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11월 29일 | 전날 ←전달 | | 다음날 →다음달 | 12월 1일 |
10월 30일 | 12월 30일 |
◀ | 11월 | ▶ |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3년 기준 전체 보기 |
1. 개요
1년의 334번째(윤년의 경우 335번째) 날에 해당한다.북반구 기준 가을의 마지막 날이다.
2. 사건
- 1883년 - 한반도에 최초로 서력기원이 소개되었다.
- 1939년 - 소련이 핀란드를 침공했으며 겨울전쟁이 발발했다.
- 1946년 - 서울 YMCA에서 서북청년회가 창단되었다.
- 1950년 - 6.25 전쟁 도중 수도사단이 함경북도 부령군[1]까지 진출하면서 유엔군이 진격한 지역 중 최북단 지점까지 도달하였다. 하지만 이 때 서부전선에서는 청천강에서의 대패로 유엔군이 후퇴하면서 결국 수도사단은 두만강을 눈앞에 두고 여기서 발길을 남쪽으로 돌리게 된다.
- 1964년 - 대한민국이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했다.
- 1966년 - 바베이도스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 1968년 - 서울전차가 폐지되었다.[2]
- 1970년 - 백원 주화가 첫 발행되었다.
- 1980년 - 허문도의 뇌에서 나온 언론통폐합이 단행되면서 동양방송과 동아방송이 이날 방송을 끝으로 문을 닫았다.
- 1982년 - 마이클 잭슨의 역대 최고이자 세계 최대의 판매량을 달성한 앨범 Thriller가 발매되었다.
- 1990년 - 가수 양준일이 데뷔하였다.[3]
- 2009년
- 2011년 -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이 개통했다.
- 2014년 -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의 후계기인 하야부사 2가 H2A 로켓 26호기에 실려 발사되었다.
- 2015년 - 일본 도쿄도 이나기시의 시청 건물에서 방화 사건이 발생했다.
- 2016년
- 2018년 - 남북철도 연결 공동조사 사업으로 시운전열차가 서울역을 출발, 판문역을 거쳐 북한으로 들어갔다. 이 열차는 평양, 신의주, 그리고 두만강까지 거쳐 귀환하게 된다. 역사상 최초로 남한의 열차가 북한을 일주하는 것이다.
- 2020년 - 보이그룹 ENHYPEN이 데뷔했다.
- 2021년 - 바베이도스가 공화제으로 전환을 가졌다.
- 2022년
3. 기념일 및 절기
4. 축일
5. 생일
5.1. 실존 인물
- 1642년 - 안드레아 포초(~1709년): 이탈리아의 화가
- 1667년 - 조너선 스위프트(~1745년): 대표작 걸리버 여행기로 유명한 아일랜드의 소설가
- 1813년 - 샤를발랑탱 알캉(~1888년): 프랑스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 1817년 - 테오도르 몸젠(~1903년): 독일 제국의 역사학자 겸 문학가
- 1835년 - 마크 트웨인(~1910년): 미국의 소설가
- 1874년
- 1885년 - 마잔산(~1950년): 중화민국의 군벌
- 1906년 - 존 딕슨 카(~1977년): 미국의 추리소설 작가
- 1916년 - 최정호(~1988년): 대한민국의 1세대 한글 글꼴 디자이너
- 1923년 - 조남철(~2006년):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1924년 - 셜리 치좀(~2005년): 미국의 정치인
- 1926년
- 1928년 - 도이 다카코(~2014년): 일본의 정치인
- 1935년 - 김종호(~2018년): 한국의 정치인
- 1937년 - 리들리 스콧: 영국의 영화감독
- 1939년 - 찬드라 바하두르 당기(~2015년): Chandra Bahadur Dangi,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남자'로 기네스북에 오른 네팔인
- 1940년 - 도일규: 한국의 군인
- 1941년 - 나문희: 한국의 배우
- 1947년 - 김형오: 한국의 정치인
- 1949년 - 허참(~2022년): 한국의 MC
- 1950년 - 김범일: 대한민국의 정치인
- 1955년
- 1956년 - 이혜정: 대한민국의 요리 연구가
- 1960년
- 1964년
- 1965년
- 1967년 - 김용만: 한국의 개그맨, MC
- 1968년
- 1970년 - 후카사와 히데유키: 일본의 작곡가
- 1971년 - 하야미 라센진: 일본의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 1973년
- 1976년 - 박진만: 한국의 야구선수
- 1977년
- 1979년 - 디에고 클래튼호프: 캐나다의 배우
- 1980년 - 셰인 빅토리노: 미국의 야구선수
- 1982년
- 1984년
- 1985년 - 미야자키 아오이: 일본의 배우
- 1986년 - 육식맨: 대한민국의 유튜버
- 1987년
- 1988년 - 아오이 에일: 일본의 가수
- 1989년
- 1991년 - 유영진: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라이쿠: 일본의 배우
- 1997년 - 전경민: 대한민국의 유튜버, 뷰티풀너드의 멤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2년
5.2. 가상 인물
- 고시키다 카이토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레이나 - 킹스레이드
- 레이카 - 드림 클럽
- 마츠마에 오하나 - 꽃이 피는 첫걸음
- 미야사토 유미 - 라이크 라이프
- 미카 - 걸즈 앤 판처
- 사지타리우스 아이올로스 - 세인트 세이야
- 쇼지 카즈마 - 카드파이트!! 뱅가드 G
- 셀렌 타츠키 - 버츄얼 유튜버
- 시모 - 소녀전선: 뉴럴 클라우드
- 신 - AMNESIA
- 아시나 사요리 - 프린세스 메이커 5
- 야스다 마츠히로 - 보건실의 사신
- 엔도우 시미코 - 블루 아카이브
- 집게사장, 플랑크톤 - 네모바지 스폰지밥
- 츠카모토 텐마 - 스쿨럼블
- 카렌 클라비우스 - 새벽녘보다 유리색인
- 쿠마자키 리쿠 - 세포신곡
- 케이아 - 원신
- 텐노스 아테네 - 하야테처럼!
- 토토 - 토이캅
- 갓슈 벨, 제온 벨 - 금색의 갓슈벨
- 츠키나가 루카 - 앙상블 걸즈!!
- 히이라기 카가리 - 도사의 무녀
- 하밍 레이젠비 - 프린세스 메이커 3
- 루시 모드 몽고메리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마크 트웨인 - 문호 스트레이독스
- 빈스모크 레이주 - 원피스
- 임현지 - 좀비고등학교
- 모제스 - 뒤틀림 탐정
6. 기일
6.1. 실존 인물
- 1451년 - 이천(1376년~): 조선의 무신이자 과학자
- 1694년 - 마르첼로 말피기(1628년~): 이탈리아의 생물학자
- 1718년 - 칼 12세(1682년~): 스웨덴 제국의 왕
- 1900년 - 오스카 와일드(1854년~): 아일랜드의 극작가
- 1905년 - 민영환(1861년~): 대한제국의 문신
- 1909년 - 강윤희(1868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1933년 - 아서 커리(1875년~): 캐나다의 군인
- 1935년 - 페르난두 페소아(1888년~): 포르투갈의 시인, 작가, 철학자.
- 1948년 - 카렐 페트루(1891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전 축구 감독, 기자, 작가
- 1954년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1886년~): 독일의 지휘자, 작곡가
- 1981년 - 빌리 부슈(1907년~): 독일의 전 축구선수
- 1987년 - 아니 레본(1907년~): 카를 브란트의 아내
- 1988년 - 빈체 예뇌(1908년~): 헝가리의 전 축구 감독
- 1992년 - 로베르토 이라녜타(1915년~): 아르헨티나의 전 축구 선수
- 1993년 - 계형순(1927년~): 북한의 정치인.
- 1994년 - 루이 가브리야르게(1914년~): 프랑스의 전 축구 감독
- 2001년 - 에른스트 후프슈미트(1913년~): 스위스의 전 축구 감독
- 2008년
- 2010년 - 트위스트 김(1936년~): 한국의 배우
- 2013년
- 2015년
- 2018년 - 조지 H. W. 부시(1924년~): 미국의 제 41대 대통령
- 2019년 - 마리스 얀손스(1943년~): 리투아니아의 지휘자, 음악감독
- 2021년 - 신문수(1939년~): 대한민국의 만화가
- 2022년 - 장쩌민(1926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전 국가주석
6.2. 가상 인물
7. 기타
[1] 지금의 부령역과 부거역의 중간 지점이다.[2] 이로 인해 1974년 서울 지하철 개통 때까지 거의 6년 동안 서울의 대중교통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만 의존해야 했다.[3] 가수들의 경우 첫 방송 데뷔일을 공식 데뷔일로 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양준일의 경우 1991년 1~2월 경에 겨울 나그네로 처음 방송에 데뷔했다는 정보 외에 출연 프로그램과 날짜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알려지지 않은 관계상 1집 발매일인 1990년 11월 30일을 잠정적인 데뷔일로 지정했다. 자세한 사항은 양준일 문서 참조.[4] 장례는 12월 24일에 치뤘으나 기일은 이날이 맞다. 사망 소식을 다룬 TV 보도도 이날 저녁에 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