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06:42:52

서문시장 화재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2. 1960년대3. 1970년대4. 2005년5. 2014년6. 2016년
6.1. 박근혜 대통령 방문 논란
7.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서문시장1922년에 개설된 이래 여러 차례의 크고 작은 화재가 발생했는데 기록된 화재만 무려 17회로 경이로운 수준이다. 1952년 2월 24일 점포 4,200개가 전소된 대화재를 시작으로 1960년, 1967년, 1975년에도 큰 화재가 발생했으며 2005년과 2016년에도 화재가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대부분의 화재 원인은 재래시장의 고질병 중 하나인 전기 합선이다. 서문시장 정중앙의 도로에 국수나 먹거리를 팔기 위해 가스나 전선을 사용하는 곳이 매우 많은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심각하게 노후화된 전선이 노출되어 합선을 일으키고 스파크를 일으켜 화재로 이어진 것이다. 게다가 재래시장의 특성 상 점포가 매우 밀집되어 있어 화재가 급격히 확산하기 쉬운 환경인 것도 있다.

대구 서문시장 화재 일지

2. 1960년대

파일:external/photom.imaeil.com/1.2663895405E+130001.jpg
파일:external/s21.postimg.org/2016_11_30_21_07_29_686.jpg
(1967년 1월 4일 동아일보 기사)

1960년 6월 16일 오후 12시 23분경 모자 가게에서 유류로 발생한 화재로 인해 43개의 점포가 전소되고 2만여 명의 이재민과 43명의 부상자가 생기는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46억 8,700만 원[1]에 이른다. 당시 기준으로도, 지금 기준으로도 엄청난 재산 피해다.
1967년 1월 1일, 전선 마찰로 발생한 화재로 서문시장 1지구 점포 372개가 전소됐으며 재산 피해 규모가 약 1억 8,600만 원[2]이나 됐다. 이로 인해 소방관 1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원인은 전기 합선으로 밝혀졌다.

3. 1970년대

파일:external/s21.postimg.org/2016_11_30_21_08_05_77.jpg
(1975년 11월 21일 동아일보 기사)

1975년 11월 20일 오후 9시 40분경 서문시장은 담뱃불로 추정되는 화재로 인해 4지구 1, 2층과 1지구 2층이 전소되었다. 피해 점포는 무려 1,900개에 이르렀으며 재산 피해 규모는 약 20억원.[3]

또 1년 뒤인 1976년 12월 17일에도 성냥불 실화로 추정되는 불이 발생해 650개의 점포가 전소되었고 11억 4,000만 원[4]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생겼으며 6명이 부상을 입었다.

4. 2005년

파일:external/hu3882.s11.hdweb.co.kr/3554364855_cSUAOWYT_EC849CEBACB8EC8B9CEC9EA5ED9994EC9EAC.jpg

2005년 12월 29일에 일어난 화재는 서문시장 2지구 전체를 불태웠으며 재산 피해 규모가 약 600억 원이나 되었다.[5] 사고 원인은 고질적인 문제인 전기 합선으로 밝혀졌다. 2지구 상가 건물은 철거 후 새로 지어야 했으며 재건축 기간 동안 서문시장 맞은편의 (구) 베네시움 상가와 (구) 대영학원 건너편의 (구) 롯데마트 자리에 임시 이전하였다. 현재는 2지구 건물이 완공되어 정상 영업 중.

5. 2014년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a0295675_52f9a6e50db2f.jpg

2014년 2월 15일 아진상가 근처에서 불이 일어나 시민 수십 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이 화재 당시에는 인명피해와 별다른 재산 피해가 없었다.

6. 2016년

파일:external/news.kbs.co.kr/3385932_RWV.png

2016년 11월 30일 오전 2시 8분경 4지구와 1지구에서 불이 났다. 이 화재로 인해 4지구의 의류, 원단, 전통 의상 등을 취급하는 점포 839개가 모두 전소되어 상인회 추산 약 1,000억원[6]의 재산 피해가 났다. 1960년 화재 이후 최대의 재산 피해다. 대구 서문시장 '11년만에 큰 불'

관할인 중부 소방서는 물론 대구소방안전본부 관할 모든 소방서에서 총출동하여 소방대원 750여 명, 소방차 90대 등이 투입되었지만 불이 쉽게 붙는 의류 상가로 불이 번지는 바람에 피해가 컸다. 진화 도중 4지구와 다른 건물을 연결하는 통로가 무너지면서 소방관 2명이 추락하여 부상을 입기도 했고 소방장 1명도 화상을 입었다. 다행히 모두 큰 부상은 아니라고 한다. 그 밖의 사망자 등의 인명피해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화재 피해를 입은 4지구 건물은 11년 전의 2지구처럼 40% 가량이 붕괴되었고 나머지 부분도 붕괴 위험 가능성이 컸다. 관할인 대구 중구청 측에서는 2005년 당시보다 피해가 더 클 것으로 예상했으며 워낙 피해가 커서 건물을 아예 헐고 새로 지어야 할 것으로 봤다. 안전 진단 결과 E등급(사용불가) 판정을 받으며 결국 4지구 상가의 철거가 확정됐다.

파일:20161130_081232.jpg

2016.11.30 오전 8시 즈음에 촬영한 사진

파일:20161130_085831.jpg

2016.11.30 오전 8시 50분 즈음 계성중학교 내에서 촬영한 사진

화재의 규모가 너무 커서 주변까지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바로 인근에 있던 계성초등학교는 연기로 도저히 수업을 할 수 없어 화재 당일인 11월 30일은 오전 수업만 하고 학생들을 귀가시켰고 계성중학교에선 8시 50분에 교무 회의를 하여 학생들을 바로 하교시켰다. 그 당시 본교 복도는 연기, 가스 냄새가 심하여 회의가 끝날 때까지 복도로 나가는 것을 금지시켰다.

서문시장 바로 건너편에는 1,000병상급의 상급종합병원인 동산병원이 있는데 새벽부터 소방차들의 사이렌 소리와 화재 연기로 안정을 취해야 할 입원 환자들이 밤잠을 설쳐야 했고 일부는 호흡 곤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주변 뿐 아니라 대구 시내 곳곳에 연기가 뒤덮였고 11월 30일 하루 종일 온 대구 시내에 탄내가 진동했다. 중구는 물론 수성구, 심지어 북구 끝자락에 위치한 칠곡지구까지도 탄내가 많이 났고, 멀리 떨어진 동구달서구에도 탄내가 희미하게 났다.

파일:20161201_093441.jpg

2016년 12월 1일 오전 9시 34분경 서문시장역에서 내려다본 서문시장 입구의 모습. 화재 발생 후 31시간이나 지났지만 주변에 소방차가 배치되어 진화했다.

기사에 따르면 화재 발생 30시간이 지난 2016년 12월 1일 오전 7시에도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아 소방당국이 진화 작업에 애를 먹은 것으로 알려졌다. 불이 난 건물에 섬유 원단, 침구류, 의류 등을 취급하는 상점이 밀집되어 있어서 끊임없이 작은 불씨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며 잔불이 완전히 진화 되기까지 약 10시간 가량이 더 소모될 전망이었다. 2005년 2지구 화재 당시에도 불이 완전히 진화되는 데 40시간이 넘게 걸렸다. 결국 화재 발생 59시간 만인 12월 2일 낮에 겨우 진화가 완료됐고 이미 무너진 곳에서는 굴삭기가 동원되어 잔해 정리 및 남은 불씨를 제거했다.

진화 작업 동안 5지구와 대로변의 몇몇 점포들만 영업을 했고 나머지 서문시장 대부분의 구역이 출입 통제가 되면서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 12월 5일에 이르러서 4지구에 펜스를 쳐 놓고 나머지 구역의 영업이 재개되었다. 하지만 시장 한가운데에 위치한 4지구가 막힌 바람에 서문시장의 가운데가 단절되었다. 시장 외곽을 빙 둘러야만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 내 통행이 상당히 어려워졌다. 통로가 단절된 바람에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다른 점포들도 영업에 적잖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편 피해를 입은 4지구의 대체상가 부지는 (구) 베네시움 쇼핑몰로 정해졌다. 관련 기사

4지구에서 발생한 화재로 야시장 역시 상당한 타격을 받았는데 화재 이후 2달 가량 영업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관련 기사 야시장 상인 중 일부는 동성로에 있는 에비뉴8번가 내 광장에서 영업할 예정이었으나 대구시와 중구청의 불허로 무산되고 말았다. 관련 기사 하지만 2017년 3월 3일부터 재개장하여 영업을 시작했다. 관련 기사

6.1. 박근혜 대통령 방문 논란

서문시장은 박근혜가 대통령 당선 이전부터 자신이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방문한 곳으로, 2016년 화재 때도 자신의 입지가 불안한 와중에도 대통령으로서 현장을 방문하였다. (YTN)

하지만 15분 동안 상인 회장의 설명만 들으면서 살펴보았을 뿐 상인들과의 대면, 대화가 없었으며 대구 시민과 상인들은 환영은 커녕 침묵 시위가 이어졌다. 박근혜는 이날 어떠한 공식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그 자리에 나타난 박사모, 박대모(근혜 통령을 사랑하는 임) 회원들이 태극기를 들고 박수까지 치며 환영하였지만 이를 본 시민과 상인들이 "불난 데 부채질하냐"며 서로 실랑이가 벌어졌다. 실제 불난 지구쪽 대표 상인 및 화재 피해 상인 중에서는 대통령을 만난 사람이 없다고 한다.

그런데 서문시장을 방문한 이유가 특검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또 이날 박 전 대통령의 대구 방문 사실을 알리며 긴급 연락이라는 이름의 박근혜 지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문시장으로 2시까지 태극기를 들고 오라"는 카카오톡 메시지가 돌았다. 청와대 대변인은 이후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이 대구에서 돌아오는 길에 울었다"고 하며[7] 시장에 머물렀던 시간이 10분이 아니라 무려 15분이라고 하였다. (뉴스토마토) (JTBC) (매일신문1) (매일신문2) 당시 영상 상인 인터뷰1

이번 방문을 두고 지역 일간지인 영남일보에서는 연극이라며 비판하는 기사를 내보냈다. 대통령 방문 전에 이동 경로 상의 소방 호스를 치우라는 주문이 내려왔으며 대구소방안전본부 소속이 아닌 소방관들이 배치되어 있고 방문 시간 동안 화재 진압 작업이 중단되었다고 한다.

대구문화방송에서는 이런 보도까지 나왔다. (대구mbc, R)논란과 상처로 얼룩진 대통령 방문

7.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화재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0년대 이전
한양 대화재 (1426년)V, 행촌동 화재 사고 (1922년)?,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A,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H, 1960년 서문시장 화재 (1960년)A,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A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A,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A, 뉴남산관광호텔 화재 A,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2~1975년)A, 1975년 서문시장 화재 (1975년)H,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1983년)A,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4년)H,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7년)A
1990년대
혜영 용철 사건 (1990년)H, 1990년 연쇄 방화사건(1990년)V, 거성관 방화 사건 (1991년)V,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 (1992년)V, 봉대산 불다람쥐 17년 연쇄 방화사건 (1994년~2011년)V,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V, 남포동 노래방 화재사고 (1995년)H, 1996년 고성 산불 (1996년)H,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1996년)V, 부천 다세대주택 가스 폭발 사고 (1997년)V A,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9년)A,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H
2000년대
2000년 4월 동해안 산불 (2000년)H, 군산 화재 참사 (2000~2002년)?, 홍제동 방화 사건 (2001년)V, 예지학원 화재 사고 (2001년)H, 2002년 청양-예산 산불 (2002년)H, 대구 지하철 참사 (2003년)V,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 (2004년)V, 하얀성 화재 사건 (2004년)H,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 (2005년)V, 2005년 양양 산불 (2005년)?, 2005년 서문시장 화재 (2005년)A,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2005년)A, 잠실 고시원 화재 사고 (2006년)V,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 (2007년)H,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8년)H, 서천 슈퍼 화재사건 (2008년)V, 숭례문 방화 사건 (2008년)V,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 (2009년)H,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 (2009년)H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fff,#1c1d1f> 2010년 우신골든스위트 화재A
2011년 호남고속 차고지 화재사건V, 설봉호 화재 사고A , 2011년 충북 청주시 낭성면 산불?
2013년 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V,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V, 포항 산불사고V, 2013년 울주 산불?
2014년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H, 2014년 서문시장 화재?,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V,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V, 2014년 대전 목상동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고H, 강화도 캠핑장 화재 사건A
2016년 춘천중앙교회 화재 사고?,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 관광버스 화재 사고A, 김포 상가건물 공사현장 화재 사고H, 2016년 서문시장 화재A
2017년 여수 수산시장 화재A,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 사고H,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산불H, 강릉 석란정 화재 사건?,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수원 광교 오피스텔 공사현장 화재사고?
2018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V,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A, 세브란스병원 화재 사고H, 인천 이레화학 화재E, 60대 가평군청 방화사건V,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V, 세종시 아파트 공사장 화재 사고A, 인천 세일전자 화재 사고E,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A, 진관동 편의점 화재 사고H,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사고H, 종로 고시원 화재 사고H,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수원 골든플라자 화재 사고?
2019년 양양 산불H,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V, 원주 중앙시장 화재A, 경북 구미 모텔 화재사고?, 천안 라마다호텔 화재사고?, 고양 성석동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 사고?, 대구 사우나 화재 사고A, 불광동 모델하우스 화재?,부산 해운대구 산불H, 포항 산불?, 고성-속초 산불A, 강릉-동해 산불A, 인제 산불H, 은명초 화재H, 김포 요양병원 화재 사고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0년 2020년 1월 춘천 산불H,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화재A, 울산 웅촌면 산불?, 울산 두서면 산불?, 제석산 산불A, 2020년 4월 경기도 수원 광교산 산불?, 군포 물류창고 화재 사건H, 2020년 안동 산불H, 한익스프레스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A, 2020년 5월 고성 산불A, 2020년 6월 양산 산불A, 파주 드라마 스튜디오 화재 사건?, 고흥 윤호21병원 화재 사고A, 죽굴도 화재 사건H, 용인 SLC 물류센터 화재 사건A, 인천 초등학생 형제 방임 및 화재 사건H, 울산 남구 삼환아르누보아파트 화재 사고?, 남양주 수진사 방화 사건V, 인천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화재?, 군포 아파트 화재사건E, 서울 마포 모텔 방화 사건V
2021년 2021년 2월 양양 산불?, 2021년 정선 산불?, 2021년 하동 산불?, 2021년 안동 산불H, 2021년 영동 산불A, 2021년 예천·영주 산불?, 2021년 논산 산불?, 이천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 사고A, 천안 주상복합 지하주차장 화재사고A, 고양 화정동 달빛마을 4단지 화재사고?, 2021년 11월 양양 산불H, 2021년 순천 산불?, 한마음마트 봉담점 화재사고H
2022년 창원 반도체 금형부품 공장 화재?, 아산 귀뚜라미 보일러 공장 화재 사고?, 강원도 인제 남면 산불H, 평택 냉동창고 신축공사현장 화재 사고A , 2022년 경북 영덕 산불A, 2022년 구례 간전면 산불H, 2022년 대구 달성군 주암산 산불V, 제주드림타워 화재 사고(2022년)A, 옥수역 화재 사건A, 2022년 울진-삼척 산불H, 2022년 3월 영월 산불?, 2022년 합천-고령 산불?, 2022년 강릉-동해 산불V/?, 2022년 남한산성 산불V?/H?, 2022년 경북 봉화 산불H, 2022년 4월 양구 산불H, 2022년 경북 군위 산불?, 2022년 대구 달서구 학산 산불?, 울산 에쓰오일 화재사고?, 2022년 5월 울진 산불H, 2022년 5월 밀양 산불? , 전북 남원 식품 공장 화재?,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V, 이천 관고동 병원 화재?, 대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 사고?, 대구 동구 율암동 섬유공장 화재?, 강릉시 현무-IIC 미사일 낙탄 사고A,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A,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화재 사건? , 순천 폐기물처리시설 화재 사건? , 원주 폐기물사업장 화재?, 대구 가스충전소 폭발사고A , 2022년 대구 달서구 성서공단 화재? , 2022년 서울 남대문시장 화재? ,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사고A
2023년 부산 부전동 오피스텔 주차타워 화재E , 구룡마을 화재?, 고양 존속살인 사건V , 예천 산불H , 김천 산불? , 영양 산불H , 순천 월등면 산불H, 대구 산불? , 인천 현대시장 방화 사건V , 합천 산불H , 부여-보령 산불H , 하동 산불?, 광주 산불H , 대전 한국타이어 화재?, 상주 산불H, 양동시장 방화 사건V , 평창 산불H, 순천 별량면 산불H , 서천 산불H, 안동 산불?, 화천 하남면 산불H, 강화 산불?, 안산 선부동 빌라 화재사고A, 아산 둔포면 폐기물 야적장 화재?, 화천 화천읍 산불?, 포천 산불H, 제천 산불H, 홍성 산불H, 옥천 산불H, 군위 산불H, 당진 산불?, 서울 산불?, 대전-금산 산불H, 보령 산불H, 고창 산불?, 인천 부평구 상가건물 화재 사고?, 함평 산불A, 순천 송광면 산불?, 영주 산불A, 서울 방이동 오피스텔 화재 사고?, 강릉 산불A, 화순 백재활요양병원 화재 사고?, 밀양 한국카본 2공장 화재?, 김포 통진읍 열풍기 제조 공장 화재 사고?, 화성 팔탄면 플라스틱 제조 공장 화재?, 안동 북후면 식품 가공 공장 화재 사고A, 완주 알루미늄 가공품 생산공장 화재?, 인천 귤현동 비닐하우스 화재 사고?, 대구 중리동 재활용 공장 화재?, 부산 해운대 씨클라우드호텔 화재?, 화성 향남읍 자원순환시설 화재A, 부산 좌천동 목욕탕 폭발사고?, 부산 개금동 아파트 화재 사고?, 자승 분신 사건V, 인천 논현동 호텔 화재 사고?, 서울 도봉구 아파트 화재 사고H
2024년 평창 LPG 충전소 연쇄 폭발 사고A, 경북 울진군 다세대주택 화재 사고?, 서천 청소년 방화 사건V, 서천특화시장 화재A, 문경 육가공공장 화재 사고?, 파주 오락기 공장 화재?, 김포시 월곶면 산불 사건?, 제주드림타워 화재 사고(2024년)A, 화성 일차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화재 사고?,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 진주 봉곡동 화재 사고?, 부천 호텔 화재 사고A, 영암 게임장 방화 사건V, 청주 여관 화재 사건V, 인천 왕길동 공장 화재? , 주한미군 55보급창 화재?, 2024년 포항제철소 화재사고? }}}}}}}}}
H: 사람에 의한 실화, V: 고의적 방화, A: 누전, 장비 고장, 가스 누출 등에 의한 사고, E: 그 외, ?: 원인 불명/조사중 }}}}}}}}}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사건명
2024년 6월 24일
23
2022년 10월 29일
159 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 25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51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7년 3월 31일
22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고
2014년 12월 1일
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12월 13일
22 제1인성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 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 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 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9월 11일
2,996 28 9.11 테러
2001년 7월 24일
20 진주 관광버스 추락 사고
2000년 10월 27일
22 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99년 10월 30일
56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
1999년 6월 30일
23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1998년 10월 29일
27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1998년 7월 31일~8월 1일
103
1997년 8월 6일 228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1996년 7월 26일
20 철원 군부대 산사태
1996년 4월 4일
21 양평 버스 추락 사고
1995년 8월 21일
37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1995년 6월 29일
502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4월 28일
101
1994년 10월 24일
29 충주 제5호 화재사고
1994년 10월 21일
3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3년 10월 10일
292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1993년 7월 26일
68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1993년 6월 10일
20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
1993년 4월 19일
34 논산 정신병원 화재
1993년 3월 28일
78
1993년 1월 7일
28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
1992년 10월 22일
28 대양하니호 침몰 사고
1991년 11월 3일
22 인제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11월 4일
21 소양호 버스 추락 사고
1990년 9월 1일
25 영동고속도로 섬강교 버스추락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 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 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8년 3월 25일
22 안양 봉제공장 화재
1987년 11월 29일
115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 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3월 24일
29 영덕 시루봉 CH-53 추락 사고
1984년 1월 14일
38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 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
53 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 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
53 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 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 경산 열차 추돌사고
1981년 2월 28일
24 대림호 침몰 사고
1980년 6월 5일
23 광주 지하살롱 화재 사고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 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 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 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 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 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 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 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6월 28일
28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년 2월 22일
159 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 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 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4일
30 파크로버호 침몰 사고
1972년 12월 2일
53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 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191 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 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 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 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 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 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 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37 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 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0월 30일
48 산청 버스 추락 사고
1968년 1월 8일
41 함양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10월 16일
42 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 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9일
39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년 1월 14일
93 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 서문시장 화재
1966년 1월 18일
22 중구 남산동 판자 아파트 화재
1964년 7월 29일
95+ 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 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 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 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 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 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 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 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7년 2월 22일
21 한강 미 공군 C-124A 추락 사고
1956년 1월 12일
66 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 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 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 행운환 침몰 사고
1953년 1월 9일
330 창경호 침몰 사고
1952년 11월 16일
25 강릉 공항 미 공군 C-46D 추락 사고
1952년 10월 16일
44 양평 미 공군 C-119C 추락 사고
1951년 7월 11일
94 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 제13호 침몰 사고
1950년 6월 30일
23 부산 미 공군 C-54G 추락 사고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 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 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8년 6월 8일
150 미군 독도 오폭 사건
1947년 8월 19일
23 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6년 10월 22일
59 어청도 기뢰 폭발 사고
1945년 9월 29일
73 대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000+
우키시마호 사건
}}} ||



[1] 2024년 9월 기준 약 2,155억 4,940만 원으로 자연재해와 맞먹는 엄청난 금액이다.[2] 2024년 9월 기준 약 70억 3,560만 원이다. 당시 1월 1일 새해첫날이라 설날 차례 음식을 팔고 있었는데 대부분 불타 못 쓰게 되어 피해가 더 컸다.[3] 2024년 9월 기준 약 224억 4,960만원이다.[4] 2024년 9월 기준 약 116억 2,100만원이다.[5] 2024년 9월 기준 약 919억 8,370만원이다.[6] 2024년 9월 기준 약 1,191억 3,300만 원이다.[7] 이에 대해 썰전에서 유시민이 말하길 이래봐야 국민들은 "그래서 어쩌라고?"라며 차가운 반응만 보일 뿐이라는 발언을 했다.