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9 14:35:40

원신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 게임의 원신이라는 이름의 설정에 대한 내용은 원신/설정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원신 3.4 버전 「선율이 흐르는 밤」 업데이트에 대한 내용은 원신/업데이트 문서
2.1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HoYoverse 로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게임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붕괴 시리즈
[[FlyMe2theMoon|
파일:FlyMe2theMoon아이콘.jpg
]]
[[붕괴학원|
파일:zombiegalkawaii.jpg
]]
[[붕괴학원 2|
파일:붕괴학원 구글플레이 아이콘.png
]]
[[붕괴3rd|
파일:bh3_hoyoverse.png
]]
[[붕괴: 스타레일|
파일:starrail_hoyoverse.png
]]
[[FlyMe2theMoon|
FlyMe2theMoon
]]
붕괴학원 붕괴학원 2 붕괴3rd 붕괴: 스타레일
기타
[[미해결사건부|
파일:nxx_hoyoverse.png
]]
[[원신|
파일:ys_hoyoverse.png
]]
[[젠레스 존 제로|
파일:ae5edd53f6b8589bd3c69df12ac17a4b_7031236309072566160.png
]]
미해결사건부 원신 젠레스 존 제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서비스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HOYO-MiX|
파일:ab6761610000e5eb9e83221b244b3ec23d8faa58.jpg
]]
파일:1596874356299427.jpg
파일:HoYoLAB 로고.jpg
[[N0va Desktop|
파일:----.png
]]
HOYO-MiX 米游社 HoYoLAB N0va Desktop
}}}}}}}}} ||

파일:원신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스토리
콘텐츠
시스템
아이템
기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4e6a,#010101> 파일:ys_hoyoverse.png원신
原神
Genshin Impact
}}}
파일:원신_여행자표지.png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개발
파일:HoYoverse 로고.png

유통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miHoYo 로고.svg[1]
파일:세계 지도.svg COGNOSPHERE PTE. LTD.[2]
플랫폼 파일:iOS 로고.svg | 파일:iPadOS 로고.svg |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 | 파일:Windows 로고.svg |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3] | 파일:PlayStation 5 로고.svg[4] |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출시예정] | 파일:logo-geforce-now-badge.png[6]
ESD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로고.svg | 파일:Galaxy Store 아이콘.pn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 |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7] | 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출시예정]
장르 3인칭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판타지
출시 모바일·PC
파일:중국 국기.svg 2020년 9월 28일[9]
파일:세계 지도.svg 2020년 9월 28일
콘솔
파일:PlayStation 아이콘.svg 2021년 4월 28일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세로형.svg 미정
클라우드
파일:logo-geforce-now-badge.png 2022년 6월 24일[10]
가격 무료(인앱결제 별도)
엔진
파일:유니티 로고.svg | 파일:Wwise_Vertical.png[11]
언어 자막[12] | 음성[13]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14]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 만 12세 이상 (App Store)
해외 등급 파일:ESRB Teen.svg ESRB Teen (13세 이상)
파일:PEGI 12.svg PEGI 12 (12세 이상)
관련 사이트 다운로드: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Galaxy Store 아이콘.png | 파일:Windows 아이콘.svg[15]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에픽게임즈 스토어 로고.svg[16]
공식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HoYoLAB 로고.jp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원신·티바트편|메인 스토리 챕터 PV-「발자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버전별 PV 영상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1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2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3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4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5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1.6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2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3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4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5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6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7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8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0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1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2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3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wiki style="margin:0px; min-width: 80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4 PV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2d2f34>
}}}}}}}}}
}}}
}}}}}}}}} ||

HoYoverse에서 제작한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게임. 불, 물, 얼음, 바람, 번개, 바위, 풀 등 7가지의 원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티바트 대륙을 포함한 원신 세계의 다양한 국가 및 지역을 여행하는 게임이다.

2. 출시 전 정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출시 전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시놉시스

7가지 원소가 살아 숨 쉬는 판타지 세계 티바트.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신령에 대한 신앙을 통해 원소의 힘을 부여받아 황야를 개척하고 나라를 건설했다.
500년 전, 오래된 나라가 멸망 후 천지가 개벽하고...
대륙을 휩쓸던 재난이 멈췄지만, 사람들이 고대하던 평화는 오지 않았다.
공식 홈페이지 정보

4. 국내 서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한국 서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서버

5.1. 중국 서버

중국의 플랫폼인 탭탭을 통해 서비스되는 중국 서버. 여기도 더빙을 포함한 한국어를 지원한다.

5.2. 글로벌 서버

탭탭과 별도로 운영되는 글로벌 서버. 북미, 유럽, 아시아, 대만·홍콩·마카오 서버로 나뉜다.

일일 시작 시간은 각 서버시간으로 새벽 04시다. 글로벌 서버의 각 서버는 아래와 같은 시간대[17]를 사용한다.
<rowcolor=#ffffff,#dddddd> 서버 시간대
America UTC-5
Asia UTC+8
Europe UTC+1
TW, HK, MO UTC+8
  • 한국(UTC+9)에서 아시아 서버 및 대만, 홍콩, 마카오 서버(UTC+8)로 플레이하는 경우 매일 05시(4시+1시간)에 익일로 넘어간다.[A]
  • 한국(UTC+9)에서 아메리카 서버(UTC-5)로 플레이하는 경우 매일 18시(4시+14시간)에 익일로 넘어간다.[A]
  • 한국(UTC+9)에서 유럽 서버(UTC+1)로 플레이하는 경우 매일 12시(4시+8시간)에 익일로 넘어간다.[A]

6. 요구 사양

6.1. iOS / iPadOS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운영체제 iOS 9 iOS 12이상
iPadOS 13이상
프로세서 A11 A13, A10X 이상
RAM 3GB 4GB
기종 iPhone 8 Plus, iPhone X iPhone 11 이상
용량 및 저장 공간 17.6GB[기준]
  • 최소한 A10 Fusion 이상, RAM 3GB 이상이 앱 크래시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마지노선이다. 실행이 가능한 AP인 A9, A10 Fusion 이상 탑재 기기라도 RAM 2GB 기기는 RAM 용량이 부족해서 간헐적으로 게임이 튕겨버리기 때문에 불편하다. 특히 초기 출시지역인 몬드/리월 외의 지역은 부하가 높은지 2GB 기기의 경우 거의 5분 단위로 튕겨버려 플레이가 매우 불편하다고 한다. 3GB 기기도 빈도는 낮지만 역시 가끔씩 튕김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 대부분의 게임은 일관적인 그래픽 옵션을 만들고 이를 모든 구동기기에 적용하지만 원신은 모바일 버전의 경우 파편화를 고려해서 그래픽을 세분화시켜 각 기기에 맞춘 품질을 제공한다. 문제는 실제 그래픽 품질은 다르지만, 설정상에서의 명칭은 동일하기 때문에 혼동이 발생하기 쉬워 객관적인 기기별 성능 비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 예를 들어, Apple M1을 탑재한 iPad Pro는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낮아 최적화 문제라는 주장이 있어왔으나 이는 미호요가 M1의 성능에 걸맞는 네이티브 해상도 렌더링을 적용했기 때문에 사양이 높아진 것이 원인이다. 그렇기에 프레임으로만 성능을 비교하는 것보다는 해상도, 그래픽 등 다른 수치도 함께 비교하는게 좀 더 객관적이다.
  • 기기별 성능
    • A12X Bionic, A12Z Bionic을 탑재한 11형 iPad Pro 1세대, 2세대나 12.9형 iPad Pro 3세대, 4세대의 경우에는 60 fps 옵션에서도 여타 그래픽 옵션을 낮추면 부하 레벨이 중간 정도로 나오며 화면 밝기가 중간 정도라면 발열이 좀 심하지만 프레임은 그럭저럭 안정적이다.
    • A13 Bionic을 탑재한 iPhone 11 시리즈 같은 기기 역시 위의 A12X, A12Z와 비슷한 구동성능을 보여준다.
    • A15 Bionic을 탑재한 iPad mini 6 역시 프레임 드랍 없이 최초로 풀옵 60fps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가 있으나 해상도 대응 패치 이후엔 역시 쓰로틀링이 발생했다.[22]
    • Apple M1을 탑재한 11형 iPad Pro 3세대, 12.9형 iPad Pro 5세대는 높은 AP성능으로 기대를 받았으나, 미호요에서 대응 해상도 패치를 한 이후에는 사양이 증가하게 되어 다른 기기와 마찬가지로 풀옵 60fps는 높은 부하로 발열과 쓰로틀링이 발생함이 확인되었다.[23] iPad Air(5세대)는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A15 Bionic이 아닌 Apple M1을 탑재하였는데, 프로보다 늦게 나온 만큼 발열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결과는 발열 관리가 프로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 A16 Bionic이 탑재된 iPhone 14 ProiPhone 14 Pro MaxA15 Bionic과 비교했을 때 CPU 성능은 확실이 개선되었지만 GPU 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벤치마크 결과가 나오면서 우려가 있었으나 전성비가 개선되고 메모리 대역폭이 50% 증가한 덕분인지 같은 실행 조건에서 훨씬 더 안정적으로 풀옵 60fps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Apple M2가 탑재된 iPad Pro에서 실험된 결과, 30도 후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풀옵 90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24]
  • 2.2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11형 iPad Pro 3세대, 12.9형 iPad Pro 5세대 에서 120fps를 지원하게 되었다. 120Hz 구동 테스트 결과 iPhone 13 Pro 시리즈는 120fps를 거의 유지하지 못해 대부분 60fps로 구동되고# 11형 iPad Pro 3세대는 초반 4분까지 100fps를 유지했으나 곧 60fps로 떨어졌다.#
  • 권장사양 이상의 AP를 탑재한 기기라면 저전력 모드를 켜고 플레이하는 것이 추천된다. 프레임이 딱히 하락하지도 않으면서 발열과 배터리 소모는 체감될 정도로 줄어든다. 다만 AP 클럭이 제한되기 때문에 그래픽 옵션을 높게 설정했을 경우 강제적으로 프레임이 떨어지므로 60fps 옵션에서는 버벅거림이 확연하게 느껴진다. 30fps 옵션으로 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저전력 모드를 켜도 프레임 저하가 느껴지지 않으므로 권장한다.
  • macOS에서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아 GeForce NOW를 통해서 게임플레이가 가능하다. Apple Silicon이 탑재된 Mac 컴퓨터[25]라면 원신 IPA 파일을 우회설치하는 방법으로도 플레이가 가능하나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다.#
  • iOS/iPadOS 14 이상 기기의 경우 게임패드를 지원한다. 공지사항이나 설문조사를 제외한 인게임 환경에서 모든 조작이 패드에 대응한다. 연결된 상태에서는 터치스크린이 패드를 지원하지 않는 화면을 제외하면 먹히지 않으므로 이 상태를 해제하려면 설정에서 조작을 컨트롤러에서 터치스크린으로 변경하거나 게임을 완전히 종료한 다음 다시 시작해야한다.
  • iCloud 백업 사용시 원신의 다운로드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백업에 포함되며 이 때문에 iCloud 백업이 돌아갈 때 17GB 상당의 데이터가 전부 백업 대상에 포함된다. 이로 인해 iCloud 스토리지를 전부 써버려 기기 백업 또는 사진 보관함, 그리고 iCloud Drive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iCloud 백업 옵션에서 원신은 제외하는 것을 권장한다.

6.2. Android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7 이상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21
엑시노스 8890
Kirin 960 이상
스냅드래곤 845
엑시노스 9810[26]
Kirin 810 이상
RAM 3GB[27] 4GB[28]
기종 갤럭시 S7 이상[29] 갤럭시 S10, 갤럭시 노트9
(8GB/512GB) 이상
용량 및 저장 공간 19.63GB[기준]
  • 안드로이드는 원신을 고사양으로 플레이하기에는 적합한 환경이라고 보기 어려운 편이다. 긱벤치 5 기준으로 멀티 코어 점수가 1000점 이상 넘으면 그래픽 설정 '매우 낮음'으로 간신히 돌리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저사양 기기들의 경우 24fps 방어도 하지 못해서 일퀘 도는 것도 어렵다. 최소 사양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마지노선의 예시로는 갤럭시 S7이나 A50, LG V30 정도다. 또한 엑시노스 9611이 탑재된 기기로 플레이할 시 프레임이 24~30fps 정도 나온다. 그래도 엄청 지장이 갈 정도로 심하게 렉이 걸리는 것은 아니므로 앞서 언급한 이러한 폰들이 정상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옵션이라 봐도 무방하다.[31]
  • 원신 같은 3D 게임의 경우 GPU가 더욱 중요하다. 같은 성능의 CPU를 가진 AP라도 GPU 성능이 다른 경우가 많아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오픈월드 게임이라 RAM을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최소 사양인 3GB RAM을 탑재한 기기의 경우에는 간혹 튕김 현상이 발생한다.
  • RAM 3~4GB를 탑재한 기기 중에서 기본적으로 사용 중인 RAM 용량이 큰 시스템의 경우 그래픽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 원신이 지원하는 플랫폼 중에서 안드로이드는 인게임 그래픽 품질이 가장 낮다.[32] 게임 플러그인 등으로 그래픽을 끌어올려도 퀄리티가 그리 높지 않다.
  • 이와 같은 그래픽 문제로 인해 기기 변경을 고려한다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선택하는 것이 추천된다. 위의 iOS / iPadOS 항목에도 적혀있지만 원신은 안드로이드 기종보다 아이폰 기종에 전체적으로 그래픽이 최적화가 더 잘 되어있기 때문.
  • 안드로이드 환경은 게임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33]

6.3. Microsoft Windows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bgcolor=#004e6a,#010101><colcolor=#ffffff,#dddddd> 운영체제 윈도우 8.1 / 10 / 11 64bit[34]
프로세서 Intel Core i5[35] Intel Core i7[36]
RAM 8GB 16GB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 1030[37] NVIDIA GeForce GTX 1060 6GB
API DirectX 11 DirectX 12
용량 및 저장 공간 55.7GB[기준]
모바일에서 PC 최적화가 잘 됐기 때문인지 다른 이식작에 비해 PC 최소 사양이 낮아, 최적화가 망한수준은 아니다. CPU는 시티즈 스카이라인과 비슷하게 4코어 8스레드 수준까지는 사용한다. 다만 내장 그래픽 수준에서 60 fps는 다소 어렵다. 그래도 PC판에서도 30 fps 옵션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최소 사양에 미달하는 노트북이나 PC에서도 옵션 타협 후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다.[39] 특히 11세대 인텔 i5, i7 노트북에 탑재된 내장그래픽 Iris Xe의 경우 FHD 60FPS 중옵 구동이 가능하다. 3DMark Fire Strike 벤치마크 기준 그래픽 스코어 약 5,000~6,000점 정도의 GPU의 경우 FHD 기준 드래곤 스파인 등 일부 부하가 높은 지역을 제외하면 60fps의 유지가 가능하다.

3.2버전부터 안티앨리어싱 옵션에서 FSR2를 지원한다. 활성화할 경우 SMAA에 비하면 미세하게 그래픽 퀄리티는 떨어지지만 그래픽카드의 부담이 어느정도 줄어드니 사양이 떨어진다면 활성화를 권장한다.

PC판은 엑원패드듀얼쇼크 4를 완벽히 지원하며 메뉴 자체가 패드에 맞게 바뀌고, 조작 UI도 각 패드에 맞춰서 나온다.[40] 키마로 플레이할 시 모바일판과 비슷한 UI 디자인으로 나오나, 패드로 플레이할 시 PS4판의 UI로 바뀐다. 초기엔 컨트롤러 설정이 저장되지 않아 매번 실행할 때마다 컨트롤러를 바꿔주어야 했지만, 1.2패치와 함께 컨트롤러 설정이 유지되게 바뀌었다. 다만 키마&패드 동시 지원은 여전히 불가능하다.[41]

그래픽 옵션 중 렌더링은 그냥 소수점 달린 숫자만 덩그러니 있어서 혼동하기 좋은데, 이는 렌더링 배율을 뜻한다. 즉 모니터의 해상도가 1920x1080인데 옵션에서 1.5를 선택할 경우 2880x1620이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1.0 설정이 권장되나 사양이 널널한 경우 더 높은 배율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특별 이벤트 창을 누르면 아무 반응도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키보드의 컨트롤 탭으로 창을 변환해서 외부 브라우저로 들어가야 한다. 설문조사에서는 멀쩡히 내부 브라우저를 지원하는데 이벤트 창에서는 미지원인 등 불안정한 점이 많다.

정작 모바일인 iOS/iPadOS판 원신에서 지원해주는 120 fps 옵션을 여전히 지원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고주사율 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들이 불만이 있는 편.

6.4. PS4 / PS5

원신 |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 PlayStation®4
[원신 개발자 인터뷰] 9월 28일, PlayStation®4 모험 시작
원신|원신 - 앞길이 무한하기를 | PS5 버전 사전 홍보 영상
4월 28일, PlayStation®5 모험 시작 | 원신

모바일을 고려해 개발되어서 최적화가 잘 되어있는데다 PS4 Pro 이상부터는 4K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옵션 타협 없이 게임을 돌리는데 거의 지장이 없다. 있다고 해도 종종 일어나는 버그 정도. 또한 PS5에도 출시를 했기 때문에 무료 업그레이드를 통한 플레이도 가능하다. 다만 PS4 구형/Slim의 경우에는 적들이 많아질 시엔 프레임 드롭과 렉이 꽤나 체감되는 편이다.

PS5의 경우 9세대 콘솔 특유의 실시간 압축 및 로딩 기술에 힘입은 덕인지 전반적인 로딩속도가 대단히 빠르다.# 똑같이 NVMe를 설치한 고사양 게이밍 PC도 따라오지 못할 정도. 또한 일부 그래픽 효과는 오직 PS5에서만 구현되어 있으며 이런 효과들은 PC판에서 아무리 풀옵을 해도 구현되지 않는다.

2021년 7월 21일에 진행된 2.0 업데이트를 통해 PS4/PS5에서도 미호요 계정 연동이 가능해졌다. 플레이스테이션의 PSN계정과 미호요 계정을 연동해 모바일과 컴퓨터로 크로스 세이브를 통해 똑같은 계정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미 원신에 로그인된 PSN 계정은 연동을 할 수 없다. 자세한 내용

하지만 미호요 cs에 "PSN Unlink Request"라는 제목으로 메일을 보내면 계정 정보를 기입하는 링크와 함께 미호요 통행증과 PSN 계정 연동 해제 관련 안내를 받을 수 있다.

6.5. Nintendo Switch

원신 | 닌텐도 스위치 (오피셜 일본 트레일러)

출시 전부터 닌텐도 스위치 판도 곧 나온다고 하였으나, 2023년까지도 여전히 출시하고 있지 않다. 루머에 의하면 스위치의 기기 성능 때문에 지연되고 있다고 한다.[42] 거기에 스위치에서 유니티 엔진을 사용할 시 심각한 병목 현상이 일어나 최적화가 힘들다.

이 때문에 유니티 기반 대형 게임이 스위치에 거의 나오지 못하고 있다. Fall Guys는 자신을 제외한 다른 캐릭터들의 프레임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겨우겨우 출시할 수 있었으며, 같은 유니티 엔진으로 제작된 포켓몬스터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의 경우, 심각한 버그와 함께 관련 연동 프로그램 출시까지 오랜 기간이 걸렸다.그럼 컵헤드는?[43]관련 뉴스

유튜버가 스위치 버전 출시에 대해 미호요 측에 문의했고, 아직 출시 일정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추후 관련 세부 내용이 확정되면 공지하겠다는 지극히 원론적인 내용을 회신 받았다.#

사실 원신의 모티브인 야생의 숨결이 기적의 최적화를 통해 스위치에서 간신히 돌아가는 환경으로 만든 케이스고##, 물론 원신도 모바일 환경에 맞춰 최적화를 했다지만 플래그십 사양에서나 제 성능을 뽑아내는 만큼 스위치에서 원활히 돌리기 힘들 것이라는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위쳐 3#, 에이펙스 레전드#, #등의 게임들도 스위치 성능에 맞춰 그래픽 옵션을 대대적으로 낮추고 최적화를 따로 시켜 출시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원신도 이 처럼 옵션을 타협 보아서 추가적인 최적화 작업을 거친 후에야 스위치 이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최적화 이런 거 필요없이 그냥 클라우드 게임으로 이식하는 방법도 있다. 판타시 스타 온라인 2는 충분히 스위치로 이식할 수 있었음에도 무리한 클라우드 이식으로 욕먹은 예라면, 원신은 게임 사양 문제로 오히려 클라우드 이식이 포팅도 편하고 애초에 상시 온라인을 필요로 하니 이쪽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현재 공식 스위치판 소개 영상 끝의 단락을 보면 Nintendo Switch Online에 가입되어야 플레이할 수 있다하는데 다인모드는 Ninjala처럼 자체 네트워크가 아닌 닌텐도 네트워크를 통해서 지원하는 모양. 공식 영상

6.6. GeForce NOW

2022년 6월 24일부터 중국을 제외한 전세계 대상[44]으로 GeForce NOW를 통한 클라우드 게이밍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RTX 3080까지 지원한다. 기존 서비스가 되었던 Windows PC 이외에도 macOS에서도 지포스나우를 통해 원신 접속이 가능하다. 로그인은 HoYoverse 통행증으로 계정 연동이 가능하다.

같은 해 8월 말부터 모바일로도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모바일 버전의 렉과 발열 문제를 피할 방안이 생기게 되었다.

7.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스토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연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연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콘텐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시스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시스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기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기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OS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O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업데이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업데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흥행

파일:역대1년매출.png
Pc, 콘솔, 모바일 등 모든 플랫폼 합산으로 원신이 출시 후 1년 내 역대 매출 1위를 달성했다.[45]

글로벌 사전 예약자 2,000만 명 이상이 모집되었고 출시 4 일 만에 모바일에서만 1,700만 다운로드 및 5,0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

출시 12일 만에 1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개발비 전액을 회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출의 50% 이상, 다운로드의 70% 이상이 중국 외 국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글로벌 주요 지역에서 매출순위 TOP 5 안에 진입했다. 한국 3위, 미국 2위, 캐나다 1위, 일본 4위, 대만 4위, 싱가포르 1위, 홍콩 3위, 베트남 3위, 태국 3위, 영국 10위, 독일 2위, 프랑스 3위, 스페인 2위, 러시아 3위, 호주 2위 등.(2020년 10월 구글 플레이 매출 순위 기준)# #

신규 IP임에도 불구하고, 서구권 최대 시장인 미국의 양대 마켓(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포켓몬 GO를 제치고 매출 1위를 찍었다. #그리고 마침내 2020년 10월 전 세계 모바일 게임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했다. # 이는 모바일 게임 역사상 2위에 해당하는 역대급 출시 성적이라고 한다.[46] 해당 통계는 모바일에서만 추정된 것이므로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원신의 특성상 PC 및 콘솔 결제까지 합치면 이보다 더 큰 수익을 이뤄낸 것으로 생각된다.

2020년 12월 기준으로 석 달 만에 매출 2조를 달성했다는 국내 기사가 나왔다.# 원신 개발사인 미호요는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정확한 매출을 알 수 없었지만, 2021년 8월에 상하이 기업 정확한 매출을 공개해버렸는데 미호요의 2020년 매출은 1조 8천억이고 여기서 원신의 매출은 1조 5167억 정도 된다고 한다. 사실상 3개월 매출이라고 보면 된다.# 게다가 라이덴 쇼군 출시와 초회 2배충전 복각이 이루어진 2021년 9월에는 한달만에 8100억원 가량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다.

최단 기간 모바일 매출 10억 달러(=1조 1554억원)를 달성한 게임이 되었다.[47] 모바일 시장 조사 업체인 Sensor tower에 따르면 전 세계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매출을 합산한 결과[48], 6개월도 안 되는 기간에 10억 달러를 달성하였다고 한다.한글 기사. 영문 기사.

소니가 공개한 바로는 PS 스토어 매출의 25%가 무료게임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발표했고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게임은 원신, 콜 오브 듀티: 워존, 포트나이트, 에이팩스 레전드, 로켓 리그라고 한다.# 콘솔 매출도 매우 높은 편이다.

글로벌 게임시장 조사업체인 뉴주(Newzoo)에 따르면 오픈월드 RPG 차트에서 2위를 했다.#

22년 2월 한달동안 글로벌 기준 약 48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링크 타 서브컬쳐 게임 매출과 비교한 결과 한자리, 크게는 두자리수가 차이나는 기록을 보였다.

22년 4월 기준으로 모바일판 총 누적매출은 약 30억 달러 이상(한화 약 4조원)을 돌파하였다고 한다. 22년 1Q(1월~3월)의 모바일 매출은 5.67억 달러(약 7400억원). MAU[MAU]도 작년 동시기에 비해 44% 이상 증가하였다.#

플레이스테이션 파트너 어워드 2022 일본·아시아 지역에 개발된 서드파티 타이틀 중 2021년 10월부터 2022년 9월 기간동안에 전세계 매출 상위로 GRAND AWARD에 엘든링과 공동 수상되었다. #

16. 인기

요약 만화

현재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에서도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고 서양에서도 인기가 높다. 중국 같은 경우에는 중국 KFC와의 콜라보를 진행했는데[50] 치킨을 담는 용기를 받기 위해 새벽부터 줄 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심지어 텐트까지 치는 사람들도 많았다. 중국에서는 원신의 흥행으로 인해 게임 업계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해진다.# 해외에 게임사를 사거나 스튜디오를 많이 세우고 있는 추세이며, 원신과 거의 비슷한 장르의 게임을 만들거나 PC, 모바일, 콘솔이 모두 돌아가는 게임을 제작중이라고 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편이다. PS 블로그에 따르면 2021년 무료게임 다운로드 순위에 5위를 차지하고 있다.# 매출은 중국이 가장 높지만 두 번째로 높은 나라는 미국과 일본이 서로 바뀌어가면서 차지할 정도로 미국도 인기가 높은 편이다. 북미 공식 방송에서도 꾸준히 약 30만 명이 보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애니 축제에 여러 이벤트들도 진행중인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줄도 많이 서는 편이다.#

유럽에서도 인기가 많은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러시아 군대의 전리품으로 원신 관련 굿즈가 나와서 화제가 된 적이 있으며, 우크라이나 난민들을 상대로 한 일본 방송에서 원신을 좋아하는 모습을 보였다.[51]

특히 일본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일본 라이트 오덕의 성지 아키하바라도 원신 캐릭터가 그려진 기둥과 원신 일러스트가 있는 간판이 차지하고 있으며 아키하바라 내 게임샵에서는 원신 트레일러를 틀어줄 정도이며 도쿄 지하철에서도 간간히 원신 광고를 틀어줄 정도로 홍보도 매우 적극적이다. 게다가 원신에 참여한 일부 일본 성우들도 개인방송에서 가챠쇼와 컨텐츠를 즐기는 방송으로도 유입이 활발한 편이다. 앱 스토어 무료 인기 순위에도 1년이 지난 상황에서도 30위 안에 있는 상황이며 매출도 그만큼 높은 편이다. PS 블로그에 따르면 무료게임 다운로드 순위에 e-football 2022, 포트나이트, 에이팩스 레전드와 함께 순위권을 장악하고 있다.# 게임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는 여러 이벤트를 진행중인데 세가는 원신 붕어빵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재료가 다 떨어져서 조기종료된 사건이 있었고 반다이 식완 제품과의 콜라보로 판매중인 웨하스가 국내의 포켓몬 빵의 품귀 현상에 비슷할 정도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원신 일본 공식 유튜브는 구독자수 100만, 트위터는 200만명을 돌파하였다. 일본 게임 공식 어카운트에서도 매우 드문 편.

2021년에는 유튜브, SNS, 기타 홈페이지 등지에서도 당당히 광고가 게재되는 메이저 게임이 되었으며 단순 아트 스프라이트만 게재하는 기적의 검과 같은 게임과 달리 양질의 인게임 화면을 게재하는 긍정적 영향으로 계속 신규 유저들을 유치하고 있다. 유튜브는 캐릭터 설명 영상 등을 게재하여 더욱 매력적인 광고를 보여주고 있다.

원신 공식 디스코드가 73만 멤버를 달성하며 디스코드 내에서 멤버가 가장 많은 서버로 등극하였고, 이후 서버로서 최초 80만 멤버를 달성하여 최대 인원수 제한이 걸렸다. 이후 상한이 100만명으로 늘어났으나 이마저도 현재 100만명을 꽉 채운 상태이다.

트위터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 글로벌 게임 키워드 순위로 1위를 했다. 국내에는 5위를 했다.# 2022년 상반기 트위터 글로벌 게임 키워드로도 1위를 했다.# 일본 트위터에서도 2022년 1월~8월의 기간 중 언급 키워드 1위 타이틀로 선정되었다.#

모바일인덱스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10월 국내 iOS 및Android MAU[MAU]는 40.2만명, 평균 DAU[53]는 11.2만명으로 집계 되었다.#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각 주요 공식 커뮤니티의 구독/팔로워/가입수는 이하를 참조할 것. 특정 팔로워수를 돌파하면 특별 일러스트도 각 계정에서 공개한다.

17.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1. 표절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표절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미디어 믹스

파일:E1Kv7G8UcAEefta.jpg}}} ||

18.1.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특별 방송에서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ufotable과 공동제작인 장기 애니메이션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19.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신/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외부 링크


[1] 중국 서버는 기존 회사 명칭인 miHoYo로 서비스한다.[2]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HoYoverse자회사.[3] PS4 Pro 대응[4] PS5 하위호환 및 무료 업그레이드 지원[출시예정] '요구 사양' 문단 참고.[6] 클라우드 버전[7] 에픽스토어 런쳐로 바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에픽스토어 런쳐로 어플을 실행하는 방식이다.[출시예정] [9] 중국 서버의 정식출시일은 글로벌 서버와 같은 2020년 9월 28일이지만, 2020년 9월 15일에 PC 한정으로 중국 서버 오픈 베타 테스트를 진행했었다. 오픈 베타 때 사용한 계정을 정식출시 후에도 이어서 쓸 수 있게 했지만 오픈 베타 기간 동안에는 아무런 업데이트도, 이벤트도 없었기에 업데이트 진도는 글로벌 서버와 차이가 없다.[10] 중국 제외[11] 사운드 엔진[12] 중국어 간/번체, 영어, 한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튀르키예어[13]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14] 1.1 버전까지는 12세 이용가였다.[15]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16] Windows 전용.[17] 아시아 및 대만/홍콩/마카오의 경우 UTC+8로 통일되어 있는데, 이는 중국(대륙 전체)의 시간대이기도 하다.[A] 게임 내 설명에는 기기의 시간대와 무관하게 매일 04시에 익일로 넘어간다고 하지만, 이는 서버 기준의 시간이다. 플레이 지역의 시간대로 보정을 해야 한다.[A] [A] [기준] 3.3 버전[22] 그래도 M1 기기보다 전반적인 구동 안정성은 우위이긴 한데, 사실 풀옵을 해도 디스플레이 네이티브 해상도보다 낮은 수준의 그래픽이 나온다. iPad Pro의 경우 풀옵에서는 디스플레이 네이티브 해상도 그대로 렌더링된다. 링크 참고[23] 다만 쓰로틀링이 발생해 프레임이 떨어지더라도 평균 40~50fps를 유지한다.#[24] 이는 전작에 비해 그래픽 성능 자체 성능도 35% 개선되었으나, 메모리 대역폭 개선에서도 수혜를 입어 최대 60%의 그래픽 성능 개선을 보였다.[25] 2020년 말 이후 출시된 기기에 탑재되었다.기기 목록[26] 갤럭시 S9 시리즈가 이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보다 한 단계 높은 Exynos 9820(갤럭시 S10 시리즈) 이상을 권장한다.[27] 공식적으로 홈페이지에 게재된 것은 3GB지만 실제로는 4GB 이상은 되어야 최소 옵션으로도 겨우 돌아간다.[28] 공식적으로 홈페이지에 게재된 것은 4GB지만 6GB 이상은 되어야 원활하게 돌아간다.[29] 안드로이드 기종의 최소 사양에 턱걸이하는 기종으로는 플레이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이유는 하단 참조.[기준] 최신 마신 임무 클리어 후 : 17.94GB[31] 만약 칩셋마다 긱벤치 점수를 확인하고 싶다면 ARM 기반 AP 벤치마크 모음 문서를 참고하자.[32] 원신은 플랫폼별 그래픽 차이가 존재하는 게임이다. 동일한 옵션처럼 보여도 실제 인게임 그래픽 차이는 명확하다.[33] 다만 별도의 매핑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플레이할 수는 있다.[34] 당연히 32bit는 윈도우 10이더라도 권장되지 않는다. 32bit의 특성상 램을 인식하는 최대 용량이 최소 사양에 한참 못 미치는 3.5GB이기 때문이다. 링크[35] i5 4세대 이상, i7 3세대 이상[36] i5 7세대, i7 6세대 이상[37] GPU속도 0.95GHz이어도 실행이 가능하다[기준] [39] 그래픽 품질에 연연하지 않는다면 셀러론 급 CPU에서도 옵션 조절을 통해 플레이 가능한 속도를 뽑아낼 수 있다. 테스트한 사양은 데스크탑 모델인 셀러론 G3930 + HD Graphics 610. 단 셀러론이나 펜티엄이나 N시리즈에서는 동작을 보증할 수 없다.[40] 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는 아직 인식하지 못한다. 버튼 매핑 아이콘을 보면 PS4판을 기준으로 ABXY 아이콘만 덧씌운 듯. 심지어는 선택 취소도 PS4를 기준이라 엑원패드보다는 듀얼쇼크 4나 조이콘을 매핑인식시키는 것을 권장했으나, 패치로 확인 취소버튼 변경을 지원하고 각종 키들도 엑원패드 기준으로 바뀌었다. 다만 여전히 메뉴에서 십자키 지원을 하지 않는다.[41] 그래서인지 게임 도중 배터리가 바닥나 패드 전원이 꺼지기라도 하면 난감해진다. 패드 연결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키마 조작으로 전환되는 기능도 없다. 이는 미호요가 훗날 패치로 개선을 해야 할 점.[42] 스위치의 게임성능(GPU성능)은 엑시노스 9820(갤럭시 S10 탑재) 수준으로 권장 성능을 간신히 턱걸이하는 수준이고 더 심각한건 CPU의 성능인데 스위치의 CPU성능은 갤럭시 S6에 사용된 엑시노스 7420 수준으로 스위치 특유의 최적화를 감안해도 매우 부족한 성능이다.[43] 다만 컵헤드는 4만 개가 넘는 스프라이트를 하나로 뭉쳐서 용량이 적어지고, 최적화 또한 매우 좋아지기에 깔끔한 이식이 가능했던 것이다. 컵헤드는 그림을 이용해서 이게 가능한거지, 3D 오픈 월드 게임은 스위치에서 최적화를 좋은 환경으로 만들기 매우 힘들다.[44] 중국은 개발사 미호요의 자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서 클라우드 게이밍을 서비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云·原神[45] 글로벌 서버 기준으로 중국 매출은 미포함 수치다![46] 1위: 포켓몬 GO(2억 8,300만 달러), 2위: 원신(2억 4,500만 달러)#[47] 1위: 원신(6개월), 2위: 포켓몬GO(9개월), 3위: 리니지M(10개월), 4위: 클래시로얄(11개월)[48] PC, 콘솔판 및 중국 내 타사 안드로이드 스토어 매출은 합산하지 않음[MAU] Monthly Active User[50] 아이러니하게도 출시 전 야숨 표절논란이 한창이었을때 스페인어 KFC 공식 트위터에서 야숨을 KFC로, 원신을 중국의 흔한 짝퉁 KFC로 비유한 짤방이 있었다.[51] 원래 방송 목적은 난민들도 일본 문화를 열광한다는 메세지를 담은 일본 국뽕 방송이었지만 원신에 대해서 잘 모르던 PD가 진행해버려서 중국몽 방송이냐는 비판이 있다.[MAU] Monthly Active User 월간 접속 유저[53] Daily Active User 일간 접속 유저[54] 상한 도달.[55] 원신 한국어 위키와 지도 정보 그리고 가챠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