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랭이꽃 Rainbow pink (China pink) | ||
학명: Dianthus chinensis | ||
분류 | ||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쌍떡잎식물군(Eudicots) | ||
목 | 석죽목(Caryophyllales) | |
과 | 석죽과(Caryophyllaceae) | |
속 | 패랭이꽃속(Dianthus) | |
종 | 패랭이꽃(D. chinensis) |
[clearfix]
1. 개요
동북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석죽과 패랭이꽃속의 여러해살이풀.2. 명칭
패랭이꽃속(Dianthus)에 속하는 식물들을 대충 묶어 패랭이꽃이라고 하기도 하나 우리나라에서 좁은 의미로 패랭이꽃이라고 할 때는 Dianthus chinensis을 가리킨다. 영어로는 Rainbow pink 또는 China pink라고 한다. 국내 자생식물 중에서도 패랭이꽃속이 열 종쯤 존재한다. 카네이션도 패랭이꽃속이라 알고 보면 모양이 비슷한 데가 있다.학명의 Dianthus는 그리스어로 신을 뜻하는 Dio에 꽃을 뜻하는 Anthos의 합성어다. 현대 한국어의 패랭이꽃은 옛날 사람들이 쓰고 다니던 갓의 일종인 패랭이에서 따왔다.
석죽화(石竹花)[1]·대란(大蘭)·산구맥(山瞿麥)이라고도 한다. 꽃의 모양이 옛날 민초들이 쓰던 모자인 패랭이를 닮아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으며, 문학작품에서도 소시민을 패랭이꽃에 비유한다.
이 패랭이꽃의 한자명인 석죽(石竹)은 말 그대로 '바위에 자라는 대나무' 인데, 이 이름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옛날 힘이 센 장사가 있었다. 그는 인근 마을에 밤마다 사람들을 괴롭히는 석령(石靈)이 있다는 말을 듣고 산으로 올라갔다. 그는 화살을 겨누어 그 돌을 향해 힘껏 쏘았는데 너무나 세게 쏘아 화살이 바위에 깊숙이 박혀서 빠지지가 않았다. 그 후, 그 돌에서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고운 꽃이 피었는데 사람들은 바위에서 핀 대나무를 닮은 꽃이라 하여 석죽(石竹)이라 불렀다. 우리나라에서도 옛날에 서민들이 쓰던 패랭이 모자를 닮았다고 하여 패랭이꽃으로 불렀다.
[네이버 지식백과] 패랭이꽃 (야생화도감(봄), 2010.4.10, 푸른행복)
이외에 문화콘텐츠닷컴[2]에서도 패랭이꽃에 얽힌 전설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패랭이꽃 (야생화도감(봄), 2010.4.10, 푸른행복)
고려 중기의 문인이자 연일 정씨의 시조인 정습명(鄭襲明)이 석죽화(石竹花)라는 제목을 짓고 시를 읊었는데, 고려 예종이 이를 듣고 깊게 감탄하여 한림원에 제수시켰다고 한다. 이 시는 동문선(東文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소위 '요조숙녀' 내지 '현모양처'형의 여성을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하여 나데시코(카와라문인이자 연일 정씨의 시조인 정습명(鄭襲明)이 석죽화(石竹花)라는 제목을 짓고 시를 읊었는데, 고려 예종이 이를 듣고 깊게 감탄하여 한림원에 제수시켰다고 한다. 이 시는 동문선(東文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소위 '요조숙녀' 내지 '현모양처'형의 여성을 야마토 나데시코라고 하여 나데시코(정확히는 카와라나데시코에 한정)에 비유한다.
3. 생태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냇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빽빽이 모여나며 높이 30cm 내외로서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 나고 밑부분에서 합쳐져서 원줄기를 둘러싸며 줄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8월에 피며 윗부분에서 약간의 가지가 갈라지고 그 끝에서 꽃이 1개씩 핀다. 꽃잎은 5개이고 열매는 삭과로 끝에서 4개로 갈라진다. 꽃과 열매가 달린 전체를 그늘에서 말려 약용한다. 한약재로서의 이름은 석죽, 또는 구맥이다.조금만 잘 관리해도 10년은 넘게 산다.[3]
패랭이꽃속 꽃들은 꽃받침 부분이 질기고 튼튼한 편인데, 호박벌이나 풍뎅이 등이 얌체처럼 구멍을 내서 꽂가루를 뭍히지 않은 채로 꿀을 훔쳐먹지 못 하도록 한 것이다.
산허리, 바위 틈과 같이 메마르고 척박한 곳에서도 싹을 틔우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 한민족에게 사랑을 듬뿍 받아온 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