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7 15:52:17

독립촉성중앙협의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사한 이름을 가진 이 정당의 후신에 대한 내용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창당) 독립촉성
중앙협의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합당)

1. 개요2. 관련 문서3. 둘러보기

1. 개요

이승만이 환국한 직후, 그는 다음과 같은 기자회견으로 이미 모스크바 3상 회의 전부터 우선 각자의 노선이 어떻든지간에 독립부터 해서 국제 사회에 합법적이고, 승인된, 정당한 발언권과 교섭권, 외교권을 가져서 한인들의 주권을 먼저 되찾아야 한다는 취지로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나에게는 (미래에 대한) 어떤 정치적 전망도 아직 없지만, 다만 국내에 여러분과 합동하여 우리가 우리의 손으로, 우리 일을 할 수 있는, 우리 국가를 하루 빨리 세워야 하겠다는 것밖에 없습니다. 우리만 잘 단결되면 내일이라도 우리의 국가를 세워 우리에게 산적한 모든 문제를 의논할 수 있다고 나는 믿습니다. 8월 15일 후 우리 국내에는 50이 넘는 정당이 난립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한심하게 생각합니다. 우리가 당한 문제 중 가장 긴급한 문제는 완전 독립이 아니겠습니까? 그러자면 하루 빨리 뭉쳐야할 줄 압니다. 헌데 뭉치어 우리 국가를 찾자면 총선거를 단행하여 새 국가를 세워야 할 것입니다. 그런 후에 서로 한 자리에 앉아 흉금을 터놓고 여러가지를 논의할 수 있으며 논의한 후 인민의 총의(總意)에 의하여 어떻게든지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연합군도 우리 인민의 총의에 의하여 결정되면 우리를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1]

1945년 10월 20일, 미국 국무부 극동국장 존 카터 빈센트(John Carter Vincent)가 한국에 신탁통치를 실시할 가능성에 대하여 미국 의회에서 공개적으로 시사한 이후, 이승만강대국의 이러한 식민지 정책을 저지하기 위하여 민족 전체가 하나로 대동 단결할 것을 호소했고, 모든 민족 진영이 단합할 수 있는 그릇으로서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구성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어 1945년 10월 23일, 조선호텔에서 65개 단체 대표들과 여러 정당 대표 200명[2]이 참석한 가운데 결성되었다.[a] 약칭 독촉.

신탁 통치에 대한 여론이 미국 정계를 주름잡게 되자, 이승만은 독립촉성중앙협의회로 하여금 1945년 11월 2일, 미국소련에 다음과 같은 결의문을 발송하게 하였다.[a]
1. 총선거를 통한 즉시 독립
2. 38선의 철폐
3. 신탁 통치 반대

그러나 갈등 끝에 11월 16일 박헌영의 조선공산당은 독촉에서 탈퇴했다. 그 결과 독촉의 좌우대통합 이미지는 타격을 입었고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좌익들도 사람들에게 분열세력이라는 인식이 생김으로써 정국의 주도권이 우익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1945년 11월 2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성원들의 1차 서울 귀환을 계기로 중앙집행위원회 구성을 시작했는데, 11월 28일부터 시도된 중앙집행위원회 구성에서 갈등을 드러냈다. 여운형은 위원 7명 중 5명이 한국민주당의 당원이라면서 퇴장했다. 이승만은 독촉을 중심으로 임시정부 세력도 흡수하려고 했으나 임시정부 세력들이 이에 반발하였고 이들은 독자적인 조직을 만들려고 했다.

좌·우익을 망라하여 통합 조직을 이룬다는 처음 계획에는 실패했지만 최고지도자로서 이승만이 부각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후 1946년 2월 8일, 김구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와 통합하여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되었다.

2. 관련 문서

3. 둘러보기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황국협회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1] 李元淳, 《人間 李承晩》, 1965, 新太陽社, p. 262[2] 박헌영조선공산당도 그 중 하나였다. 이승만은 10월 31일돈암장에서 박헌영을 만나 장장 4시간에 걸친 대화를 나눈 끝에 박헌영의 독촉 참여를 이끌어냈다.[a] 許政, 《雩南 李承晩》, 1970, 太極出版社, p. 214[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