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4:11:57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파일:Lee Kuan Yew-Park Chung Hee.webp
사진 속 가운데는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싱가포르|]]의 리콴유[1],
오른쪽은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대한민국|]]의 박정희[2].[3]
파일:蘇林-習近平.webp
왼쪽부터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베트남|]]의 또럼[4], \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국|]]의 시진핑[5].

1. 개요2. 성향3. 사례4. 같이 보기

1. 개요

오늘날의 자본주의민주주의 없이도 나아가는 단계에 진입했다. 싱가포르국부로 추앙받는 리콴유 전 총리를 보라. 권위주의 통치 체제로 놀라운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리콴유 모델'은 인도, 파키스탄, 터키 등으로 전파돼 세계적 흐름이 됐다. 중국, 베트남에선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지만, 경제 발전은 폭발적이다. 자유민주주의 첨병인 미국조차 권위주의적 자본주의로 돌아서는 느낌이다.
슬라보예 지젝, 2019년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權威主義的 資本主義 / Authoritarian capitalism

자본주의 시장경제권위주의 정부 하에 돌아가는 체제를 의미한다.

2. 성향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가톨릭 보수주의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보수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만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연관 이념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교권 파시즘 유사 파시즘
중도실용주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왕당파) 삼민주의 사회자유 보수주의
민족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보수적 사회주의
연관 개념
전통 법과 질서 권위 가족 충성
위계 자연법 정통성 도덕 사회 질서
기타
우익 정치 아시아적 가치 보수좌파 탈파시즘 백색 테러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안티페미니즘(일부) 반자본주의(일부) 반자유주의(일부)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 이익 영국 연합주의 사회진화론
블루 타이드 엘리트주의 백래시 힘에 의한 평화 시니스트리슴
폴크스게마인샤프트 폴크헴메트 종교적 우파 대안 우파 정체성 정치
반혁명 군사 케인스주의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상징 | 역사 | 인물
}}}}}}}}} ||

개개인의 사유재산 제도는 폭넓게 인정하면서도 국가가 기업활동을 적극 통제한다. 정치적으로는 보수주의와 관련이 있는데 특히 국가협동조합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파시즘 등의 이념들이 이러한 경제 정책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3. 사례

볼드체는 현재에도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체제가 유지되고 있는 국가. (국명 기준으로 가나다순 정렬)

4. 같이 보기


[1] 초대 총리 (1959년 ~ 1990년).[2] 제5-9대 대통령 (1963년 ~ 1979년).[3] 사진 속 왼쪽은 당시 영부인 직무대행 박근혜이다.[4] 제10대 최고지도자 (2024년 ~ ).[5] 제6대 최고지도자 (2012년 ~ ).[6] 싱가포르는 권위주의적 자본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되기는 하나, 형식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리셴룽 이후부터는 '결함있는 민주주의'로 분류될 만큼 일정 부분 자유화가 이뤄졌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긴 하다.[7] 후진타오 시대에 물권법을 제정해 사유재산을 인정하면서 자본주의적 요소가 강화됐고, 시진핑 시대에 주석의 연임 제한이 철폐돼 종신 집권이 가능해지면서 권위주의적 요소가 강화됐다.[8] 대다수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체제가 국가 차원에서 시장을 강하게 통제한 것과는 달리, 피노체트는 독특하게도 강력한 신자유주의 정책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