한인애국단 재만한족연합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화북조선청년연합회
조선독립동맹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한교전지공작대 고려독립청년당
}}}}}}}}} ||
1. 개요2. 설명

1. 개요

1920년 2월 만주에서 창설된 독립운동단체.

2. 설명

현정경, 현익철, 이시열(李時說), 이호원, 김석손(金錫巽), 홍원경(洪元京) 등이 국내에서 건너온 장명환, 김관성, 이춘산(李春山), 김태호(金泰浩), 박정호(朴正鎬) 등 40여 사람과 함께 1920년 2월 만주 콴뎬현 향로구(香爐溝)에서 창설한 단체.

한반도 208개군마다 존재하는 에 기관을 두고 단원을 배치, 총과 폭탄으로 무장해 조선총독부의 행정, 군사 기관의 파괴와 친일파 박멸에 힘썼다. 광한단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앙위원회 위원장 현정경, 부위원장 김이대(金履大), 검무위원장 김관성, 계획위원장 이시열, 비서 고할신(고활신).

광한단은 전원위원제를 채택하여 단원 모두가 평등한 지위를 지녀서 서로 간 불평이 없었다고 한다. 1920년 11월 장명환, 김관성 등이 모험대를 창설, 국내로 진입해 격문을 배포하는 등 평안도황해도 같은 지역에서 적극적인 항일운동을 이어나갔다.

1922년 1월 환런현 하구(河溝)에서 광복군총영, 대한독립단, 한교민단, 대한청년단연합회 등의 대표가 만나 남만통일회를 조직하고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의 통합을 추진하였다. 이들 단체는 수 차례 회의를 거쳐 새로운 통합 조직 대한통의부를 창설했다. 이 과정에서 광한단은 대한통의부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