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군사력
병력과 화력 등의 물리적인 투사력, 첩보전 등의 정보적인 능력, 군수지원의 유지가 가능한 경제력, 외교력을 종합한 총체적인 전쟁수행 능력을 말한다. 한자로 軍事力으로 적는다.2. 국방비 순위
3. Global Firepower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obal Firepower#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lobal Firepower#|]][[Global Firepower#|]]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국가별 군사력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5. 병력별 순위
순전히 병력 숫자로만 매겨진 순위.순위[1] | ||||
순위 | 국가 | 상비군 | 예비군 | 합계 |
1 | 미국 | 2,260,000 명 | 8,000,000 명 | 10,260,000 명 |
2 | 러시아 | 1,370,650 명 | 1,458,500 명 | 2,829,150 명 |
3 | 중국 | 1,362,500 명 | 1,747,000 명 | 3,109,500 명 |
4 | 인도 | 1,280,000 명 | 7,540,000 명 | 8,820,000 명 |
5 | 한국 | 1,013,628 명 | 8,200,000 명 | 9,213,628 명 |
6 | 영국 | 637,000 명 | 3,200,000 명 | 3,837,000 명 |
7 | 프랑스 | 627,500 명 | 5,155,000 명 | 5,782,500 명(+약 5,000,000명[2]) |
8 | 일본 | 534,000 명 | 650,000 명 | 1,184,000 명 |
9 | 튀르키예 | 520,000 명 | 290,000 명 | 810,000 명 |
10 | 이탈리아 | 454,250 명 | 479,000 명 | 933,250 명 |
11 | 브라질 | 448,500 명 | 448,500 명 | |
12 | 파키스탄 | 435,750 명 | 400,000 명 | 835,750 명 |
13 | 인도네시아 | 406,600 명 | 406,600 명 | |
14 | 독일 | 382,850 명 | 429,000 명 | 811,850 명 |
15 | 이스라엘 | 369,100 명 | 369,100 명 | |
16 | 이란 | 335,425 명 | 245,000 명 | 580,425 명 |
17 | 스페인 | 334,500 명 | 1,340,000 명 | 2,043,600 명 |
18 | 오스트레일리아 | 273,575 명 | 273,575 명 | |
19 | 이집트 | 257,500 명 | 1,675,000 명 | 1,932,500 명 |
20 | 우크라이나 | 248,575 명 | 248,575 명 |
6. 군별 군사력
6.1. 육군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력#|]][[육군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1.1. 국가별 전차 보유 수량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력/기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육군력/기갑#|]][[육군력/기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해군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군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군력#|]][[해군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3. 항공우주력 = 공군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항공우주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항공우주력#|]][[항공우주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지역별 군사력
7.1. 아시아 군대
7.2. 유럽연합 회원국 군대
8. 국가 vs 국가: 군사력 비교
VS놀이 | 가상 군사 대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국군 |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 북한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미국 |
조선인민군 | [[대한민국 국군 vs 조선인민군| 한국 일본 중국 미국 | |
미군 | [[한국군 vs 미군|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러시아 세계연합군 소련 | |
자위대 | [[한국군 vs 자위대| 한국 북한 중국 러시아 미국 소련 | |
러시아군 | [[한국군 vs 러시아군|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우크라이나 NATO 폴란드 | |
'''[[소련군| 소련군]]''' | [[소련군 vs 자위대| 일본 미국 | |
'''[[중국인민해방군| 인민해방군]]''' | [[한국군 vs 중국군| 한국 북한 대만 일본 인도 러시아 미국 베트남 Quad | |
대만군 | [[한국군 vs 대만군| 한국 중국 | |
이란군 | [[사우디아라비아군 vs 이란군| 사우디 이스라엘 | |
다자간 |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 |
기타 | 영국군 vs 프랑스군 | 인도군 vs 파키스탄군 | 독일군 vs 폴란드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