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권 이름에 대한 내용은 자스민 문서
, 이슬람권 이름에 대한 내용은 야스민 문서
참고하십시오.🌻 꽃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 <colbgcolor=#00a495><colcolor=#fff>ㄱ | 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
ㄴ |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 |
ㄷ |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 |
ㄹ |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셔스 | |
ㅁ |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 |
ㅂ |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블루벨 | |
ㅅ |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계꽃 · 시클라멘 | |
ㅇ |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 |
ㅈ |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 |
ㅊ |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 |
ㅋ |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칼라 · 코스모스 · 크로커스 | |
ㅌ | 투구꽃 · 튤립 | |
ㅍ |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 |
ㅎ |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 }}}}}}}}} |
🌿 허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라벤더 | 박하 (민트) | 로즈마리 | 캐모마일 | 재스민 |
딜 | 레몬밤 | 타임 | 월계수 | 제라늄 | |
바질 | 오레가노 | 고수 (코리앤더) | 세이보리 | 세이지 | |
파슬리 | 레몬그라스 | 개박하 (캣닙) | 스테비아 | 로켓 (루꼴라) | |
카피르라임 | |||||
그 외 허브 | |||||
참고사항: 허브차 | }}}}}}}}} |
영어: Jasmine
일본어: ソケイ
아랍어: يسمين (yasmīn)
중국어: 素方花
페르시아어: یاسمین (yâsamin)
1. 개요
쌍떡잎식물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의 상록성 목본성 덩굴식물. 학명은 Jasminum officinale L. 이며, 속명의 Jasminum은 '신의 선물'이라는 의미를 지닌 페르시아어 이름 'یاسمین' 에서 비롯된 것이다. 코카서스산맥에서부터 이란과 인도 북부를 거쳐 중국 서부에 걸친 지역이 원산이다. 한자로는 소형(素馨), 소방(素方) 등으로 불린다.2. 재배 및 활용
줄기는 가늘고 길며 6 m 정도 자란다. 잎은 우상엽으로 소엽(小葉)이 도란상 피침형으로 5~7개가 붙으며 광택이 있고 진한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엽액(葉腋)에서 꽃대가 나와 6~9개가 달린다. 향기가 좋으며[1] 주로 방향제, 향수 등의 원료로 쓰인다.차의 향을 내는 데 쓰이기도 하나, 보통 이 종보다는 동속의 종인 Jasminum sambac (L.) Aiton, 즉 말리화(茉莉花: Mo Li Hua)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중국 요리집에서 흔히 생수 대신 제공하곤 하는 재스민차는 찻잎과 꽃잎을 적당 비율로 섞어 향을 내도록 만든 것이다.
열매를 식용하는 종류도 있다.
생리통, 우울증, 편두통 등에 효능이 있다. 최음 효과 및 항균 효과도 있다. 불면증에도 어느 정도 효과가 있어 Cytus의 수록곡인 Sleepless Jasmine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3. 기타
튀니지의 국화(國花)인데, 2011년 아랍의 봄의 별칭이 재스민 혁명이었던 것도, 첫 발생지가 튀니지였기 때문이다.[1] 향이 깊고 진하며 달콤한 편이다. 재스민 향은 향수에서 화이트 플로럴 계열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