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 ||||
녹색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 | 실용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
온정적 보수주의 | |||||
현대적 보수주의 | |||||
자유보수주의 | 보수자유주의 | 재정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신보수주의 | |
신우파 | 현대보수주의 | ||||
고전적 보수주의 |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문화적 보수주의 | 고보수주의 | |
가족주의 | |||||
강경 보수주의 | |||||
초보수주의 | 교권주의 | 토착민주의 | 반동주의 | 국민보수주의(일부) | |
인종 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
종교적 보수주의 | |||||
기독교 민주주의 | 기독교 우파 | 이슬람 민주주의 | 이슬람주의 | 불교 민주주의 | |
유대 보수주의 | 종교 시오니즘 | 전통주의 가톨릭 | 힌두트바 | 보수주의 신학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융합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
지역별 보수주의 | |||||
위정척사사상 | 일민주의 | 따뜻한 보수 | 개혁보수 | 중도실용주의 | |
뉴라이트 | 신우익 | 청년민족파 | 일국 보수주의 | 대처주의 | |
레이건주의 | 트럼프주의 | 대안 우파 | 푸틴주의 | 유라시아주의 | |
보나파르트주의 | 오를레앙주의 | 법통주의 | 드골주의 | 보수혁명 | |
보수민주주의 | 원칙주의 | 알폰소주의 | 카를로스주의 | 프랑코주의 | |
메넴주의 | 정통 페론주의 | 밀레이주의 | 후지모리주의 | 피노체트주의 | |
보우소나루주의 | 베를루스코니주의 | 신권위주의 | 신유교주의 | 장제스주의 | |
국민우파 | 입헌보수주의 |
나라별 현황 | ||||
대만의 보수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독일의 보수주의 | 러시아의 보수주의 | 미국의 보수주의 |
영국의 보수주의 | 인도의 보수주의 | 중국의 보수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호주의 보수주의 |
홍콩의 보수주의 | ||||
문화, 지역별 현황 | ||||
한반도의 보수주의 | ||||
연관 이념 | ||||
보수주의 페미니즘 | 성소수자 보수주의 | 흑인 보수주의 | 교권 파시즘 | 유사 파시즘 |
우익대중주의 | 군주주의 (왕당파) | 삼민주의 | 사회자유 보수주의 | 민족주의** |
제국주의 |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 보수적 사회주의 | 출생주의 | 탈자유주의 |
남성주의 | ||||
연관 개념 | ||||
전통 | 법과 질서 | 권위 | 가족 | 충성 |
위계 | 자연법 | 정통성 | 도덕 | 사회 질서 |
가부장제 | ||||
기타 | ||||
우익 정치 | 아시아적 가치 | 보수좌파 | 탈파시즘 | 백색 테러 |
반공주의 | 반사회주의 | 안티페미니즘(일부) | 반자본주의(일부) | 반자유주의(일부) |
부르주아 정당 | 친생명 | 귀족 이익 | 영국 연합주의 | 사회진화론 |
블루 타이드 | 엘리트주의 | 백래시 | 힘에 의한 평화 | 시니스트리슴 |
폴크스게마인샤프트 | 폴크헴메트 | 종교적 우파 | 대안 우파 | 정체성 정치 |
반혁명 | 군사 케인스주의 | |||
관련 단체 | ||||
국제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무슬림 형제단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 에라스뮈스 재단 |
황국협회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 ||||
상징 | 역사 | 인물 |
1. 개요
대만의 보수주의(臺灣保守主義)는 대만에서 나타나는 보수주의의 한 형태이다.대만의 주류 보수주의 정당들은 중국국민당을 중심으로 범람연맹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2. 성향
소수 타이완 내셔널리즘 성향의 보수정당도 있지만 대부분의 대만 보수주의 정당, 인물, 조직, 세력들은 중화민국이라는 국가정체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한다.[1] 또한 중화민족주의에 기반하여 하나의 중국 정책을 지지해왔으며, 민주화 이전에는 무력을 통한 대륙 수복을 지지했으나[2] 현재는 대륙(중화인민공화국)과의 평화적 관계 + 92공식을 옹호한다. 때문에 타이완 독립운동에 반대하며 양안통일 지지한다.
대만의 진보주의자들이 지방자치를 선호하는 반면, 보수주의자들은 중앙집권을 더 선호한다. 또한 대만 보수주의자들은 서구의 현대보수주의자들과 달리 작은 정부가 아닌 큰 정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적으로는 중화사상, 즉 중화 문명에 대한 자부심과 전통을 옹호하기 때문에, 다문화주의를 옹호하는 대만 내 진보파들과 비교했을 때 대만 원주민 문화나 1945년 이전 토착 대만문화 등을 상대적으로 경시한다. 백색 공포(대만 계엄령) 시기에는 아예 원주민과 토착 대만문화를 탄압하기도 하였다.
민주화 이후 (중화민족주의 성향) 대만 보수주의자들은 대륙(중화인민공화국)과 우호적인 입장이다. 특히 마잉주 등 일부 보수주의자들은 대만이 중국과 붙으면 반드시 패전한다며 대륙과 평화적 관계를 호소하기도 한다. 때문에 타 지역과 달리 대만에서 반중공 성향은 오히려 (타이완 내셔널리즘 성향) 진보주의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지며, 보수주의자들이 상대적으로 중공에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다.[3]
3. 인물
- 롄성원
- 롄잔
- 리덩후이 - 제7 ~ 9대 중화민국 총통. 퇴임 이후에는 타이완 독립주의자의 면모를 적극 드러냈기 때문에 일반적인 대만 보수주의와 이질적일 수도 있으나, 일본 우익 보수주의자들과 비슷한 성향을 보여주었고, 그와 연관이 있는 대만단결연맹[4]은 현재 대만 민족주의 계열 보수정당으로 분류된다.
- 마잉주 - 제12 ~ 13대 중화민국 총통
- 쑤치
- 쑹추위
- 우둔이
- 장완안
- 장제스 - 헌정 이후 중화민국 초대 ~ 5대 총통
- 장징궈 - 제6대 중화민국 총통
- 장치천
- 주리룬
- 하오보춘
- 하오룽빈
- 한궈위
- 훙슈주
4. 정당
4.1. 현존하는 정당
- 타이완 내셔널리즘 계열
4.2. 과거의 정당
- 1945년 이전 (대만일치시기) - 대만 내에서는 일본의 식민통치에 대한 평가가 그리 나쁘지 않기 때문에, 이 시기에 대만에서도 활동했던 일본 보수주의 정당들도 포함시키는 편이다.[6]
5. 같이 보기
[1] 급통파라고 불리는 극우 세력들은 예외로, 이들은 중국에 충성하기도 하며, 친중공파라고 불린다.[2] 이 시기엔 국광 작전 등 이를 실행에 옮기려는 의지도 있었다.[3]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비공산 진보 세력이 상대적으로 중공에 유화적이고 보수 세력이 반중공인 경우가 많다.[4] 공식적으로 당원인 적은 없지만 리덩후이와 관계가 깊다.[5] 타이완 '섬'(島=도)에 사는 민중들이 중국에 항거하기 위한 연합이다.[6] 실제로 영어 위키백과의 List of political parties in Taiwan 문서에서도 해당 정당들을 포함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