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5 06:26:07

연통제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장.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문서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 연통제 · 교통국 · 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인애국단 · 한국독립당 · 법통 논란 · 대일선전성명서
군사기구광복군사령부 · 육군주만참의부 · 한국광복군
사건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인물김구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규식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이동휘 · 홍진 · 조소앙 · 여운형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청사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항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전장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창사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경교장
역대 수반 · 지역별 임시의정원 구성}}}}}}}}}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330066><tablebgcolor=#330066> 파일:안창호 투명.svg안창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330066> 일생 생애
가족 배우자 이혜련 · 장남 안필립 · 장녀 안수산
사상 민족개조론
성향 사회민주주의
사건사고 수양동우회 사건
관련 단체 신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흥사단 · 독립협회 · 한국독립당 · 국민대표회의 · 대한인국민회
기타 연통제 · 도산공원 · 대성학교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

1. 개요2. 설치3. 일제의 방해와 와해

1. 개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치한 국내와의 연락망 조직이다. 임시정부에 대한 선전과 통신 연락, 독립운동 자금 수합을 맡았다.

2. 설치

연통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출범한 이후인 1919년 7월 10일 내무부장인 안창호에 의해 주도되어 국무원령 제1호로 임시지방연통제가 공포되면서 내무부장의 관할 아래에서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하였다. 1919년 12월 1일에 교령 제2호가 공포되어 개정된 적이 있다.

연통제는 당시 행정조직에 따라 국내의 도, 군, 면 단위별로 설치하여, 독판, 군감, 면감 등을 임시 지방행정 기구로 삼았다.

3. 일제의 방해와 와해

연통제는 국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일제 당국의 철저한 방해를 받았다. 다음은 일제의 연통제 색출 일지이다.
  • 1919년
    • 평안남도에서는 특파원으로 파견되었던 유기준이 평양 기성의원에서 일제에 의해 체포되었다.
    • 12월 31일: 창성군 통신원인 김지일, 강우여, 강제박 등이 체포되었다.
  • 1920년
    • 5월 3일: 평안북도 독판 안병찬이 1920년 5월 3일 일제에 의해 체포되었다.
    • 7월 4일: 의주군 통신원 양승업(梁承業)이 일제 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연통제 조직이 발각되었다.

결국 일제의 철저한 색출과 방해로 인해 연통제 조직은 사실상 와해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자금줄이 끊겨버려 활동 역량이 매우 위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