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10:02:18

동문선

1. 서적
1.1. 서거정의 동문선
1.1.1. 개요1.1.2. 외부 링크
1.2. 신용개, 김전, 남곤의 속동문선
1.2.1. 개요1.2.2. 외부 링크
1.3. 송상기의 신찬동문선
1.3.1. 개요1.3.2. 외부 링크
2. 출판사
2.1. 특징
2.1.1. 작명2.1.2. 인문서2.1.3. 번역
2.2. 기타

1. 서적

東文選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역대 시문선집으로, 총 세 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1.1. 서거정의 동문선

1.1.1. 개요

이것은 우리 동방의 문장이다. 한나라당나라의 문장이 아니며 또한 송나라원나라의 문장이 아니라, 바로 우리 나라의 문장이다. 당연히 역대의 문장과 더불어 천지 사이에 나란히 유행해야 한다. 어찌 민멸(泯滅)되어 전해지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서거정이 쓴 동문선의 서문.

동국통감, 동인시화, 필원잡기, 태평한화골계전, 오행총괄, 사가집, 경국대전 서문 등을 편찬한 서거정성종 9년(1478)에 성종의 명을 받아 우리나라 역대 인물들의 시문들과 산문들을 모아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133권 45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었다.

제목은 당연히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의 소명태자가 편찬한 문선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신라의 김인문, 설총, 최치원, 김부식, 이규보신라 시대의 인물들부터 시작하여 조선 초기까지 우리나라 역대 문인 500인의 작품 총 4302편을 수록했다.

동문선의 주요 특징은 작품을 선정할 때 그 내용이 편찬자의 관점, 즉 조선시대 유학자 기준으로 보았을 때 문제점이 있어도 딱히 검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선 유학자가 보면 배은망덕한 간신최충헌 부자를 미화하고 찬양한 고려 당대의 시문이나, 성종 당대까지만 해도 단종복위운동으로 역적 취급이었던 성삼문조선 태조 찬양문, 숭유억불적 사상에 크게 문제가 되는 원효(元曉)의 불서 서문 등 기타 승려 29인의 작품 82편 등이 동문선에는 그대로 수록되었다. 얼핏 당연한 것 같아도, 조선 이전 기록을 인용할 때 조선 유학자의 가치관 기준으로 살짝살짝 고치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고려사 지리지는 삼국유사의 내용을 가져오되 가야의 '가' 자를 불교 냄새가 나는 절 가(伽)에서 더할 가(加)로 바꾸어 옮겼다. 또한 성종 때까지도 완전하게 신원되지 못한 정도전의 작품도 실렸다.

구성은 크게 권1∼3까지가 사(辭)와 부(賦), 권4와 5는 오언고시, 권6에서 8은 칠언고시, 권9에서 10은 오언율시, 권11은 오언배율, 권12에서 17은 칠언율시, 권18은 칠언배율, 권19에서 22는 오언, 칠언, 육언절구, 권23에서 30은 조칙(詔勅)과 교서(敎書), 제고(制誥), 책문(冊文), 비답(批答), 권31에서 45는 표전과 비답, 권46에서 48은 계(啓)와 장(狀), 권49에서 51은 노포(露布), 격서(檄書), 잠(箴), 명(銘), 송(頌), 찬(贊)이다.

이후 권52에서 56은 주의(奏議)와 차자(箚子), 기타 잡문, 권57부터 63까지는 서독(書牘), 권64부터 95까지는 기(記)와 서(序), 권96에서 98까지는 설(說), 권99는 논(論), 권100과 101은 전(傳), 권102와 103은 발(跋), 권104는 치어(致語), 권105는 변(辯), 대(對), 지(志), 원(原), 권106은 첩(牒)과 의(議), 권107은 잡저, 권108은 책제(策題)와 상량문, 권109에서 113까지는 제문과 축문, 소문(疏文), 권114는 도량문(道場文)과 재사(齋詞), 권115는 청사(靑詞), 권116부터 121까지는 애사(哀詞), 뇌(誄), 행장, 비명(碑銘), 권122에서 130까지는 묘지(墓誌)이다.

삼국 시대부터 조선 초까지 한국 역대 위인들의 방대한 주요 작품들을 최대한 원형을 보존한 모습으로 현재까지 물려주었다는 점에서 당연히 매우 가치가 높고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는다. 예컨대 《삼국사기》의 표문인 진삼국사기표의 내용도 삼국사기에는 없고 오직 동문선에만 전해진다. 서거정이 동문선에 이 표문을 싣지 않았다면 현존하는 한국 최고의 역사서인 《삼국사기》는 표문조차 전해지지 않는 책이 되었을 것이다.

2003년에 열린 도전 골든벨 울산 무룡고등학교 편에서 골든벨 문제로 출제되었다.

파일:국역 동문선.jpg

한국에서는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번역하였는데, 그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1.1.2. 외부 링크

1.2. 신용개, 김전, 남곤의 속동문선

1.2.1. 개요

조선 중종 13년(1518)에 신용개(申用漑, 1463~1519), 김전(金詮, 1458~1523), 남곤(南袞, 1471~1527) 등이 서거정이 지은 동문선의 뒤를 잇는다는 취지에서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23권 11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었다.

성종대부터 중종 연간까지의 중요한 문학작품들을 분류, 수록한 것으로 문체 종류는 37종, 작품 수는 1281편이다.

속동문선이 편찬되던 당시는 사림 계열이 정계에 진출한 시기로,서거정의 동문선과 구분되는 특징은 내용면에서 기존 동문선이 신라, 고구려 때의 불교와 관련된 문헌이 풍부하게 실린 데 반해, 속동문선은 완전히 유교문화 중심 체제의 작품만을 수록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 동문선에는 큰 문제 없이 실려 있던 중국에 보내는 표문(表文)들이 속동문선에서는 모두 제외되었데, 이는 사림 진출 초기 이들의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편찬의식을 살펴볼 수 있으면서, 또한 속동문선은 기존 동문선과 달리 상당한 취사선택과 검열이 있었음도 알 수 있다.

1.2.2. 외부 링크

1.3. 송상기의 신찬동문선

1.3.1. 개요

조선 숙종 39년(1713)에 송상기(宋相琦, 1657 ~ 1723) 등이 동문선, 속동문선의 뒤를 이어 편찬한 국가 시문집. 총 35권 15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었.

당시 중국 청나라에서 조선에 고문연감(古文淵鑑)[1], 패문운부(佩文韻府)[2] 등 주요 중국 책 300여 권을 선물로 보내면서 양국의 우애로서 조선의 작품들 또한 보내달라 청함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당시 조선 왕실에서 북경에 보내기 위해 편찬한 시문집이다.

당시 국내에 반청의식이 매우 강하여 대부분 조선 작품들이 반청사상을 강하게 내포했기 때문에 청나라의 심기에 거슬리지 않는 문장들을 뽑느라 크게 고생했다는 일화가 있다.

청나라의 요구로 만든 것이었기 때문에 청나라에 보따리 싸 보낸 후 우리나라에서는 신경 끄고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래서 중국에서의 유명세와는 달리 정작 국내에서는 언급이 거의 없고 알려지지도 않았던 책이다.

1.3.2. 외부 링크

2. 출판사

도서출판 동문선
대표자 신성대
업종명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업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40
외부링크 홈페이지 / 공식 블로그

1984년 신성대 대표가 설립한 출판사. 확하게는 신문광고를 내 민속학자 심우성 선생의 '서낭당' 출판사 등록증을 사들여 개명하였다고 한다. 위 서거정의 동문선과는 관계가 없는 듯 관계가 있다. (후술된 작명 관련 서술 참조)

2.1. 특징

2.1.1. 작명

처음 신 대표는 '글을 가려 뽑는다.’는 의미에서 출판사의 이름을 ‘문선(文選)’이라고 지을 생각이었는데, 중국에 같은 제목의 책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우리나라’를 의미하는 ‘동(東)’자를 하나 덧붙여 이름을 지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 '도서출판 동문선 대표'라며 소개하자 많이 들어본 출판사라며 반겼다고 한다. '신생출판사인데 어떻게 들어 봤다는거지?'라며 궁금해한 대표는 나중에서야 위의 동문선이 존재한다는걸 알게 되었고 부끄러움을 느끼며 이름에 걸맞은 출판사가 되겠다고 결심하였다고 한다.#

2.1.2. 인문서

출판사의 대표적인 시리즈 작품으론 문예신서현대신서 시리즈들이 있다. 위 결심의 산물로 출간하고 있는 시리즈로 인문학도, 철학과생이라면 몇 번 책장을 뒤적여 봤을 법한 책들을 내고 있다. 롤랑 바르트,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등 프랑스 현대철학 서적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90년대 중반 대한민국에서 처음 저작권법이 적용됐던 시기, 가장 먼저 주요한 현대 프랑스 철학 서적들을 빠르게 독점해서 출간했다.

대한민국 출판 실정에서 돈이 안되는 인문서를 다량 냈기 때문에 고마운 출판사라는 평도 있지만, 학계의 대체적인 평은 계약을 빠르게 독점해서 이득을 본 것에 불과하다는 평도 있다. 아무리 인문서가 돈이 안 된다고 하지만, 동문선이 계약했던 책들은 해당 이론가들의 핵심저서이기 때문에 주요 도서관에는 반드시 비치되어야 하는 책들이었다. 주요 도서관, 대학, 연구자들이 구입할 경우 당시 기준으로 최소 1천 부 이상 고정적으로 판매할 수 있고, 해당 이론가 붐이 일 경우 2천 부 이상 판매가 가능했다. 이 경우 저작권 계약+번역료+출판사 내부 비용을 제해도 상당히 남는 장사가 됐던 것. 애초에 연구자들 입장에서도 동문선이 이미 한국 판권계약을 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계약해서 냈던 경우가 허다했다는 말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동문선이 해당 사상들에 대한 관심이나 이해가 전무했고, 번역에 대해 편집자가 교정, 교열을 정상적으로 할 역량도 없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상당수 동문선 출간 서적들이 심각한 오역으로 점철되었다. 초간임을 감안해도 몇몇 출간물의 경우 한국어로 독해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혹평까지 있다. 여기에 터무니없이 적었던 번역료도 문제가 많았다는 의견이 다수이다.

동문선의 이러한 행태에 대해 저작권 기간이 지나면 새로 출간이 가능하다고 반박하는 의견도 있지만, 열악한 한국 출판시장에서 이미 출간된 책을 새로운 판본으로 다시 구입하는 경우는 몇몇 유명한 극소수의 저서들을 제외하면 드물다. 특히 도서관의 경우 거의 새 판본을 추가로 구입하는 경우가 없다시피 하고, 출판시장이 90년대말~2000년대 말보다도 줄어들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동문선에서 나왔던 책들을 다른 출판사에서 재계약해서 번역하고 출간하는 일은 극히 드물다.

다만 동문선이 특정사상에 대한 관심 없이 무분별하게 저작권 계약을 해두었기에, 오히려 당시 한국의 출판업계와 학계에서는 주목하지 않았던 학자들의 서적들까지 소수의 해당 전공자들을 통해 빠르게 한국에 번역되면서 소개될 수 있었다는 아이러니도 존재한다.

2.1.3. 번역

연구자들이 번역한 것을 특별한 교정교열 없이 그대로 낸 수준이다. 번역능력이 있는 것과 번역가 일을 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인문서가 아닌 문학을 주로 다루는 민음사나 문학동네 같은 출판사들의 문학 번역서들도 전문 번역가의 손을 거치지 않고 교수 등의 연구자가 바로 번역해서 낸 경우에는 번역 퀄리티가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다. ○○ 저자의 전문가인 것과, 외국인인 ○○ 저자의 글을 한국어로 제대로 옮기는 것은 전혀 다른 평가영역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번역의 질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외국어 어순을 차례로 훑어가듯 그대로 번역을 하는 경우가 많고 해당 저자들 또한 정확한 설명을 위해 복잡한 문장을 구사하다보니, 비문에 가까운 번역 문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특유의 문장이 동문서 출간 인문서 전반적으로 이어져 본의 아니게 특징이 되었다. 심한 경우에는 번역 자체에만 의의를 두었다 싶은 번역서도 있다. 실제로 어려운 내용과 개념을 다루는 책들이 많다보니 뒤섞여서 번역의 질에 대해서는 평가가 좋지 않다.

2.2. 기타

  • 대표는 우파에 가까우나 번역서 대부분이 좌파이나 극좌의 사상가들도 다루는 것이 특징이라는 평가도 있다. 심도 깊은 현대 우파 사상가들의 책은 거의 내지 않는다는 불평도 있는데, 이에 대해 유명세와 무관하게 좌파 성향의 학자들의 판권료가 훨씬 싸고 우파 학자들의 판권료가 훨씬 비싸다는 변명도 잇지만 사실이 아니다. 판권료는 원저의 해외판권 계약권리를 가진 출판사와 저자의 상황에 따라 정해질 뿐이다. 이 해석대로라면 우파 학자들은 책을 잘 출간하지 않아 경쟁자가 적어 판권료를 낮출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당연히 그렇지는 않다.
    반대로 이념과 관계 없이, 베른 조약으로 저작권법이 바뀌던 시기에, 국제기준을 적용받기 때문에 해적판은 통하지 않는 시대가 열린 것인데 이때 팔릴 것 같은 책들 중 판권료이 싼 책들을 덮어두고 다 싹쓸이 계약을 했는데, '그냥 어쩌다' 계약하고 보니 좌파 철학자들 책이어서 좌파 철학자들 책을 내고 있을 뿐이라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실제로는 가능하지 않은 해석이다. '저작권이 바뀌었다'는 시기 즉 베른 조약에 가입해 국제기준에 따라 해적판을 몰아내야 할 상황이 된 것은 1996년인데, 그때부터 계약을 한 책들을 그대로 낸다는 전제하에 나온 상상이다. 절판을 출판사가 일부러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일례처럼, 기본적으로 출판 시스템에 대한 이해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저작권이 말소된 저서가 아닌 이상 외국 저서의 번역서의 출간 계약은 영원한 것이 아니라 기간이 반드시 정해지며 암묵적으로 혹은 명시적으로 계약 연장을 할 뿐이다.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설령 사후 기간이 50년, 70년 지난 외국 저자라고 하더라도, 외국의 출판사가 이후 복원을 하거나 손을 본 판본이 최신 판본이라면 저작권은 말소되지 않고 살아있어 계약을 따로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만약 1996년 당시 저작권이 만료되어 계약을 따로 할 필요가 없었던 저서들이라면 애초에 계약을 하지 않고 (판권료를 지불할 필요도 없이) 그냥 출간해도 되기 때문에, 판권료 싸다든가 하는 해석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 십팔기보존회의 입장에 입각한 무예서도 발간하는데, 이 책들에 대한 역사왜곡은 꽤 심각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성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성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신성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강희 49년인 1710년에 강희제가 직접 선정하고 청나라 서건설(徐建興, 1631~94)등이 편찬한 책 64권.[2] 청 강희제의 칙명에 따라 장옥서(張玉書) 등 76명이 편찬한 책으로 강희 50년인 1711년에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