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토니아 신화 관련 틀 | |||||||||||||||||||||||||||||||||||||||||||||||||||||||||||||||||||||||||||||||||||||||||||||||||||||||||
|
1. 개요
발트핀족에 속하는 에스토니아인들이 믿던 신화로서, 에스토니아 민속 유산과 문학의 복합체이다. 기독교가 들어오기 이전과 중세 시대 에스토니아 신화는 역사 연대기, 여행자의 기록 및 교회 기록부에 흩어져 있었다. 에스토니아 신화에 대한 체계적인 기록이 시작된 것은 19세기부터이며, 에스토니아의 작가 프리드리히 크로이츠발트(Friedrich R. Kreutzwald)가 민속 신화와 전설들을 토대로 '칼레비포에그(Kalevipoeg, 칼레브의 아들)'라는 에스토니아 국가 서사시를 집대성했다.
민족적 기원이 같은 핀란드 신화와 비슷한 점이 많다.
2. 창조 설화
새가 세 개의 알을 낳았는데 하나는 태양이 되고, 하나는 달이 되고, 하나는 지구가 되면서 세상이 창조되었다. 핀란드 신화를 포함한 다른 발트핀족들의 신화에서도 세계가 달걀에서 나왔다는 내용이 언급된다.3. 신화 속 등장인물
- 피케르(Pikker)/애이케(Äike): 천둥의 신
- 유말(Jumal)/타라(Taara)/타에바타트(Taevataat)/우쿠(Uku): 하늘의 신이자 최고 신
- 마유말라드(Maajumalad): 땅의 신
- 마에마(Maaema): 땅, 자연의 여신
- 토니(Tooni): 죽음의 신
- 바네무이네(Vanemuine): 노래, 춤, 문학, 예술의 신
- 렘포(Lempo): 사랑, 욕망의 신
- 라우리츠(Laurits): 불의 신
- 메치크(Metsik): 다산의 신
- 페코(Peko): 농업, 작물, 양조의 신
- 쿠(Kuu): 달의 여신
- 패이케(Päike): 태양의 여신
- 칼레비포에그(Kalevipoeg): 서사시의 주인공이자 영웅
- 린다(Linda): 칼레비포에그의 어머니
- 히드(Hiid): 거인
- 할디아스(Haldjas): 엘프, 요정, 정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