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09:22:26

북한/경제/역사/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북한/경제/역사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D1C27><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가계도) · 주체사상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령토완정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 비전향 장기수 · 적대적 두 국가론 (괴뢰한국)
조선인민군 (륙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특수작전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원인) · 대남공작기관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최고검찰소 · 최고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2025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우상화 교과서 / 태양상 / 초상휘장 / 김일성김정일동상 / 1호 사진) · 조선대백과사전 · 조선중앙년감 · 공민증 · 맹원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북한에서 유래된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축구 대표팀) · 관광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과정과 사례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의 국가장 · 북한 관련 뉴스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1. 개요2. 현황
2.1. 1월

1. 개요

2025년에 발생한 북한의 경제 관련 뉴스를 정리하는 문서.

2. 현황

2.1. 1월

  • 1월 10일 : 기사에 따르면 북한의 시장 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올랐다. 2024년 1월 대비 쌀 1kg 가격은 4820원에서 8500원으로 76.3%, 옥수수 1kg은 2260원에서 4200원으로 85.8%, 달러 환율은 8300원에서 22100원으로 166.3%, 위안 환율은 1250원에서 3200원으로 156.0% 늘었다. 북한 시장 물가 데이터에서 1년 만에 환율이 이렇게 크게 급등한 사례는 2009년 북한의 화폐개혁 이후 처음이라고 한다.
  • 1월 15일 : 북한 혜산시 세관을 통해 중국으로 나가는 트럭들에 수출품이 가득 실려 있다고 한다. 대부분 광석이나 수산물이 실려 있다고..# 반대로 중국에서 활동하는 북한 무역대표들은 냉장고나 냉동고, TV 등 전자제품을 대거 사들여 북한으로 보낸다고 한다. #
  • 1월 18일 : 평양의 북한 원·위안 환율은 3000원, 원·달러 환율은 2만 1700원으로 거래 되었고, 신의주에서는 2만 1770원 혜산에서는 2만 1800원으로 거래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
  • 1월 20일 : 북한 국가계획위원회와 중앙은행이 올해 1월부터 모든 기관·기업소들에서 생활비(월급)를 카드로 입금해 주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국가 은행을 통해 돈이 제대로 유통되도록 하는 목적이 크다고 한다. #
  • 1월 23일 : 황해남도 해주시 인민위원회 상업부가 시장 상인들을 대상으로 국정가격 준수해 장사하라는 주제로 강연회를 진행 한 것으로 전해졌다. # 강연회에서 상업부는 시장가격이 국정가격과 괴리되는 경우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강조했다
  • 1월 24일
    • 올해 6월 완공 예정인 원산 갈마 해안관광지구 관광객 유치를 위해 북러가 상호 여행 규제 간소화를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미 러시아 관광 업체는 7월 7일부터 14일까지 파견하는 관광단을 모집하고 있다. #
    • 황해북도 인민 위원회는 황해북도 농장들에 영농 준비를 위한 돈을 은행에서 빌리도록 하는 방침을 세웠다. 필요한 자금을 은행에서 받고 이자를 붙여 가을에 갚는 방식이라고#, 위의 생활비를 카드로 입금해주려는 것과 더불어 화폐 개혁 실패 이후 은행 이용을 기피하는 북한 주민들의 은행 이용률을 높이려는 정책으로 보인다.
  • 1월 29일 : 북한은 음력설을 쇠지만 설 당일만 휴무로 지정돼 이동이 제한되며, 귀성 행렬 대신 주민들은 설 음식을 사 먹으러 식당에 몰리는 등 소비 활동이 활발하다. 최근 명절 선물과 세뱃돈 문화가 확산되면서 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북한 당국은 명절을 김일성·김정일 업적 선전과 김정은 충성심 고취의 기회로 활용하며, 주민들에게 헌화나 선물 준비를 요구해 추가 부담을 주기도 한다. 경제난 속에서도 설맞이 소비를 장려하는 선전 활동도 이어지고 있다. ##

[[북한/경제/역사/2024년|
2024년 경제 현황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