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당 | 노동당 우파 | 노동당 좌파 | ||||
자유당 | 온건파 | 중도우파 | 국민우파 |
National Right |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 한글 명칭 | 국민 우파 |
싱크탱크 | 공공문제연구소 (Institute of Public Affairs) |
대표 | 피터 더튼 |
이념 | 보수주의 (호주) 호주 민족주의[1] 군주주의[2] 우익대중주의[3] |
스펙트럼 | 우익 |
주요 정치인 | 피터 더튼 토니 애벗 존 하워드 |
정당 |
1. 개요
호주 자유당의 강경파.명칭부터가 온건하지 못한 비슷한 느낌이 있어서 당 내 좌파와 달리 본인들 스스로 자처하지도 않고, 조직화되어 있는 세력도 아니라서 얼마나 많은 자유당원 국회의원들이 국민우파에 속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온건파와 달리 청년조직도 없다.
2. 성향
호주 자유당의 계파는 크게 온건파 (Moderate) / 중도우파 (Centre Right)[4] / 우익 (Right Wing) 이렇게 3개로 나뉜다.문화적 자유주의에 가까운 자유당 내의 온건파와 달리 강한 사회보수주의적 성격을 보인다. 동성결혼에 부정적 관념을 가진 이들이 대부분이고 국민보수주의적 계파라서 이민에도 부정적이다. 다만 기독교적 전통의 코카서스 백인들의 호주 이민의 경우는 부정적이지 않는 이중성을 보이는 정치인들이 꽤 있다.[5]
과거 20세기에 이루어진 원주민 탄압과 차별, 아시아계 이민에 대한 반대와 백호주의적 유산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으려고 하거나 위선적인 태도를 보인다. 점진적 공화주의와 왕당파가 혼재된 온건파와 달리 강한 왕당파 신념을 보인다.
3. 둘러보기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 ||||
녹색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 | 실용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
온정적 보수주의 | |||||
현대적 보수주의 | |||||
자유보수주의 | 보수자유주의 | 재정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신보수주의 | |
신우파 | 현대보수주의 | ||||
고전적 보수주의 |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문화적 보수주의 | 고보수주의 | |
가족주의 | |||||
강경 보수주의 | |||||
초보수주의 | 교권주의 | 토착민주의 | 반동주의 | 국민보수주의(일부) | |
인종 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
종교적 보수주의 | |||||
기독교 민주주의 | 기독교 우파 | 이슬람 민주주의 | 이슬람주의 | 불교 민주주의 | |
유대 보수주의 | 종교 시오니즘 | 전통주의 가톨릭 | 힌두트바 | 보수주의 신학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융합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
지역별 보수주의 | |||||
위정척사사상 | 일민주의 | 따뜻한 보수 | 개혁보수 | 중도실용주의 | |
뉴라이트 | 신우익 | 청년민족파 | 일국 보수주의 | 대처주의 | |
레이건주의 | 트럼프주의 | 대안 우파 | 푸틴주의 | 유라시아주의 | |
보나파르트주의 | 오를레앙주의 | 법통주의 | 드골주의 | 보수혁명 | |
보수민주주의 | 원칙주의 | 알폰소주의 | 카를로스주의 | 프랑코주의 | |
메넴주의 | 정통 페론주의 | 밀레이주의 | 후지모리주의 | 피노체트주의 | |
보우소나루주의 | 베를루스코니주의 | 신권위주의 | 신유교주의 | 장제스주의 | |
국민우파 | 입헌보수주의 |
나라별 현황 | ||||
대만의 보수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독일의 보수주의 | 러시아의 보수주의 | 미국의 보수주의 |
영국의 보수주의 | 인도의 보수주의 | 중국의 보수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호주의 보수주의 |
홍콩의 보수주의 | ||||
문화, 지역별 현황 | ||||
한반도의 보수주의 | ||||
연관 이념 | ||||
보수주의 페미니즘 | 성소수자 보수주의 | 흑인 보수주의 | 교권 파시즘 | 유사 파시즘 |
우익대중주의 | 군주주의 (왕당파) | 삼민주의 | 사회자유 보수주의 | 에스닉 내셔널리즘 |
제국주의 |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 우익사회주의 | 출생주의 | 탈자유주의 |
남성주의 | 성적 억압 | 네오내셔널리즘 | ||
연관 개념 | ||||
전통 | 법과 질서 | 권위 | 가족 | 충성 |
위계 | 자연법 | 정통성 | 도덕 | 사회 질서 |
가부장제 | ||||
기타 | ||||
우익 정치 | 아시아적 가치 | 보수좌파 | 탈파시즘 | 백색 테러 |
반공주의 | 반사회주의 | 안티페미니즘(일부) | 반자본주의(일부) | 반자유주의(일부) |
부르주아 정당 | 친생명 | 귀족 이익 | 영국 연합주의 | 사회진화론 |
블루 타이드 | 엘리트주의 | 백래시 | 힘에 의한 평화 | 시니스트리슴 |
폴크스게마인샤프트 | 폴크헴메트 | 종교적 우파 | 대안 우파 | 정체성 정치 |
반혁명 | 군사 케인스주의 | |||
관련 단체 | ||||
국제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무슬림 형제단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 에라스뮈스 재단 |
황국협회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 ||||
상징 | 역사 | 인물 |
[1] Ethnonationalism 관련 출처#[2] 호주 공화국으로의 전환에 극구 반대하는 성향이다. 온건파 일부와 중도우파도 연성 왕당파이지만 국민우파는 이 성향이 매우 두드러지는 강성 왕당파이다.[3] 현 자유당 당수인 피터 더튼이 대표적이다. 백인우월주의 논란이 있다.[4] 온건파와 우익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5] 특히 현재 주요 정치인인 더튼의 경우 남아공에서 백인들이 탄압받는다고 주장하며, 그 백인들을 남아공에서 적극 받아야 한다는 식의 발언으로 인해 반대 세력들에게 화이트 제노사이드 음모론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